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쑥 - 나무위키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 펼치기 · 접기 ]
십자(十字)
화과(花果)
배추속
기타
가지
가지과(科) (고추속)
가지과(科) (가지속)
나팔꽃(喇叭꽃)과
천남성(天南星)과
범의귀과
박(朴)과
석죽(石竹)
비름과(비름科)
기타
미나
리목(梨木)
미나리과(科)
두릅나무과(科)
비짜
루(壘)목
비짜루과
수선화과(水仙花科)(부추속)
아욱과(아욱科)
국화(國花)
국화과(菊花科)
초롱꽃과(초롱꽃科)
콩과
버섯류(類)
기타
※: 과채류(果菜類), 견과류(堅果類), 곡류(穀類), 균류(菌類)이지만 채소(菜蔬)로 보기도 함
비가공(非加工) 식품(食品)/재배(栽培)물 기타 틀: 고기 · 곡물(穀物) · 과일 · 채소(菜蔬) · 해조류(海藻類) · 향신료(香辛料)
쑥
mugwort, wormwood
이명(耳鳴): -
Artemisia princeps pamps.
분류(分類)
식물계(植物界)
속씨식물문(속씨植物門)(Angiosperms)
쌍떡잎식물강(雙떡잎植物江)(Magnoliopsida)
국화목(Asterales)
국화과(菊花科)(Asteraceae)
쑥속( Artemisia )
쑥( A. princeps )

1 . 개요(槪要) 2 . 쑥의 종류(種類) 3 . 특징(特徵)
3.1 . 채취(採取) 시(時) 주의점(注意點)
4 . 기타 5 . 고전(苦戰)에서의 묘사(描寫)


1. 개요(槪要) [편집(編輯)]

한국(韓國) , 일본(日本) , 중국(中國) , 미국(美國) 등(等) 초목지(草木地)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다년생(多年生) 식물(植物) . 100 g당(當) 열량(熱量)이 약(約) 18 kcal이다. 60 cm에서 최대(最大) 120 cm까지도 자란다. 쑥속에 속(屬)한 식물(植物) 중(中) 쑥과 겉모습이 비슷한 식물(植物)을 모두 쑥이라고 부르기도 하므로 주의(注意) 해야 한다.

대부분(大部分)의 식물(植物)이 다 그렇듯 쑥도 꽃이 핀다. 꽃이 필 정도(程度)로 다 자라면 길이도 길어지고 흔히 국 끓여 먹는 쑥과 생김새가 많이 다른 데다, 꽃 또한 풍매화(風媒花)라서 별로(別로) 사람 눈에 띄는 편(便)이 아니기 때문에 꽃이 안 피는 줄 아는 사람들도 꽤 있다. 그나마 쑥꽃이 피는 계절(季節)에 쑥꽃가루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눈치를 채는 정도(程度).

제(第)3기(期) 중기(中期) 시절(時節)인 3400만(萬) 년(年) 전(前) 북극 에서 발견(發見) 된 쑥 꽃가루 화석(化石)이 분석(分析) 되기도 했다.
영어(英語) 논문(論文)1
영어(英語) 논문(論文)2
영어(英語) 논문(論文)3

2. 쑥의 종류(種類) [편집(編輯)]

국가표준식물목록(國家標準植物目錄)에 따르면 한국(韓國) 에는 Artemisia 속에 속(屬)한, 국명(國名)으로 '??쑥'이라고 불리는 식물(植物)은 모두 40종(種)이 있다. 그 중(中) 민간(民間)에서 흔히수 있고 약재(藥材) 등(等)으로 이용(利用)되는 종류(種類)는 다음과 같다.
  • A. princeps
  • 개똥쑥 A. annua .
    • 이 쑥에는 말라리아 치료성분인(治療成分人) 아르테미시(微視)닌(Artemisinin)이라는 성분(成分)이 함유(含有)되었는데 투유유 가 연구(硏究)하여 노벨생리학상(生理學賞)을 수상(受賞)한 바 있다. 이 종(鐘)은 청호 라고 불리는 한약재(韓藥材)이다.
  • 인진쑥(茵蔯쑥)(사철쑥(四철쑥)) A. capillaris
  • 참쑥 A. dubia
  • 황해쑥(黃海쑥) A. argyi
    • '강화약쑥(强化藥쑥)'이라고도 불리는 사자발쑥이나 싸주아리쑥은 유전적(遺傳的)으로 그냥 황해쑥(黃海쑥)이다. 싸주아리쑥은 강화도(江華島)에서 키운 황해쑥일(黃海쑥日) 뿐이고, 사자발쑥은 강화도(江華島) 에서 자라는 황해쑥(黃海쑥)의 일부(一部) 변이체(變異體)를 선별(選別)해서 키운 것이라는 연구(硏究) 결과(結果)가 있다. [1]

이외(以外)에도 해외(海外)의 유명(有名)한 쑥으로는 타라곤 이라고도 불리는 용(龍)쑥 A. dracunculus , 압생트 의 원료(原料)인 향(香)쑥 A. absinthium 이 있다.

3. 특징(特徵) [편집(編輯)]

척박(瘠薄)한 환경(環境)에서도 이름처럼 쑥쑥 잘 자란다. 생명력(生命力)도 강(强)해서 쉽게 구(求)할 수 있기 때문에 식용(食用), 약용(藥用)으로 널리 쓰이며, 고대(古代)부터 서민(庶民) 에게 가장 대중적(大衆的)인 약초(藥草) 노릇을 하였다. 약간(若干) 쓴 독특(獨特)한 향(香)과 맛이 나는데, 5월(月)에 수확(收穫)한 어린 쑥순이 가장 향(香)과 맛이 우수(優秀)하다고 한다. 여름을 지나 가을까지도 무성(茂盛)하게 자라긴 하는데, 이쯤 되면 너무 억세고 향도(香徒) 지나치게 진(津)해서 음식(飮食)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어린 순은(純銀) 된장국(된醬국) 에 넣거나 이나 차(次) 만드는 데 썼고, 말려서 을 뜨는 데나 태워서 모기 를 쫓는 데 이용(利用)하기도 하였다. 산(山)에서 상처(傷處)가 났을 때 쑥을 찧어 상처(傷處)에 발라 초기(初期) 감염(感染)을 막는 민간요법(民間療法) 도 있다. 또한 따뜻한 성질(性質)로서 수족냉증(手足冷症) 을 완화(緩和)할 때 쓰이기도 한다. 어떤 의미(意味)로 식물계(植物界)의 완전체(完全體) 로, 한국인(韓國人) 의 생활(生活) 곳곳에 밀접(密接)한 식물(植物)이다. 다만 꽃가루 를 날리는 식물(植物)이라는 점(點)이 흠(欠)이다. 자란 것은 약용(藥用)으로 쓴다고 한다. 특히(特히) 개똥쑥의 잎의 추출성분(抽出成分)은 말라리아 치료(治療)에 효능(效能)이 있다.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투유유 문서(文書) 참고(參考).

인진쑥(茵蔯쑥)의 잎의 추출(抽出) 성분(成分)은 위염(胃炎) 치료(治療)에 효능(效能)이 있다. 위염(胃炎) 치료제(治療劑)인 베아렌투엑스정(情), 스티렌정(情), 오티렌정은 쑥 추출물(抽出物)을 원료(原料)로 사용(使用)한다. 성분명(成分名)으로는 Artemisia Herb 95% Ethanol Soft Ext.(20→1) 애엽(艾葉)95%에탄올연조(年條)엑스(20→1) 이런 식(式)으로 표기(表記)한다.

3.1. 채취(採取) 시(時) 주의점(注意點) [편집(編輯)]

자동차(自動車)가 많이 지나가는 도로(道路)가에 자란 것은 절대(絶對) 뜯지 말 것. 쑥이 토양(土壤)에 있는 온갖 중금속(重金屬) 을 다 흡수(吸收) 하기 때문에 [2] 공기(空氣) 좋고 깨끗한 자연(自然) 환경(環境)에 자라 있는 것을 캐는 것이 좋다. 게다가 독초(毒草) 투구꽃 의 모습이 쑥과 비슷하기 때문에 구분(區分)을 잘 하자. 쑥하고 비슷하게 생겼지만 쑥향(香)이 안 나면 일단(一旦) 무시(無視)해야 안전(安全)하다.

4. 기타 [편집(編輯)]

중세(中世) 한국어(韓國語) 로는 앞에 초성(初聲) ㅂ이 추가(追加)로 적용(適用)되어 ㅄㅜㄱ으로 불렸다. 능엄경언해(楞嚴經諺解) 에 처음으로 기록(記錄)되었다.

체르노빌 원자력(原子力) 발전소(發電所) 의 체르노빌은 현지어로 쑥 [3] 을 뜻하는데, 쑥이 많이 자라는 지역(地域)이라 그런 이름이 붙었다고... 1986년(年)에 체르노빌 사고(事故) 로 정말로(正말로) 쑥대밭이 되었다. [4] 참사(慘事)가 일어나자 종말론자(終末論者)들은 요한묵시록 이 실현(實現)되었다고 신나게 떡밥으로 우려먹는다. 자세(仔細)한 사항(事項)은 항목(項目) 참조(參照). 시미즈 레이코의 달의 아이 도 이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

생명력(生命力)이 강(剛)한 식물(植物)인데, 히로시마에 원자폭탄(原子爆彈)이 떨어져 잿더미가 되었을 때에도 쇠뜨기 , 협죽도(夾竹桃) 와 함께 쑥이 같이 돋았다고 한다. 화재(火災)나 제초제(除草劑) 살포(撒布) 등(等)으로 황량(荒凉)해진 땅에서도 쑥이 제일(第一) 먼저 자란다고 한다. 전쟁(戰爭)이나 폭격(爆擊) 등(等)으로 폐허(廢墟)가 된 곳을 쑥밭이라고 부르는 이유(理由)가 이 때문이다. 말 그대로 다른 모든 것이 개박살이 나서 생명력(生命力)이 강(剛)한 쑥밖에 살아남은 생물(生物)이 없다는 뜻.

금연초 의 주(主) 성분(成分)이 쑥이다. 참쑥을 건조가공해(乾燥加工海) 넣은 듯한데, 피우면 하루 온종일(온終日) 온몸에서 쑥뜸 피운 듯한 냄새가 진동(振動)한다. 또한 본 문서(文書)의 쑥의 근연종(近緣種)인 쓴쑥 ( A. absinthium )으로 만든 압생트 라는 술도 있다. [5] 압생트는 원래(元來) 유럽 민간요법(民間療法)으로 쓰이던 토닉이 발전(發展)한 형태(形態)인데, 유럽에서도 쑥 종류(種類)를 옛날에 약용(藥用)으로 썼기 때문이다. 실제로(實際로)도 쑥속에 속(屬)하는 식물(植物)들은 약(藥)으로서 가치(價値)가 있는 성분(成分)들이 다량(多量) 함유돠 경우(境遇)가 많기 때문에 동서고금(東西古今)을 막론(莫論)하고 약초(藥草)로 널리 쓰인다.

현재(現在)도 프랑스 에서는 의약품(醫藥品)의 원료(原料)로 취급(取扱)되어 일반인(一般人)들 사이 거래가(去來價) 법(法)으로 금지(禁止)된다고 한다. 사람들도 쑥을 식품(食品)으로 쓴다는 생각을 안 해서 별(別) 반발(反撥)은 없다고. 압생트가 복잡(複雜)한 정치(政治), 경제적(經濟的) 이유(理由)로 누명(陋名)을 뒤집어쓰고 금지(禁止)되는 바람에 압생트의 원료(原料) 중(中) 쓴쑥에 환각(幻覺) 작용(作用)을 하는 물질(物質)이 있어서 불법(不法)이라는 주장(主張)도 있지만, 압생트 문서(文書)에 있듯이 도시전설(都市傳說) 이다.

워낙 번식력(繁殖力)도 생명력(生命力)도 강(剛)하다 보니 제대로 뽑지 않거나 하나만 놔두어도 삽시간(霎時間)에 그 근처(近處)의 모든 들판을 점령(占領)한다. 실화(實話)인지 우스갯 소리인지 모르겠으나 한 미국(美國) 의 공원(公園)이 쑥으로 전부(全部) 뒤덮여 관리자(管理者)가 골머리를 썩힌 적이 있다고 한다. 다행히(多幸히) 해결(解決)을 봤는데 그 방법(方法)이 그 근처(近處)에 있는 한국인(韓國人) 관광객(觀光客)과 재미교포(在美僑胞)들에게 공원(公園)에 쑥이 자란다고 소문(所聞)을 낸 것. 소문(所聞)이 난 다음 날 바로 모든 쑥이 사라졌다고 한다. 메릴랜드 몽고메리 카운티에서 실제로(實際로) 있던 일화(逸話)라고 하며, 코로나 19 가 생기기 이전(以前) 까지만 하더라도 매(每) 년(年) 6월(月) 5일(日)마다 쑥을 무제한(無制限)으로 캐도록 허가(許可) 해줬다고. #

그렇다고 위의 이야기를 생각 하고 외국(外國)에 나가서 함부로 쑥을 캐 먹으면 좋지 않다. 쑥은 종류(種類)에 따라 그냥 독초(毒草) 나 마찬가지인 것들도 많아서 한국(韓國)에서 캐서 먹던 생각으로 외국(外國)의 쑥을 뜯어먹으면 어떤 상황(狀況)이 일어날지 알 수 없다.

쑥을 이용(利用) 해서 해 먹을 수 있는 음식(飮食)도 많다. 에도 넣고, 쌀가루와 버무려 쪄 먹기도 하고, 전(前)으로 부쳐 먹기도 하고, 된장국(된醬국)에도 자주 넣어먹는데, 특히(特히) 여기에 조개를 함께 넣으면 몸에 아주 좋다. 또한 봄철 특식(特食)으로 가자미 의 일종(一種)인 도다리 를 쑥과 함께 넣고 끓인 도다리 쑥국도(度) 있다.

흔히 초토화(焦土化) 된 상황(狀況)을 일컬어 '쑥밭' 혹은(或은) '쑥대밭'이라고 하는데, 초토화(焦土化) 된 곳에서 가장 먼저 나는 것이 쑥이기 때문이라 한다. [6] 이 때문에 미(美) 육군(陸軍) 대장(大將) 셔먼 장군(將軍)이나 폭격기(爆擊機) 매니아로 유명(有名)한 미(美) 공군(空軍) 대장(大將) 커티스 르메이 장군(將軍) 등(等) 초토화(焦土化)에 발군(拔群)의 능력(能力)을 보여 주는 이들이나 물건(物件)들을 가리켜 쑥을 재배(栽培)하고 다닌다고 말 하기도 한다. ' 쑥대밭 '이라고도 한다.

지리적(地理的) 표시제(標示制)/대한민국(大韓民國) 에는 강화도(江華島) 거문도(巨文島) 의 쑥이 등재(登載)되었다.

5. 고전(苦戰)에서의 묘사(描寫) [편집(編輯)]

단군신화(檀君神話) 에 따르면, 평소(平素) 사람이 되고 싶었던 어떤 호랑이(虎狼이) 가 환웅(桓雄)에게 요청(要請) 하자 환웅(桓雄)이 쑥과 마늘 을(乙) 주며 백일(百日) 동안 먹고 빛을 보지 않으면 인간(人間) 이 될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끈기(끈氣) 없는 호랑이(虎狼이)는 며칠만에 포기(抛棄)하고 동굴(洞窟)에서 뛰쳐나온 반면(反面) 곰은 잘 버틴 덕(德)에 100일(日) 보다 한참이나 빠른 21일(日)( 삼칠일(三七日) ) 만에 여성(女性) 이 되었다고 설명(說明)한다. [7]
[1] 출처(出處): Korean J. Pl. Taxon. (2012) Vol. 42 No. 2, pp.161-166. <<강화약쑥(强化藥쑥)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실체(實體)>>, 박명숙 등(等) 3인(人), 안동대학교(安東大學校) 생명자원공학부(生命資源工學部) [2] 이런 특성(特性) 때문에 오염(汚染) 된 토양(土壤)을 정화(淨化) 하는 데에 이용(利用) 하려는 시도(試圖)가 많았으나, 한국(韓國) 에서는 봄철만 되면 쑥 캐는 사람들 때문에 연구(硏究)가 실패(失敗)로 돌아가는 경우(境遇)가 왕왕(往往) 있어서 실성이 별로(別로) 없다고 한다. [3] 어원(語源)은 검은(cherno) + 풀(byl)이다. 여담(餘談)으로 슬라브어(語) 어근(語根) chern- 또는 czern-은 검다는 뜻이 있다. 따라서 카를 체르니 의 체르니와 체르노빌은 어원(語源)이 같다. [4] 방사능(放射能)으로 인한 붉은 숲 과 연관(聯關)지어 붉은 쑥대밭 이라고 드립치는 경우(境遇)도 종종(種種) 있었다. 다만 실제로(實際로) 붉어진 건 쑥이 아니라 소나무 였다. [5] 물론(勿論) 압생트는 쑥 이외(以外)에도 여러가지 향초(香草)들이 들어가며, 실제로(實際로)도 쑥 향(香)보다는 다른 향신료(香辛料)의 향(香)이 더 많이 올라온다.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압생트 문서(文書) 참조(參照). [6] 위에서 서술(敍述) 했듯 히로시마 원자폭탄(原子爆彈) 이 터졌을 때 가장 먼저 자란 것이 쑥 이었다고 한다. [7] 사람이 식사(食事) 없이 버틸 수 있는 시간(時間)이 3주(株)이기 때문에 나온 말이라는 썰도 있는데, 그런 이유(理由)보다는 전통적(傳統的)으로 삼칠일(三七日)이 길(吉)한 날로 인식(認識) 되어 온 것과 연관(聯關)이 있을 것이다. 참조(參照)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