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이용희(李龍熙)(1931) - 나무위키

이용희(李龍熙)(1931)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 펼치기 · 접기 ]
공석(空席)
공석(空席) 정진석(鄭鎭奭)
김영주(金榮珠) 공석(空席)
미정(未定)
미정(未定)
미정(未定)

역대(歷代) 국회의장(國會議長)
역임(歷任)한 직위(職位)
[ 펼치기 · 접기 ]

제(第)16대(代) 후반기(後半期)
박종우(朴宗雨)
제(第)17대(代) 전반기(前半期)
이용희(李龍熙)
제(第)17대(代) 후반기(後半期)
유인태

제(第)8대(代)
육인수
제(第)9대(代)
이용희(李龍熙)
제(第)10대(代)
육인수
이용희(李龍熙)
제(第)9대(代)
이용희(李龍熙)
제(第)10대(代)
육인수
이용희(李龍熙)
제(第)11대(代)
박유재
이동진
제(第)11대(代)
박유재
이동진
제(第)12대(代)
박준병
이용희(李龍熙)
선거구(選擧區) 개편(改編)
박준병 [1]
제(第)16대(代)
심규철
제(第)17-18대(代)
이용희(李龍熙)
제(第)19대(代)
박덕흠(朴德欽)
Remini2021111114...
출생(出生)
사망(死亡)
2022년(年) 10월(月) 16일(日) (향년(享年) 91세(歲))
본관(本館)
재임기간(在任期間)
제(第)17대(代) 후반기(後半期) 국회부의장(國會副議長)
[ 펼치기 · 접기 ]
부모(父母)
아버지 이상훈, 어머니 김시예
배우자(配偶者)
유정순 [2]
자녀(子女)
3남(男) 2녀(女) [3]
학력(學歷)
안남공립국민학교(安南公立國民學校) (졸업(卒業))
대전사범학교 (졸업(卒業))
병역(兵役)
종교(宗敎)
최종(最終) 당적(黨籍)
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
의원(議員) 선수(選手)
5
의원(議員) 대수(臺數)
약력(略歷)
제(第)9·10·12·17·18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제(第)3대(代) 충청북도의원(忠淸北道議員)
신민당(新民黨) 지구당위원장(地區黨委員長)
신민당(新民黨) 선전국장(宣傳局長)
신민당(新民黨) 충청북도(忠淸北道) 지부장(支部長)
국회(國會) 농수산위원회(農水産委員會) 간사(幹事)
국회(國會) 재무위원회(財務委員會) 위원(委員)
신민당(新民黨) 충청북도지부(忠淸北道支部) 지부장(支部長)
신민당(新民黨) 원내부총무(院內副總務)
신민당(新民黨) 정무위원(政務委員)
신민당(新民黨) 사무총장(事務總長)
통일민주당(統一民主黨) 부총재(副總裁)
헌정민권회(憲政民權回) 부회장(副會長)
1987년(年) 직선제개헌(直選制改憲) 여야(與野)8인정치회담(人政治會談) 야당대표(野黨代表)
평화(平和)민주당 부총재(副總裁)
평화(平和)민주당 당무지도위원회(黨務指導委員會) 의장(議長)
신민주연합당(新民主聯合黨) 최고위원(最高委員)
민주당(民主黨) 대통령선거대책위원회(大統領選擧對策委員會) 위원장(委員長)
민주당(民主黨) 당무위원(黨務委員)
민주당(民主黨) 상임고문(常任顧問)
새정치국민회의 지도위원회(指導委員會) 위원장(委員長)
새정치국민회의 조직강화특별위원회(組織强化特別委員會) 위원장(委員長)
새정치국민회의 대통령선거(大統領選擧) 충북선거지원단장(忠北選擧支援團長)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副總裁)
새정치국민회의 상임고문(常任顧問)
새천년민주당(새千年民主黨) 최고위원(最高委員)
새천년민주당(새千年民主黨) 상임고문(常任顧問)
열린우리당 상임중앙위원(常任中央委員)
열린우리당 상임고문(常任顧問)
열린우리당 상임고문단(常任顧問團) 단장(團長)
열린우리당 충청북도당(忠淸北道當) 실미도희생자대책위원회(實尾島犧牲者對策委員會) 위원장(委員長)
제(第)17대(代) 국회(國會) 전반기(前半期) 행정자치위원회(行政自治委員會) 위원장(委員長)
2006년(年) 비상대책위원회(非常對策委員會) 인선위원장(人選委員長)
제(第)17대(代) 국회(國會) 후반기(後半期) 국회부의장(國會副議長)
대통합민주신당(大統合民主新黨) 상임고문(常任顧問)
통합(統合)민주당 상임고문(常任顧問)
자유선진당(自由先進黨) 상임고문(常任顧問)
자유선진당(自由先進黨) 충북도당(忠北道當) 위원장(委員長)
민주통합당(民主統合黨) 상임고문(常任顧問)
새정치민주연합(새政治民主聯合) 상임고문(常任顧問)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상임고문(常任顧問)

1 . 개요(槪要) 2 . 생애(生涯) 3 . 정치(政治) 경력(經歷)
3.1 . 1980년대(年代) 이전(以前) 3.2 . 1980년대(年代)~2000년대(年代) 3.3 . 2010년대(年代) 이후(以後)
4 . 기타 5 . 소속(所屬) 정당(政黨) 6 . 선거(選擧) 이력(履歷) 7 . 둘러보기

1. 개요(槪要) [편집(編輯)]

2. 생애(生涯) [편집(編輯)]

1931년(年) 6월(月) 10일(日) 충청북도(忠淸北道) 옥천군(沃川郡) 안남면 청정리에서 태어나 안남공립국민학교(安南公立國民學校), 대전사범학교 [5] 를 졸업(卒業)하였다.

1950년(年) 6.25 전쟁(戰爭) 이 일어나자 사병(士兵)으로 자진(自進) 입대(入隊)하였다가 1952년(年) 2월(月) 2일(日) 갑종간부후보생(甲種幹部候補生) 제(第)11기(期)로 육군(陸軍) 소위(所謂) 에 임관(任官)하였다. 이 때 몸에 박힌 포탄(砲彈) 파편(破片)은 제거(除去)하지 못하서(河西) 걸음걸이가 아주 약간(若干) 어색(語塞)한데, 실제로(實際로) 남들에게 얕보이지 않기 위해 자연스럽게 걷는 연습(練習)을 했다고 한다. 1960년(年) 6월(月) 15일(日) 대위(大尉) 로 전역(轉役)하였다.

3. 정치(政治) 경력(經歷) [편집(編輯)]

3.1. 1980년대(年代) 이전(以前) [편집(編輯)]

1960년(年) 제(第)5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서 무소속(無所屬) 후보(候補)로 충청북도(忠淸北道) 옥천군(沃川郡) 선거구(選擧區) 에 출마(出馬)하였으나, 민주당(民主黨) 신각휴 후보(候補)에 밀려 낙선(落選) 하였다. 이후(以後) 같은 해 연말(年末) 치러진 1960년(年) 지방선거(地方選擧) 에서 충청북도의원(忠淸北道議員) 선거(選擧)에 민주당(民主黨) 후보(候補)로 출마(出馬)하여 당선(當選) 되었다.

그러나 1961년(年) 5.16 군사정변(軍事政變) 으로 충청북도의회(忠淸北道議會) 가 해산(解散)되면서 박정희(朴正熙) 에 대(對)해 분노(憤怒)하고 야당(野黨) 정치인(政治人)으로 활동(活動)하였다. 1963년(年) 제(第)6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서 민주당 후보(候補)로 충청북도(忠淸北道) 옥천군(沃川郡)- 보은군(報恩郡) 선거구(選擧區)에 출마(出馬)하였으나 박정희(朴正熙) 의 처남(妻男)인 민주(民主)공화당 육인수 후보(候補)에 밀려 낙선(落選)하였다. 이후(以後) 김대중계(界) 정치인(政治人)이 되었으며 김대중(金大中) 과 내외문제연구소(內外問題硏究所)를 설립(設立)하였다. 1967년(年) 제(第)7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 1971년(年) 제(第)8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서도 신민당(新民黨) 후보(候補)로 같은 선거구(選擧區)에 출마(出馬)하였으나 역시(亦是) 민주공화당 육인수 후보(候補)에 밀려 낙선(落選)하였다.

1973년(年) 제(第)9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서 주류(主流)인 범(汎) 유진산 계(契)가 아니라는 이유(理由)로 김선우 에 밀려 신민당 공천(公薦)을 받지 못하자 무소속(無所屬)으로 충청북도(忠淸北道) 영동군(永同郡) -옥천군(沃川郡)-보은군(報恩郡) 선거구(選擧區)에 출마(出馬)하여 민주(民主)공화당 육인수 후보(候補)와 동반(同伴) 당선(當選)되었다. 1974년(年) 9월(月) 신민당(新民黨) 김영삼(金永三) 총재(總裁) 체제(體制)가 출범(出帆)하자 한병채 , 김인기 , 진의종 , 김재광 , 한영수 와 신민당에 복당(復黨)하였다. 1977년(年) 신민당 원내부총무(院內副總務)에 임명(任命)되었다. 1978년(年) 제(第)10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서 이철승 계(系)인 최극 과 신민당(新民黨) 복수공천(複數公薦)을 받아 같은 선거구(選擧區)에 출마(出馬)하여 민주(民主)공화당 육인수 후보(候補)와 동반(同伴) 당선(當選)되었다.

3.2. 1980년대(年代)~2000년대(年代) [편집(編輯)]

1980년(年) 전두환(全斗煥)의 김대중 내란음모(內亂陰謀) 조작(造作) 사건(事件) 으로 중앙정보부(中央情報部) 에 끌려가 약(約) 두 달 동안 모진 고초(苦楚)를 겪고 풀려났다. 같은 해 정치규제(政治規制)를 당하였다가 1984년(年) 해금(解禁)되었다. 정치규제(政治規制) 기간(期間)에는 진로주조(進路主潮) 고문(拷問) 을 역임(歷任)하였다.

1985년(年) 제(第)12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서 민주(民主)한국당 후보(候補)로 같은 선거구(選擧區)에 출마(出馬)하여 민주정의당(民主正義黨) 박준병 후보(候補)와 동반(同伴) 당선(當選)되었다. 당선(當選) 직후(直後) 민주(民主)한국당을 탈당(脫黨)하여 신한(宸翰)민주당 에 입당(入黨)하였다. 김녹영 의 별세(別世)로 공석(空席)이 된 야당(野黨) 몫의 국회부의장(國會副議長) 선거(選擧)에 동교동계(系)의 지원(支援)으로 출마(出馬)하였으나 비 동교동계(系), 비 상도동계(上島洞系)인 김옥선 등(等)의 반대(反對)로 조연하(助演下) 에게 밀려 탈락하였다. 1987년(年) 신한민주당을 탈당(脫黨)하여 통일민주당(統一民主黨) 에 입당(入黨)하였다가 다시 통일(統一)민주당을 탈당(脫黨)하여 평화(平和)민주당 에 입당(入黨)하였다.

1988년(年) 제(第)13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서 지역구(地域區)를 옮겨 평화(平和)민주당 후보(候補)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영등포구 을(乙) 선거구(選擧區)에 출마(出馬)하였으나 민주정의당(民主正義黨) 김명섭 후보(候補)에 밀려 낙선(落選)하였다. 이에 절차상(節次上)의 이유(理由)로 선거(選擧) 무효(無效) 소송(訴訟)을 제기(提起)해서 승소(勝訴)하였다. 그리하여 이듬해인 1989년(年) 치러진 재보궐선거(再補闕選擧) 에 출마(出馬)하였으나 이번(이番)에는 민주정의당(民主正義黨) 나웅배 후보(候補)에 밀려 낙선(落選)하였다.

1995년(年) 제(第)1회(回) 전국동시지방선거(全國同時地方選擧) 에서 민주당(民主黨) 후보(候補)로 충청북도지사(忠淸北道知事) 선거(選擧)에 출마(出馬)하였으나 자유민주연합(自由民主聯合) 주병덕 후보(候補)에 밀려 낙선(落選)하였다. 이후(以後)1996년(年) 제(第)15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새정치국민회의 후보(候補)로 충청북도(忠淸北道) 보은군(報恩郡)·옥천군(沃川郡)·영동군(永同郡) 선거구(選擧區)에 출마(出馬)하였으나 자유민주연합(自由民主聯合) 어준선 후보(候補)에 밀렸고, 2000년(年) 제(第)16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서 새천년민주당(새千年民主黨) 후보(候補)로 충청북도(忠淸北道) 보은군(報恩郡)-옥천군(沃川郡)-영동군(永同郡) 선거(選擧)에 출마(出馬)하였으나 한나라당(한나라黨) 심규철 후보(候補)에 밀려 낙선(落選)하였다.

2004년(年) 제(第)17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서 열린우리당 후보(候補)로 같은 선거구(選擧區)에 출마(出馬)하여 한나라당 심규철 후보(候補)에 설욕(雪辱)하여 당선(當選)되었고, 이로써 12대(代) 총선(總選) 이후(以後) 장장(長長) 16년(年) 만에 국회(國會) 복귀(復歸)에 성공(成功)했다. 같은 해부터 2006년(年)까지 대한민국(大韓民國) 국회(國會) 행정자치위원장(行政自治委員長) 을, 2006년(年)부터 2008년(年)까지는 국회부의장(國會副議長) 을 역임(歷任)하였다.

제(第)17대(代)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 에서 대통합민주신당(大統合民主新黨) 정동영(鄭東泳) 후보(候補)를 지지(支持)하여 보은군(報恩郡) 에서 호남(湖南)을 제외(除外)하면 유일(唯一)하게 정동영(鄭東泳)이 이명박(李明博) 을 제치고 1위(位)를 기록(記錄)하게 만들었다. 그만큼 지역구(地域區) 에서의 영향력(影響力)이 절대적(絶對的)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6] [7]

2008년(年) 제(第)18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서 통합(統合)민주당 공천(公薦)에서 탈락하자 민주당을 탈당(脫黨)하고 자유선진당(自由先進黨) 후보(候補)로 같은 선거구(選擧區) 에 출마(出馬)하여 당선(當選)되었다.

3.3. 2010년대(年代) 이후(以後) [편집(編輯)]

2012년(年) 통합(統合)민주당의 후신(後身) 민주통합당(民主統合黨) 에 복당(復黨)하여 지역구(地域區)를 아들 이재한 에게 물려주고 정계(政界)에서 은퇴(隱退)했는데, 당시(當時) 통합진보당(統合進步黨) 유시민(柳時敏) 공동대표(共同代表)에게 실명(實名) 비판(批判)을 당(當)했다. 이후(以後) 이재한은 19대(代) 총선(總選) 20대(代) 총선(總選) 에서 새누리당(새누리黨) 박덕흠(朴德欽) 후보(候補)에게 연거푸(連거푸) 패(敗)했고, 21대(代) 총선(總選) 은 공직선거법(公職選擧法) 위반(違反)으로 피선거권(被選擧權)을 박탈당하며 자동(自動)으로 불출마(不出馬), 22대(代) 총선(總選) 은 사면(赦免)되고 출마(出馬)하면서 박덕흠(朴德欽)에게 3번째(番째)로 도전장(挑戰狀)을 내밀었지만, 이번(이番)에도 패(敗)했다. [8]

2021년(年) 10월(月) 13일(日)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상임고문단(常任顧問團) 간담회(懇談會)에 참석(參席)하여 제(第)20대(代)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 후보(候補)로 선출(選出)된 이재명(李在明) 과 함께 기념(記念) 사진(寫眞)을 촬영(撮影)하고 덕담(德談)을 나눴다.

2022년(年) 10월(月) 16일(日) 향년(享年) 91세(歲)로 별세(別世) 했다.
  • 지역구(地域區) 내(內)의 영향력(影響力)이 상당히(相當히) 막강(莫强)하다. 항상(恒常) 묶이는 이들 남부(南部) 3군(軍)의 별명(別名) 이 '이용희(李龍熙) 나라'로 불릴 정도(程度)인데다 이 분 외(外)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계열(系列)에서 당선(當選)된 국회의원(國會議員)이 없을 정도(程度)로 사실상(事實上) 지역(地域)의 토호(土豪) 수준(水準)이다. [9] [10]
  • 한때 김대중(金大中) 과 친분(親分)이 있고 [12] 원내(院內)에도 이른 나이인 40대(代) 초반(初盤)에 진출(進出)해 동교동계(系) 맏형(맏兄)으로 불렸으나 김대중에게 15대(代) 대선(大選) 불출마(不出馬)를 건의(建議)해 동교동과의 인연(因緣)이 멀어졌다. [13] 그래도 정치적(政治的) 도의(道義)를 생각해 선거(選擧) 기간(期間)에는 지역(地域)에서 열심히(熱心히) 김대중을 도왔다. 그리고 오히려 동교동계(系)과의 거리(距離)가 멀어진 것이 전화위복(轉禍爲福)이 되었다. 운신(運身)의 폭(幅)이 자유(自由)로워져 열린우리당 창당(創黨)에 참여(參與)할 수 있었고, 17대(代), 18대(代) 연속(連續) 국회의원(國會議員) 당선(當選) 및 국회부의장(國會副議長) 취임(就任)으로 칠순(七旬)이 넘은 나이에 제(第)2의 전성기(全盛期)를 맞이했기에 그렇다.

5. 소속(所屬) 정당(政黨) [편집(編輯)]

소속(所屬)
기간(期間)
비고(備考)
1960
정계(政界) 입문(入門)
민주당 1955년 글자
1960 - 1961
입당(入黨)
1961 - 1963
정당(政黨) 해산(解散)
민주당(1963년) 흰색 로고...
1963 - 1965
입당(入黨)
민중당(1965년) 흰색 로고...
1965 - 1967
합당(合當) [16]
신민당 흰색 로고타입
1967 - 1969
합당(合當) [17]
1969
자진(自進) 정당(政黨) 해산(解散)
신민당 흰색 로고타입
1969 - 1973
정당(政黨) 재등록(再登錄)
1973 - 1974
탈당(脫黨) [18]
신민당 흰색 로고타입
1974 - 1980
입당(入黨)
1980 - 1984
정당(政黨) 해산(解散)
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
1984 - 1985
입당(入黨)
1985
탈당(脫黨) [19]
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
1985 - 1987
창당(創黨)
1987
탈당(脫黨) [20]
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
1987
창당(創黨)
1987
탈당(脫黨) [21]
평화민주당 글자
1987 - 1991
창당(創黨)
신민주연합당 로고타입
1991
당명(黨名) 변경(變更)
민주당(1991년) 로고타입
1991 - 1995
합당(合當) [22]
1995
탈당(脫黨) [23]
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
1995 - 2000
창당(創黨)
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
2000 - 2003
합당(合當) [24]
2003
탈당(脫黨) [25]
열린우리당 로고타입
2003 - 2007
창당(創黨)
2007
탈당(脫黨) [26]
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
2007 - 2008
창당(創黨)
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
2008
합당(合當) [27]
2008
탈당(脫黨) [28]
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
2008 - 2011
입당(入黨)
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
2011
합당(合當) [29]
2011
탈당(脫黨) [30]
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
2011 - 2013
복당(復黨)
정계(政界) 은퇴(隱退)
민주당(2013년) 흰색 로고...
2013 - 2014
당명(黨名) 변경(變更)
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
2014 - 2015
합당(合當) [31]
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
2015 - 2022
당명(黨名) 변경(變更)
사망(死亡)

6. 선거(選擧) 이력(履歷) [편집(編輯)]

연도(鳶島)
선거(選擧) 종류(種類)
선거구(選擧區)
소속(所屬) 정당(政黨)
득표수(得票數) (득표율(得票率))
당선(當選) 여부(與否)
비고(備考)
1960
충북(忠北) 6 [32]
7,702 (19.74%)
낙선(落選) (2위(位))
1960
충북(忠北) 영동(嶺東) 1
민주당 1955년 글자
-
당선(當選)
초선(初選)
1963
충북(忠北) 4 [A]
민주당(1963년) 흰색 로고...
7,291 (10.52%)
낙선(落選) (3위(位))
1967
신민당 흰색 로고타입
29,143 (35.34%)
낙선(落選) (2위(位))
1971
28,216 (37.57%)
1973
충북(忠北) 3 [A]
23,483 (18.66%)
당선(當選) (2위(位))
초선(初選) [C] [36]
1978
신민당 흰색 로고타입
29,365 (21.74%)
재선(再選) [C]
1985
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
22,143 (16.27%)
3선(選) [38] [39]
1988
평화민주당 글자
31,337 (28.64%)
낙선(落選) (3위(位))
1989
35,089 (30.04%)
낙선(落選) (2위(位))
1995
민주당(1991년) 로고타입
168,209 (24.50%)
1996
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
22,968 (24.46%)
낙선(落選) (3위(位))
2000
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
24,792 (27.39%)
낙선(落選) (2위(位))
2004
열린우리당 로고타입
36,991 (50.03%)
당선(當選) (1위(位))
4선(選) [41] [42] [43]
2008
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
30,790 (43.78%)
5선(線) [44] [45]

[1] 보은군(報恩郡)·옥천군(沃川郡)·영동군(永同郡) 선거구(選擧區)의 제(第)13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이다. [2] 그가 별세(別世)한지 한달 뒤, 2022년(年) 11월(月) 14일(日)에 아내도 같이 별세(別世)하였다. [3] 그중(그中) 2명(名)의 아들은 본인(本人)보다 먼저 세상(世上)을 떠났다. [4] 병무청공고제(兵務廳公告第)2004-18호(號)(병역사항공개대상자병역사항공개(兵役事項公開對象者兵役事項公開)) [5] 이후(以後) 공주교육대학교(公主敎育隊學校) 에 흡수합병(吸收合倂)되었다. [6] 실제로(實際로)도 지역(地域)에 방문(訪問)한다는 연락(連絡)이 있으면 사람들이 구름같이 모인다. 당시(當時) "이 동네(洞네)는 40년(年) 동안 이용희(李龍熙)를 보고 윤보선 , 김대중(金大中) , 노무현(盧武鉉) , 정동영(鄭東泳) 을 찍은 곳이에요."라는 지역유권자(地域有權者)의 인터뷰 기사(記事)까지 나왔을 정도(程度). [7] 그러나 경선(競選) 당시(當時)에는 손학규(孫鶴圭) , 이해찬(李海瓚) 캠프 측(側)에 의(依)해 지역구(地域區)에서 부정(否定) 동원(動員) 경선(競選) 이 일어났다는 의혹(疑惑)이 제기(提起)되었다. # 덧붙여 국감장(國監場)에서 공개적(公開的)으로 박스떼기를 잘 봐달라고 발언(發言)해 논란(論難)이 되기도 했다. # [8] 이는 그 당시(當時)부터 행(行)해졌던 권력(權力)의 세습(世襲)을 막는다는 여론(輿論)이 강(剛)했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비슷한 사례(事例)로 제(第)21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당시(當時) 문희상(文喜相) 국회의장(國會議長)이 자신(自身)의 지역구(地域區) 의정부시(議政府市) 갑(甲) 을 아들 문석균 에게 지역위원회(地域委員會) 수석부위원장(首席副委員長) 같은 자리를 만들어 물려주려다가 개같이 멸망(滅亡) 한 사례(事例)도 있다. 물론(勿論) 저 당시(當時)만 해도 남경필(南景弼) ( 부친(父親) 이 사망(死亡)하면서 발생(發生)한 보궐선거(補闕選擧)로 당선(當選)), 김세연(金世淵) ( 부친(父親) 이 물러나고 4년(年) 후(後) 원(元) 지역구(地域區)에서 당선(當選)), 정진석(鄭鎭奭) ( 부친(父親) 이 정계(政界) 은퇴(隱退)를 하면서 지역구(地域區) 세습(世襲)), 노웅래(盧雄來) ( 부친(父親) 이 정계(政界) 은퇴(隱退)하고 시간(時間)이 지나서 지역구(地域區) 세습(世襲)) 등(等)과 같이 대(代)를 이어 정치(政治)에 뛰어들거나 부친(父親)의 지역구(地域區)를 물려받아서 활동(活動)한 대한민국(大韓民國) 국회의원(國會議員) 들이 다수(多數) 있긴 했었다. [9] 심지어(甚至於) 박정희(朴正熙) 의 아내인 육영수 와 동향(動向)이다. [10] 어느 정도(程度)냐면, 반(半) 열린우리당 세(歲)가 강(剛)했던 제(第)4회(回) 지방선거(地方選擧)에서 남부(南部)3군(軍)의 군수(郡守)들은 모두 사수(死守)하였고, 17대(代) 대선(大選)때도 정동영(鄭東泳) 후보(候補)가 보은(報恩), 옥천(沃川)에서 선전(宣傳)했을 정도(程度)이다. 실제로(實際로) 보은군(報恩郡)은 당시(當時) 98표(票) 차이(差異) 끝에 정동영 후보(候補)가 승리(勝利)하였다. 그리고 18대(代) 국회(國會) 재직(在職) 당시(當時) 본인(本人)이 선진당(先進黨)에 가자 옥천군수(沃川郡守), 영동군수도(永同郡首都) 선진당(先進黨)으로 갔으며, 제(第)5회(回) 지방선거(地方選擧)에서도 연이어 군수(郡守) 3석(席) 모두 사수(死守)하고 이후(以後) 임기(任期) 종료(終了) 전(前)에는 군수(郡守)들이 민주당에 입당(入黨)했을 정도(程度)로(이중 영동군수(永同郡守)만 민선(民選) 5기(期) 종료(終了)까지 민주당 소속(所屬)이 됨) 영향력(影響力)이 세다는걸 입증(立證)한다. [11] 그 뒤를 잇는 사람들로는 1935년(年) 생(生)인 조순형 , 이회창(李會昌) , 이상득 등(等)이 있다. [12] 박지원(朴智元) 의 증언(證言)에 의(依)하면 김상현(金相賢) 전(前) 의원(議員)과 더불어 김대중(金大中) 에게 "형님(兄님)!" 소리를 하던 유이(油膩)한 정치인(政治人)이었다고 한다. 동교동계(系)의 맏형(맏兄)인 권노갑을 비롯한 나머지 정치인(政治人)들은 대부분(大部分) 김대중을 선생님(先生님)이라고 불렀다. [13] 이 이후(以後)에는 나이가 더 많은 권노갑 이 동교동계(系)의 맏형(맏兄)으로 불렸다. [14] 11대(代)는 전국구(全國區)인데, 이것까지 포함(包含)하면 실질적(實質的)으로는 4선(線). [15] 삼남(三南) 이재한의 장인(匠人)이 이민섭이다. [16] 민정당(民政黨) 과 신설(新設) 합당(合黨). [17] 신한당 과 신설(新設) 합당(合黨). [18] 총선(總選) 공천(公薦) 탈락(脫落) 불복(不服)으로 인한 탈당(脫黨). [19] 신한(宸翰)민주당 창당(創黨)을 위한 탈당(脫黨). [20] 당내(黨內) 노선(路線) 차이(差異)로 인한 탈당(脫黨). [21] 당내(黨內) 노선(路線) 차이(差異)로 인한 탈당(脫黨). [22] 민주당(民主黨) 과 신설(新設) 합당(合黨) [23] 새정치국민회의 창당(創黨)을 위한 탈당(脫黨). [24] 새천년민주당에 흡수(吸收) 합당(合當). [25] 열린우리당 창당(創黨)을 위한 탈당(脫黨). [26] 당내(黨內) 노선(路線) 차이(差異)로 인한 탈당(脫黨). [27] 민주당(民主黨) 과 신설(新設) 합당(合黨). [28] 총선(總選) 공천(公薦) 탈락(脫落) 불복(不服)으로 인한 탈당(脫黨). [29] 국민중심연합(國民中心聯合) 과 신설(新設) 합당(合黨). [30] 민주통합당(民主統合黨) 복당(復黨)을 위한 탈당(脫黨). [31] 새정치민주연합(새政治民主聯合) 에 흡수(吸收) 합당(合當). [32] 옥천군(沃川郡) [A] 33.1 33.2 33.3 33.4 33.5 옥천군(沃川郡), 보은군(報恩郡) [C] 35.1 35.2 민주(民主)공화당 육인수 후보(候補)와 동반(同伴) 당선(當選) [36] 1974.8.29 신민당(新民黨) 입당(入黨) [38] 민주정의당(民主正義黨) 박준병 후보(候補)와 동반(同伴) 당선(當選) [39] 1985.4.4 민주(民主)한국당 탈당(脫黨), 신한(宸翰)민주당 입당(入黨). 1987.4.8 신한(宸翰)민주당 탈당(脫黨), 5.6 통일민주당(統一民主黨) 창당(創黨) 합류(合流), 10.29 탈당(脫黨), 11.13 평화(平和)민주당 창당(創黨) 합류(合流) [40] 전임자(前任者) 김명섭 의원직(議員職) 상실(喪失)(공직선거법(公職選擧法) 위반(違反)) [41] 무려(無慮) 16년(年)만 의 원내복귀(院內復歸)였다. [42] 후반기(後半期) 국회부의장(國會副議長) [43] 2008.3.17 공천불복(公薦不服)으로 통합(統合)민주당 탈당(脫黨), 자유선진당(自由先進黨) 입당(入黨) [44] 최초(最初) 최고령(最高齡) 78세(歲)(만76) 국회의원(國會議員) 당선(當選) [45] 2011.12.11 자유선진당(自由先進黨) 탈당(脫黨), 민주통합당(民主統合黨) 입당(入黨) [46] 제(第)5·6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벽보(選擧壁報)는 확인(確認)되지 않고 있다. 이는 당시(當時) 중앙선거관리위원회(中央選擧管理委員會) 가 선거벽보(選擧壁報) 보존(保存)의 필요성(必要性)을 못 느껴 보존(保存)하지 않으면서, 이용희(李龍熙)뿐만 아니라 김영삼(金永三) , 김대중(金大中) , 김종필(金鍾泌) 을 비롯한 1950년대(年代)부터 정치(政治)를 시작(始作)한 원로(元老) 정치인(政治人)들의 선거벽보(選擧壁報) 상당수(相當數)를 확인(確認)할 수 없게 되었다. [B] 47.1 47.2 옥천군(沃川郡), 보은군(報恩郡)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