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르단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요르단 하심(河心) 왕국(王國)
??????? ???????? ????????

국기(國紀)

국장(國葬)
표어(標語) ????? ?????? ?????
하느님, 국가(國家), 국왕(國王)
국가(國家) 요르단 왕실(王室)에 평화(平和)가 있기를
수도 암만 북위(北緯) 31° 56′ 59″ 동경(東京) 35° 55′ 58″  /  북위(北緯) 31.949722° 동경(東京) 35.932778°  / 31.949722; 35.932778
요르단(요르단)
정치(政治)
정치체제(政治體制) 단일(單一) 국가(國家) 입헌군주국(立憲君主國)
(사실상(事實上) 전제군주제(專制君主制) ¹)
국왕(國王)
총리(總理)
압둘라 2세(歲)
비셰르 알카사우네
역사(歷史)
독립(獨立)  
 ? 독립(獨立) 영국(英國) 으로부터 독립(獨立)
1946년(年) 5월(月) 25일(日)
지리
면적(面積) 89,342 km 2 ( 110 위(位) )
내수면(內水面) 비율(比率) 0.6 %
시간대(時間帶) UTC ( UTC +3)
인문(人文)
공용어(公用語) 아랍어(아랍語)
인구(人口)
2020년(年) 어림 10,658,123명(名) (87위(位))
인구(人口) 밀도(密度) 114명(名)/km 2 ( 70위(位) )
경제(經濟)
GDP ( PPP ) 2020년(年) 어림값
 ? 전체(全體) $1,021억(億) ( 84위(位) )
 ? 일인당(一人當) $10,007 ( 110위(位) )
GDP (명목(名目)) 2020년(年) 어림값
HDI 0.729 ( 102위(位) , 2019년(年) 조사(調査))
통화(通話) 디나르 ( JOD )
종교(宗敎)
종교(宗敎) 이슬람교(이슬람敎) 91%
기독교(基督敎) 8%
드루즈교 , 바하이 신앙(信仰) 1% [1]
기타
ISO 3166-1 400 , JO , JOR
도메인 .jo
국제(國際) 전화(電話) +962
1. 총선(總選)에서 총리(總理)가 선출(選出)되지 않고 군주(君主)에 의(依)해 임명(任命)

요르단 ( 아랍어(아랍語) : ????? 우르둔 [ * ] , 영어(英語) : Jordan )은 중동(中東) 에 있는 입헌(立憲) 군주국(君主國) 이다. 정식(正式) 국명(國名)은 요르단 하심(河心) 왕국(王國) ( 아랍어(아랍語) : ??????? ????????? ????????? 알맘라카 알우르두니야 알하시(下視)미야 [ * ] , 영어(英語) : The Hashemite Kingdom of Jordan , 문화어(文化語) : 하(下)쉐미트 요르단 왕국(王國))이다. 수도(首都)는 암만 이며, 이라크 , 팔레스타인 , 이스라엘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와 국경(國境)을 접(接)한다. 약(約) 26km의 해안선(海岸線)이 홍해(紅海) 의 북쪽(北쪽) 아카바만(灣) 에 접(接)한다. 이 해안선(海岸線)을 끼고 있는 도시(都市) 아카바 에는 요르단 유일(唯一)의 항구(港口)가 있다.

국명(國名)의 유래(由來) [ 편집(編輯) ]

요르단의 국명(國名)은 요르단 북서부(北西部) 국경(國境)에 위치(位置)한 요르단강(요르단江)에서 유래(由來)했다. 요르단강(요르단江)의 이름에 대(對)해서는 몇가지 학설(學說)이 존재(存在)하지만 가장 공신력(公信力)이 있는 학설(學說)은 강의(講義) 급(急)한 경사(傾斜)를 반영(反映)하는 이름인 "내려오는 자(者)"를 뜻하는 히브리어 Yarad (Hebrew: ???) 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다. 현(現) 요르단 영토(領土)의 대부분(大部分)은 역사적(歷史的)으로 트란스요르단이라 불리던 지역(地域)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요르단(강) 넘어"를 뜻한다. 이는 요르단강(江)의 동쪽(東쪽)에 있는 땅을 지칭(指稱)한다. 히브리 성서(聖書)는 (유대교(유대敎)의 성서(聖書), 크리스트교 명칭(名稱)은 구약성서(舊約聖書)) 이 지역(地域)을 히브리어로 (??? ?????, 로마자(로마字): Ever ha'Yarden) , ''요르단(강)의 반대쪽(反對쪽)(해안(海岸))"이라 지칭(指稱)한다. 초기(初期) 아랍 연대기(年代記)는 강(講)을 Al-Urdunn 이라 (히브리어 Yarden 의 동의어(同義語)). Jund Al-Urdunn 는 초기(初期) 이슬람 시대(時代)에 강(江) 주변(周邊)에 존재(存在)했던 군사(軍事) 지역(地域)의 명칭(名稱)이다. 추후(追後) 십자군(十字軍) 시대(時代)부터 20세기(世紀) 초(初)까지 Oultrejordain 라는 명칭(名稱)을 가진 영주가 존재(存在)했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요르단의 국토(國土)는, 약(約) 50만(萬) 년(年) 전(前)의 구석기(舊石器) 시대(時代)부터 인류(人類)가 정착(定着)하였다고 알려져 있으며, 약(約) 1만(萬) 년(年) 전(前)(기원전(紀元前) 8천(千) 년경(年頃))에는 인류(人類) 최고(最高)(最古)의 농업(農業)이 행(行)해졌다. 서아시아(西아시아) 문명(文明)이 발달(發達)하자 교역(交易)의 중심지(中心地)로서 번영(繁榮)하였고, 기원전(紀元前) 13세기경(世紀頃)부터는 이집트인(人)이 정착(定着)하여 암만 에는 구약성서(舊約聖書)에 등장(登場)하는 암몬인(人) 의 나라가 있었다. 기원전(紀元前) 1세기경(世紀頃)에는 남부(南部) 페트라 유적(遺跡)을 남긴 나바테아 왕국(王國) 이 발전(發展)하였으나, 1세기(世紀) ~ 2세기(世紀)에 로마 제국(帝國) 에 합병(合倂)되었다.

7세기(世紀)에는 이슬람 제국(帝國)의 지배하(支配下)에 들어가 아라비아와 이슬람교(이슬람敎)가 전파(傳播)되어 아랍화(化)·이슬람화(化)되었으나, 다마스커스 에 자리잡은 우마이야 왕조(王朝) 가 멸망(滅亡)하여 이슬람 세계(世界)의 중심(中心)이 시리아 지방(地方)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되어, 그 변경(變更)으로서 도시(都市) 문명(文明)도 차츰 쇠퇴(衰退)하였다.

19세기(世紀)에 들어서, 당시(當時) 이 지방(地方)을 지배(支配)하였던 오스만 제국(帝國) 이 러시아 제국(帝國)으로부터 도망(逃亡)하여 온 체르케스인(人) 을 시리아의 인구(人口)가 희박(稀薄)한 지역(地域)에 살게 하여 점차(漸次) 활기(活氣)를 띠기 시작(始作)했다. 제(第)1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 이후(以後)인 1919년(年) 에는 영국(英國)의 위임통치하(委任統治下)에 놓였다.

1921년(年) 하심가 출신(出身)인 압둘라 1세(歲) 를 영입(迎入)하여 트란스요르단 을 세웠고, 제(第)2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 이후(以後)인 1946년(年) 영국(英國) 으로부터 독립(獨立)하였다. 후세인 1세(歲) 가 즉위(卽位)한 이후(以後)에 지금(只今)의 국명(國名)으로 개칭(改稱)되었다.

1950년(年) 에는 동예루살렘 을 포함(包含)한 요르단강(요르단江) 서안(西安) 지구(地區) 를 영토(領土)에 추가(追加)하였으나, 1967년(年) 제(第)3차(次) 중동(中東) 전쟁(戰爭) 에서 이스라엘에 빼앗겼다. 중동(中東) 전쟁(戰爭)으로 인하여 이스라엘이 점령(占領)한 지역(地域)으로부터 팔레스타인인(人) 이 대거(大擧) 유입(流入)되었다.

역대(歷代) 군주(君主) [ 편집(編輯) ]

지리(地理) 및 기후(氣候) [ 편집(編輯) ]

국토(國土)의 서단에 레바논, 안티레바논 두 산맥(山脈)의 연장(延長)이 남북(南北)으로 달리고 그 사이 폭(幅) 10~20km의 대지구대(大地溝帶)(大地溝帶)가 있는데 이것이 갈릴리 호수(湖水) , 사해(死海) (死海), 아카바만(灣) (灣) 등(等)을 거쳐 아프리카 에 이어진다. 지구대(地溝帶)의 저변(底邊)은 평탄(平坦)하지 않아 헤르몬 산(山)에서 발원(發源)한 요르단강(요르단江) 이 남쪽(南쪽)으로 흘러 사해(四海)에 들어간다. 사해(死海) 남쪽(南쪽)에서 지구대(地溝帶)가 차츰 높아져 그 10km 남방(南方)에서 해면(海面)과 같은 고도(高度)가 된다. 지구대(地區隊) 동부(東部)의 요르단은 표고(標高) 500m, 1,000m의 완만(緩慢)한 고원상을 이룬 암석(巖石) 사막지대(沙漠地帶)이다.

지구대(地溝帶)의 서쪽(西쪽)은 지중해성(地中海性) 기후(氣候)로 하계(夏季)에는 고온(高溫)·건조(乾燥)하고, 동계(洞契)에는 저온(低溫)·다습(多濕)하여 500mm 정도(程度)의 비(比)가 내린다. 동부는 스텝 사막지대(沙漠地帶)로 강우량(降雨量)이 200mm 미만(未滿)이다.

요르단 지도(地圖)

정치(政治) [ 편집(編輯) ]

제(第)1차(次) 세계대전(世界大戰) 시(時) 후세인 왕(王)의 아들 파이살이 아카바와 암만을 점령(占領)하여 세운 토후국(土侯國) 아미르는 1921년(年) 영국정부(英國政府)의 승인(承認)을 받았다. 그 후(後) 팔레스티나 전쟁(戰爭) 이 일어나 압둘라 왕(王)은 1946년(年) 팔레스티나 동부를 점령(占領)했다. 1952년(年) 국왕(國王) 후세인이 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를 선포(宣布)하고 친서방적(親西方敵)인 외교노선(外交路線)을 폈다. 아랍제국(諸國) 중(中) 가장 친서방적(親西方敵)인 외교관계(外交關係)를 유지(維持)해 왔으나 걸프전(戰) 당시(當時) 이라크에 지지(支持)를 표명(表明)한 탓에 미국(美國) 등(等) 서방측(西方側)과의 관계(關係)가 소원(疏遠)해졌다. 1999년(年) 2월(月) 후세인 국왕(國王)이 사망(死亡)하고 그의 아들이 왕위(王位)를 계승(繼承)했다.

군주(君主)의 권력(權力)은 강력(强力)하며 국민(國民)들은 왕(王)에 대(對)한 충성심(忠誠心)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치(政治)는 안정(安定)되고 있다.

주민(住民) [ 편집(編輯) ]

주민(住民)은 대부분(大部分)이 아랍인(人) 회교도(回敎徒)들로, 유대인(유대人) 영국인(英國人) 도 존재(存在)한다. 주민(住民) 중(中) 70만(萬) 명(名)이 팔레스타인 피난민(避難民)으로, 유엔 팔레스타인 난민구호기관(難民救護機關)의 원조(援助)로 생활(生活)하고 있다. 게다가 1967년(年)의 대(對)이스라엘 전쟁(戰爭) 의 결과(結果) 요르단강(요르단江) 서안(西岸)에 거주(居住)하던 요르단인(人) 중(中) 많은 사람이 동안으로 이주(移住)했다. 사해(死海) 북단(北壇)의 에리코에서는 기원전(紀元前) 5000년(年)의 도시(都市)가 발굴(發掘)되었고, 아카바만(灣) 부근(附近)의 나바테아 왕국(王國)의 수도(首都) 페트라는 험준(險峻)한 적색(赤色)하암 협곡지대(峽谷地帶)에 위치(位置)해 있다.

행정(行政) 구역(區域) [ 편집(編輯) ]

수도 [ 편집(編輯) ]

요르단의 수도(首都)는 암만 이며, 인구(人口) 144만(萬). 정치(政治), 문화(文化), 상공업(商工業)의 중심지(中心地)이다. 남서방(南西方)에 나바띠아 문명(文明)의 유적(遺跡) 페트라 가 있다. 또한 나바띠안들이 남겨놓은 문양(文樣)들이 페트라에서 1시간(時間) 정도(程度) 떨어진 붉은 사막(沙漠) 와디럼에도 남아있다.

언어(言語) [ 편집(編輯) ]

대부분(大部分) 아랍어(아랍語) 를 사용(使用)하며, 국가(國家)의 공용어(公用語) 이자(利子), 도시(都市)에서는 영국(英國) 의 지배(支配)에 영향(影響)으로 영어(英語) 도 통용(通用)되고 있다.

종교(宗敎) [ 편집(編輯) ]

종교구성(宗敎構成)(요르단)
이슬람교(이슬람敎)
  
92%
기독교(基督敎)
  
6%
기타
  
2%

이슬람교(이슬람敎) 가 90% 이상(以上)이며, 기독교(基督敎) 유대교(유대敎) 도 극소수(極少數) 존재(存在)한다. 이 중(中) 기독교(基督敎)는 침례교(浸禮敎), 기독교연합교회(基督敎聯合敎會), 요르단 성공회(聖公會) , 복음주의(福音主義) 자유교회(自由敎會) 등(等)이 있다. 다른 아랍나라 중(中) 종교(宗敎)의 자유(自由)가 있는 편(便)이다.

문화(文化) [ 편집(編輯) ]

이슬람 문화(文化) 가 주요(主要) 문화(文化)로 하나 기독교도도(基督敎徒度) 10%를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실재(實在)로는 그렇게 많지 않음) 세계(世界) 문화(文化) 상(上) 매우 중요(重要)한 곳인 요르단은 국내(國內) 도처(到處)에 귀중(貴重)한 고고학적(考古學的) 유적(遺跡)과 이슬람과 그리스도교가 조화(調和)를 이룬 유물(遺物)들이 흩어져 있는 나라이다.

주요(主要) 유적지(遺跡地) [ 편집(編輯) ]

페트라 7대(大) 불가사의(不可思議) 중(中) 하나다 유대스코 문화유산(文化遺産)으로 선정(選定)이 됐으며 신막(新幕)에 있는 도시(都市)다. 홍해(紅海)와 흑해(黑海) 사이에 있다

움까이스 [ 편집(編輯) ]

로마유적(遺跡)

느보산(山) [ 편집(編輯) ]

모세가 애굽(이집트)을 탈출(脫出)하여 광야(曠野)를 헤매다가 죽기전 마지막으로 느보산(山)에 올라 마침내 가나안 땅을 바라보며 생(生)을 마감했다는 곳. 마다바와 멀지 않은 곳에 있다.

제라시 [ 편집(編輯) ]

제라시 유적(遺跡)

제라시 는 그리스-로마 시대(時代)의 10개(個) 위성(衛星) 도시(都市)(decpolis) 가운데 하나로, 보석(寶石), 비단(緋緞), 상아(象牙) 등(等)의 판매(販賣)가 이루어지던 사막(沙漠) 대상(對象)(caravan)의 경유지(經由地)였다. 로마 제국(帝國) 의 멸망(滅亡)과 지진(地震)으로 인해 도시(都市)는 폐허(廢墟)가 되었었으나 최근(最近)에 발굴(發掘) 작업(作業)으로 거의 원형(原形)이 복구(復舊)되어 이탈리아 외(外)에 로마 시대(時代)의 도시흔적(都市痕跡)을 거의 완벽(完璧)하게 갖춘 도시(都市)로서 유명(有名)해지고 있다. 제라시의 북쪽(北쪽)으로는 알리바트 성(性)이 산등성이(山등성이)에 위치(位置)하여 맑은 날이면 요르단 계곡(溪谷)을 통해 예루살렘 까지도 바라볼 수 있다.

마다바 [ 편집(編輯) ]

마다바는 다수(多數)의 아름다운 모자이크 벽화(壁畫) 및 바닥들이 발견(發見)된 기독교(基督敎) 도시(都市)이다. 그리스 정교교회인(正敎敎會人) 세인트 조르지 교회(敎會)에 보관(保管)되어 있는 6세기(世紀) 시대(時代)의 예루살렘 시(詩) 지도(指導)가 대표적(代表的)인 모자이크 벽화(壁畫)이다. 마다바 시(詩)로부터 동북쪽(東北쪽)으로 약(約) 10km 지점(地點)에는 느보산(山)이 있다. 기독교(基督敎) 구약시대(舊約時代) 모세(毛細) 가 이스라엘 민족(民族)을 이끌고 애굽 을 나와 가나안 땅을 바라보았다는 곳이다. 또한 모세가 지팡이로 바위를 쳐서 샘물이 솟았다고 알려진 모세의 샘에서는 약(約) 3,200년(年)이 지난 오늘날에도 물이 샘솟고 있다.마다바의 남쪽(南쪽)에는 카락성이 있는데 12세기(世紀) 카락 지역(地域)의 통치자(統治者)였던 리노드 대(臺) 샤리용(理龍) 군주(君主)가 회교인(回敎人) 대상(對象)(caravan)들을 상대(相對)로 공격(攻擊)을 가(加)하던 주요(主要) 요새(要塞)였으며, 1187년대(年代) 회교군(回敎軍)의 유명(有名)한 명장(名將)인 살라할 딘 장군(將軍)에 의(依)해 정복(征服)되었다.

페트라 [ 편집(編輯) ]

페트라는 붉은 사암(沙巖)으로 이루어진 거대(巨大)한 바위 틈새의 좁고 깊은 골짜기를 지나 나오는 헬레니즘 양식(樣式)의 웅대(雄大)한 건물(建物)이다. 건물(建物) 정면(正面)은 암벽(巖壁)을 파서 만들었고, 암벽(巖壁)을 파서 방(房)도 만들었다. 페트라는 대부분(大部分)의 건물(建物)들을 이와 같이 암벽(巖壁)을 파서 만들었으며, 이곳에는 극장(劇場)과 온수(溫水) 목욕탕(沐浴湯), 그리고 상수도(上水道) 시설(施設)이 갖추어져 있어 현대(現代) 도시(都市) 못지않다. 나바티안이라고 불리는 민족(民族)에 의(依)해 건설(建設)된 이 도시(都市)는 실크로드의 길목으로 수많은 대상(對象)들이 들러가는 상업(商業)의 요충지(要衝地)로 한때 크고 번창(繁昌)했었으나, 대상무역(對象貿易)의 쇠퇴(衰退)와 함께 폐허(廢墟)가 되어 여러 세기(世紀) 동안 발견(發見)되지 않은 채 남아 있었다. 그러던 중(中) 1812년(年) 요한 루트비히 부르크 하르트라는 스위스의 한 젊은 탐험가(探險家)가 이 유적(遺跡)을 발견(發見)하였다. 현대(現代)의 수수께끼 유적(遺跡)의 하나로 남아 있는 이곳은, 이집트의 피라밋과 더불어 고대(古代) 세계(世界) 7대불가사의(大不可思議) 의 하나이며, 영화(映畫) 《 인디아나 존스: 최후(最後)의 성전(聖戰) 》의 배경(背景)이기도 하다.

페트라 유적(遺跡)

카즈네 [ 편집(編輯) ]

수도원(修道院) [ 편집(編輯) ]

수도원(修道院)(Al Deir, The Monastery)은 전면(前面)의 폭(幅)이 50m, 높이가 45m에 이르는 페트라의 유적(遺跡) 중(中) 가장 규모(規模)가 크고 가장 안쪽에 들어서 있다. 4세기(世紀) 이후(以後)부터 수도원(修道院)으로 사용(使用)되었다고 한다. 수도원(修道院)까지 올라가는 길은 매우 환상적(幻想的)인 색(色)의 조화(調和)로 이루어진 언덕이 끝없이 이어진다.

로마 원형극장(圓形劇場) [ 편집(編輯) ]

로마 원형극장(圓形劇場)(Roman Amphitheatre)은 시내(市內)에 위치(位置)하며 고대(古代) 필라델피아의 유적(遺跡) 중(中) 보존(保存)이 잘된 건축물(建築物)이다. 경사진 언덕을 파서 만든 원형극장(圓形劇場)으로 169년(年) ∼ 177년경(年頃)에 건설(建設)된 것으로 보이며 대략(大略) 6,000여명(餘名)을 수용(受容)할 수 있는 시설(施設)이다. 극장(劇場)은 현재(現在)도 각종(各種) 행사(行事)를 위해 사용(使用)되고 있다. 극장(劇場) 곳곳에 아름다운 장식(裝飾)이 남아 있고 무대(舞臺) 양옆(兩옆)으로는 ‘전통의상(傳統衣裳) 박물관(博物館)(Traditional Jewels & Costumes Museum)’과 ‘민속박물관(民俗博物館)(Fo- lklore Museum)’이 있다.

시타델 [ 편집(編輯) ]

시타델(Citadel)은 로마극장(劇場) 반대편(反對便) 언덕 꼭대기에 있는 옛성터(城터)로, 암만의 전경(全景)이 멋있게 펼쳐지는 곳이다. 현재(現在)는 폐허(廢墟)로 잔재(殘滓)들만 남아 있지만 한창 복구공사(復舊工事)가 진행(進行) 중(中)이다. 2세기(世紀) 에 지어진 헤라클레스 신전(神殿)(The temple of Hercules)은 일부(一部)가 복원(復元)되어 있는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皇帝)(Marcus Aurelius, 161∼180)를 위해 세워졌다고 한다. 입구(入口)부터 도시(都市)까지 계단(階段)으로 연결(連結)되었다고 하나 지금(只今) 계단(階段)의 흔적(痕跡)은 찾을 수 없다. 그 외(外)에도 청동기(靑銅器) 시대(時代) 의 성채(城砦)부터 로마시대(時代)의 방어성벽(防禦城壁), 우마야드 왕조(王朝)의 왕궁(王宮)( 8세기(世紀) ) 및 주거지(住居地), 6세기(世紀) 의 비잔틴 교회(敎會) 등(等) 현재(現在) 활발(活潑)하게 복원작업(復元作業)이 진행(進行) 중(中)이거나 발굴(發掘)을 기다리고 있다.

<암만 시타델, 고고학(考古學) 박물관(博物館), 헤라클레스 신전(神殿)> 암만 고고학(考古學) 박물관(博物館)(National Archaological Museum)에는 암만의 유물(遺物)이 선사시대(先史時代)부터 시대별(時代別)로 전시(展示)되어 있다. 시타델 중앙(中央)에 위치(位置)하고 규모(規模)는 작지만 융성(隆盛)했던 암만의 역사(歷史)들을 되짚어 볼 수 있는 곳이다.

인구(人口) [ 편집(編輯) ]

역사적(歷史的) 인구(人口)
연도(鳶島) 인구(人口) ±% p.a.
1920 200,000 ?    
1922 225,000 +6.07%
1948 400,000 +2.24%
1952 586,200 +10.03%
1961 900,800 +4.89%
1979 2,133,000 +4.91%
1994 4,139,500 +4.52%
2004 5,100,000 +2.11%
2015 9,531,712 +5.85%
2018 10,171,480 +2.19%
출처(出處): Department of Statistics [2]

산업(産業) [ 편집(編輯) ]

요르단강(요르단江) 지류(支流)에 댐이 건설(建設)되어 농업용(農業用) 수자원(水資源)이 확보(確保)되어 있다. 주산물(主産物)은 과 보리(菩提)이다. 경제규모(經濟規模)가 영세(零細)하여 미국(美國) , 사우디아라비아 등(等)의 원조(援助)에 의존(依存)하고 있다.

요르단 정부(政府)에서는 "IT가 요르단의 생존(生存) 방법(方法)"이라고 정(定)하고 있다.

공휴일(公休日) [ 편집(編輯) ]

이슬람 휴일(休日) 및 명절(名節), 5월(月) 25일(日)(독립기념일(獨立記念日)), 크리스마스 등(等)이 있다. 주말(週末)도 포함(包含)된다.

군사(軍事) [ 편집(編輯) ]

요르단은 지원제(支援制) 를 실시(實施)한다. 정규군(正規軍) 10만(萬) 명(名)과 예비군(豫備軍) 3만(萬) 5천(千) 명(名)을 보유(保有)하고 있으며, 왕실(王室) 근위병도(近衛兵度) 보유(保有)하고 있다. 요르단의 군사력(軍事力)은 중동(中東) 내(內)에서 이스라엘에 버금 가는 것으로 평가(評價)되는 숙련도(熟鍊度)를 보이며, 실제(實際) 중동(中東) 전쟁(戰爭)에서도 이스라엘군(軍)과 대등(對等)하게 싸운 것으로 평가(評價)된다.

한국(韓國) 과의 관계(關係) [ 편집(編輯) ]

1962년(年) 대한민국(大韓民國) 과 수교(修交)하였으며 1974년(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 수교(修交)하였으나 2018년(年) 에 요르단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공관(公館) 설치(設置)가 없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 외교관계(外交關係)를 끊었다.

한국(韓國)은 1975년(年)에 주(駐)요르단 한국대사관(韓國大使館)을 설치(設置)하였으며, 요르단은 2010년(年) 10월(月) 주한(駐韓) 요르단대사관(大使館) 설치(設置)(이전(以前)까지는 주일(週日) 요르단 대사(大使)가 한국(韓國) 대사(大使)를 겸임(兼任))하였다.

참고(參考) 문헌(文獻) [ 편집(編輯) ]

이 문서(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현(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配布)한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의 내용(內容)을 기초(基礎)로 작성(作成)된 글이 포함(包含)되어 있습니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2023
  2. “2015 census report” (PDF) . Government of Jordan, Department of statistics. 2016년(年) 1월(月) 1일(日). 2016년(年) 3월(月) 28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PDF)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6년(年) 6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