•  


他國의 形式에 우리의 精神을 담는다는 것|新東亞

他國의 形式에 우리의 精神을 담는다는 것

  • 정여울 │文學評論家 suburbs@daum.net

    入力 2014-04-21 17:34: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타국의 형식에 우리의 정신을 담는다는 것

    우리 漢詩 三百수<br>정민 評役, 김영사

    大學生들의 글쓰기 授業을 進行할 때, 學生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試驗이 바로 漢字 試驗이다. 늘 韓國語로 이야기하다가 갑자기 ‘漢字에 讀音(讀音)을 달라’고 하니 새내기들은 어리둥절할 수밖에. 하지만 나는 漢字 試驗이 如前히 必要하다고 생각한다. 韓國語는 純 한글로만 이뤄진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韓國語 自體가 國漢文混用體에 基盤을 두고 있기 때문에, 萬若 表音文字人 한글의 形式에 따라 모든 表記法을 소리 나는 대로 적도록 한다면 우리가 使用하는 모든 文字 體系가 一時에 大混亂에 빠질 것이다.

    모든 것을 소리 나는 대로, 또는 言衆의 發音에 따라 바꾸다보면 元來 우리말이 갖고 있던 固有의 결들이 사라지게 마련이다. ‘삯月貰’가 ‘사글貰’로 바뀔 때 나는 그 아름다운 ‘삯月貰’의 울림과 模樣새가 그리워 불현듯 슬퍼졌으며, ‘돐잔치’가 ‘돌잔치’로 바뀔 때는 啞然失色할 수밖에 없었다. ‘돐’과 ‘돌’이 어찌 같을 수 있단 말인가. ‘돐’이라는 아름다운 우리말을 永遠히 잃어버린 것만 같았다.

    하지만 나 自身도 모르는 글字가 나올 때마다 每番 字典을 찾아가며 헤매곤 하는 漢字를 그래도 所重히 여기는 理由는 따로 있다. 바로 漢文으로 만들어진 우리 文學과 記錄들 때문이다. 世界的으로 類例를 찾을 수 없을 程度로 厖大한 歷史 資料인 ‘朝鮮王朝實錄’은 勿論, 朴趾源의 ‘熱河日記’를 비롯해 韓龍雲의 漢詩에 이르기까지, 漢文으로 創造된 우리 文學의 寶物倉庫는 厖大하기 이를 데 없다.

    ‘대장경’이 漢字로 表記되었다고 해서, 그것이 남의 나라 文化遺産인가. 漢文으로 執筆된 詩나 小說, 隨筆類는 勿論 한글과 漢文이 섞여 있는 時調에 이르기까지, 漢文을 통째로 덜어내고 나면 우리 文學은, 우리 가락은 成立할 수 없을 것이다. 國文學 專攻者라서가 아니라, 韓國文學을 사랑하는 한 사람의 讀者로서 漢文은 所重하다고 믿는다. 漢文은 남의 나라에서 겉꼴만 빌려온 文字 表記法이 아니라, 우리 精神의 보이지 않는 주춧돌이며 靈魂의 毛細血管이다.

    우리 精神의 주춧돌



    그러나 아무리 이렇게 主張해도 아이들은 짜증을 낼 것이다. 이런 學生들에게 읽히고 싶은 冊이 생겼다. 바로 漢文으로 織造된 우리 文學이 오늘날 現代社會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얼마나 아름다운 울림을 주는지를 每番 깨닫게 해주는 정민 先生의 ‘우리 漢詩 三百수’다.

    銳敏한 사람들은 題目에서부터 敏感하게 反應할 것이다. ‘漢詩가 어떻게 우리 거야?’ ‘漢詩는 中國 거 아니야?’ 하지만 이 땅에서 ‘글 한가락’ 하는 사람들이 쓴 漢詩를 모두 합치면 朝鮮時代만 해도 엄청난 分量이 될 것이다. 이 땅에서 태어난 文人들이 쓴 漢詩는 分明 漢文으로 記錄되었지만, 分明히 韓國文學의 範疇 안에 包含된다. 무엇보다도 그들이 쓴 漢詩는 中國 사람들보다 우리에게 훨씬 잘 理解되고, 훨씬 깊은 울림을 줄 수밖에 없다. 文學은 世界的 普遍性을 갖는 것이지만, 그 普遍性 自體도 地域性 或은 土着性이라는 最初의 土壤 위에서 發芽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집에 보낼 便紙에 괴로움 말하려다

    흰 머리의 어버이가 근심할까 念慮되어,

    그늘진 山 쌓인 눈이 깊기가 千 길인데

    올겨울은 봄날처럼 따뜻하다 적었네.

    欲作家書說苦辛 恐敎愁殺白頭親

    陰山積雪深千丈 却報今冬暖似春

    -‘便紙를 부치며’

    집 떠나 지내면 가장 서러울 때가 아플 때와 배고플 때, 그리고 추울 때다. 뭔가 高次元的인 理由 때문이 아니라 가장 原初的인 欲望이 肉體를 옥죄어올 때, 人間은 뼛속 깊은 외로움을 느낀다. 當場의 추위와 배고픔, 아픔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내 마음을 알아주는 이 하나만 있다면 그 설움이 慰勞될 것만 같다. 그래서 이 詩의 主人公은 어버이께 便紙를 보내려 한다. 어머니, 여긴 눈이 너무 많이 와요. 춥고 외롭습니다. 하지만 白髮이 星星한 어버이의 모습을 떠올려보니, 나보다 더 힘든 이는 子息을 먼 곳에 떠나보낸 어버이가 아닐까 싶다.

    그래서 마음을 고쳐먹고 다시 便紙를 쓴다. 어머니, 올겨울은 어찌 된 일인지 봄날처럼 따스하네요. 저는 이곳에서 아무 걱정 없이 잘 지냅니다. 응달져 더욱 추위가 매서운 山골에 푹푹 쌓인 눈을 바라보며, 子息은 自身의 추위와 설움보다 父母님의 근심, 걱정을 念慮할 줄 안다. 사람은 이렇게 어른이 되어가는 것 같다. 예나 只今이나, 子息이 철드는 最高의 方法은 父母와 떨어져 지내며 山戰水戰 空中戰 다 겪어보는 것인가보다.

    蓮子와 憐子

    가을날 맑은 湖水 玉 같은 물 흐르는데

    蓮꽃 깊은 곳에 木蘭倍를 매어두고.

    님 만나 물 저便에 蓮밥을 던지고는

    幸여 남이 봤을까 봐 한참 부끄러웠네.

    秋淨長湖碧玉流 荷花深處繫蘭舟

    逢郞隔水投蓮子 遙被人知半日羞

    -‘부끄러워’

    許蘭雪軒(許蘭雪軒·1563~1589)의 絶唱, ‘채연곡(採蓮曲)’이다. 蓮꽃의 열매, 蓮밥을 따는 노래다. 蓮잎이 茂盛하게 우거진 湖水 깊숙한 곳에 숨어 누군가를 기다리는 한 女子가 있다. 나는 여기 있는데, 눈치 없는 내 님은 내가 있는 곳을 알아채지 못하는 것 같다. 아직 조심스럽고, 아직 부끄러운 두 사람 사이. 그女는 나 여기 있다고, 蓮밥을 하나 뚝 따서 操心스레 님 계신 쪽에 던진다. 蓮밥을 따서 님의 발치에 던지는 行爲, 그것은 바로 ‘當身을 사랑한다’는 告白의 隱喩다. 이 詩는 坪譯者의 解說로 더욱 빛을 發한다.

    “가을날 물 맑은 긴 湖水에 碧玉의 江물이 넘실댄다. 蓮꽃은 피고 지고, 蓮잎은 키를 넘고, 蓮밥도 주렁주렁 매달렸다. 조그만 쪽닥배를 몰고 님과 만나기로 한 場所에 먼저 온 그女는 부끄러워 蓮잎 속에 배를 매어두고 아까부터 숨어 있다. 이윽고 방죽 저便으로 님이 보이더니, 蓮잎 속에 숨은 나는 못 보고 자꾸 嚴한 곳을 두리번거린다. 기다리다 못한 나는 님의 발치에 작은 蓮밥을 하나 따서 던진다. 硏子(蓮子)는 蓮밥을 말하지만, 音으로 읽으면 硏子(憐子), 卽 ‘그대를 사랑해요!’가 된다. 그女의 두 볼에 半나절 동안이나 홍조가 가시지 않았던 理由다.”

    硏子(蓮子)와 硏子(憐子)는 音은 같지만 뜻이 다르니, 님은 그女의 수줍은 몸짓에 어린 사랑의 意味를 理解했을 것이다. 누가 그것을 보고 自身만의 隱密한 ‘사랑의 暗號’를 알아챌까봐 두려웠다는 그女의 告白은 읽는 이의 마음을 限껏 설레게 한다. 그래, 어느 時代에나 처음 始作되는 사랑은 이토록 수줍고 짜릿하고 해맑았구나.

    多情多感한 解說의 도움을 받지 않아도 저절로 理解되는 한時도 많다. 靜穩의 ‘귀뚜라미’는 한달음에 읽어도 今方 詩人의 眞心이 만져진다. “밤새도록 귀뚤귀뚤 무슨 뜻이 있는가/맑은 가을 저절로 소리 냄이 기쁘도다/ 微物도 또한 능히 季節 따라 感應커늘/ 나는 아직 어리석어 때 기다려 우는구나” 밤새 쉬지 않고 울어대는 귀뚜라미는 가을의 抒情을 刺戟한다. 겨울도 봄도 여름도 아닌 꼭 가을에 正確히 ‘제때’를 알고 우는 귀뚜라미처럼, 우리도 眞正 울어야 할 때를 알고 때맞춰 울 수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感性의 解放이고 靈魂의 自由일 것이다.

    한便 예나 只今이나 고생스러운 百姓의 삶은 親切한 說明 없이도 곧바로 肺腑를 찌른다. 김약수의 ‘山새’를 읽으면 ‘근심 겨운 百姓의 마음’은 예나 只今이나 같은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老木이 우거진 옛 市內에 와보니/집집마다 푸성귀로 배조차 못 불리네/ 山새는 근심 겨운 百姓 맘도 모른 채/ 다만 그저 숲 속 向해 마음껏 노래하네.” 穀食은커녕 푸성귀로도 배를 채우지 못한 배고픈 百姓은 힘차게 울어예는 山새들의 노랫소리조차 野俗하다. 우리는 이토록 배가 고프고 힘겹고 希望이 없는데, 山새들은 무슨 기쁨에 겨워 저리도 신나게 지절대는 것일까.

    이렇듯 가슴 切切한 슬픔의 詩가 있는가 하면, 그저 自然의 一擧手一投足을 덩그러니 描寫하는 것만으로도 유머가 넘치는 詩도 있다. 李仁老의 ‘군밤’이 그렇다. “署理 뒤에 터진 밤톨 반짝반짝 빛나니/ 젖은 새벽 숲 사이엔 이슬 아니 말랐네/ 꼬맹이들 불러와 묵은 불씨 헤집자/ 玉 껍질 다 타더니 黃金 彈丸 터지누나” 밤 껍질이 다 타고나니 黃金 彈丸처럼 팍, 팍 터지는 밤 알갱이의 模樣이 손에 잡힐 듯 생생하다.

    喜怒哀樂愛汚辱

    나는 한時는커녕 漢文에도 젬병이지만 이 冊은 興味津津하게, 게다가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었다. 漢詩의 流麗한 飜譯과 興味로운 解說은 마치 現代詩를 읽는 듯한 斬新한 感性을 불러일으킨다. 읽다보면 ‘亦是 漢詩는 우리 文學이기도 해!’라는 式의 自己滿足을 뛰어넘어, ‘漢詩를 빼면 우리 文學이 얼마나 허전해지겠는가!’ 싶어 가슴을 쓸어내리게 된다. 게다가 數百 年 前의 珠玉같은 詩篇들이 時空間의 障壁을 뛰어넘어 우리 앞에 이토록 손에 잡힐 듯 생생하게 다가올 수 있다는 생각을 하니 가슴이 설레기도 한다.

    이 冊에는 父母님께 安否 便紙를 보내는 子息의 心情을 노래하는 日常的 이야기부터, 戀人과 永永 離別해야 하는 極限의 苦痛을 참아내는 수많은 離別의 詩篇은 勿論, 서릿발 같은 志操와 政治的 信念을 지켜내는 知識人의 苦惱, 貪慾으로 이글거리는 俗世를 떠나 오직 自然만을 벗하며 自己만의 世界에 스스로를 封印한 隱遁者의 哲學에 이르기까지, 人間의 喜怒哀樂愛汚辱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