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메꽃 - 나무위키

메꽃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분류(分類)
[ 펼치기 · 접기 ]
십자(十字)
화과(花果)
배추속
기타
가지
가지과(科) (고추속)
가지과(科) (가지속)
나팔꽃(喇叭꽃)과
천남성(天南星)과
범의귀과
박(朴)과
석죽(石竹)
비름과(비름科)
기타
미나
리목(梨木)
미나리과(科)
두릅나무과(科)
비짜
루(壘)목
비짜루과
수선화과(水仙花科)(부추속)
아욱과(아욱科)
국화(國花)
국화과(菊花科)
초롱꽃과(초롱꽃科)
콩과
버섯류(類)
기타
※: 과채류(果菜類), 견과류(堅果類), 곡류(穀類), 균류(菌類)이지만 채소(菜蔬)로 보기도 함
비가공(非加工) 식품(食品)/재배(栽培)물 기타 틀: 고기 · 곡물(穀物) · 과일 · 채소(菜蔬) · 해조류(海藻類) · 향신료(香辛料)
메꽃 (메)
Japanese bindtree, Day glory
메꽃1
학명(學名)
Calystegia sepium var. japonica
(Choisy) Makino
분류(分類)
현화식물문(顯花植物門)(Anthophyta)
쌍떡잎식물강(雙떡잎植物江)(Dicotyledoneae)
가지목(Solanales)
메꽃과(메꽃科)(Convolvulaceae)
메꽃속 ( Calystegia )
메꽃 ( C. c. var. japonica )
1 . 개요(槪要) 2 . 생태(生態) 3 . 나팔꽃(喇叭꽃)과 구분(區分)하는 법(法) 4 . 기타

1. 개요(槪要) [편집(編輯)]

메꽃은 메꽃과(메꽃科)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 한국(韓國)·중국(中國)·일본(日本) 등지(等地)에 분포(分布)한다.

2. 생태(生態) [편집(編輯)]

땅 속의 백색(白色) 뿌리줄기에서 덩굴성(덩굴性) 줄기가 나와 다른 것에 감겨 올라간다. 감는 방향(方向)은 왼쪽(반시계방향(半時計方向))으로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길고, 긴 타원형(楕圓形) 바소꼴이며, 잎밑이 귀 모양(模樣)이다. 꽃은 여름에 잎겨드랑이에서 긴 꽃줄기가 나와 자루 끝에 엷은 홍색(紅色)으로 큰 꽃이 핀다. 꽃받침은 5조각이고 녹색(綠色) 꽃턱잎이 양면(兩面)으로 싸며 꽃부리는 깔때기 모양(模樣)이다. 수술(手術) 5개(個)에 암술 1개(個)가 있는데, 꽃을 왕성(旺盛)하게 피우는 것에 비해 보통(普通) 씨앗을 잘 맺지 않는다.

뿌리줄기와 어린잎은 식용(食用)하며 그 덕(德)에 옛날에 먹을 것이 없던 시절(時節)엔 구황작물(救荒作物)로 널리 쓰였다. 뿌리줄기는 번식력(繁殖力)이 왕성(旺盛)해서 뿌리줄기를 반(半)으로 갈라놔서 다른 곳에 옮겨 심어도 싹이 튼다. 그래서 밭을 가는 시기(時期)에 행여나(幸여나) 메꽃이 침입(侵入)하면 그야말로 성가신 존재(存在)가 돼 버린다. 땅을 갈수록 메꽃의 뿌리줄기는 나뉘어지고 그 나뉘어진 줄기에서 싹이 다 트면 그야말로 헬게이트 확정(確定)이니...이처럼 뿌리줄기의 번식력(繁殖力)이 강(剛)하기에 씨를 잘 안맺고도 번식(繁殖)에 큰 문제(問題)가 없고 꽃피우는데 양분(養分)을 낭비(浪費)해도 아쉬울게 없을정도로 잘자라(...) 씨(氏)를 유전적(遺傳的) 다양성(多樣性)만 조금 보존(保存)할정도로 잘 안 맺는 방향(方向)으로 진화(進化)했는지도 모른다.

3. 나팔꽃(喇叭꽃)과 구분(區分)하는 법(法) [편집(編輯)]

당연(當然)하게도 메꽃과(메꽃科)에 함께 속(屬)하는 친척(親戚)뻘인 나팔꽃(喇叭꽃) 과 언뜻 꽃모양(模樣)이 비슷해서 처음 보는 사람들은 혼동(混同)하지만 차이점(差異點)을 알면 쉽게 구분(區分)할 수 있다. 처음 싹을 틔워 잎을 낼 적에 나팔꽃(喇叭꽃)은 본잎(本잎)이 나오고 덩굴을 뻗지만, 메꽃은 먼저 덩굴을 뻗은 뒤 본잎(本잎)을 낸다. 꽃으로도 쉽게 구분(區分)할 수 있다. 나팔꽃(喇叭꽃)은 색(色)이 다양한 반면(反面)에 메꽃은 엷은 홍색(紅色) 하나밖에 없고, 나팔꽃(喇叭꽃)은 오후(午後)가 되면 시들어버리는 반면(反面)에 메꽃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 차이점(差異點)이다. 또한 이파리도 메꽃이 나팔꽃(喇叭꽃)보다 더 길다랗다. 나팔꽃(喇叭꽃)은 원산지(原産地)인 인도(印度)에서는 여러해살이지만 그보다 북쪽(北쪽)인 우리나라에서는 1년(年)밖에 못 사는 한해살이풀인 반면(反面), 메꽃은 여러해살이풀이다. 고구마 , 유홍초(留紅草)와도 닮았는데 당연히(當然히) 이 둘도 메꽃과(메꽃科)에 속(屬)하는 식물(植物)이기 때문에 생태(生態)가 비슷함이 딩연하다.

4. 기타 [편집(編輯)]

  • 메꽃의 땅속줄기는 가늘지만 고구마와 비슷하게 녹말(綠末)을 저장(貯藏)하는 역할(役割)을 한다. 보릿고개가 있던 시절(時節)엔 메꽃의 뿌리를 캐 먹기도 했다.
  • 동요(童謠) <햇볕은 쨍쨍>의 2절(節)에서 '호미 들고 괭이 메고 뻗어가는 메를 캐어'라는 가사(歌詞)가 나오는데, 그 '메' 때문에 쟁반노래방(錚盤노래房)에서 이 노래 가 나왔을 때 결국(結局) 추리(推理)하지 못해 실패(失敗)한 적이 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