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2011년(年) AFC 아시안컵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2011년(年) AFC 아시안컵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2011년(年) AFC 아시안컵
??? ????? ???????? ???? ????? 2011
개최국 카타르의 기 카타르
개최기간(開催期間) 1월(月) 7일(日) ~ 1월(月) 29일(日)
참가(參加)팀 16 (1개(個) 대륙(大陸))
경기장(競技場) 5개(個) (2개(個) 도시(都市))
결과(結果)
우승(優勝) 일본(日本)  (4번째(番째) 우승(優勝))
준우승(準優勝) 오스트레일리아
3위(位) 대한민국(大韓民國)
4위(位) 우즈베키스탄
통계(統計)
최다(最多) 득점(得點) 대한민국 구자철 (5골)
최우수(最優秀) 선수(選手) 일본 혼다 게이스케
≪  2007
2015  ≫

2011년(年) AFC 아시안컵 ( 아랍어(아랍語) : ??? ????? ???????? ???? ????? 2011) 2011년(年) 1월(月) 7일(日) 부터 1월(月) 29일(日) 까지 카타르 에서 개최(開催)된 15번째(番째) AFC 아시안컵 대회(大會)다.

1988년(年) AFC 아시안컵 이후(以後) 카타르 에서 2번째(番째)로 개최(開催)된 AFC 아시안컵이었고, 2022년(年) FIFA 월드컵 이 개최(開催)되는 국가(國家)여서 카타르의 경기장(競技場) 수용(收容) 능력(能力), 경기(競技) 진행(進行) 능력(能力)에 이목(耳目)이 집중(集中)되기도 하였다. 이후(以後) 카타르는 코로나19 및 봉쇄조치(封鎖措置)의 여파(餘波)로 개최(開催)를 포기(抛棄)한 중국(中國) 을 대신(代身)하여 2023년(年) AFC 아시안컵 을 한 번(番) 더 유치(幼稚)하게 된다.

결승전(決勝戰)에서는 일본(日本) 오스트레일리아 를 연장(延長) 접전(接戰) 끝에 리(리) 다다나리 의 결승(決勝)골로 누르고 통산(通算) 4번째(番째) 우승(優勝)을 차지하였다. 동시(同時)에 일본(日本) 2013년(年)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진출권(進出權)을 획득(獲得)하였다.

대한민국(大韓民國) 은 준결승전(準決勝戰)에서 일본(日本) 에 패(敗)해 3,4위전(位戰)으로 밀려났고, 3,4위전(位戰)에서 우즈베키스탄 을 꺾고 3위(位)를 차지했다. 구자철 이 득점왕(得點王)을 기록(記錄)했으며, 박지성 손흥민(孫興慜) 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국가대표(國家代表)팀의 일원(一員)으로 함께한 대회(大會)다. 박지성 은 이 대회(大會)를 마지막으로 국가대표(國家代表)팀에서 은퇴(隱退)했다.

마스코트 [ 편집(編輯) ]

자크리티 (??????)
색깔(色깔):      녹색(綠色)
트라나 (?????)
색깔(色깔):      보라색(보라色)
프리하(下) (?????)
색깔(色깔):      분홍색(粉紅色)
사부(師父)그 (????)
색깔(色깔):      파란색(파란色)
팀비키 (?????)
색깔(色깔):      노란색(노란色)

개최국 선정(選定) [ 편집(編輯) ]

개최국 투표(投票) 결과(結果)
카타르 카타르 6 개최(開催)
이란 이란 3 탈락(脫落)
인도 인도(印度) 1 탈락(脫落)

2011년(年) AFC 아시안컵 개최(開催) 희망(希望)하는 국가(國歌)는 카타르 , 이란 , 인도(印度) 등(等)이 유치(誘致)를 경쟁(競爭)해서 10명(名)의 집행위원(執行委員)들이 투표(投票)를 해 카타르 6점(點) 이란 3점(點) 인도(印度) 1점(點) 순위(順位)로 결국(結局) 카타르 가 2011년(年) AFC 아시안컵 개최국으로 선정(選定)되었다.

예선(豫選) [ 편집(編輯) ]

2007년(年) AFC 아시안컵 의 우승국(優勝國), 준우승국(準優勝國), 3위(位)는 개최국인 카타르 와 함께 자동(自動)으로 본선(本選)에 진출(進出)하였다. 레바논 몰디브 의 1라운드를 거쳐 20개(個)의 국가(國家)가 5개(個)의 조(組)로 나뉘어 상위(上位) 2팀이 본선(本選)에 진출(進出)하였다. 한편(한便), 이번(이番) 대회(大會)부터는 AFC 챌린지컵 우승(優勝) 국가(國家)도 본선(本選)에 진출(進出)하게 되어 2008년(年) 2010년(年) 우승국도(優勝國道) 본선(本選)에 진출(進出)하였다.

예선(豫選)은 2008년(年) 4월(月) 9일(日)부터 2010년(年) 3월(月) 3일(日)까지 진행(進行)되었다.

본선(本選) 진출(進出) 국가(國家)
   본선(本選) 진출(進出) 국가(國家)
   본선(本選) 진출(進出) 실패(失敗) 국가(國家)
국가(國家) 진출(進出) 자격(資格) 진출(進出) 확정(確定) 날짜 과거(過去) 본선(本選) 진출(進出) 횟수(回數)와 연도(鳶島) 1
카타르 개최국 2007년(年) 7월(月) 29일(日) ( 1980 , 1984 , 1988 , 1992 , 2000 , 2004 , 2007 )
이라크 2007년(年) AFC 아시안컵 우승(優勝) 2007년(年) 7월(月) 25일(日) ( 1972 , 1976 , 1996 , 2000 , 2004 , 2007 )
사우디아라비아 2007년(年) AFC 아시안컵 준우승(準優勝) 2007년(年) 7월(月) 25일(日)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7 )
대한민국(大韓民國) 2007년(年) AFC 아시안컵 3위(位) 2007년(年) 7월(月) 28일(日) ( 1956 , 1960 , 1964 , 1972 , 1980 , 1984 , 1988 , 1996 , 2000 , 2004 , 2007 )
인도(印度) 2008년(年) AFC 챌린지컵 우승(優勝) 2008년(年) 8월(月) 13일(日) ( 1964 , 1984 )
우즈베키스탄 예선(豫選) C조(組) 2위(位) 2009년(年) 11월(月) 18일(日) ( 1996 , 2000 , 2004 , 2007 )
시리아 예선(豫選) D조(組) 1위(位) 2009년(年) 11월(月) 18일(日) ( 1980 , 1984 , 1988 , 1996 )
이란 예선(豫選) E조(組) 1위(位) 2010년(年) 1월(月) 6일(日) ( 1968 ,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7 )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예선(豫選) D조(組) 2위(位) 2010년(年) 1월(月) 6일(日)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7 )
일본(日本) 예선(豫選) A조(組) 1위(位) 2010년(年) 1월(月) 6일(日)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7 )
바레인 예선(豫選) A조(組) 2위(位) 2010년(年) 1월(月) 6일(日) ( 1988 , 2004 , 2007 )
아랍에미리트 예선(豫選) C조(組) 1위(位) 2010년(年) 1월(月) 6일(日) (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4 , 2007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10년(年) AFC 챌린지컵 우승(優勝) 2010년(年) 2월(月) 27일(日) ( 1980 , 1992 )
오스트레일리아 예선(豫選) B조(組) 1위(位) 2010년(年) 3월(月) 3일(日) ( 2007 )
쿠웨이트 예선(豫選) B조(組) 2위(位) 2010년(年) 3월(月) 3일(日) (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6 , 2000 , 2004 )
요르단 예선(豫選) E조(組) 2위(位) 2010년(年) 3월(月) 3일(日) ( 2004 )
1 강조(强調)된 글씨 는 우승(優勝)한 대회(大會)

개최(開催) 도시(都市) 및 경기장(競技場) [ 편집(編輯) ]

이번(이番) 2011년(年) AFC 아시안컵은 카타르 의 수도(首都)인 도하(都下) 에서 4개(個) 경기장(競技場), 그리고 제2도시인 알라이얀 에서 1개(個) 경기장(競技場)으로 총(總) 5개(個) 경기장(競技場)이 개최(開催)가 된다. [1]

도하(都下) 도하(都下) 알라이얀
칼리파 국제경기장(國際競技場) 타니 빈 자심(滋甚) 스타디움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수용인원(收容人員): 40,000명(名) 수용인원(收容人員): 44,740명(名) 수용인원(收容人員): 44,740명(名)
도하(都下)
2011년(年) AFC 아시안컵(카타르)
수헤임 빈 하마드 스타디움
수용인원(收容人員): 12,000명(名)
도하(都下)
자심(滋甚) 빈 하마드 스타디움
수용인원(收容人員): 14,000명(名)

선수(選手) 명단(名單) [ 편집(編輯) ]

시드 배정(配定) [ 편집(編輯) ]

2011년(年) AFC 아시안컵 본선(本選) 조 추첨(抽籤)은 2010년(年) 4월(月) 23일(日) 에 실시(實施)되었다. 이 대회(大會)의 개최국인 카타르 지난 대회(大會) 에서 각각(各各) 우승(優勝), 준우승(準優勝), 3위(位)의 성적(成跡)을 거둔 이라크 , 사우디아라비아 , 대한민국(大韓民國) 은 최상위(最上位) 시드에 배정(配定)되었다.

시드 1 시드 2 시드 3 시드 4

카타르 (개최국)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大韓民國)

일본(日本)
오스트레일리아
이란
우즈베키스탄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아랍에미리트
바레인
요르단

시리아
쿠웨이트
인도(印度)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별(組別) 리그 [ 편집(編輯) ]

모든 시간(時間)은 현지(現地) 시간(時間) ( AST/UTC+3 )을 따릅니다.

A조(組) [ 편집(編輯) ]

경기(京畿) 승(勝) 패(牌) 득(得) 실(失) 차(次) 승점(勝點)
우즈베키스탄 3 2 1 0 6 3 +3 7
카타르 3 2 0 1 5 2 +3 6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3 1 1 1 4 4 0 4
쿠웨이트 3 0 0 3 1 7 -6 0

2011년(年) 1월(月) 7일(日)
19:15
카타르 0 ? 2 우즈베키스탄 도하(都下) , 칼리파 국제경기장(國際競技場)
관중(觀衆): 37,143
심판(審判): 니시무라 유이치 일본
리포트 아흐메도프 58분에 득점  58′
제파로프 77분에 득점  77′

2011년(年) 1월(月) 8일(日)
16:15
쿠웨이트 0 ? 2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도하(都下) , 알 가(街)라파 스타디움
관중(觀衆): 3,481
심판(審判): 벤 윌리엄스 오스트레일리아
리포트 장린펑 57분에 득점  57′
덩줘샹 66분에 득점  66′

2011년(年) 1월(月) 12일(日)
16:15
우즈베키스탄 2 ? 1 쿠웨이트 도하(都下) , 알 가(街)라파 스타디움
관중(觀衆): 9,394
심판(審判):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샤츠키흐 41분에 득점  41′
제파로프 64분에 득점  64′
리포트 알무타(無他)와 49분에 득점  49′ ( 패널티골(骨) )

2011년(年) 1월(月) 12일(日)
19:15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0 ? 2 카타르 도하(都下) , 칼리파 국제경기장(國際競技場)
관중(觀衆): 30,778
심판(審判): 김동진 대한민국
리포트 아흐메드 26분, 46분에 득점  26′ 46′

2011년(年) 1월(月) 16일(日)
19:15
카타르 3 ? 0 쿠웨이트 도하(都下) , 칼리파 국제경기장(國際競技場)
관중(觀衆): 28,339
심판(審判): 압둘 말리크 싱가포르
빌랄 11분에 득점  11′
엘 세예드 16분에 득점  16′
몬테지니 86분에 득점  86′
리포트

2011년(年) 1월(月) 16일(日)
19:15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2 ? 2 우즈베키스탄 도하(都下) , 알 가(街)라파 스타디움
관중(觀衆): 3,529
심판(審判): 압둘라 알힐랄리(리) 오만
위(位)하이 6분에 득점  6′
하오(下午)쥔민(民) 55분에 득점  55′
리포트 아흐메도프 30분에 득점  30′
게인리흐 46분에 득점  46′

B조(組) [ 편집(編輯) ]

경기(京畿) 승(勝) 패(牌) 득(得) 실(失) 차(次) 승점(勝點)
일본(日本) 3 2 1 0 8 2 +6 7
요르단 3 2 1 0 4 2 +2 7
시리아 3 1 0 2 4 5 -1 3
사우디아라비아 3 0 0 3 1 8 -7 0

2011년(年) 1월(月) 9일(日)
16:15
일본(日本) 1 ? 1 요르단 도하(都下) , 카타르 SC 경기장(競技場)
관중(觀衆): 6,225
심판(審判): 압둘 말리크 싱가포르
요시다 90+2분에 득점  90+2′ 리포트 압델 파타 44분에 득점  44′

2011년(年) 1월(月) 9일(日)
19:15
사우디아라비아 1 ? 2 시리아 알라이얀 , 아흐메드 빈 알리 경기장(競技場)
관중(觀衆): 16,562
심판(審判): 김동진 대한민국
알자삼(紫蔘) 60분에 득점  60′ 리포트 알후세인 38분, 63분에 득점  38′ 63′

2011년(年) 1월(月) 13일(日)
16:15
요르단 1 ? 0 사우디아라비아 알라이얀 , 아흐메드 빈 알리 경기장(競技場)
관중(觀衆): 17,349
심판(審判): 알리 알바드와위(位) 아랍에미리트
바하 41분에 득점  41′ 리포트

2011년(年) 1월(月) 13일(日)
19:15
시리아 1 ? 2 일본(日本) 도하(都下) , 카타르 SC 경기장(競技場)
관중(觀衆): 10,453
심판(審判): 모(某)르센 토키 이란
알카티브 75분에 득점  75′ ( 패널티골(骨) ) 리포트 하(下)세베 35분에 득점  35′
혼다 81분에 득점  81′ ( 페널티골 )

2011년(年) 1월(月) 17일(日)
16:15
사우디아라비아 0 ? 5 일본(日本) 알라이얀 , 아흐메드 빈 알리 경기장(競技場)
관중(觀衆): 2,022
심판(審判): 랍(臘)샨 이르마토프 우즈베키스탄
리포트 오카자키 8분, 13분, 79분에 득점  8′ 13′ 79′
마에다 18분, 50분에 득점  18′ 50′

2011년(年) 1월(月) 17일(日)
16:15
요르단 2 ? 1 시리아 도하(都下) , 카타르 SC 경기장(競技場)
관중(觀衆): 9,849
심판(審判): 압둘라만 압두(壓頭) 카타르
디아브 30분에 득점  30′ ( 자책골 )
알사이피 59분에 득점  59′
리포트 알지노(紙노) 15분에 득점  15′

C조(組) [ 편집(編輯) ]

경기(京畿) 승(勝) 패(牌) 득(得) 실(失) 차(次) 승점(勝點)
오스트레일리아 3 2 1 0 6 1 +5 7
대한민국(大韓民國) 3 2 1 0 7 3 +4 7
바레인 3 1 0 2 6 5 +1 3
인도(印度) 3 0 0 3 3 13 -10 0

2011년(年) 1월(月) 10일(日)
16:15
인도(印度) 0 ? 4 오스트레일리아 도하(都下) , 자심(滋甚) 빈 하마드 스타디움
관중(觀衆): 11,749
심판(審判): 알리 알바드와위(位) 아랍에미리트
리포트 케이힐 11분, 64분에 득점  11′ 64′
큐얼 24분에 득점  24′
홀먼 45+2분에 득점  45+2′

2011년(年) 1월(月) 10일(日)
19:15
대한민국(大韓民國) 2 ? 1 바레인 도하(都下) , 알 가(街)라파 스타디움
관중(觀衆): 6,669
심판(審判): 압둘라 알힐랄리(리) 오만
구자철 39분, 51분에 득점  39′ 51′ 리포트 아이시 85분에 득점  85′ ( 패널티골(骨) )

2011년(年) 1월(月) 14일(日)
16:15
오스트레일리아 1 ? 1 대한민국(大韓民國) 도하(都下) , 알 가(街)라파 스타디움
관중(觀衆): 15,526
심판(審判): 압둘라만 압두(壓頭) 카타르
예(例)디나크 61분에 득점  61′ 리포트 구자철 24분에 득점  24′

2011년(年) 1월(月) 14일(日)
19:15
바레인 5 ? 2 인도(印度) 도하(都下) , 자심(滋甚) 빈 하마드 스타디움
관중(觀衆): 11,032
심판(審判): 모하메드 셀렘 말레이시아
아이시 7분에 득점  7′ ( 패널티골(骨) )
이스마엘 15분, 18분, 34분, 77분에 득점  15′ 18′ 34′ 77′
리포트 구라만기(滿期) 8분에 득점  8′
체트리 52분에 득점  52′

2011년(年) 1월(月) 18일(日)
16:15
대한민국(大韓民國) 4 ? 1 인도(印度) 도하(都下) , 알 가(街)라파 스타디움
관중(觀衆): 11,366
심판(審判): 칼릴 알감디 사우디아라비아
지동원 6분, 23분에 득점  6′ 23′
구자철 9분에 득점  9′
손흥민(孫興慜) 81분에 득점  81′
리포트 체트리 12분에 득점  12′ ( 패널티골(骨) )

2011년(年) 1월(月) 18일(日)
16:15
오스트레일리아 1 ? 0 바레인 도하(都下) , 자심(滋甚) 빈 하마드 스타디움
관중(觀衆): 3,919
심판(審判): 니시무라 유이치 일본
예(例)디나크 36분에 득점  36′ 리포트

D조(組) [ 편집(編輯) ]

경기(京畿) 승(勝) 패(牌) 득(得) 실(失) 차(次) 승점(勝點)
이란 3 3 0 0 6 1 +5 9
이라크 3 2 0 1 3 2 +1 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0 1 2 0 2 -2 1
아랍에미리트 3 0 1 2 0 4 -4 1

2011년(年) 1월(月) 11일(日)
16:1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0 ? 0 아랍에미리트 도하(都下) , 카타르 SC 경기장(競技場)
관중(觀衆): 3,639
심판(審判): 모하메드 셀렘 말레이시아
리포트

2011년(年) 1월(月) 11일(日)
19:15
이라크 1 ? 2 이란 알라이얀 , 아흐메드 빈 알리 경기장(競技場)
관중(觀衆): 10,478
심판(審判): 랍(臘)샨 이르마토프 우즈베키스탄
마무드 13분에 득점  13′ 리포트 레자에이 41분에 득점  41′
모발리(毛髮리) 83분에 득점  83′

2011년(年) 1월(月) 15일(日)
16:15
이란 1 ? 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도하(都下) , 카타르 SC 경기장(競技場)
관중(觀衆): 6,488
심판(審判):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안사리파르드 62분에 득점  62′ 리포트

2011년(年) 1월(月) 15일(日)
19:15
아랍에미리트 0 ? 1 이라크 알라이얀 , 아흐메드 빈 알리 경기장(競技場)
관중(觀衆): 7,233
심판(審判): 니시무라 유이치 일본
리포트 왈리드 90+3분에 득점  90+3′ ( 자책골 )

2011년(年) 1월(月) 19일(日)
19:15
이라크 1 ? 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알라이얀 , 아흐메드 빈 알리 경기장(競技場)
관중(觀衆): 4,111
심판(審判): 모하메드 셀렘 말레이시아
카라르 21분에 득점  21′ 리포트

2011년(年) 1월(月) 19일(日)
19:15
아랍에미리트 0 ? 3 이란 도하(都下) , 카타르 SC 경기장(競技場)
관중(觀衆): 5,012
심판(審判): 김동진 대한민국
리포트 아라시(視) 70분에 득점  70′
노리(露里) 83분에 득점  83′
왈리드 90+3분에 득점  90+3′ ( 자책골 )

결선(決選) 토너먼트 [ 편집(編輯) ]

모든 시간(時間)은 현지(現地) 시간(時間)( AST/UTC+3 )을 따릅니다.

 
8강전(强戰) 준결승전(準決勝戰) 결승전(決勝戰)
 
                   
 
1월(月) 21일(日) - 도하(都下)
 
 
우즈베키스탄 2
 
1월(月) 25일(日) - 도하(都下)
 
요르단 1
 
우즈베키스탄 0
 
1월(月) 22일(日) - 도하(都下)
 
오스트레일리아 6
 
오스트레일리아 ( AET ) 1
 
1월(月) 29일(日) - 도하(都下)
 
이라크 0
 
오스트레일리아 0
 
1월(月) 21일(日) - 도하(都下)
 
일본(日本) ( AET ) 1
 
일본(日本) 3
 
1월(月) 25일(日) - 도하(都下)
 
카타르 2
 
일본(日本) ( PSO ) 2 (3)
 
1월(月) 22일(日) - 도하(都下)
 
대한민국(大韓民國) 2 (0) 3위(位) 결정전(決定戰)
 
이란 0
 
1월(月) 28일(日) - 도하(都下)
 
대한민국(大韓民國) ( AET ) 1
 
우즈베키스탄 2
 
 
대한민국(大韓民國) 3
 

8강전(强戰) [ 편집(編輯) ]


2011년(年) 1월(月) 21일(日)
16:25
일본(日本) 3 ? 2 카타르 도하(都下) , 알 가(街)라파 스타디움
관중(觀衆): 19,479
심판(審判): 모하메드 셀렘 말레이시아
가가와 29분, 71분에 득점  29′ 71′
이노하 90분에 득점  90′
리포트 소리아 13분에 득점  13′
몬테지니 63분에 득점  63′

2011년(年) 1월(月) 21일(日)
19:25
우즈베키스탄 2 ? 1 요르단 도하(都下) , 칼리파 국제경기장(國際競技場)
관중(觀衆): 16,073
심판(審判): 압둘 말리크 싱가포르
바카예프 47분, 49분에 득점  47′ 49′ 리포트 바샤르 58분에 득점  58′

2011년(年) 1월(月) 22일(日)
16:25
오스트레일리아 1 ? 0
( 연장전(延長戰) )
이라크 도하(都下) , 자심(滋甚) 빈 하마드 스타디움
관중(觀衆): 7,889
심판(審判): 압둘라만 압두(壓頭) 카타르
큐얼 118분에 득점  118′ 리포트

2011년(年) 1월(月) 22일(日)
19:25
이란 0 ? 1
( 연장전(延長戰) )
대한민국(大韓民國) 도하(都下) , 카타르 SC 경기장(競技場)
관중(觀衆): 7,111
심판(審判): 랍(臘)샨 이르마토프 우즈베키스탄
리포트 윤(尹)빛가람(伽藍) 105분에 득점  105′

준결승전(準決勝戰) [ 편집(編輯) ]


2011년(年) 1월(月) 25일(日)
16:25
일본(日本) 2 ? 2
( 연장전(延長戰) )
대한민국(大韓民國) 도하(都下) , 알 가(街)라파 스타디움
관중(觀衆): 16,171
심판(審判): 칼릴 알감디 사우디아라비아
마에다 36분에 득점  36′
호소(呼訴)가이 97분에 득점  97′
리포트 기성용(奇誠庸) 23분에 득점  23′ ( 패널티골(骨) )
황재원 120분에 득점  120′
    승부차기(勝負차기)  
혼다 성공
오카자키 성공
나가토모 실패
곤노 성공
3 ? 0 실패 구자철
실패 이용래
실패 홍정호

2011년(年) 1월(月) 25일(日)
19:25
우즈베키스탄 0 ? 6 오스트레일리아 도하(都下) , 칼리파 국제경기장(國際競技場)
관중(觀衆): 24,826
심판(審判): 알리 알바드와위(位) 아랍에미리트
리포트 큐얼 5분에 득점  5′
사샤 34분에 득점  34′
카니 65분에 득점  65′
에머튼 74분에 득점  74′
발레리 82분에 득점  82′
크루즈 83분에 득점  83′

3·4위전(位戰) [ 편집(編輯) ]


2011년(年) 1월(月) 28일(日)
18:00
우즈베키스탄 2 ? 3 대한민국(大韓民國) 자심(滋甚) 빈 하마드 스타디움 , 도하(都下)
관중(觀衆): 8,199
심판(審判): 말릭 압둘 바쉬르 싱가포르
게인리흐 45분에 득점  45′ ( 패널티골(骨) )
53분에 득점  53′
리포트 구자철 18분에 득점  18′
지동원 28분, 39분에 득점  28′ 39′

결승전(決勝戰) [ 편집(編輯) ]


2011년(年) 1월(月) 29일(日)
18:00
오스트레일리아 0 ? 1
( 연장전(延長戰) )
일본(日本) 도하(都下) , 칼리파 국제경기장(國際競技場)
관중(觀衆): 37,174
심판(審判): 랍(臘)샨 이르마토프 우즈베키스탄
리포트 다다나리 109분에 득점  109′

우승국(優勝國) [ 편집(編輯) ]

AFC 아시안컵 우승(優勝)

일본
일본(日本)

1992년 AFC 아시안컵2000년 AFC 아시안컵2004년 AFC 아시안컵2011년 AFC 아시안컵
제(第)15대(代) 아시아 챔피언(4회(回) 우승(優勝))
1992년(年) ? 2000년(年) ? 2004년(年) ? 2011년(年)

수상(受賞) [ 편집(編輯) ]

최고(最高) 득점자(得點者) MVP 페어플레이
대한민국 구자철 일본 혼다 케이스케 대한민국(大韓民國)

올스타 팀 [ 편집(編輯) ]

골키퍼 수비수(守備手) 미드필더 공격수(攻擊手)

오스트레일리아 마크 슈워처(妻)

일본 나가토모 유토
오스트레일리아 루커스 닐
우즈베키스탄 오딜 아흐메도프
대한민국 차두리

대한민국 구자철
일본 혼다 게이스케
일본 하(下)세베 마코토

대한민국 박지성
오스트레일리아 해리(海里) 큐얼
일본 가가(假家)와 신지

최종(最終) 순위(順位) [ 편집(編輯) ]

2011년(年) AFC 아시안컵 순위(順位)
순위(順位) 경기수(競技數) 승(勝) 패(牌) 득(得) 실(失) 득실차(得失差) 승점(勝點) 차기대회(次期大會)
예선면제(豫選免除)
1 일본(日本) 6 4 2 0 14 6 +8 14
2 오스트레일리아 6 4 1 1 13 2 +11 13
3 대한민국(大韓民國) 6 4 2 0 13 7 +6 14
4 우즈베키스탄 6 3 1 2 10 13 -3 10
5 이란 4 3 0 1 6 2 +4 9
6 요르단 4 2 1 1 5 4 +1 7
7 카타르 4 2 0 2 7 5 +2 6
8 이라크 4 2 0 2 3 3 0 6
9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3 1 1 1 4 4 0 4
10 바레인 3 1 0 2 6 5 +1 3
11 시리아 3 1 0 2 4 5 -1 3
1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0 1 2 0 2 -2 1
13 아랍에미리트 3 0 1 2 0 4 -4 1
14 쿠웨이트 3 0 0 3 1 7 -6 0
15 사우디아라비아 3 0 0 3 1 8 -7 0
16 인도(印度) 3 0 0 3 3 13 -10 0
  • 우승(優勝)에서 4위(位)까지는 준결승(準決勝), 3, 4위전(位戰) 및 결승전(決勝戰) 결과(結果)로 순위(順位)를 가린다. 이전(以前) 단계(段階)에서 탈락한 팀들의 순위(順位)는 조별(組別) 리그와 동일(同一)하게 승점(勝點)-골득실차(得失差)-다득점순(多得點順)으로 가리며 모두 같을 경우(境遇) 공동(共同) 순위(順位)로 한다.
  • 8강(强)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最高) 5위(位)에서 최하(最下) 8위(位)까지이다.
  • 조별(組別) 리그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最高) 9위(位)에서 최하(最下) 16위(位)까지이다.
  • 다음 대회(大會)인 2015년(年) 아시안컵 의 개최국 오스트레일리아 가 2위(位)를 하게 되었으나 자동(自動) 진출권(進出權)이 승계되지 않으면서, [2] 우즈베키스탄 의 다음 대회(大會) 자동(自動) 진출(進出)은 무산(霧散)되었다. 따라서 우즈베키스탄은 2015년(年) 아시안컵 예선(豫選) 을 모두 거쳐, 진출권(進出權)을 획득(獲得)해야 한다.

득점(得點) 선수(選手) [ 편집(編輯) ]

해트트릭

팀 득점(得點) 기록(記錄)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AFC Organising Committee for AFC Asian Cup 2011” (영어(英語)). AFC. 2009년(年) 7월(月) 14일(日).  
  2. 김성진(金聖鎭) 기자(記者) (2011년(年) 1월(月) 24일(日)). “아시안컵 4강(强) 확정(確定), 2015년(年) 대회(大會) 자동(自動) 출전권(出戰權)은?” . 스포탈코리아.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