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정성태 - 나무위키

정성태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 펼치기 · 접기 ]
공석(空席)
공석(空席) 정진석(鄭鎭奭)
김영주(金榮珠) 공석(空席)
미정(未定)
미정(未定)
미정(未定)

역대(歷代) 국회의장(國會議長)
역임(歷任)한 지위(地位)
[ 펼치기 · 접기 ]


신민당 흰색 로고타입 원내총무(院內總務)
[ 펼치기 · 접기 ]
초대(招待)
김영삼(金永三)
제(第)2대(代)
정성태
제(第)3대(代)
김영삼(金永三)
제(第)4대(代)
정해영
제(第)5대(代)
김재광
제(第)6대(代)
이민우(李珉雨)
제(第)7대(代)
김형일
제(第)8대(代)
김은하
제(第)9대(代)
송원영
제(第)10대(代)
황낙주
정성태 부의장
출생(出生)
사망(死亡)
2000년(年) 8월(月) 17일(日) (향년(享年) 85세(歲))
본관(本館)
재임기간(在任期間)
제(第)7대(代) 후반기(後半期) 국회부의장(國會副議長)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配偶者)
최봉진
자녀(子女)
슬하(膝下) 4남(男) 2녀(女)
친인척(親姻戚)
조카 정두언
학력(學歷)
보성전문학교 (법(法)과 / 졸업(卒業))
의원(議員) 선수(選手)
6
의원(議員) 대수(臺數)
3 , 4 , 5 , 6 , 7 , 8
약력(略歷)
광주상업고등학교(光州商業高等學校) 교장(校長)
제(第)3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전남(全南) 광주시(光州市))
제(第)4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광주시(光州市) 갑(甲))
제(第)5대(代) 민의원의원(民議院議員) (광주시(光州市) 갑(甲))
제(第)6,7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광주시(光州市) 갑(甲))
제(第)7대(代) 후반기(後半期) 국회부의장(國會副議長)
제(第)8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광주시(光州市) 갑(甲))
1 . 개요(槪要) 2 . 생애(生涯) 3 . 선거(選擧) 이력(履歷) 4 . 기타 5 . 둘러보기

1. 개요(槪要) [편집(編輯)]

2. 생애(生涯) [편집(編輯)]

1915년(年) 전라남도(全羅南道) 광주군(廣州郡) 에서 태어나 1940년(年)에 보성전문학교 법학과(法學科) 를 졸업(卒業)했다.

1945년(年) 8.15 광복(光復) 이후(以後) 자신(自身)의 보성전문학교 재학(在學) 당시(當時)의 스승이었던 설산(雪山) 장덕수 의 권유(勸誘)로 한국민주당 에 입당(入黨)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탈당(脫黨)했다. 이후(以後) 이범석 의 족청(族靑)에서 활동(活動)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大韓民國) 정부(政府) 수립(樹立) 후(後) 공무원(公務員) 으로 근무(勤務)하였다. 1950년(年) 공무원(公務員)을 사퇴(辭退)하고 고향(故鄕)인 광주(光州)에서 제(第)2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 출마(出馬)했으나 무소속(無所屬) 박철웅 후보(候補)에 밀려 낙선(落選)했다. 그 후(後) 광주상업고등학교(光州商業高等學校)(현(現) 광주동성고등학교(光州同姓高等學校))고등학교(高等學校) 교장(校長)으로 재임(再任)하였다.

1954년(年) 제(第)3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무소속(無所屬) 으로 전라남도(全羅南道) 광주시(光州市) 선거구(選擧區)에 출마(出馬)하여 당선(當選)되었다. 민주당(民主黨) 이 창당(創黨)하자 이에 참여(參與)하여 민주당 구파(舊派) 소속(所屬)으로 활동(活動)하였다. 1958년(年) 제(第)4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 민주당 후보(候補)로 전라남도(全羅南道) 광주시(光州市) 갑(甲) 선거구(選擧區)에 출마(出馬)하여 당선(當選)되었다. 1960년(年) 제(第)5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서 민주당 후보(候補)로 같은 지역구(地域區)에 출마(出馬)하여 당선(當選)되었다.

1950년대(年代)에는 정치판(政治판)이 혼탁(混濁)하여 선거(選擧)판에 나온 사람들 모두 돈을 물 쓰듯 쓰는 것이 예사(例事)였으나, 정성태는 리어카를 타고 다니면서 연설(演說)을 할 정도(程度)로 검소(儉素)한 선거운동(選擧運動)을 하였다. 지역구(地域區) 유권자(有權者)들에게는 물론(勿論)이고 선거운동원(選擧運動員)들에게도 제대로 식사(食事)를 챙겨주지 못할 만큼 어려운 상황(狀況) 속에서 선거운동(選擧運動)을 했지만, 매번(每番) 당선(當選)되는 기염(氣焰)을 토(吐)하였다.

1963년(年) 제(第)6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서 민정당(民政黨) 후보(候補)로 전라남도(全羅南道) 광주시(光州市) 갑(甲) 선거구(選擧區)에 출마(出馬)하여 당선(當選)되었다. 1964년(年) 한일기본조약(韓日基本條約) 반대운동(反對運動)에 참여(參與)했으며, 1965년(年) 8월(月) 13일(日) 한일기본조약(韓日基本條約) 비준(批准)에 항의(抗議)하는 뜻으로 민중당 에 탈당계(脫黨屆)를 제출(提出)해 윤보선 , 김도연 , 서민호 , 정일형 , 김재광 등(等)과 함께 국회의원직(國會議員職)이 자동(自動) 상실(喪失)되었다. 이로 인하여 치러진 재보궐선거(再補闕選擧)에서는 정민회 유수현 후보(候補)가 당선(當選)되었다. 1966년(年) 신한당 에 참여(參與)하였다가 다시 통합야당(統合野黨) 신민당(新民黨) 에 참여(參與)하였다.

1967년(年) 제(第)7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 신민당 후보(候補)로 전라남도(全羅南道) 광주시(光州市) 갑(甲) 선거구(選擧區)에서 당선(當選)되었다. 1970년(年) 6월(月)부터 1971년(年) 6월(月)까지 국회부의장직(國會副議長職)을 역임(歷任)했다. 1969년(年) 8월(月) 31일(日) 광주(光州)에서 ‘3선(選) 개헌반대(改憲反對) 천리(千里)길 헌정수호행진(憲政守護行進)’을 시작(始作)해 11일(日) 동안 걸어서 서울에 진입(進入)하려다가 정사복(正私服) 경찰중대(警察中隊)에게 저지당하고 서울 삼청동 자택(自宅)으로 이끌려갔다. 당시(當時)에 정성태의 천리도보(千里圖步) 행진(行進)은 전국적(全國的)으로 큰 화제(話題)가 되었다.

1971년(年) 제(第)8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서 신민당 후보(候補)로 같은 지역구(地域區)에 출마(出馬)하여 당선(當選)되었다.

1973년(年) 제(第)9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 신민당 후보(候補)로 전라남도(全羅南道) 광주시(光州市) 선거구(選擧區)에 출마(出馬)하였으나 민주(民主)통일당 김녹영 후보(候補)와 민주(民主)공화당 박철(縛鐵) 후보(候補)에 밀려 낙선(落選)하고 정계(政界)에서 은퇴(隱退)하였다.

2000년(年) 8월(月) 17일(日) 에 사망(死亡)하였다.

3. 선거(選擧) 이력(履歷) [편집(編輯)]

연도(鳶島)
선거(選擧) 종류(種類)
선거구(選擧區)
소속(所屬) 정당(政黨)
득표수(得票數) (득표율(得票率))
당선(當選) 여부(與否)
비고(備考)
1950
전남(全南) 2 [A]
6,237 (12.59%)
낙선(落選) (4위(位))
1954
전남(全南) 1 [A]
21,164 (41.08%)
당선(當選) (1위(位))
초선(初選)
1958
전남(全南) 1 [B]
민주당 1955년 글자
19,568 (54.03%)
재선(再選)
1960
23,158 (67.14%)
3선(選) [4]
1963
민정당 글자
21,408 (57.69%)
4선(選) [5]
1967
신민당 흰색 로고타입
44,364표(票) (50.43%)
5선(線)
1971
39,678 (59.59%)
6선(線) [6]
1973
전남(全南) 1 [A]
17,357 (12.48%)
낙선(落選) (3위(位))
같은 항렬(行列)의 친척(親戚) 동생을 운전사(運轉士)로 채용(採用)했는데, 그 운전사(運轉士)의 넷째 아들이 故 정두언 전(前) 의원(議員)이다. 정두언은 자신(自身)의 족(足)숙인 정성태가 자신(自身)에게 큰 영향(影響)을 주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A] 1.1 1.2 1.3 1.4 광주시(光州市) [B] 3.1 3.2 3.3 광주시(光州市) 갑(甲) [4] 1961.5.16 자격정지(資格停止)
( 5.16 군사정변(軍事政變) )
[5] 65.08.06: 당적(黨籍) 이탈(離脫)로 인한 자격(資格) 상실(喪失) (헌법(憲法) 38조(兆)) [6] 1972.10.17 자격박탈(資格剝奪)( 10월(月) 유신(維新) ) [8] 제(第)2~6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벽보(選擧壁報)는 확인(確認) 되지 않고 있다. 이는 당시(當時) 중앙선거관리위원회(中央選擧管理委員會)가 선거벽보(選擧壁報) 보존(保存)의 필요성(必要性)을 못 느껴 선거벽보(選擧壁報)를 보존(保存)하지 않은 것이 그 원인(原因)으로,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을 비롯한 1950년대(年代) 부터 정치(政治)를 시작(始作)한 원로(元老) 정치인(政治人)들의 선거벽보(選擧壁報) 상당수(相當數)를 확인(確認)할 수 없게 되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