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아티초크 - 나무위키

아티초크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 펼치기 · 접기 ]
십자(十字)
화과(花果)
배추속
기타
가지
가지과(科) (고추속)
가지과(科) (가지속)
나팔꽃(喇叭꽃)과
천남성(天南星)과
범의귀과
박(朴)과
석죽(石竹)
비름과(비름科)
기타
미나
리목(梨木)
미나리과(科)
두릅나무과(科)
비짜
루(壘)목
비짜루과
수선화과(水仙花科)(부추속)
아욱과(아욱科)
국화(國花)
국화과(菊花科)
초롱꽃과(초롱꽃科)
콩과
버섯류(類)
기타
※: 과채류(果菜類), 견과류(堅果類), 곡류(穀類), 균류(菌類)이지만 채소(菜蔬)로 보기도 함
비가공(非加工) 식품(食品)/재배(栽培)물 기타 틀: 고기 · 곡물(穀物) · 과일 · 채소(菜蔬) · 해조류(海藻類) · 향신료(香辛料)
external/blog.jo...
수확(收穫)된 아티초크
external/wiseacr...
이 핀 아티초크
Cynara cardunculus
Artichoke
Artichaut
Alcachofa
朝??(chaoxi?nji), 洋?(yangji)
ア?ティチョ?ク, 朝鮮?(チョウセンアザミ)

1 . 개요(槪要) 2 . 조리법(調理法)

1. 개요(槪要) [편집(編輯)]

지중해(地中海) 연안(沿岸)이 원산지(原産地)인 국화(國花) 과의 다년생(多年生) 식물(植物) .

고대(古代) 이집트 인(人)들도(度) 식용(食用)으로 썼다는 기록(記錄)이 있을 정도(程度)로 [1] 굉장히(宏壯히) 오랫동안 재배(栽培)된 식용(食用) 식물(植物) 중(中) 하나이다. 본래(本來) 야생(野生) 엉겅퀴 였으나, 지속적(持續的)인 품종(品種) 개량(改良)을 거쳐 고대(古代) 그리스 로마 시대(時代) 이후(以後) 남유럽(南유럽) 지역(地域)에 널리 보급(普及)되어 현재(現在)의 모습이 되었다.

유럽 에서 많이 소비(消費)되는 채소(菜蔬)로, 보통(普通) 5월(月)에서 8월(月) 말(末)까지 꽃이 피기 전(前)의 꽂대(代)를 수확(收穫)하기 때문에 이 때쯤의 유럽 시장(市場)에서는 산더미(山더미)처럼 쌓인 아티초크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달짝지근하며 풀 향기(香氣)와 비슷한 풍미(風味)가 있고, 섬유질(纖維質)이 많아 죽순(竹筍) 처럼 아삭아삭한 맛을 느낄 수 있다. 대부분(大部分) 감자와 같은 전분질(澱粉質)이기에 식감(食感)이 감자 류와 흡사(恰似)하다. 유럽에서는 살짝 붉은 기(氣)가 도는 아티초크를 더 상등품(上等品)으로 취급(取扱)한다고 한다. 프랑스에서 가장 많이 소비(消費)하며, 주로(主로) 절인 아티초크를 다른 음식(飮食)과 곁들여 먹는다. 식료품(食料品) 가게 등(等)에 가면 병조림(甁조림)으로 판매(販賣)된다. [2]

분류상(分類上)으로는 채소지(菜蔬地)만, 르네상스 시대(時代) 프랑스 에서는 미각(味覺)을 돋우기 위한 향신료(香辛料) 처럼 취급(取扱)했다고 한다.

기본적(基本的)으로 따뜻한 기후(氣候)에서 자라지만, 워낙 예민(銳敏)한 탓에 재배(栽培)가 상당히(相當히) 까다롭다. 때문에 한국(韓國)에서는 아티초크를 재배(栽培)하기 거의 불가능(不可能)해서 매우 생소(生疏)한 채소(菜蔬)다. [3] 인지도(認知度)가 떨어지는 만큼 수요(需要)도 굉장히(宏壯히) 적어서, 어쩌다 수입(輸入)되는 아티초크의 가격(價格)은 기(氣)가 막힌 수준(水準)이다. 백화점(百貨店) 같은 곳에서 종종(種種) 팔리기도 하는데, 작은 아티초크 하나에 가격(價格)을 5,000 ~ 6,000원대(臺)로 책정(策定)하는 등(等) 굉장히(宏壯히) 비싸 선뜻 구매(購買)하기 어려운 채소(菜蔬)다. [4] 국내(國內) 코스트코 에서 가끔 병조림(甁조림)을 찾을 수 있다. 같은 유럽권(圈)이라고 해도 독일(獨逸) 이나 북유럽(北유럽) 쪽에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생소(生疏)한 채소(菜蔬) 취급(取扱)받는다.

이처럼 한국(韓國)은 물론(勿論)이고 동아시아(東아시아) 국가(國家)들과는 영 인연(因緣)이 없는 식물(植物)이지만, 과거(過去) 일본(日本) 에서는 뜬금없이 '조선(朝鮮) 엉겅퀴(朝鮮?)'라고 불렀다고 한다. 아티초크가 처음 일본(日本)에 소개(紹介)된 에도 시대(時代) 에 외국(外國)의 물산(物産)을 대표(代表)하는 이름은 화란(和蘭) (네덜란드) 혹은(或은) 조선(朝鮮) 이었는데, 이 아티초크 역시(亦是) 네덜란드를 통(通)해 들어왔으나 유통(流通) 과정(過程)에서 조선(朝鮮)에서 들어왔다는 착오(錯誤)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이후(以後) 이 이름이 중국(中國) 에도 소개(紹介)되어 한동안 중국(中國)에서도 조선(朝鮮) 엉겅퀴란 이름이 통용(通用)되었다. 유래(由來)가 제대로 알려진 현재(現在)는 일본(日本)에서는 그대로 아티초크(ア?ティチョ?ク), 중국(中國)에서는 양지(陽地)(洋?; 서양(西洋) 엉겅퀴), 차이(差異)지(菜?; 채소(菜蔬) 엉겅퀴)라고 부른다.

유럽에서는 지방(脂肪)이 많은 음식(飮食)의 소화(消火)에 효과(效果)가 크고, 궁극적(窮極的)으로 과민성(過敏性) 대장(大腸) 증후군(症候群) 의 증상(症狀) 개선(改善) 효과(效果)도 어느 정도(程度) 있다고 알려져 보충제(補充制) 형태(形態)로도 인기(人氣)가 많다. 어째서인지 예전부터 정력(精力) 에 좋은 음식(飮食)으로 간주(看做)된다.

튀르키예의 국부(國富) 아타튀르크 가 죽기 전(前)에 먹어보고 싶어한 음식(飮食)이다. 죽기 며칠 전(前)에 경호원(警護員)에게 "얘야, [5] 나는 단(單) 한 번(番)도 아티초크를 먹어본 적이 없단다. 알고 있느냐?(Cocuk, ben hic enginar yemedim biliyor musun?)"라고 말했고, 경호원(警護員)은 "튀르키예에서 가장 유명(有名)한 요리사(料理師)를 각하(閣下)를 위해 불렀습니다. 카흐라만마라쉬 에서 기차(汽車)를 타고 오고 있습니다. 각하(却下).(Turkiye'nin en unlu a?cısı sizin icin hazırladı. Kahramanmara?'tan trenle yola cıktı. Geliyor Pa?am.)"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 기차(汽車)는 아타튀르크의 사망일(死亡日)인 1938년(年) 11월(月) 10일(日)까지 도착(到着)하지 못했고, 결국(結局) 아타튀르크는 아티초크를 먹어보지 못하고 세상(世上)을 떠났다고 한다.

2. 조리법(調理法) [편집(編輯)]

남부(南部) 유럽 에서는 굉장히(宏壯히) 대중화(大衆化)된 식품(食品) 중(中) 하나다 보니 다양한 조리(調理) 방법(方法)이 발달(發達)했다. 보통(普通) 찌거나 굽는 방법(方法)으로 요리(料理)하며, 고기 요리(料理)에 곁들여 먹고 샐러드 에 섞어 먹거나 파스타 혹은(或은) 파(派)에야 의 재료(材料)로 쓰기도 한다. 피자 토핑으로도 흔하게 볼 수 있다. 그렇다고 해도 현지(現地)에서도 가격(價格)이 싼 야채(野菜)는 아니며, 고급(高級) 식재료(食材料)에 속(屬)한다고 할 수 있다.

가장 간단(簡單)하게 즐기는 방법(方法)은 삶아서 마요네즈 에 찍어먹는 것인데, 레몬 즙(汁)을 섞은 물에 아티초크를 삶은 후(後) 이파리를 한 장(張)씩 떼어 마요네즈 를 곁들여 먹으면 의외로(意外로) 조화(調和)로운 맛을 느낄 수 있다. 단(單), 잎을 먹을 때에는 전체(全體)를 씹어먹지 말고 잎이 꽃대에 붙은 부분(部分)만 이로 긁어 먹어야 한다. 잘 모르는 사람이 잎까지 다 씹어먹고는 너무 질기다고 하는 경우(境遇)가 종종(種種) 있다. 꽃대의 이파리를 다 뜯어먹으면 가운데 기둥 부분(部分)의 아티초크 하트(Artichoke Heart)가 모습을 드러내는데, 특유(特有)의 향기(香氣)와 부드러운 식감(食感) 때문에 아티초크의 가장 맛있는 부위(部位)라고 일컬어지며, 이곳만 따로 잘라내어 통조림(桶조림) 병조림(甁조림) 의 형태(形態)로 판매(販賣)한다.
external/1000awe...
병조림(甁조림) 으로 가공(加工)된 아티초크 하트

이탈리아에서는 아티초크로 도 만들어서 마신다. 치나르 문서(文書)를 참조(參照).

치즈를 응고(凝固)시키기 위(爲)한 레닛 성분(成分)이 있어 채식주의자용(菜食主義者龍) 락토(樂土) 치즈등(等)은 아티초크 즙등(汁等)으로 굳혀서 만들어진다.

만화가(漫畫家) 이우일 은 신혼여행(新婚旅行)을 유럽 배낭(背囊) 여행(旅行)으로 떠났는데, 이 여행기(旅行記)(<이우일 선현경의 신혼여행기(新婚旅行機)>)에서 아티초크로 추정(推定)되는 음식(飮食)을 먹는 장면(場面)이 나온다. 책(冊)에서는 프랑스 현지(現地)의 지인(知人)과 함께 ' 연꽃(蓮꽃) '을 데쳐서 먹었다고 나오는데, 먹는 방법(方法)을 보면 딱 이 아티초크다.

톡파원(波源) 25시(時) 64회(回)에서 소개(紹介)된 바 있다. 아티초크 산지(山地) 중(中) 한 곳인 이탈리아의 아티초크 축제(祝祭)를 취재(取材)했으며, 여기서 등장(登場)한 아티초크 요리(料理)들은 스튜디오에서도 시식(試食)을 했다. 단(單), 신선도(新鮮度) 문제(問題)로 인해 이탈리아에서 직접(直接) 아티초크를 공수(空輸)해올 수는 없었고, 상술(商術)된 제주산(濟州産) 아티초크로 조리(調理)했다. 영상(映像)

식극(式劇)의 소마(蘇摩) 에선 234화(火)에 에이잔 에츠야(野) 타쿠미 알디니 와의 식극(式劇)에서 사용(使用)한다. 아티초크의 시(時)나린 성분(成分)으로 자신(自身)의 음식(飮食) 이후(以後) 감독관(監督官)들이 시식(試食)하게 될 알디니의 피자의 맛의 밸런스를 망가뜨릴 생각이었지만 [6] 오히려 이를 간파(看破)한 알디니에게 역(逆)으로 이용당(利用當)하고 식극(式劇)에서 패배(敗北)한다.

수산물(水産物) 칼럼니스트 입질의 추억(追憶) 은대구 스테이크에서 가니시로 구운 아티초크를 사용(使用)하기도 했다.
[1] 엄밀히(嚴密히) 말하면 일반적(一般的)인 식용(食用)보다는 약용식물(藥用植物)로 많이 썼다고 한다. [2] 최근(最近) 기상변화(氣象變化) 문제(問題)로 가격(價格)이 전년대비(前年對比) 10배가량(倍假量) 올라 수요(需要)가 줄었다 한다. [3] 그래도 최근(最近) 기온(氣溫)이 따뜻한 남부(南部) 지방(地方)과 제주도(濟州道) 에서 소량(少量)으로나마 재배(栽培)하는 곳이 생기고 있다. [4] 다만 아티초크는 재배지(栽培地)에서도 제법 몸값이 나가는 작물(作物)이다. [5] 튀르키예어(語)로 아이를 뜻하는 cocuk(초죽(楚竹))의 테살로니키 사투리인 cucuk(추(秋)죽). 아타튀르크는 주변(周邊) 사람을 애처럼 보는 경향(傾向) 과 말버릇이 있었다. [6] 아티초크를 먹고 단 음식(飮食)을 먹으면 지나치게 단맛을 느끼게 되는데 이를 이용(利用)한 것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최근(最近) 변경(變更)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