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携帶) 전화(電話)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 휴대전화(携帶電話) 에서 넘어옴)

1980년(年) 대(代)부터 오늘날까지의 휴대전화(携帶電話) 모습.

휴대(携帶) 전화(電話) (携帶電話, 영어(英語) : cellular phone, cellphone, mobile phone, 문화어(文化語) : 손전화(電話), 무선대화기(無線對話機))나 핸드폰 또는 휴대폰(携帶폰) 이동통신(移動通信) 서비스의 사용(使用)을 목적(目的)으로 개발(開發)된 소형(小型) 무선(無線) 전화기(電話機) 로 일반적(一般的)으로 유선(有線) 전화(電話) 의 반대(反對)말로 쓰인다. [1] 가정(家庭)에서 사용(使用)하는 무선(無線) 전화(電話) 는 선(善)이 없기는 하지만 유선(有線) 전화(電話)와 연결(連結)되는 전화(電話)이기 때문에 휴대(携帶) 전화(電話)라고 하지 않는다. 현대(現代)의 휴대(携帶) 전화(電話)는 단순히(單純히) 전화(電話) 로서의 기능(機能)만을 제공(提供)하는 것이 아니라 게임(온라인), 블루투스, 장문(狀聞) 메시지, 영상통화(映像通話), 영화(映畫) 관람(觀覽), 사진편집(寫眞編輯) 등(等) 다양한 기능(機能)을 제공(提供)하고 있다. 또, 현재(現在) 출시(出市)하고 있는 휴대(携帶) 전화(電話) 대부분(大部分)은 기지국(基地局) 셀룰러 네트워크 에 연결(連結)함으로써 PSTN 에 상호(相互) 연결(連結)한다. ( 위성(衛星) 전화(電話) 는 제외(除外).)

역사(歷史) [ 편집(編輯) ]

최초(最初)의 휴대전화(携帶電話) 발명가(發明家) 마틴 쿠퍼
최초(最初)의 휴대전화(携帶電話) 모토로라 DynaTAC 8000X

세계(世界) 최초(最初)의 휴대(携帶) 전화(電話)는 1973년(年) 모토로라 에서 근무(勤務)를 하던 마틴 쿠퍼 박사(博士)와 그의 연구(硏究)팀이 개발(開發)하였으며, 당시(當時) 무게는 약(約) 850.5그램이었다. 원천(源泉) 기술(技術)은 벨 연구소(硏究所) 조엘 엥겔 이 가지고 있었으며 벨 연구소(硏究所)는 1946년(年) 개발(開發)한 셀룰러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경찰(警察) 에 제공(提供)하였다. 현재(現在)의 카폰 과 비슷하다.

1973년(年)에 마틴 쿠퍼 박사(博士)가 개발(開發)한 기술(技術)은 이를 셀룰러 방식(方式)의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차(車) 밖으로 끌어낸 것이며 10여(餘) 년(年) 동안의 각고(刻苦)의 노력(努力) 끝에 모토로라는 1983년(年) 최초(最初)의 상용(常用) 휴대(携帶) 전화(電話) 다이나택(羅擇) (DynaTAC)을 발매(發賣)하기에 이른다.

최초(最初)로 셀룰러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 설치(設置)된 것은 1979년(年) 일본(日本) 도쿄 였으며 미국(美國)에서는 1981년(年)에 처음으로 워싱턴 D.C. 볼티모어 사이에서의 테스트가 이루어졌다.

1982년(年) 미국(美國) 연방통신위원회(聯邦通信委員會) (FCC)가 마침내 상용(常用) 셀룰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인증(認證)하였으며, 한 해가 지난 1983년(年)에는 Ameritech사(社)가 시카고 에서 미국(美國) 최초(最初)의 아날로그 셀룰러 서비스(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를 개통(開通)했다.

대한민국(大韓民國)은 1984년(年), 한국이동통신(현(現) SK텔레콤 )이 휴대(携帶) 전화(電話) 서비스를 개시(開始)했다. 이 후(後) 삐삐와 시티폰의 과도기(過渡期)를 거쳐 1990년대(年代) 후반(後半)부터 개인(個人) 이동전화(移動電話)가 본격적(本格的)으로 보급(普及)되며 휴대전화(携帶電話) 시대(時代)가 열렸다. 대한민국(大韓民國) 휴대전화(携帶電話) 시장(市場)은 삼성전자(三星電子) 애니콜 LG전자(電子) , SKY (팬택 엔 큐리텔), 모토로라, 노키아, 블랙베리 등(等)이 각축(角逐)을 벌였다. 1999년(年) 폴더 모양(模樣)의 휴대전화(携帶電話)를 삼성전자에서 처음 출시(出市)하였고 동시(同時)에 1999년(年) 5월(月) 첫 카메라폰이 출시(出市)되었다. 국내(國內)에서는 2000년(年) 삼성전자(三星電子)가 출시(出市)한 SCH-V200이 최초(最初)의 카메라폰이었다. 2001년(年)에는 세계(世界) 최초(最初)의 VOD폰이 출시(出市)되기도 하였다.

2000년대(年代) 초반(初盤)은 휴대전화(携帶電話) 업계(業界)에 여러 발전(發展)이 일어났던 시기(時期)였다. 2001년(年) 노키아가 첫 컬러 액정(液晶) 휴대전화(携帶電話)를 출시(出市)한 것을 시작(始作)으로 한국(韓國)에서는 2002년(年) 첫 TFT-LCD 컬러 휴대전화(携帶電話) SCH-X430이 출시(出市)되는 등(等) 흑백(黑白)에서 컬러로의 전환(轉換)이 이루어졌다. 국내(國內)/외(外) 휴대전화(携帶電話) 업계(業界)는 2003년(年)을 끝으로 흑백(黑白)폰 시판(市販)을 완전(完全) 중단(中斷)하면서 2000년대(年代) 중반(中盤)부터는 컬러 액정(液晶)만 시장(市場)에서 살아남게 되었다. 또한 2002년(年) 3세대(世代) 이동통신(移動通信)(3G) 시험(試驗) 서비스가 시작(始作)되어 2003년(年) 상용화(商用化)가 되며 3G로의 세대교체(世代交替)도 이루어졌다. 또한 2002년(年)까지 출시(出市)된 휴대전화(携帶電話)는 전부(全部) 안테나가 외장형(外裝型)으로 되어있어 통화(通話) 시(時) 안테나를 빼서 사용(使用)해야 했으나, 2003년(年) 2월(月) 첫 안테나 내장형(內臟型)SPH-X8300(벤츠폰)이(李) 처음 출시(出市)되어 2005년(年)부터는 모든 휴대전화(携帶電話)가 안테나 내장형(內臟型)으로 출시(出市)되게 되었다.


휴대(携帶) 전화(電話)를 세대별(世代別) 구분(區分)은 다음과 같다.

제(第) 0세대(世代)(0G) 1983년(年)~1989년(年)

대표(代表) 기종(機種) 모토로라 DynaTAC 8000X

제(第) 1세대(世代)(1G) 1989년(年)~1996년(年)

대표(代表) 기종(機種) 모토로라 microTAC 삼성(三星) 애니콜 SH-700

제(第) 2세대(世代)(2G) 1996년(年)~2002년(年)

대표(代表) 기종(機種) 모토로라 StarTAC 브이닷 삼성(三星) 애니콜 SCH-A100.A2000 SCH-X430 SK텔레텍 스카이 im-1100.2100 im-3100 im-5100, im-5400

제(第) 3세대(世代)(3G) 2002년(年)~2009년(年)

대표(代表) 기종(機種) 모토로라 RAZR.KRZR 삼성(三星) 애니콜 SCH-V300 SCH-V500 SCH-V840 LG 싸이언 LG-K8000 LG-KH5000 LG-SV590

SK텔레텍 스카이 im-6100.6400 im-7200 im-8500 im-U100

제(第) 4세대(世代)(4G) 2010년(年)~2019년(年)

대표(代表) 기종(機種) 애플 아이폰 삼성(三星) 갤럭시 S노트 시리즈 LG V 시리즈

제(第) 5세대(世代)(5G) 2019년(年)~현재(現在)

대표(代表) 기종(機種) 갤럭시 Z 폴드 Z 플립 LG WING 갤럭시s21u

형태(形態) [ 편집(編輯) ]

휴대(携帶) 전화(電話)에는 여러 형태(形態)가 있다.

  • (막대기식(式)): 최초(最初)의 휴대(携帶) 전화(電話)와 인터넷 전화기(電話機)의 일반적(一般的)인 형태(形態). 액정(液晶) 화면(畵面)과 조작(造作) 버튼이 항상(恒常) 노출(露出)되어 있다.
  • 플립 : 액정(液晶) 화면(畵面)은 항상(恒常) 노출(露出)되어 있고, 조작(造作) 버튼은 별도(別途)의 뚜껑에 덮여 있는 형태(形態)이다.
  • 슬라이드 (밀기식): 액정(液晶) 부분(部分)을 밀어 올리면 조작(造作) 버튼이 노출(露出)되는 형태(形態)이다.
  • 폴더 (접이식(접이式)): 내부(內部) 액정(液晶)과 조작(造作) 버튼이 맞닿도록 접을 수 있는 형태(形態)이며, 내부(內部) 액정(液晶)과 외부(外部) 액정(液晶)이 따로 있는 경우(境遇)가 많다. 내부(內部) 액정(液晶) 보호(保護)에 효율적(效率的)이나 휴대(携帶) 전화(電話)를 쓰기 위(爲)해서는 폴더를 열어야 하는 불편(不便)이 있다.
  • 회전(回戰) : 폴더형(型)처럼 열린 후(後) 화면(畵面) 부분(部分)이 수동(手動) 회전(回轉)을 하거나 90도(度) 정도(程度) 회전(回轉)하는 형태(形態)이다.
  • 터치 (화면접촉(畵面接觸)수감식(鑑識)): 풀터치는 별다른 키패드 없이 터치스크린으로만 조작(造作) 가능(可能)한 형태(形態)이며, 반(反)터치는 터치스크린과 내장(內臟) 키패드로 조작(造作)이 가능(可能)한 형태(形態)이다. 아이폰과 스마트폰, PDA 폰의 대표적(代表的)인 형태(形態)이다.
형태(形態) 기종(機種)
모토로라 , 블랙베리 제품(製品) 외(外)
플립 삼성(三星) 애니콜(1999년(年) 이전(以前)), 엘지 화통(火筒), 프리외이(外耳), 싸이연(年)(1999년(年) 이전(以前))
슬라이드 삼성(三星) 애니콜 , DMB슬라이드 , 슬라이드 위젯 등(等)
폴더 삼성(三星) 애니콜 매직홀 , 코비F , 노리(露里)F , Wi-Fi 폴더폰 등(等)
회전(回戰)
풀터치 아이폰 , 스마트폰 , 평양(平壤)타치 , 삼성(三星) 애니콜 햅틱 , 코비 , 노리(露里) , 스카이 웹홀릭 , 케이티테크 몽글몽글 , 부비부비 등(等)
반(反)터치 모토로라 모토쿼티 , LG 안드로원 , 옵티머스Q , 옵티머스7Q , 옵티머스 chat 등(等)

기능(機能) [ 편집(編輯) ]

휴대전화(携帶電話) 문자(文字)서비스(SMS)

휴대(携帶) 전화(電話)에는 통화(通貨)라는 기본(基本) 기능(機能) 이외(以外)에도 여러 가지 기능(機能)이 추가(追加)되어 있다.

시장(市場) 점유(占有) [ 편집(編輯) ]

2014년(年) 3분기(分期) 기준(基準)으로 세계(世界)에서 휴대(携帶) 전화(電話) 시장(市場) 점유율(占有率)이 가장 높은 업체(業體)는 삼성전자(三星電子) 이며 24.7%의 점유율(占有率)로 작년(昨年)보단 많이 떨어졌다. 다른 휴대(携帶) 전화(電話) 제조업체(製造業體)로는 애플 이 12.3%, 샤오미 가 5.6%, 화웨이 가 5.1%, 나머지는 47%였다.

2012년(年) 1분기(分期) 기준(基準)으로 삼성전자(三星電子)가 노키아를 제치고 세계(世界) 휴대(携帶) 전화(電話) 시장(市場) 점유율(占有率) 1위(位)에 올랐다. 미국(美國) 시장조사업체(市場調査業體) 스트래티지어낼리틱스(SA)는 26일(日)(현지시간(現地時間)) “삼성전자가 1분기(分期)에 휴대(携帶) 전화(電話) 9350만(萬) 대(臺)(점유율(占有率) 25%)를 판매(販賣)해 14년간(年間) 1위(位)를 지킨 노키아를 눌렀다”고 발표(發表)했다. [2]

휴대(携帶) 전화(電話)와 유사(類似)한 시스템 [ 편집(編輯) ]

  • 무선(無線) 전화(電話) ( Cordless telephone ) - 무선(無線) 전화(電話)는 무선통신(無線通信) 송수신기(送受信機)가 포함(包含)된 표준(標準) 전화(電話)이다. 휴대(携帶) 전화(電話)와 달리 무선(無線) 전화(電話)는 가입자(加入者)끼리 공유(共有)하지 않는 사설(社說) 기지국(基地局)을 이용(利用)한다. 기지국(基地局)은 육지선(陸地線)에 연결(連結)되어 있다.
  • 전문(專門) 모바일 라디오 (PMR) - 고급(高級) 전문(專門) 모바일 라디오 시스템은 휴대(携帶) 전화(電話) 시스템과 매우 비슷하다.
  • 라디오 전화(電話) - 전화망(電話網)에 연결(連結)할 수 있는 무선통신(無線通信)에 적용(適用)하는 용어(用語)이다. 이 전화(電話)는 휴대(携帶)가 가능(可能)하지 않다. 이를테면 기본적(基本的)으로 전력(電力) 공급(供給)이 요구(要求)되며 PSTN 전화(電話)를 설비(設備)할 수 있는 조작기사(造作記事)의 도움이 필요(必要)하다.
  • 위성(衛星) 전화(電話) - 이 종류(種類)의 전화(電話)는 인공위성(人工衛星) 과 직접(直接) 통신(通信)한다. 위성(衛星) 전화(電話)는 값이 비싸므로 휴대(携帶) 전화(電話)의 신호(信號)가 닿지 않는 먼 곳에 있는 사람에게 한정(限定)되는 것이 보통(普通)이다. 이를테면 등산객(登山客)이나 바다 선원(船員)들이 사용(使用)한다.

사용(使用) 제한(制限) [ 편집(編輯) ]

운전(運轉) 중(中) 휴대전화(携帶電話) 사용(使用)을 금지(禁止)하는 경고판(警告板)

여러 곳에서는 휴대(携帶) 전화(電話)의 사용(使用)을 제한(制限)하고 있다. 이를테면 수많은 학교(學校)에서는 시험(試驗) 도중(途中) 부정(不正) 행위(行爲)를 하거나 다른 사람들을 괴롭힐뿐 아니라 교내(校內)에서 다른 사회(社會) 활동(活動)과 잡담(雜談)에 이용(利用)하기 때문에 휴대(携帶) 전화(電話) 이용(利用)에 제한(制限)을 가(加)한다.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일부(一部) 중등학교(中等學校)( 중학교(中學校) , 고등학교(高等學校) )에서는 교칙(校則)에 의(依)해 휴대(携帶) 전화(電話)의 반입(搬入) 및 교내(校內) 사용(使用)이 금지(禁止)되어 있고, 이를 위반(違反)하면 각(各) 학교(學校) 교칙(校則)에 따른 제재조치(制裁措置)가 가(加)해진다. 수많은 휴대(携帶) 전화(電話)는 학교(學校) 락커룸 시설(施設)과 공중(公衆) 화장실(化粧室)에서 이용(利用)을 금(禁)하고 있다. 요즘 나오는 카메라폰은 사진(寫眞)이 찍힐 때 몰카 방지(防止)를 위해 셔터 효과음(效果音)이 나올 것을 요구(要求)받고 있다. [3]

또, 휴대(携帶) 전화(電話) 이용(利用)은 일부(一部) 국가(國家)(중앙정부(中央政府))에서 운전(運轉)하는 동안에 금지(禁止)되어 있다.

인체(人體) 위험성(危險性) [ 편집(編輯) ]

2009년(年) 국립암(國立癌)센터 의 명승권(名勝卷) 교수(敎授)는 휴대(携帶) 전화(電話)를 사용(使用)하는 사람은 비사용자(非使用者)에 비하여 암(癌) 종양(腫瘍) 발생(發生)을 17% 정도(程度) 더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휴대(携帶) 전화(電話)를 10년이상(年以上) 사용(使用)할 경우(境遇) 30%로 더 높아진다. 명승권(名勝卷) 교수(敎授)는 휴대(携帶) 전화(電話)로 통화(通話) 할 때 이어폰이나 헤드셋을 사용(使用)하여 가급적(可及的) 휴대(携帶) 전화(電話)와 멀리 떨어지는 편(便)이 암(癌) 발생률(發生率) 저하(低下)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4]

2011년(年) 5월(月) 31일(日) 세계보건기구(世界保健機構) 산하(傘下) 국제암연구소(國際癌硏究所)(IARC)는 “휴대(携帶) 전화(電話)를 사용(使用)할 경우(境遇) 뇌종양(腦腫瘍)의 발생(發生) 위험(危險)이 증가(增加)한다”고 밝혔다. 휴대(携帶) 전화(電話)에서 발생(發生)하는 복사(輻射) 에너지 (Radiation)가 발암성(發癌性) 위험(危險)(carcinogenic hazard)과 같은 리스트에 포함(包含)됐다. 이는 , 엔진 매연(煤煙) , 클로로포름 (마취제(痲醉劑)의 일종(一種)) 등(等)과 같은 등급(等級)으로, 신경교종(神經膠腫) (神經膠腫)이나 청신경종(聽神經種) (聽神經腫) 암(癌)을 증가(增加)시킬 수 있는 몇 가지 증거(證據)를 찾았다는 뜻이다. EU 환경(環境) 당국(當局)도 휴대(携帶) 전화(電話)가 흡연(吸煙) , 석면(石綿) , 유연가솔린 등(等)과 마찬가지로 인체(人體) 건강(健康)에 위협(威脅)을 주는 요소(要素)라고 밝혔다. [5]

2011년(年) 6월(月) 9일(日) 대한민국(大韓民國) 보건복지부(保健福祉部) 는 세계보건기구(世界保健機構)(WHO) 산하(傘下) 국제암연구소(國際癌硏究所)(IARC)가 휴대(携帶) 전화(電話) 사용시(使用時) 노출(露出)되는 무선주파수(無線周波數) 전자기장(電磁氣場)을 발암가능성(發癌可能性) 물질(物質)(Group 2B)로 분류(分類)함에 따라, 소아청소년(小兒靑少年)이 되도록 불필요(不必要)한 휴대(携帶) 전화(電話) 통화(通話)를 줄이며, 사용(使用)이 꼭 필요(必要)할 경우(境遇)에도 핸즈프리를 이용(利用)토록 권고(勸告)했다. 보건복지부(保健福祉部)와 국립암(國立癌)센터 는 “어느 정도(程度) 위험성(危險性)이 있을 가능성(可能性)이 있으므로 향후(向後) 휴대(携帶) 전화기(電話機)와 암(癌)(신경교종(神經膠腫) 및 청신경종(聽神經種)) 발생(發生) 관련성(關聯性)에 대(對)해 면밀히(綿密히) 조사연구(調査硏究)를 지속(持續)해야 하는 상황(狀況)”이라며 “과도(過度)한 불안(不安)을 가질 필요(必要)는 없지만 명확(明確)한 인과관계(因果關係)가 밝혀질 때까지는 휴대폰(携帶폰) 장기통화(長期通話)를 줄이고, 되도록 핸즈프리 문자(文字) 메시지 를 이용(利用)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當付)했다. [6]

분실(紛失) [ 편집(編輯) ]

각국(各國)의 이동통신사(移動通信社)나 정부(政府)에서는 분실(紛失)된 휴대폰(携帶폰)의 이용(利用)을 정지(停止)하고 접수(接受)가 되면 원주인(原住人)에게 보내주는 서비스를 운영(運營)한다.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는 이동통신사(移動通信社)의 부가(附加)서비스로 휴대폰(携帶폰) 분실보험(紛失保險)도 판매(販賣)되고 있다. 습득(習得)한 휴대전화(携帶電話)를 이용(利用)할 경우(境遇) 점유이탈물횡령죄(占有離脫物橫領罪) 로 처벌(處罰)된다. 2G 시절(時節)에는 분실신고(紛失申告)된 폰을 쓰려면 휴대전화(携帶電話) 복제(複製) 를 해야만 습득(習得)폰을 개통(開通)시킬 수 있었지만 스마트폰 의 등장이후(登場以後) 습득(習得)폰을 유심 을 바꾸면 타인(他人)이 개통(開通)할 수 있고 해외(海外)로 가면 추적(追跡)도 불가능(不可能)하고 분실(紛失)폰 개통(開通) 제한(制限)도 되지 않아 습득(習得)폰을 밀수출(密輸出)하기 위한 목적(目的), 또는 수리점(修理店)에서 부품(部品)을 확보(確保)하기 위한 목적(目的)으로 습득(習得)폰을 유상(有償)으로 매수(買收)하는 업체(業體)가 늘어났다. 이에 따라 사회(社會) 문제(問題)가 되고 있다.

다른 사람에 의(依)한 휴대전화(携帶電話) 분실(紛失) 시(時), 근처(近處) 통신사(通信社)에서 기종(機種)을 말한 뒤 위치추적(位置追跡), 사용(使用)한 요금(料金)을 확인(確認)할 수 있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핸드폰이 어떻게 작동(作動)할까? . 공학(工學) 코너. 2019년(年) 3월(月) 15일(日).
  2. 박현영 기자(記者) (2012년(年) 4월(月) 28일(日)). “휴대(携帶) 전화(電話) 세계(世界) 챔프 삼성(三星)” . 중앙일보(中央日報) . 2020년(年) 8월(月) 30일(日)에 확인(確認)함 .  
  3. 최은경 (2016년(年) 7월(月) 4일(日)). “[현장(現場)에서] 폰카 ‘찰칵 소리’까지 강제(强制)하는 나라…고객(顧客)도 제조사(製造社)도 난감(難堪)” . 중앙일보(中央日報) . 2020년(年) 8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4. 김효엽 기자(記者) (2009년(年) 10월(月) 15일(日)). “휴대폰(携帶폰), 암(癌) 발병(發病) 30% 높일 수도‥"이어폰 써야 " . 《MBC뉴스》. 2012년(年) 7월(月) 20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9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5. 전자신문(電子新聞)미디어 테크트렌드팀 (2011년(年) 6월(月) 1일(日)). " 휴대폰(携帶폰)이 발암물질(發癌物質)로 분류(分類)?" WHO, 암발생(癌發生) 위험(危險) 공식(公式) 경고(警告) 논란(論難)” . 《ETNEWS》. 2016년(年) 6월(月) 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2년(年) 6월(月) 13일(日)에 확인(確認)함 .  
  6. 보건복지부(保健福祉部) (2011년(年) 6월(月) 9일(日)). “복지부(福祉部), 소아청소년(小兒靑少年) 휴대(携帶) 전화(電話) 사용(使用) 자제(自制) 당부(當付)” . 《공감(共感)코리아》. 2013년(年) 5월(月) 1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2년(年) 6월(月) 13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