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제헌절(制憲節) - 나무위키

제헌절(制憲節)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2024년(年) 제헌절(制憲節)까지
D-33
제헌절(制憲節)
制憲節 | Constitution Day of Korea
대한민국 헌법 제헌헌법
First congress o...
1948년(年) 제헌(制憲) 국회(國會) 개원식(開院式) [1]
1948년(年) 07월(月) 17일(日) (+27726일(日), 75주년(周年))
2023년(年) 제(第)75주년(周年)
1 . 개요(槪要) 2 . 역사(歷史)
2.1 . 공휴일(公休日) 재지정(再指定) 논의(論議)
3 . 노래 4 . 태극기(太極旗) 게양(揭揚) 5 . 여담(餘談)

1. 개요(槪要) [편집(編輯)]

제헌절(制憲節)( , Constitution Day)이란 1948년(年) 7월(月) 17일(日) , 대한민국(大韓民國) 헌법(憲法) ( 제헌(制憲) 헌법(憲法) )이 제정(制定), 공포(公布)된 것을 기념(記念)하는 대한민국(大韓民國) 국경일(國慶日) 로, 국경일(國慶日)에 관(關)한 법률(法律) 이 지정(指定)하는 법정(法廷) 국경일(國慶日) 가운데 유일(唯一)하게 공휴일(公休日) 이 아닌 기념일(記念日) 이기도 하다. [2]

2. 역사(歷史) [편집(編輯)]

Proclaimation of...
First Constituti...
제헌헌법(制憲憲法) 공포(恐怖)를 마친 직후(直後)의 초대(招待) 국회의장(國會議長) 이승만(李承晩) .
1948년(年) 7월(月) 17일(日), 헌법기초위원회(憲法起草委員回) 위원(委員)들과. 정중앙(正中央)이 이승만(李承晩) 의장(議長), 그의 바로 왼편(왼便)이 국회부의장(國會副議長) 신익희 , 오른편(오른便) 두번째(番째)가 이윤영 의원(議員).

1948년(年) 7월(月) 17일(日) , 대한민국(大韓民國) 헌법(憲法) 이 제정(制定) 및 공포(公布)되었다. [3]

1949년(年) 10월(月) 1일(日) , ' 국경일(國慶日)에 관(關)한 법률(法律) '이 공포(公布)되며 국경일(國慶日)로 지정(指定)되어 1950년(年) 7월(月) 17일(日) 부터 실행(實行)되었다. 이로서 제헌절(制憲節)은 공휴일(公休日)이 되었으며, 1960년(年) 에는 당시(當時) 드물게도 대체휴일(代替休日) 까지 적용(適用)되었다.

노무현 정부(政府) 주(週)5일제(日制) (주(週)40시간제(時間制))를 시행(施行)하자 재계(財界)에서 근로시간(勤勞時間) 감축(減縮)에 대(對)한 우려(憂慮)로 공휴일(公休日) 축소(縮小)를 요구(要求)했고, 2005년(年) 6월(月) 30일(日) , '관공서(官公署)의 공휴일(公休日)에 관(關)한 규정(規定)'이 개정(改正)되면서, 식목일(植木日) 2005년(年) , 제헌절(制憲節)은 2007년(年) 을 마지막으로 공휴일(公休日)에서 제외(除外)되었다 .

2.1. 공휴일(公休日) 재지정(再指定) 논의(論議) [편집(編輯)]

하지만 공휴일(公休日) 제외(除外)부터 반대(反對) 목소리가 컸고, 공휴일(公休日) 확대(擴大)/재지정(再指定)에 대(對)한 논의(論議)가 크게 일어났다. 제헌절(制憲節)을 거론(擧論)한 경우(境遇)는 다음과 같다. #

2017년(年) 7월(月) 17일(日), CBS 의뢰(依賴)로 리얼미터 여론조사(輿論調査) 결과(結果) 응답자(應答者) 78.4%가 재지정(再指定)에 찬성(贊成)했으며 모든 연령층(年齡層), 모든 지역(地域), 모든 정당(政黨) 지지층(支持層), 모든 직업(職業)에서 찬성률(贊成率)이 높게 나왔다. 특히(特히) 20~30대(代)에서는 90% 이상(以上)의 찬성률(贊成率)을 보였다. #

제헌절(制憲節)의 공휴일(公休日) 폐지(廢止)는 공휴일(公休日)에서 제외(除外) 된다는 것인데, 일반(一般) 국민(國民)의 인식(認識)은 제헌절(制憲節) 자체(自體)의 폐지(廢止) 로 받아들이는 경우(境遇)가 너무나 많다. 두 개(個)는 전혀(全혀) 다른 의미(意味)이지만, 평일(平日) 중간(中間)에 하루 쉰다는 것이 크게 와 닿는 일반인(一般人)의 입장(立場)에서는 제헌절(制憲節)이라는 날짜가 없어졌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 이 이유(理由) 하나만으로 엄연히(儼然히) 기념일(記念日) 중(中)에서도 격(格)이 가장 높아야 할 국경일(國慶日)인 제헌절(制憲節)이 겨우(...) 상공(上空)의 날, 경찰(警察)의 날 등(等)과 같이 동종업계(同種業界) 종사자(從事者)나 그 날이 생일(生日)인 사람 정도(程度)만 아는 마이너 기념일(記念日)과 동격(同格) [4] 이 되어버렸으니 제헌절(制憲節) 자체(自體)의 인식(認識)이 옅어지지 않을 수가 없다.
비구름 바람 거느리고
인간(人間)을 도(道)우셨다는 우리 옛적
삼백(三百)예순 남은 일 이 하늘뜻 그대로였다
삼천만(三千萬) 한결같이 지킬 새 언약(言約) 이루니
옛길에 새 걸음으로 발맞추리라
이날은 대한민국(大韓民國) 억만년(億萬年)의 터다
대한민국(大韓民國) 억만년(億萬年)의 터
손 씻고 고이 받들어서
대계(大計)의 별들 같이 궤도(軌道)로만
사사(私私)없는 빛난 그 위 앞날은 복(福)뿐이로다
바닷물 높다더냐 이제부터 쉬거라
여기서 저 소리나니 평화(平和)오리다
이날은 대한민국(大韓民國) 억만년(億萬年)의 터다
대한민국(大韓民國) 억만년(億萬年)의 터

《제헌절(制憲節) 노래》( 정인보 작사(作詞), 박태준 작곡(作曲)) - 1984년(年)

4. 태극기(太極旗) 게양(揭揚) [편집(編輯)]

제헌절(制憲節)은 《국경일(國慶日)에 관(關)한 법률(法律)》제(第)2조(條)가 규정(規定)하는 대한민국(大韓民國)의 국경일(國慶日) 이다. 국경일(國慶日)에는 대한민국국기법(大韓民國國旗法) 에 따라 태극기(太極旗)를 게양(揭揚)하며, 제헌절(制憲節)은 공휴일(公休日)에서는 제외(除外)되었지만 여전히(如前히) 국경일(國慶日)이므로 당연히(當然히) 태극기(太極旗)를 게양(揭揚)하는 것이 권장(勸奬)된다. # . 유사(類似)하게 국군(國軍)의 날 도 휴일(休日)이 아니지만 태극기(太極旗)를 게양(揭揚)하는 날이다.

다만 후술(後述)하듯 제헌절(制憲節)과 국군(國軍)의 날이 그냥 흔한 평일(平日)이 되면서 태극기(太極旗)를 게양(揭揚)한 가정(家庭)이 거의 없어졌다. 쉬지를 않으니 제헌절(制憲節)인지조차 모르는 경우(境遇)가 너무나 많아진 것이다. 심지어(甚至於) 제헌절(制憲節)이 국가(國家) 공휴일(公休日)인 시절(時節)을 전혀(全혀) 겪지 못한 2005년생(年生) [5] 이후(以後)로는 제헌절(制憲節)이 뭔지 아는 사람이 드물 정도(程度)이고, 제헌절(制憲節)이 삭제(削除)된 달력(달曆)도 간혹(間或) 보일 정도(程度)다.

5. 여담(餘談) [편집(編輯)]

  • 1392년(年) 7월(月) 17일(日) [6] , 이성계(李成桂) 고려(高麗) 공양왕 으로부터 선(線)위 형식(形式)으로 왕좌(王座)를 넘겨받으며 조선(朝鮮) 왕조(王朝)를 개창(開創)하고 태조(太祖)로 즉위(卽位)한 건국(建國)의 날이다. 일설(一說)에 의(依)하면, 제정(制定)된 헌법(憲法)을 공포(公布)하는 날을 과거(過去) 역사(歷史)와의 연속성(連續性)을 고려(考慮)해서 일부러 조선(朝鮮) 왕조(王朝)의 건국(建國)일인(人) 7월(月) 17일(日) 에 맞추었다고도 한다. 원래(元來) 음력(陰曆)의 날짜인 것을 양력(陽曆)으로 기준(基準)을 맞추었다는 점(點)에서는 개천절(開天節) 과 비슷하다. #
  • 1991년(年)~2012년(年), 한글날 도 일시적(一時的)으로 공휴일(公休日)에서 제외(除外)되었다. 한글날이 2013년(年)부터 다시 공휴일(公休日)이 되면서 제헌절(制憲節)은 국경일(國慶日) 중(中) 유일(唯一)하게 공휴일(公休日)이 아닌 날로 남았다.
  • 1992년(年) 제헌절(制憲節)에는 전국적(全國的)으로 집중호우(集中豪雨)로 비가 쏟아졌다.
  • 2000년대(年代) 초반(初盤)에는 제헌절(制憲節)마다 KBO 올스타전(戰) 이 열리던 시절(時節)이 있었다. 공휴일(公休日)이기 때문에 관중(觀衆) 동원(動員)과 TV 중계(中繼) 편성(編成)에 유리해서 제헌절(制憲節)마다 경기(競技)를 치렀다. 그러나 제헌절(制憲節)이 공휴일(公休日)에서 제외(除外)되면서 이 관례(慣例)도 깨졌고 현재(現在)는 7월(月) 중(中) 토요일(土曜日) 하루를 골라서 올스타전(戰) 본경기를 치르고 그 전날(前날)에 KBO 퓨처스 올스타전(戰) KBO 올스타전(戰) 홈런 레이스 를 치르고 있다.
  • 2007년(年) 제헌절(制憲節)이 공휴일(公休日)에서 제외(除外)되기 전(前), 주(週)5일제(日制) 완전(完全) 시행(施行) 전(前)에는 학교(學校)들이 여름방학(放學) 의 시작일(始作日)로 잡곤 했다. 이후(以後)에는 제헌절(制憲節) 다음날에 방학식(放學式)을 하고 있다.
  • 2008년(年) 제헌절(制憲節)이 공휴일(公休日)에서 제외(除外)되면서, 11월(月)에 이어 7월(月)도 공휴일(公休日) 없는 달이 되었다. [7]
  • 2008년(年) 폐지(廢止)에도 민간(民間)에서는 기업(企業) 재량(裁量)으로 휴일(休日)을 유지(維持)하는 사례(事例)가 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제헌절(制憲節)이 여전히(如前히) 휴일(休日)인데, 두 회사(會社)는 식목일(植木日), 회사(會社) 창립기념일(創立記念日), 노조(勞組) 창립기념일(創立記念日)까지 휴일(休日)로 쉰다.
  • 제헌절(制憲節)을 음력(陰曆)으로 환산(換算)하면 5, 6월(月)이며, 간혹(間或) 윤달(閏달)이 낀다면 윤(尹) 5월(月)이다.
  • 제헌절(制憲節)은 올림픽에 잘 겹치지 않는다고 한다. [9] 제헌절(制憲節)에 올림픽이 열린 가장 최근(最近)의 대회(大會)는 1976 몬트리올 올림픽 으로 7월(月) 17일(日)에 개회식(開會式)이 열렸다.
  • 서울 기준(基準) 제헌절(制憲節)에는 해가 오전(午前) 5시(時) 24분(分)에 떠서 오후(午後) 7시(時) 52분(分)에 저물기 때문에 2007년(年)까지는 제헌절(制憲節)이 일몰(日沒) 시간(時間)이 가장 늦은 공휴일(公休日)이었으며, 추후(追後) 제헌절(制憲節)이 공휴일(公休日)로 복귀(復歸)한다면 단(單) 1분(分) 차이(差異)로 현충일(顯忠日)에서 일몰(日沒) 시간(時間)이 가장 늦은 공휴일(公休日) 타이틀을 다시 넘겨받게 된다. 다만 일출(日出) 시간(時間)은 현충일(顯忠日)보다는 13분(分) 정도(程度) 늦다. [10]
  • 축구선수(蹴球選手) 송제헌 은 제헌절(制憲節)이 생일(生日)이라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이름이 ‘제헌(制憲)’인 사람들은 제헌절(制憲節)에 태어난 남성(男性)인 경우(境遇)가 많으며, 발음(發音)이 비슷한 ‘재헌’이나 ‘재현(再現)’이라는 이름도 많이 쓴다.

[1] 사진(寫眞) 속 장소(場所)는 중앙청(中央廳) (舊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청사(廳舍) )이다. [2] 2007년(年)까지는 공휴일(公休日)이었다.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후술(後述). [3] 7월(月) 12일(日) 에 성안(成案)이 만들어졌기 때문에 '제헌절(制憲節)은 헌법(憲法)이 제정(制定)된 날이 아니라 공포(公布)된 날일 뿐'이라는 식(式)의 주장(主張)이 있다. 이에 대(對)해서는 대륙법계(大陸法系) 에서 법(法)의 제정(制定)은 실질적(實質的) 정립론(定立論)에 따라 공포(恐怖)까지를 제정절차(制定節次)로 보며, 제헌(制憲) 국회(國會) 에서 성안(城안)이 완성(完成)된 7월(月) 12일(日) 은 여전히(如前히) 헌법(憲法)이 제정(制定)되는 과정(過程)에 속(屬)할 뿐, 이것이 공포(公布)된 7월(月) 17일(日) 을 헌법(憲法) 제정(制定)일로 보는 것이 타당(妥當)하다는 비판(批判)과, 제헌(制憲) 헌법(憲法)에서 현행(現行) 헌법(憲法) 까지 모든 판의 헌법(憲法) 전문(專門)을 살펴보면 대놓고 '제정(制定)일'이 ' 1948년(年) 7월(月) 12일(日) '이라고 써 있다는 반론(反論)이 있다. 이미 헌법(憲法)에 7월(月) 12일(日) 이라고 명시(明示)해놓았는데 다른 이론(理論)을 가져와서 자의적(恣意的)으로 해석(解釋)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는 주장(主張)이다. [4] 법적(法的)으로는 국경일(國慶日)이 유효(有效)하나, 국민(國民)의 인식(認識)은 그냥 지나가는 흔한 평일(平日) 1에 불과(不過)하다. 이제 청소년층(靑少年層)에서는 제헌절(制憲節)이 언제인지 모르는 사람도 부지기수(不知其數)다. 물론(勿論) 다른 공휴일(公休日)이 언제인지는 거의 다 안다. [5] 2007년(年)까지는 모두 공휴일(公休日)이어서 2004년생(年生)까지는 제헌절(制憲節)날 공휴일(公休日)인 만큼 유치원(幼稚園) 및 어린이집에 가지 않고, 집에서 쉬었던 경험(經驗)이 마지막으로 존재(存在)하는 세대(世代)이다. [6] 음력(陰曆) . 양력(陽曆) 으로는 8월(月) 13일(日) [7] 2월(月)과 9월(月)은 음력(陰曆)을 따르는 설연휴(連休)와 추석연휴(秋夕連休) 상황(狀況)에 따라 매년(每年) 달라진다. [8] 한 해의 제헌절(制憲節)과 크리스마스는 항상(恒常) 요일(曜日)이 같다. [9] 하계(夏季) 올림픽 개최기간(開催期間)은 개최지(開催地)의 상황(狀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보통(普通) 7월(月) 하순(下旬)에 시작(始作)해서 8월(月) 상순(上旬)에 끝난다. 이 시기(時期)를 비켜간 대회(大會)를 꼽으라면 1988 서울 올림픽 2000 시드니 올림픽 이다. 서울 올림픽은 한반도(韓半島)의 기후상(氣候上) 7월(月) 하순(下旬)~8월(月) 상순이 1년(年) 중(中) 제일(第一) 더울 때라서 더위를 피(避)하기 위해 9월(月) 하순(下旬)에 대회(大會)를 열었고 시드니 올림픽은 반대(反對)로 7~8월(月)이 오스트레일리아 기후상(氣候上) 겨울이라서 9월(月)에 대회(大會)를 개최(開催)했다. [10] 균시차(均時差) 로 인(因)해 일출(日出)이 가장 빠른 날은 6월(月) 13일(日), 일몰(日沒)이 가장 느린 날은 6월(月) 28일(日) 무렵이기 때문이다. 현충일(顯忠日)은 하지 때와 일몰(日沒) 시간(時間)이 거의 같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