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김재순 - 나무위키

김재순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 펼치기 · 접기 ]

국회부의장(國會副議長) · 임시(臨時)의정원 의장(議長)
김재순 관련(關聯)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외무부차관(外務部次官) (1948~1998)
초대(招待)
고창일
제(第)2대(代)
조정환
제(第)3대(代)
박암(薄暗)
제(第)4대(代)
갈홍기
제(第)5대(代)
조정환
제(第)6대(代)
김동조

제(第)7대(代)
최규하
제(第)8대(代)
이수영
제(第)9대(代)(정무(政務))
우희창
제(第)9대(代)(사무(事務))
김용식
제(第)10대(代)(정무(政務))
김재순
제(第)10대(代)(사무(事務))
이수영
제(第)11대(代)
박동진
제(第)12대(代)
이원경
제(第)13대(代)
최문경

제(第)14대(代)
정일영(鄭一永)
제(第)15대(代)
문덕주
제(第)16대(代)
김영주(金榮珠)
제(第)17대(代)
진필식
제(第)18대(代)
윤석헌
제(第)19대(代)
노신영(盧信永)

제(第)20대(代)
윤하정
제(第)21대(代)
이민용
제(第)22대(代)
김동휘
제(第)23대(代)
노재원
제(第)24대(代)
이상옥(李相玉)
제(第)25대(代)
오재희
제(第)26대(代)
박쌍용
제(第)27대(代)
신동원
제(第)28대(代)
유종하
제(第)29대(代)
노창희
제(第)30대(代)
홍순영
제(第)31대(代)
박건우
제(第)32대(代)
이시영
제(第)33대(代)
이기주

외교통상부차관(外交通商部次官) (1998~2005)
초대(招待)
선준영
제(第)2대(代)
반기문
제(第)3대(代)
최성홍
제(第)4대(代)
김항경

제(第)5대(代)
김재섭
제(第)6대(代)
최영진
제(第)7대(代)
이태식
외교통상부(外交通商部) 제(第)1차관(次官) (2005~2013)
제(第)8대(代)
이태식
제(第)9대(代)
유명환
제(第)10대(代)
조중표

제(第)11대(代)
권종락
제(第)12대(代)
신각수
제(第)13대(代)
박석환
제(第)14대(代)
안호영

외교부(外交部) 제(第)1차관(次官) (2013~현재(現在))
초대(招待)
김규현(金奎顯)
제(第)2대(代)
조태용
제(第)3대(代)
임성남
제(第)4대(代)
조현(朝見)
제(第)5대(代)
조세영(調世英)
제(第)6대(代)
최종건
제(第)7대(代)
조현동
제(第)8대(代)
장호진
제(第)9대(代)
김홍균

정부상징
기획재정부 제1차관
[ 펼치기 · 접기 ]
재무부차관(次官) (1948~1994)
초대(招待)
장희창
제(第)2대(代)
김유택
제(第)3대(代)
박희현
제(第)4대(代)
강성태
제(第)5대(代)
김영찬
제(第)6대(代)
윤인상
제(第)7대(代)
천병규
제(第)8대(代)
오림근
제(第)9대(代)
박종식
제(第)10대(代)
김용갑(金容甲)
제(第)10대(代)(사무(事務))
김용갑(金容甲)
초대(招待)(정무(政務))
서정귀 · 김재순
제(第)11대(代)
이한빈
제(第)12대(代)
정인환
제(第)13대(代)
김정렴
제(第)14대(代)
오범식
제(第)15대(代)
고범준
제(第)16대(代)
서봉균
제(第)17대(代)
이호범
제(第)18대(代)
민영훈
제(第)19대(代)
정소영
제(第)20대(代)
이재설
제(第)21대(代)
김원기
제(第)22대(代)
김용환
제(第)23대(代)
최각규
제(第)24대(代)
남상진
제(第)25대(代)
조충훈
제(第)26대(代)
박봉환
제(第)27대(代)
정인용
제(第)28대(代)
강경식
제(第)29대(代)
김흥기
제(第)30대(代)
이기욱
제(第)31대(代)
주병국
제(第)32대(代)
정영의
제(第)33대(代)
이형구
제(第)34대(代)
이동호
제(第)35대(代)
진념
제(第)36대(代)
이수휴
제(第)37대(代)
백원구
제(第)38대(代)
김용진
경제기획원차관(經濟企劃院次官) (1961~1994)
초대(招待)
송정범
제(第)2대(代)
차균희
제(第)3대(代)
김학렬
제(第)4대(代)
김태동
제(第)5대(代)
장예준
제(第)6대(代)
이재설
제(第)7대(代)
최각규
제(第)8대(代)
장덕진
제(第)9대(代)
서석준
제(第)10대(代)
정재석
제(第)11대(代)
이선기
제(第)12대(代)
서석준
제(第)13대(代)
최창락
제(第)14대(代)
정인용
제(第)15대(代)
김흥기
제(第)16대(代)
문희갑
제(第)17대(代)
이형구
제(第)18대(代)
이진설
제(第)19대(代)
진념
제(第)20대(代)
강현욱
제(第)21대(代)
한갑수
제(第)22대(代)
김영태
제(第)23대(代)
한이헌
제(第)24대(代)
강봉균

재정경제원차관(財政經濟院次官) (1994~1998)
초대(招待)
이석채(李錫采)
제(第)2대(代)
이환균
제(第)3대(代)
임창열
제(第)4대(代)
강만수
재정경제부차관(財政經濟部次官) (1998~2005)
초대(招待)
정덕구
제(第)2대(代)
엄낙용
제(第)3대(代)
이정재
제(第)4대(代)
김진표(金振杓)


재정경제부(財政經濟部) 제(第)1차관(次官) (2005~2008)
초대(招待)
박병원
제(第)2대(代)
김석동

기획예산처차관(企劃豫算處次官) (1999~2008)
초대(招待)
최종찬
제(第)2대(代)
김병일
제(第)3대(代)
박봉흠
제(第)4대(代)
변양균

제(第)5대(代)
장병완
제(第)6대(代)
정해방
제(第)7대(代)
반장식

기획재정부(企劃財政部) 제(第)1차관(次官) (2008~현재(現在))
초대(招待)
최중경
제(第)2대(代)
김동수(金東秀)
제(第)3대(代)
허경욱
제(第)4대(代)
임종룡(任鍾龍)
제(第)5대(代)
신제윤
제(第)6대(代)
추경호(秋慶鎬)
제(第)7대(代)
주형환
제(第)8대(代)
최상목
제(第)9대(代)
고형권
제(第)10대(代)
이호승
제(第)11대(代)
김용범(金容範)
제(第)12대(代)
이억원(李億遠)
제(第)13대(代)
방기선
제(第)14대(代)
김병환

제(第)4대(代)
최규옥
제(第)5대(代)
김재순
선거구(選擧區) 개편(改編)
김재순 [1]
선거구(選擧區) 개편(改編)
김재순 [2]
제(第)6-8대(代)
김재순
선거구(選擧區) 개편(改編)
손승덕 [A]
홍창섭 [A]
선거구(選擧區) 개편(改編)
신철균 [B]
이민섭 [B]
제(第)13-14대(代)
김재순
[7]
제(第)14대(代)
이용삼

김재순국회의장
출생(出生)
사망(死亡)
2016년(年) 5월(月) 17일(日) (향년(享年) 89세(歲))
묘소(墓所)
국립서울현충원 제(第)3유공자묘역(有功者墓域) 12번(番)
본관(本館)
호(號)
우암(尤庵)(友巖)
재임기간(在任期間)
제(第)13대(代) 전반기(前半期) 국회의장(國會議長)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配偶者)
이용자(利用者)
자녀(子女)
아들 김성진(金聖鎭), 김성린, 김성봉, 김성구
학력(學歷)
의원(議員) 선수(選手)
7
의원(議員) 대수(臺數)
5 , 6 , 7 , 8 , 9 , 13 , 14
경력(經歷)
국회(國會) 상공위원장(商工委員長)
국회(國會) 재경위원장(財經委員長)
민주(民主)공화당 원내총무(院內總務)
제(第)13대(代) 국회의장(國會議長) 전반기(前半期)
민주정의당(民主正義黨) 총재(總裁) 상임고문(常任顧問)
대한적십자사(大韓赤十字社) 중앙위원(中央委員)
한일의원연맹 회장(會長)
사단법인(社團法人) 샘터사 이사장(理事長)
서울대학교총동창회(서울大學校總同窓會) 제(第)15,16,17,18대(代) 회장(會長)
사단법인(社團法人) 신아세아질서연구회(新亞細亞秩序硏究會) 고문(拷問)
대통령통일고문회의(大統領統一顧問會議) 의장(議長)
국제(國際) VACCINE연구소(硏究所) 한국후원회(韓國後援會) 회장(會長)
제(第)5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강원(江原) 양구군(楊口郡)/민주당)
제(第)6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철원(鐵圓),양구(楊口),화천군(華川郡)/민주(民主)공화당)
제(第)7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철원(鐵圓),양구(楊口),화천군(華川郡)/민주(民主)공화당)
제(第)8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철원(鐵圓),양구(楊口),화천군(華川郡)/민주(民主)공화당)
제(第)9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유신정우회(政友會))
제(第)13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화천군(華川郡),철원군(鐵原郡)/민주정의당(民主正義黨))
제(第)14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화천군(華川郡),철원군(鐵原郡)/민주자유당(民主自由黨))
1 . 개요(槪要) 2 . 생애(生涯) 3 . 선거(選擧) 이력(履歷) 4 . 소속(所屬) 정당(政黨) 5 . 둘러보기

1. 개요(槪要) [편집(編輯)]

2. 생애(生涯) [편집(編輯)]

1926년(年) 평안남도(平安南道) 대동군(大同郡) 대동강(大同江)면 토성리에서 태어났다. 주기철 목사(牧師)에게 세례(洗禮)를 받고, 조만식 장로(長老)의 영향(影響)을 많이 받았다. 광복(光復) 직후(直後) 평양(平壤) 신사(神社) 를 불태웠으나, 조만식(曺晩植)의 "네가 할 일은 신사(神社)를 태우는 게 아니라 공부(工夫)에 전념(專念)하는 것"라는 조언(助言)에 월남(越南)해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상과대학(商科大學) 경제학과(經濟學科)를 졸업(卒業)하였다.

주요한 의 선거(選擧) 사무장(事務長)을 지냈으며, 민주당 선전차장(宣傳次長)으로 제(第)3대(代)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 당시(當時)에 '못 살겠다 갈아보자' 구호(救護) 선정(選定)에 참여(參與)했다. 1958년(年) 제(第)4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서 민주당(民主黨) 후보(候補)로 양구군(楊口郡) 선거구(選擧區)에 출마(出馬)하였으나 자유당(自由黨) 최규옥 후보(候補)에 밀려 낙선(落選)하였다. 제(第)5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서 민주당(民主黨) 후보(候補)로 양구군(楊口郡) 선거구(選擧區)에 출마(出馬)하여 당선(當選)되었다. 당시(當時) 김영삼, 박준규(朴浚圭) 등(等)과 민주당 구파(舊派)에 속(屬)하였다. 같은 해 말(末) 민주당을 탈당(脫黨)하여 신민당(新民黨) 에 몸담았다.

그러나 5.16 군사정변(軍事政變) 후(後) 박정희(朴正熙) 가 실권(實權)을 잡으면서 박준규(朴浚圭) 등(等)과 함께 여당(與黨)인 민주(民主)공화당 에 입당(入黨)하였다. 이후(以後) 제(第)6대(代), 7대(代), 8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에서 철원군(鐵原郡) - 화천군(華川郡) -양구군(楊口郡) 선거구(選擧區)에 출마(出馬)하여 당선(當選)되었다. 1970년(年)에는 교양지(敎養誌)인 월간지(月刊誌) < 샘터 >를 창간(創刊)하였다. [12] 당시(當時) 잡지(雜誌)는 벗겨야(...)한다는 한 업계(業界) 관계자(關係者)의 조언(助言)에 "댁(宅)은 벗기시오. 나는 입히겠습니다"라고 했다고.

3선(選) 개헌(改憲) 을 마지막 출마(出馬)라는 다짐을 받고 적극(積極) 추진(推進)하였으며, 1971년(年) 민주(民主)공화당 원내총무(院內總務)에 선출(選出)되었다. 그러나 10.2 항명(抗命) 파동(波動) 당시(當時) 항명(抗命)을 제대로 막지 못하였다는 이유(理由)로 중앙정보부(中央情報部) 에 끌려가서 고문(拷問)을 당(當)하고 원내총무직(院內總務職)에서 사퇴(辭退)하여야 했다. 개인(個人) 증언(證言) 따르면 10월(月) 유신(維新) 당시(當時)에 사전(事前) 통보(通報)를 받지 못해 '박정희(朴正熙) 그릇이 그것 밖에 안되냐'며 일갈(一喝)했다고 한다. [13]

1973년(年) 제(第)9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서는 유신정우회(政友會) 제(第)1기(期) 국회의원(國會議員)으로 당선(當選)되었다. 이후(以後) 제(第)10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서 민주(民主)공화당 공천(公薦)을 받지 못하자 무소속(無所屬) 으로 춘천시(春川市) -춘성군-철원군(鐵原郡)-화천군(華川郡)-양구군(楊口郡) 선거구(選擧區)에 출마(出馬)하였다가 민주공화당 손승덕 후보(候補)와 신민당(新民黨) 김준섭 후보(候補)에 밀려 낙선(落選)하였다. 이후(以後) 전두환(全斗煥) 정권(政權)이 들어서자 정치규제(政治規制)를 당(當)하지 않았음에도 정치(政治)를 잠시(暫時) 멀리하고 월간지(月刊誌) 샘터 발행(發行)에 전념(專念)하였다. [14]

1988년(年) 제(第)13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서 민주정의당(民主正義黨) 후보(候補)로 철원군(鐵原郡)-화천군(華川郡) 선거구(選擧區)에 출마(出馬)하여 당선(當選)되었다. 그리고 제(第)13대(代) 국회(國會) 전반기(前半期) 국회의장(國會議長) 에 선출(選出)되었다.

국회의장(國會議長) 시절(時節)에는 제(第)13대(代) 국회(國會) 초반부(草飯部)의 민주정의당(民主正義黨) - 평화(平和)민주당 - 통일민주당(統一民主黨) - 신민주(新民主)공화당 4당(黨) 체제(體制) 를 '황금(黃金) 분할(分割)' 이라고 평가(評價)했다. [15]

1992년(年) 제(第)14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서도 민주자유당(民主自由黨) 후보(候補)로 같은 선거구(選擧區)에 출마(出馬)하여 당선(當選)되었다.
external/image.c...
김재순 국회의장(國會議長)
그러나 문민정부(文民政府) 출범(出帆) 이후(以後) 재산(財産) 공개(公開) 과정(過程)에서 축소(縮小) 공개(公開) 등(等)이 논란(論難)이 되어 국회의원직(國會議員職)을 사퇴(辭退)하였다. 이 때 토사구팽(兎死狗烹) 이라는 말을 남기면서 배신감(背信感)을 나타내었다. [16] 이후(以後), 1994년(年)부터 2002년(年) 3월(月)까지 서울대(對) 총동창회장(總同窓會長)을 역임(歷任)하였다.

2016년(年) 5월(月) 17일(日) 노환(老患)으로 사망(死亡)했다.

철원(鐵圓)에서 4선(線) 국회의원(國會議員)을 하는 동안 가장 자랑스러워한 업적(業績)은 토교(土窖) 저수지(貯水池)였다고 한다.

3. 선거(選擧) 이력(履歷) [편집(編輯)]

연도(鳶島)
선거(選擧) 종류(種類)
선거구(選擧區)
소속(所屬) 정당(政黨)
득표수(得票數) (득표율(得票率))
당선(當選) 여부(與否)
비고(備考)
1958
강원(江原) 14 [17]
민주당 1955년 글자
15,981 (48.95%)
낙선(落選) (2위(位))
1960
3,597 (27.54%)
당선(當選) (1위(位))
초선(初選) [18]
1963
강원(江原) 6 [19]
민주공화당 글씨만
20,880 (42.69%)
재선(再選)
1967
39,747 (66.73%)
3선(選)
1971
34,755 (61.68%)
4선(選)
1973
전국구(全國區)
유신정우회 한글로고
통일주체국민회의 선출(選出)
당선(當選)
5선(線) [20]
1978
강원(江原) 1 [21]
29,024 (19.05%)
낙선(落選) (3위(位))
1988
강원(講院) 철원(鐵圓)·화천(華川)
민주정의당 글자
20,159 (41.78%)
당선(當選) (1위(位))
6선(線) [22]
1992
민주자유당 글자
15,855 (36.48%)
7선(線) [23]

4. 소속(所屬) 정당(政黨) [편집(編輯)]

소속(所屬)
기간(期間)
비고(備考)
1954 - 1955
정계(政界) 입문(入門)
민주당 1955년 글자
1955 - 1960
합당(合當) [27]
1960
탈당(脫黨) [28]
신민당1960글자
1960 - 1961
창당(創黨)
1961 - 1963
정당(政黨) 해산(解散) [29]
민주공화당 글씨만
1963 - 1973
창당(創黨)
1973
탈당(脫黨)
유신정우회 한글로고
1973 - 1978
입당(入黨)
1978 - 1988
탈당(脫黨)
민주정의당 글자
1988 - 1990
입당(入黨)
민주자유당 글자
1990 - 1993
합당(合當) [30]
1993 - 2002
탈당(脫黨) [31]
정계(政界) 은퇴(隱退)
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
2002 - 2012
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
2012 - 2016
당명(黨名) 변경(變更)
작고

5. 둘러보기 [편집(編輯)]

[ 펼치기 · 접기 ]
박승재
이상회(以上回)
홍세기
임인규
신영순
이행구
유승번
석준규
김두윤

[1] 강원(江原) 제(第)6선거구(選擧區)의 제(第)6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이다. [2] 강원(江原) 제(第)14선거구(選擧區)의 제(第)5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이다. [A] 3.1 3.2 춘천군(春川郡)·춘성군·철원군(鐵原郡)·화천군(華川郡)·양구군(楊口郡) 선거구(選擧區)의 제(第)9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이다. [B] 5.1 5.2 춘천시(春川市)·춘성군·철원군(鐵原郡)·화천군(華川郡) 선거구(選擧區)의 제(第)12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이다. [7] 공직자(公職者) 재산공개파동(財産公開波動)으로 인한 의원직(議員職) 사퇴(辭退). [8] 본래(本來) 1923년(年) 생으로(生으로) 알려져 있으나 1926년(年) 생(生)이 맞으며 6.25 끝나고 서울로 돌아온 후(後) 호적재정리(戶籍再整理) 때 실수(失手)로 올라간 걸 수정(修正)하지 않고 내버려둬서 23년생(年生)으로 기록(記錄)되고 있다. [9] 인근(隣近)의 두단리(單利)·석암리와 함께 전주(全州) 김씨(金氏) 집성촌(集姓村)이다. [10] 이북(以北)5도위원회(道委員會) 기준(基準)으로는 평양시(平壤時) 토성리. [11] # . [12] 2020년(年)에 창간(創刊) 50주년(周年) 및 500호(號) 발행(發行)을 기록(記錄)했다. 현재(現在) 그의 아들 김성구 씨(氏)가 발행인(發行人)을 맡고 있다. [13] 물론(勿論) 이런 증언(證言)들은 후일(後日) 샘터를 통해 나온 증언(證言)이므로 어느정도(程度)는 에누리하고 들어야 한다. 본인(本人)이 '평안도(平安道) 기질(氣質)'이 있다고 하고 덧붙였으니 분명(分明) 직언(直言)하는 스타일은 분명했다고 봐야한다. [14] 샘터사의 대표(代表) 김성구 씨(氏)가 김재순의 아들이다. [15] # [16] 그도 그럴 것이 김재순은 민자당 내(內) 민정계(系) 중(中)에서 드물게 김영삼을 지지(支持)하고 동료(同僚) 민정계(系) 의원(議員)들의 욕(辱)을 들으면서까지 변호(辯護)해 주었다. 재산(財産) 공개(公開) 과정(過程) 당시(當時) 청와대(靑瓦臺)에서 문제(問題) 삼은 것 중(中) 하나가 하남(河南)에 있던 별장(別莊)이었는데 알고보니 그 별장(別莊)은 김영삼도(金永三度) 놀러갔던 곳이었다(...). [17] 양구군(楊口郡) [18] 1961.5.16 자격정지(資格停止)( 5.16 군사정변(軍事政變) ) [19] 철원군(鐵原郡) - 화천군(華川郡) -양구군(楊口郡) [20] 1기(期) [21] 춘천시(春川市) -춘성군-철원군(鐵原郡)-화천군(華川郡)-양구군(楊口郡) [22] 전반기(前半期) 국회의장(國會議長) [23] 1993.3.31 의원직(議員職) 사퇴(辭退) [24] 철원군(鐵原郡), 화천군(華川郡), 양구군(楊口郡) [25] 철원군(鐵原郡), 화천군(華川郡), 양구군(楊口郡) [26] 춘천시(春川市), 춘성군, 철원군(鐵原郡), 화천군(華川郡), 양구군(楊口郡) [27] 민주당(民主黨) 에 흡수(吸收) 합당(合當) [28] 당내(黨內) 노선(路線) 차이(差異)로 인한 탈당(脫黨) [29] 5·16 군사정변(軍士政變) 으로 인한 정당(政黨) 해산(解散) [30] 통일민주당(統一民主黨) , 신민주(新民主)공화당 과 신설(新設) 합당(合黨), 이른바 3당(黨) 합당(合黨) [31] 공직자(公職者) 재산(財産) 공개(公開) 파동(波動)으로 인한 의원직(議員職) 사퇴(辭退) 및 탈당(脫黨)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