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碩士)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석사(碩士) (碩士, 영어(英語) : Master's degree )는 대한민국(大韓民國) 과 중화권(中華圈)에서만 사용(使用)하는 한자어(漢字語)로, 대학교(大學校) 대학원(大學院) 과정(過程)으로 학사(學士) 학위(學位)를 지닌 사람이 대학원(大學院)의 석사과정(碩士課程)의 일정(日程) 강의(講義)에 참석(參席)하고 소논문(小論文)과 논문자격(論文資格) 시험(試驗)을 통과(通過)하여 지도(地圖) 교수(敎授) 논문(論文) 과정(過程) 이후(以後) 논문(論文) 을 작성(作成)하고, 학위(學位) 심사(審査)에 제출(提出)하여 논문(論文)을 인정(認定) 받으면 얻는 학위(學位) 이다. 단(單), 논문(論文)을 작성(作成)하지 않고 시험(試驗)만으로 석사학위(碩士學位)를 받는 과정(過程)도 있다. 일본(日本) 에서는 박사(博士) 전기(電氣)(博士前期) 혹은(或은) 연구과(硏究科)(?究科) 수사(搜査)(修士)라고 한다. 한국(韓國)에서만 유독(唯獨) 석사(碩士)의 학부생(學部生)과의 구분(區分)이 엄격(嚴格)한 편(便)이고, 다른 중화권(中華圈) 및 일본(日本)에서는 학사(學士) 의 연장(延長) 선상(線上)으로 보는 경향(傾向)이 강(强)하다. [1] 실제로(實際로) 14억(億) 인구(人口)에 매년(每年) 수능격(修能格)인 가오카오 를 1,000만여명(萬餘名)이 응시(凝視)하고 석사(碩士) 진학시험(進學試驗)에 그 중(中) 60% 가량(假量)이 응시(凝視)하는 중국(中國) 대륙(大陸)의 석박사(碩博士) 졸업생(卒業生)은 학부생(學部生) 졸업자(卒業者) 수(數)를 추월(追越)했다. [2]

대한민국(大韓民國) 에서는 학술(學術) 논문(論文)을 작성(作成)하는 학술(學術) 석사(碩士) 학위과정(學位科程) [3] 과 학술(學術) 논문(論文)을 요구(要求)하지 않는 전문석사(專門碩士) 학위(學位) 과정(過程) 등(等)의 비학술(非學術) 석사(碩士) 학위(學位) 과정(過程) [4] 의 구별(區別)이 있으며, 일반(一般) 대학원(大學院) 과정(過程)에서는 '학술(學術) 석사(碩士)' 학위(學位) 과정(過程)을 제공(提供)하고 전문(專門) 대학원(大學院)과 특수(特殊) 대학원(大學院), 산업대학원(産業大學院) 과정(過程)에서 전문(專門) 석사(碩士) 학위(學位)를 포함(包含)한 '비학술(非學術) 석사(碩士)' 학위(學位) 과정(過程)을 운용(運用)한다. 일반(一般) 대학원(大學院) 의 학술(學術) 석사(碩士) 과정(過程)은 각(各) 학문별(學問別)로 인문(人文) 사회(社會) , 자연(自然) , 공학(工學) 등(等)에 걸쳐 다양한 과정(過程)이 있는 반면(反面), 전문대학원(專門大學院) 은 제한적(制限的)이고 대부분(大部分) 대학교(大學校)에서 의학(醫學) , 법학(法學) , 신학(神學) , 경영학(經營學) , 국제학(國際學) 등(等)의 특별한 과정(過程)만 제공(提供)한다.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 석사(碩士) 과정(過程)을 제공(提供)하는 대학원(大學院)은 학술(學術) 학위(學位) 과정(過程)을 제공(提供)하는 일반(一般) 대학원(大學院)과 비학술(非學術) 학위(學位) 과정(過程)을 운용(運用)하는 특수대학원(特殊大學院), 산업대학원(産業大學院), 전문대학원(專門大學院), 원격(遠隔) 대학원(大學院)으로 구분(區分)한다. 대한민국(大韓民國) 에서 석사(碩士) 학위명칭(學位名稱)에서 학술(學術) 학위(學位)와 비학술(非學術) 학위(學位)에 큰 차이(差異)는 없으나, 전문대학원(專門大學院)은 전문(專門) 석사학위(碩士學位) 명칭(名稱)을 별도(別途)로 사용(使用)한다.

석사학위(碩士學位) 종류(種類) [ 편집(編輯) ]

대한민국(大韓民國) 에서 석사학위(碩士學位)는 학술(學術) 계열(系列)과 비학술(非學術) 계열(系列)로 나뉜다. 학술(學術) 계열(系列) 석사학위(碩士學位)는 대부분(大部分) 일반(一般) 대학원(大學院)이나 그에 준(準)하는 연구기관(硏究機關)에서 제공(提供)한다. 비학술(非學術) 계열(系列)은 특수(特殊) 대학원(大學院)과 전문대학원(專門大學院), 산업대학원(産業大學院)에서 제공(提供)한다.

학술(學術) 석사(碩士) 학위(學位) [ 편집(編輯) ]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 학술(學術) 석사학위(碩士學位)는 2년(年), 4학기(學期) 과정(過程)이며, 학위(學位) 명칭(名稱)은 해당(該當) 학문명(學問名)에 석사(碩士) 학위명(學位名)을 붙여서 사용(使用)한다. 석사(碩士) 학위(學位) 취득(取得)을 하려면 3학기(學期) 세미나 과정(過程)과 1학기(學期) 논문과정(論文過程), 논문자격시험(論文資格試驗)을 통과(通過)하고, 학술(學術) 논문(論文)과 그에 준(準)하는 연구성과(硏究成果)를 제출(提出)하고 해당(該當) 교수(敎授) 3명(名)으로 이뤄진 논문심사위원(論文審査委員)이 인정(認定)해야 한다.

석사(碩士) 과정(過程)부터는 해당(該當) 학문(學問)의 전공(專攻) 분야(分野)가 있으므로, 전공분야(專攻分野)를 별도(別途)로 표기(表記)하며, 논문(論文)에는 해당(該當) 분야(分野)의 전공(專攻)을 별도(別途)로 기재(記載)한다.

비학술(非學術) 석사(碩士) 학위(學位) [ 편집(編輯) ]

대한민국(大韓民國)의 비학술(非學術) 석사학위(碩士學位)는 특수대학원(特殊大學院)에서 시작(始作)하였고, 현재(現在)는 전문가(專門家)를 육성(育成)하는 전문대학원(專門大學院)으로 발전(發展)하였다. 현재(現在) 산업대학원(産業大學院)은 사라지는 추세(趨勢)이다.

대한민국(大韓民國) 산업(産業) 이 급발전(急發展)하던 1960년대(年代)부터 행정(行政) 경영(經營) , 법률(法律) 분야(分野) 등(等)에서 재교육(再敎育)이나 추가교육(追加敎育)에 대(對)한 요구(要求)가 있었고 이로 특수대학원인(特殊大學院人) 경영대학원(經營大學院)이나 행정대학원(行政大學院), 법무대학원(法務大學院), 교육대학원(敎育大學院) 등(等)을 대학(大學)에서 운영(運營)하였다. 현재(現在)까지도 전문적(專門的) 분야(分野)의 재교육(再敎育) 형태(形態)의 특수대학원(特殊大學院) 이 대학(大學)마다 여전히(如前히) 있으나, 전문대학원(專門大學院) 의 등장(登場)으로 일부(一部) 특수대학원(特殊大學院)은 전문대학원(專門大學院) 으로 변화(變化)하는 추세(趨勢)이다.

전문대학원(專門大學院) 미국(美國) 전문대학원(專門大學院) 을 모형(模型)으로 하며, 1980년대(年代) 개신교(改新敎) 목사(牧師) 육성(育成)을 위한 3년제(年制) 신학대학원(神學大學院) 이 등장(登場)하며 국내(國內)에서 본격적(本格的)으로 전문대학원(專門大學院)이 알려지기 시작(始作)하였다. 당시(當時)에는 기독교(基督敎) 성직자(聖職者) 를 위한 과정(過程)이므로 특수대학원(特殊大學院)의 변형(變形) 형태(形態)로 운영(運營)하도록 하였다. 21세기(世紀)에 들와서 전문적(專門的) 인력(人力)을 육성(育成)하고자 전문대학원(專門大學院) 과정(過程)을 위한 법률(法律)을 개정(改正)하였고, 의학전문대학원(醫學專門大學院) 법학전문대학원(法學專門大學院) 으로 의사(醫師) 변호사(辯護士) 를 육성(育成)하는 전문대학원(專門大學院)이 개설(開設)되었다. 현재(現在)는 이 이외(以外)에도 경영전문대학원(經營專門大學院) 신학전문대학원(神學專門大學院) , 국제전문대학원(國際專門大學院) , 한의학전문대학원(醫學專門大學院) , 치의학전문대학원(齒醫學專門大學院) 등(等)의 다양한 전문인력(專門人力)을 육성(育成)하는 전문대학원(專門大學院)이 있다. 이중(中) 의학전문대학원(醫學專門大學院)은 4년(年)으로 '의무석사(義務碩士)' 학위(學位)를 제공(提供)하며, 법학전문대학원(法學專門大學院) 3년(年)으로 '법무석사(法務碩士)' 학위(學位)를, 신학전문대학원(神學專門大學院)은 3년(年)으로 '목회학석사(牧會學碩士)', 경영전문대학원(經營專門大學院)은 2년(年)으로 '경영학석사(經營學碩士)'를 제공(提供)한다. 그 외(外)의 다양한 전문대학원(專門大學院)에서 다양한 전문(專門) 석사(碩士) 학위(學位)를 제공(提供)한다.

산업대학원(産業大學院) 은 말 그대로 기술관련(技術關聯) 재교육(再敎育)을 위한 대학원(大學院)이었으나 공학(工學) 분야(分野)의 발전(發展)과 다양(多樣)한 기술(技術)을 바탕으로 하는 공학(工學) 석사(碩士) 학위(學位)를 일반(一般) 대학원(大學院) 에서 제공(提供)하며 분야(分野)가 확장(擴張)되어서 현재(現在)는 유명무실(有名無實)한 대학원과정(大學院課程)으로 변화(變化)하였다. 현재(現在) 운영(運營)하는 대학원(大學院) 2개(個) 대학(大學)뿐이다.

석사(碩士) 학위(學位) 취득(取得) 자격(資格) [ 편집(編輯) ]

학술(學術) 석사학위(碩士學位) 취득(取得) [ 편집(編輯) ]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학술(學術) 석사(碩士) 학위(學位) 과정(過程)은 정규(正規) 학사(學士) 학위(學位)가 있는 사람이 대학원(大學院)에서 관련(關聯) 학문(學問)의 심도(深度) 있는 연구(硏究)를 위하여 입학(入學)하며 시작(始作)한다. 입학(入學)을 하기 위해서는 각(各) 대학교(大學校)의 대학원(大學院) 입학(入學) 규정(規定)에 따라 서류심사(書類審査)와 입학시험(入學試驗) 등(等)이 있다. 정규(正規) 학사(學事) 학위(學位)는 대한민국(大韓民國) 대학교(大學校)의 4년제(年制)와 5년제(年制), 6년제(年制) 학사학위(學士學位)를 의미(意味)한다. 학사(學事) 학위(學位)는 학(鶴)과 별로(別로) 다르며, 대부분(大部分)의 인문(人文)과 사회(社會), 공학(工學), 자연(自然) 학과(學科)들은 4년제(年制) 학사(學事) 학위과정(學位課程)을 운용(運用)한다. 응용(應用) 학문(學問) 분야(分野)인 건축(建築) 학과(學科) 5년(年)과 의학(醫學) 과 6년(年) 등(等)이 있다.

석사학위(碩士學位) 지원자(志願者)가 일반(一般) 대학원(大學院)에 입학(入學)하면, 우선적(優先的)으로 대학원(大學院)에서 기초(基礎) 과목(科目)을 이수(履修)하였는지 확인(確認)한다. 해당(該當) 석사(碩士) 학위(學位)와 유사(類似)한 학과(學科) 학사(學事) 학위(學位)나 동일(同一)한 학과(學科)인 경우(境遇)에는 문제(問題)가 없으나, 학사(學士)와 석사(碩士) 학과(學科)가 다른 경우(境遇)인 역사학과(歷史學科) 출신(出身)이 경영학(經營學) 석사(碩士)에 지원(支援)하는 경우(境遇)에는 지원자(志願者)가 학부과정(學部過程)에서 경영학(經營學) 기초과목인(基礎科目人) 경영수학(經營數學)이나 기초통계학(基礎統計學) 등(等)을 이수(履修)하지 못하였으므로 대학원(大學院) 과정(過程)을 진행(進行)하며 경영학(經營學) 학부(學部) 과정(課程)의 기초과목(基礎科目)을 반드시 이수(履修)해야 한다 [5] .

석사(碩士) 강의(講義) 과정(過程) 강좌(講座)나 세미나 형태(形態)로 4학기(學期) 중(中) 3학기(學期)이다. 강좌(講座) 형태(形態)로 교수(敎授)가 처음부터 끝까지 강의(講義)하는 형태(形態)도 있으나 이와 달리 세미나 형태(形態)로 강의(講義)를 진행기도(進行祈禱) 한다. 교수(敎授)가 자신(自身)이 연구(硏究)한 분야(分野)나 최신(最新) 이론(理論)을 소개(紹介)하는 대학원(大學院) 수준(水準)의 전문적(專門的) 강의(講義)를 하는 과목(科目)도 있으며, 학과(學科)마다 차이(差異)가 있으나 대부분(大部分) 1명(名)에서 3명(名) 정도(程度)가 각(各) 강의(講義) 시간(時間)마다 할당(割當)된 논문(論文)과 교재부분(敎材部分)을 정리(整理)하여 발표(發表)하고, 참석자(參席者)가 질의(質疑) 응답(應答)하고, 교수(敎授)가 추가적(追加的)인 설명(說明)이나 방향(方向)을 제시(提示)하는 세미나로 진행(進行)하기도 한다. 특히(特히) 세미나에서 교수(敎授)는 발표자(發表者)에게만 질문(質問)하지 않고, 발표중(發表中)에도 참석자(參席者)들에게 질문(質問)을 하거나 의견(意見)을 묻는다. 따라서 참석자(參席者)가 강의(講義) 시간(時間)에 할당(割當)된 논문(論文)과 교재(敎材)를 미리 숙지(熟知)하지 않고 출석(出席)해 교수(敎授)의 질문(質問)에 자신(自身)의 의견(意見)을 개진(開陳)하지 못하거나 대답(對答)을 못할 경우(境遇)에 좋은 성적(成跡)을 기대(期待)하기 어렵다.

과목별(科目別) 시험(試驗)은 강좌(講座) 형태(形態)의 강의(講義)는 대부분(大部分) 중간고사(中間考査)와 기말고사(期末考査)가 있다. 세미나 형태(形態)의 강의(講義)는 중간고사(中間考査)가 있거나 없으며, 기말고사(期末考査)를 대신(代身)해 소논문(小論文)을 제출(提出)해야 한다.

논문자격시험(論文資格試驗)은 대체로(大體로) 3학기(學期)에 응시(凝視)하며, 학과(學科) 전공(專攻)마다 중요(重要)한 과목(科目)으로 3과목(科目) 전후(前後)로 시험(試驗)을 치른다. 석사과정(碩士課程)의 논문자격시험(論文資格試驗)은 박사(博士) 과정(過程)과 달리 미리 지정(指定)해준 수준(水準)만 공부(工夫)하면 대부분(大部分) 논문(論文) 자격(資格) 시험(試驗)을 통과(通過)한다. 1회차(廻車)에 과락(科落)한 경우(境遇), 과락(科落)한 과목(科目)의 2회차(回次) 시험(試驗)에 추가(追加) 비용(費用)을 지급(支給)하고 지원(支援)할 수 있다.

학위명(學位名) [ 편집(編輯) ]

박사(博士) 학위(學位)의 약자(弱者)는 Ph.D.인 데 반(反)해 학사(學事) 학위(學位)는 B.S.와 B.A., B.E., 석사(碩士) 학위(學位)의 약자(弱者)는 M.S.와 M.A., M.E.가 혼재(婚材)되어 있다. M.S.는 Master of Science이고 M.A.는 Master of Arts, M.E.는 Master of Engineering이라는 뜻이다. M.S. 학위(學位)는 Science가 의미하는 바와 같이 수학(數學), 자연(自然) 과학(科學)을 포함(包含)하는 순수(純粹) 과학(科學)과 공학(工學)을 포함(包含)하는 응용(應用) 과학(科學)의 관련(關聯) 학과(學科)에서 수여(授與)된다. M.A.에서의 Arts는 인문학(人文學)이라는 뜻으로 번역(飜譯)할 수 있는데, 그래서 인문학(人文學) 쪽에 많이 수여(授與)된다. 공학(工學)에서는 석사학위(碩士學位)를 Master of 학과명(學科名)을 사용(使用)한다. 예(例)를 들면 Master of Civil Engineeering 또는 Master of Electronic Engineering이다. Degree of Master라고도 사용(使用)하기도 한다. 공학(工學)에서 박사학위(博士學位)는 Doctor of 학과명(學科名)을 사용(使用)한다. 예(例)를 들면 Doctor of Civil Engineeering, Doctor of Electronic Engineering이다. Degree of Doctor라고도 사용(使用)하기도 한다.

한편(한便) 한국(韓國)에는 흔하지 않지만 외국(外國)에서 사용(使用)하는 석사(碩士) 학위(學位)로 M.Phil.이(李) 있다. M.Phil.이란 Master of Philosophy이다. Master of Science는 대개(大槪) M.Sc.로 축약(縮約)하여 쓴다. 두 과정(過程) 모두 논문(論文)을 통해 졸업(卒業)하는 것은 동일(同一)하지만,국가별 그리고 학교별(學校別)로 표현(表現)이 상이(相異)하다. 영국(英國)의 잉글랜드 소재(所在) 옥스퍼드 대학교(大學校)나 캠브리지 대학교(大學校)에서는 M.Phil.을 논문(論文)을 통과(通過)한 석사(碩士) 학위(學位)로 표기(表記)하고, 논문(論文)을 통과(通過) 못할 경우(境遇) PD(Postgraduate Degree)를 통해 수료(修了)를 표기(表記)한다. Master of Science는 영국(英國) 잉글랜드 지역(地域)의 경우(境遇), 이학(理學) 석사(碩士)이지만,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및 웨일스 지역(地域)에서는 논문(論文)을 통과(通過)할 경우(境遇), 일반적(一般的)으로 M.Sc.를 수여(授與)한다(전문대학원 계열(系列)은 대신(代身) M.Litt.을 수여(授與)하는 경우(境遇)도 있다). 졸업(卒業)을 못할 경우(境遇) 마찬가지로Postgraduate Degree를 통(通)해 수료(修了)에 준(準)하는 표기(表記)를 한다.

영연방(英聯邦) 국가(國家)들내(內)에서는 M.Phil.이나 M.Sc. 모두 전공(專攻)을 불문(不問)하고 일반대학원(一般大學院)의 정규과정일(正規課程日) 경우(境遇), 'M.Phil in 전공(專攻)'이나 'M.Sc in 전공(專攻)'으로 명확히(明確히) 표기(表記)하는 경향(傾向)이 있다. 따라서 석사(碩士)의 표기(表記) 방식(方式)이 다를뿐, 철학(哲學) 석사(碩士)나 이학(理學) 석사(碩士)로 번역(飜譯)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보기 어렵다. 궁극적(窮極的)으로 석사과정(碩士課程)은 수강(受講)과 연구(硏究)를 통한 논문작성(論文作成)이 복합(複合)되는 것이 대부분(大部分)이고, 실제로(實際로)는 학교(學校)와 전공특성(專攻特性)에 따른 차이(差異)로 학위명(學位名)이 구분(區分)된다. M.F.A는 Master of Fine Arts의 약자(略字)로, 예술분야(藝術分野)에서 실기(實技)와 연동된 석사학위(碩士學位)를 의미(意味)한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강민구. “씨(氏) 마르는 이공계(理工系) 대학원생(大學院生)···"이대로면 2050년(年)엔 반(半)토막 " . 2023년(年) 11월(月) 19일(日)에 확인(確認)함 .  
  2. “취업(就業) 대신(代身) 대학원(大學院)...中 베이징 석(席)·박사(博士) 졸업생(卒業生), 대졸자(大卒者) 추월(追越) 전망(展望)” . 2023년(年) 11월(月) 19일(日)에 확인(確認)함 .  
  3. 예술(藝術) 계열(系列)은 학술(學術) 논문(論文)이 아닌 연주회(演奏會)나 발표회(發表會)로 논문(論文)을 갈음하기도 한다.
  4. 학술(學術) 논문(論文)이 아닌 전문(專門) 보고서(報告書)나 사례(事例) 연구(硏究) 논문(論文) 등(等)을 제출(提出)하는 석사(碩士) 과정(課程)이나 논문(論文) 자격(資格) 시험(試驗)과 다른 과정(過程)의 학과별(學科別) 졸업시험(卒業試驗)을 통과(通過)하야 하는 석사(碩士) 과정(過程) 등(等)이 있다.
  5. 기초과목(基礎科目)은 이수(履修) 확인(確認)만 하므로 대학원(大學院) 학점(學點)이나 성적(成跡)에 적용(適用)하지 않는다. 하지만 기초과목(基礎科目)을 이수(履修)하지 못하면 논문(論文)을 제출(提出)할 자격(資格)을 갖추지 못한다. 즉(卽), 졸업(卒業)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