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핀란드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핀란드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핀란드 공화국(共和國)
핀란드어 : Suomen tasavalta
스웨덴어(語) : Republiken Finland

국기(國紀)

국장(國葬)
표어(標語) 없음 1
국가(國家) 우리의 땅
수도 헬싱키 북위(北緯) 60° 10′ 15″ 동경(東京) 24° 56′ 15″  /  북위(北緯) 60.170833° 동경(東京) 24.9375°  / 60.170833; 24.9375
핀란드(핀란드)
정치(政治)
정치체제(政治體制) 공화제(共和制) , 민주제(民主制) , 입헌제(立憲制) , 단일제(單一制) , 내각제(內閣制) 3
대통령(大統領)
총리(總理)
알렉산데르 스투브
페테리 오(誤)르포
역사(歷史)
독립(獨立)  
 ? 독립(獨立) 선언(宣言)
 • 승인(承認)
러시아 제국(帝國) 으로부터
1917년(年) 12월(月) 6일(日)
1918년(年) 1월(月) 3일(日)
지리
면적(面積) 338,455 km 2 ( 65 위(位) )
내수면(內水面) 비율(比率) 9.71 %
시간대(時間帶) EET ( UTC +2)
DST EEST (UST+3)
인문(人文)
공용어(公用語) 핀란드어 스웨덴어(語)
인구(人口)
2020년(年) 어림 5,536,146명(名) (116위(位))
인구(人口) 밀도(密度) 16명(名)/km 2 ( 213위(位) )
경제(經濟)
GDP ( PPP ) 2020년(年) 어림값
 ? 전체(全體) $2,570억(億) ( 53위(位) )
 ? 일인당(一人當) $48,461 ( 14위(位) )
GDP (명목(名目)) 2020년(年) 어림값
HDI 0.938 ( 11위(位) , 2019년(年) 조사(調査))
통화(通話) 유로 (€) 2 ( EUR )
종교(宗敎)
국교(國校) 핀란드 복음(福音)루터교회(敎會)
종교(宗敎) 핀란드 복음(福音) 루터교회(敎會) 66.6%
정교회(正敎會) 1.1%
기타 기독교(基督敎) 0.9%
무종교(無宗敎) 30.6%
기타 0.8%
기타
ISO 3166-1 246 , FI , FIN
도메인 .fi
국제(國際) 전화(電話) +358
1 1936년(年) 이전(以前)에는 표어(標語)가 'vapaa, vankka, vakaa'였다. 해석(解釋)하면 '자유(自由), 신(神)의, 확고(確固) 부동(不動)'이(李) 된다. 따라서, 현재(現在)는 표어(標語)가 없다고 보면 된다.
2 2002년(年) 이전(以前)에는 마르카
3 이전(以前)에는 이원집정부제(二元執政府制)였다.

핀란드 공화국(共和國) ( 핀란드어 : Suomen tasavalta 수오멘 타사발타(他沙鉢打) [ * ] ), 약칭(略稱) 핀란드 ( 핀란드어 : Suomi 수오미 [ * ] [?suo?mi] 이 소리의 정보듣기   )는 북유럽(北유럽) 에 있는 노르딕 국가(國家) 가운데 하나다. 발트해(발트海) , 보트니아만(灣) , 핀란드만 을 두고서 서쪽(西쪽)으로는 스웨덴 , 동쪽(東쪽)으로는 러시아 , 남쪽(南쪽)으로는 에스토니아 , 북쪽(北쪽)과 북동쪽(北東쪽)으로는 노르웨이 와 접(接)하고 있다. 핀란드 수도(首都)인 헬싱키 는 핀란드에서 가장 큰 도시(都市)다. 다른 핀란드 주요(主要) 도시(都市)로는 에스포 , 탐페레 , 오울루 , 투르쿠 , 이위(蛜蝛)배스퀼래 , 라흐티 , 쿠오피오 등(等) 있다.

핀란드 인구(人口)는 2022년(年) 9월(月) 기준(基準)으로 555만(萬) 9198명(名)이며, [1] 핀란드 중앙(中央)과 남부(南部)에 사는 인구(人口) 대부분(大部分)이 핀란드어 를 사용(使用)한다. 핀란드어는 북(北)게르만어군(語群) 과 관계(關係) 없는 우랄어족(語族) 핀어군 에 속(屬)한다. [2] 핀란드는 유럽에서 8번째(番째)로 큰 국가(國家)이지만, 땅에 비해 인구(人口)가 적어서 유럽 연합(聯合) 에서 인구(人口) 밀도(密度)가 가장 낮은 국가(國家)다. 핀란드는 의원내각제(議員內閣制) 국가(國家)이며, 310개(個) 지방자치단체(地方自治團體) 가 있으며, [3] 이 가운데 올란드 제도(諸島) 자치행정구역(自治行政區域) 이다. 핀란드 전체(全體) 인구(人口) 가운데 140만(萬) 명(名)이 헬싱키 수도권(首都圈) 에 살고 있으며, 이 지역(地域)은 핀란드 전체(全體) GDP의 30% 이상(以上)을 생산(生産)한다. 핀란드 공식(公式) 언어(言語) 가운데 두 번째(番째)로 많이 사용(使用)한 언어(言語)는 스웨덴어(語) 올란드 제도(諸島) 와 핀란드 중부(中部) 해안지역(海岸地域) 사람들이 주로(主로) 사용(使用)한다. 핀란드인(人) 절대(絶對) 다수(多數)는 핀란드 복음(福音)루터교회(敎會) 를 믿고 있다. [4]

핀란드는 마지막 빙하기(氷河期) 가 끝난 이후(以後)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始作)했으며, 기원전(紀元前) 9000년(年) 경(頃)으로 추정(推定)한다. [5] 기원전(紀元前) 5200년(年)에 빗살무늬토기(土器) 문화(文化) 가 핀란드에 들어왔고, 전부문화(全部文化) 가 농업(農業)과 함께 기원전(紀元前) 3000년(年)부터 기원전(紀元前) 2500년(年)까지 이어졌다. 청동기(靑銅器) 시대(時代) 철기(鐵器) 시대(時代) 때 핀란드는 발트 지역(地域) 및 페노스칸디아인들과 지속적(持續的)으로 교류(交流)했다. 이 시기(時期)에 핀란드에는 3개(個)의 주요(主要) 문화권(文化圈)이 형성(形成)되었는데, 그 문화권(文化圈)은 남서(南西)핀란드 문화(文化), 해메 문화(文化), 카렐리야 문화(文化)이다. [6] 13세기(世紀)부터 핀란드는 북방(北方) 십자군(十字軍) 과 스웨덴의 식민지(植民地)로 스웨덴에 병합(倂合)되었다.

1809년(年) 핀란드는 핀란드 대공국(大公國) 이라는 이름으로 러시아 제국(帝國) 의 자치령(自治領)이 되었다. 1906년(年) 핀란드는 유럽에서는 최초(最初)로 모든 성인(成人)에게 선거권(選擧權)을 부여(附與)했으며, 세계(世界)에서 최초(最初)로 모든 성인(成人)들에게 공직(公職)에서 활동(活動)할 수 있도록 했다. [7] 1917년(年) 러시아 혁명(革命) 이후(以後) 핀란드는 핀란드 독립선언(獨立宣言) 을 발표(發表)하고 독립(獨立)을 선포(宣布)했다. 1918년(年) 핀란드는 볼셰비키가 이끄는 핀란드 사회주의(社會主義) 노동자(勞動者) 공화국(共和國) 독일(獨逸) 제국(帝國) 의 지지(支持)를 받는 백핀란드 로 분열(分裂)되어 내전(內戰) 을 겪었다. 핀란드 왕국(王國) 이 일시적(一時的)으로 수립(樹立)되었지만, 1919년(年) 핀란드 헌법(憲法) 이 도입(導入)됨에 따라 핀란드는 공화국(共和國)이 되었다. 제(第)2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 당시(當時) 핀란드는 소련(蘇聯) 겨울 전쟁(戰爭) 계속(繼續) 전쟁(戰爭) 을 치렀고, 이 과정(過程)에서 카렐리야 , 살라 , 쿠사모(私募) 의 일부(一部)와 페차모주 를 소련(蘇聯)에 할양(割讓)했다.

1950년대(年代)까지 핀란드는 농업(農業) 국가(國家)였다. 그러나 제(第)2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 이후(以後) 소련(蘇聯)이 전쟁(戰爭) 배상(賠償)을 요구(要求)함에 따라 핀란드는 산업화(産業化)를 시작(始作)했다. 핀란드는 노르딕 모델 에 기초한 복지(福祉) 국가(國家) 를 만드는 한편(한便), 고도(高度)의 경제(經濟) 성장(成長)을 이룩하여 고소득(高所得) 국가(國家)가 되었다. [8] 핀란드는 국가경쟁력(國家競爭力)을 평가(評價)하는 교육(敎育), 경제(經濟), 삶의 질(質), 인간(人間) 개발(開發), 시민(市民)의 자유(自由) 등(等)의 순위(順位)에서 상위권(上位圈)에 있다. [9] [10] [11] [12] 2015년(年) 핀란드 세계(世界) 인적(人的) 자본(資本) 지수(指數)와 [13] 언론(言論) 자유(自由) 지수(指數) 에서 1위(位)를 달성(達成)했으며 2011년(年)부터 2016년(年)까지 취약국가지수(脆弱國家指數) 에서는 가장 안정적(安定的)인 국가(國家)로 꼽혔다. [14] 세계(世界) 성별차(性別車) 보고서(報告書) 에서는 2위(位)였으며, [15] 2018년(年)과 2019년(年)에는 세계행복보고서(世界幸福報告書) 에서 1위(位)를 달성(達成)했다. [16]

핀란드는 냉전(冷戰) 동안 군사적(軍事的) 중립(中立)을 유지(維持)했다. 1995년(年) 유럽 연합(聯合) 에, 1999년(年) 유로존 에 유로화(貨) 도입(導入)과 동시(同時)에 가입(加入)했다. 2023년(年) 북대서양(北大西洋) 조약(條約) 기구(機構)(NATO) 에 가입(加入)했다. [17]

역사(歷史) [ 편집(編輯) ]

기원전(紀元前) 수천년(數千年) 무렵에 중앙아시아(中央아시아) 지역(地域)으로부터 우랄어족(語族) 언어(言語)를 쓰는 핀족 이 서진(西進)을 계속(繼續)하여 기원후(祈願後) 1세기(世紀)에 지금(只今)의 핀란드 남부(南部)에 정착(定着)한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12세기(世紀) 중엽(中葉), 스웨덴 왕(王) 에리크 9세(歲) 의 십자군(十字軍)이 핀란드에 쳐들어 옴으로써 스웨덴의 핀란드 지배(支配) 윤곽(輪廓)이 잡혔다. 이후(以後) 스웨덴의 역대(歷代) 왕(王)들은 기회(機會)가 있을 때마다 핀란드에서 스웨덴 영토(領土)를 넓혀왔으며, 1397년(年) 포메라니아의 에리크 가 스웨덴- 노르웨이 - 덴마크 의 연합왕(聯合王)으로 즉위(卽位)할 때 핀란드도 이에 편입(編入)되었다.

1523년(年) 구스타브 1세(歲) 바사 는 스웨덴을 안정(安定)된 독립(獨立) 왕국(王國)으로 만들면서 이에 포함(包含)시켰다. 이후(以後) 스웨덴과 함께 핀란드에서도 루터교로 개종(改宗)하는 종교개혁(宗敎改革)이 일어났는데, 여기에는 독일(獨逸) 비텐베르크 에서 마르틴 루터 에게 수학(受學)한 미카엘 아그리콜라 의 공(功)이 컸다.

17세기(世紀) 초(初)에 스웨덴 왕(王) 구스타브 2세(歲) 아돌프 는 핀란드를 동방(東方) 전초(前哨) 기지(基地)로 활용(活用)하였다. 크리스티나 여왕(女王)은 핀란드에서 문예(文藝)를 크게 진흥(振興)시켜 투르쿠 대학(大學)이 이 무렵에 세워졌다.

스웨덴 왕(王) 칼 12세(歲) 의 무리(無理)한 군사정책(軍事政策)으로 시작(始作)된 대북방(對北方) 전쟁(戰爭) ( 1700 ~ 1721년(年) )에서 핀란드의 국토(國土)는 러시아의 대대적(大大的) 침공(侵攻)으로 일대(一大) 타격(打擊)을 입었다. 구스타브 3세(歲) 가 러시아와 전쟁(戰爭)(1788~1790년(年))을 하는 틈을 타 핀란드 장교(將校)들이 무장봉기(武裝蜂起)하기도 했다.

나폴레옹 전쟁(戰爭) 중(中)에 핀란드 영토(領土)를 둘러싼 열강(列强)의 외교전(外交前)이 펼쳐진 끝에 1809년(年) 러시아가 핀란드를 점령(占領)하였고, 대공국(大公國)이라는 이름으로 통치(統治)하였다. 이에 맞서 핀란드인(人)의 국권(國權) 회복(回復) 운동(運動)이 점차(漸次) 불붙었고 엘리아스 뢴로트 는 1835년(年)부터 1849년(年) 사이에 서사시(敍事詩) 칼레발라 를 썼다. 그러다가 독립운동(獨立運動) 끝에 핀란드는 독립(獨立)한다.

20세기(世紀) 초반(初盤) [ 편집(編輯) ]

제(第)1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 말기(末期)인 1917년(年)에 핀란드는 독일(獨逸) 제국(帝國)의 공국(公國)인 헤센-카셀(Hessen-Kassel)가(街)를 핀란드의 왕가(王家)로 받아들여 독일제국(獨逸帝國)에서 책봉(冊封)을 받는 형식상(形式上)의 제후국(諸侯國)이 되었다. 1918년(年) 1월(月) 27일(日) 소련(蘇聯)의 지원(支援)을 받은 적핀란드 (공산군(共産軍))이(李) 반란(叛亂)을 일으켰으나, 독일(獨逸) 제국(帝國)의 지원(支援)을 받은 핀란드 백군(白軍)(정부군(政府軍))이(李) 5월(月) 15일(日) 이를 진압(鎭壓)하였다. 한편(한便) 그 해 11월(月) 11일(日) 독일(獨逸) 제국(帝國)이 항복(降伏)함으로써 제(第)1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이 끝나고 핀란드는 러시아 으로부터 공화국(共和國)으로 독립(獨立)하였다.

제(第)2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 직전(直前)부터 소련(蘇聯) 의 위협(威脅)이 다시 커져 국가(國家)의 생존(生存)을 걸고 과거(過去) 핀란드를 지배(支配)했던 소련(蘇聯) 과 2차례(次例)에 걸쳐 전쟁(戰爭)( 겨울 전쟁(戰爭) · 계속(繼續) 전쟁(戰爭) )을 벌였다. 명장(名匠)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장군(將軍)의 지휘(指揮) 아래 전(全) 국력(國力)을 총동원(總動員)하여 소련(蘇聯)에 맞서 싸웠고 상당(相當)한 전과(戰果)를 거두었으나, 소련(蘇聯) 과의 국력(國力)의 열세 때문에 끝내 패배(敗北)로 끝났다. 이전(以前)부터 핀란드 소련(蘇聯) 에 대(對)한 감정(感情)이 좋지 못했는데, 이 전쟁(戰爭)으로 더욱 악화(惡化)되었다.

냉전(冷戰) 시대(時代) [ 편집(編輯) ]

전쟁(戰爭)이 끝난 뒤에 국토(國土)는 다시 재건(再建)되었고 핀란드 정부(政府)는 소련(蘇聯)과 서유럽(西유럽) 사이에서 중립(中立)을 표방(標榜)하면서 노키아 등(等) 경제발전(經濟發展)에 힘을 쏟았다. 소련(蘇聯)의 의향(意向)에 따라 마셜 플랜 을 받지 못했고 북대서양(北大西洋) 조약(條約) 기구(機構) (NATO)와 유럽공동체(共同體) (EC)에 가입(加入)하지 않았다. 자유(自由) 민주(民主) 정권(政權)을 유지(維持)하면서, 자본주의(資本主義) 경제권(經濟圈)에 속(屬)하는 경제정책(經濟政策)을 쓰고, 외교(外交), 국방(國防) 측면(側面)에서 공산권(共産圈)과 가까웠지만, 바르샤바 조약기구(條約機構) 에 가맹(加盟)하지는 않았다.

현대(現代) [ 편집(編輯) ]

소련(蘇聯) 붕괴(崩壞) 후(後) 미국(美國) , 영국(英國) , 유럽 연합(聯合) 등(等) 서방(西方) 진영(陣營)에 접근(接近)하여, 1995년(年)에 유럽 연합(聯合) 회원국(會員國)이 되었다. 2002년(年)에는 자국(自國) 통화(通貨)인 핀란드 마르카 를 폐지(廢止)하고 유로 를 도입(導入)했다. 2023년(年)에는 북대서양(北大西洋) 조약(條約) 기구(機構) 회원국(會員國)이 되었다.

정치(政治) [ 편집(編輯) ]

핀란드의 의회(議會) 에두스쿤타 ( 핀란드어 : Eduskunta )

최고(最高) 입법기관(立法機關)인 의회(議會)( 핀란드어 : Eduskunta , 스웨덴어(語) : Riksdag )는 단원제(單院制) 로 200명(名)의 의원(議員)들로 구성(構成)된다. 국회의원(國會議員) 임기(任期)는 4년(年)이며, 15개(個) 선거구(選擧區)로 나누어 개방식(開放式) 비례(比例) 대표제 선거(選擧)로 뽑힌다. 의회(議會)는 헌법(憲法)을 고치거나 내각(內閣)을 해임(解任)시키거나 대통령(大統領)이 발동(發動)하는 거부권(拒否權)을 무효화(無效化)할 권한(權限)이 있다. 유럽 최초(最初)로 보통선거(普通選擧)를 실시(實施)했다. 1906년(年) 보통선거(普通選擧) 가 실시(實施)된 이후(以後) 핀란드 국회(國會)는 우파(右派)인 국민연합당(國民聯合當), 농민당(農民黨)과 좌파(左派)인 사회민주당(社會民主黨), 좌익연합(左翼聯合) 등(等)의 정당(政黨)이 지배(支配)해왔다. 핀란드는 소련(蘇聯) 의 영향력(影響力)이 컸던 냉전(冷戰) 시대(時代)에도 민주주의(民主主義) 를 지켜왔다.

총리(總理) 는 부총리(副總理)와 장관(長官)과 함께 내각(內閣)을 구성(構成)한다. 각(各) 각료(閣僚)는 의회(議會)에 대(對)해 책임(責任)을 지지 않는다. 총리(總理)는 총선(總選) 후(後) 각당(各黨) 대표(代表)의 협상(協商) 결과(結果)에 따라 대통령(大統領)이 총리(總理) 후보(候補)를 지명(指名)하고 의회(議會)에서 과반수(過半數)의 찬성(贊成)을 얻은 후(後), 대통령(大統領)의 임명(任命)을 거쳐 취임(就任)한다. 다른 각료(閣僚)는 총리(總理)의 임명(任命)에 따라 대통령(大統領)이 임명한다.

내정(內定) 면(面)에서는 선진적(先進的)인 북유럽(北유럽) 형(兄)의 복지국가(福祉國家)라는 인상(印象)이 강(剛)하지만, 전후(戰後) 배상금(賠償金) 등(等)의 지불(支拂)과 같은 외적(外的)인 요소(要素)로 노동자(勞動者)의 권리(權利) 향상(向上)은 우선(優先) 순위(順位)가 밀렸지만, 급속(急速)하게 복지(福祉) 국가(國家) 건설(建設)에 매진(邁進)하여 북유럽(北유럽) 형(兄)의 사회(社會)에 근접(近接)하였다.

핀란드는 세계(世界)에서 가장 정치적(政治的) 부패(腐敗)가 적은 나라 중(中) 하나로 평가(評價)되고 있다. 2008년(年) 민간(民間) 활동(活動) 단체(團體)인 " 국제(國際) 투명성(透明性) 기구(器具) "에 의(依)한 정치(政治) 부패(腐敗) 인식(認識) 지수(指數) 조사(調査)에서는 2004년(年) 까지 1위(位)를 지켰지만, 2009년(年)에는 6위(位)로 떨어졌다.

핀란드의 헌법(憲法)에서 특이(特異)한 점(點)은 헌법재판소(憲法裁判所) 가 없고, 대법원(大法院)에게는 어떤 법률(法律)에 대(對)해 위헌(違憲) 결정(決定)을 내릴 권한(權限)이 없다는 점(點)이다. 핀란드 이외(以外)에 헌법재판소(憲法裁判所) 가 없는 나라는 네덜란드 와 성문(城門) 헌법(憲法)이 없는 영국(英國) 뿐이다.

행정(行政) 구역(區域) [ 편집(編輯) ]

2011년(年) 1월(月) 이후(以後)의 핀란드 행정구역(行政區域). 각(各) 주(州) 지역(地域)의 문장(文章)도 같이 표시(標示)되어 있다. 회색(灰色) 선(線)은 2010년(年) 개편(改編) 이전(以前)의 주(株) 경계선(境界線)이다.

핀란드는 원래(元來) 6개(個) 주로(主로) 구성(構成)되었으나 2010년(年) 첫 개편(改編)으로 20개(個) 주(州) 지역(地域)이 생겼고, 2011년(年) 1월(月) 1일(日) 동우시마(桐右緦麻) 지역(地域) 이 우시마(右緦麻) 지역(地域)에 통합(統合)되면서 [18] 현재(現在)는 19개(個)의 주(州) 지역(地域)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핀란드의 19개(個) 주(州) 지역(地域)은 아래와 같다.

지리 [ 편집(編輯) ]

라플란드
남동부(南東部)의 풍경(風景)

북쪽(北쪽)은 노르웨이 , 서쪽(西쪽)으로는 스웨덴 과 국경(國境)을 접(接)하고 있다. 서쪽(西쪽)은 보트니아만(灣) , 남쪽(南쪽)은 발트해(발트海) , 남쪽(南쪽)은 핀란드만 과 맞닿아 있다. 보스 만(灣) 건너편(건너便)은 스웨덴, 핀란드 만(灣) 건너편(건너便)은 에스토니아 다. 동쪽(東쪽)에서 남쪽(南쪽) 걸쳐 러시아 와 육로(陸路)로 국경(國境)을 접(接)하고 있다. 또한 스칸디나비아반도(半島) 에는 포함(包含)되지 않는다.

국토(國土)의 대부분(大部分)은 평탄(平坦)한 지형(地形)으로 빙하(氷河) 에 깎여 형성(形成)된 호수(湖水)가 무수히(無數히) 흩어져 있다. 타이가 지대(地帶)가 있고, 식물(植物) 중(中)에는 이끼 가 많다. 또한 숲은 다양한 종류(種類)의 식물군(植物群)이 서식(棲息)한다. 핀란드의 지형(地形)은 대체로(大體로) 평평(平平)하며 최고봉(最高峯)은 북쪽(北쪽) 사미(沙彌) 주(週) 해발(海拔) 1,328미터인 할티툰투리 산 이다. 핀란드는 호수(湖水) 이외(以外)에도 육지(陸地)의 68%가 북방(北方) 침엽수림(針葉樹林)으로 덮여 있다. 섬들은 거의 대부분(大部分) 서남쪽(西南쪽)에 있다.

핀란드는 호수(湖水)와 섬의 나라라고 불릴 정도(程度)로 호수(湖水) 이 많다. 호수(湖水) 187,888개(個)와 섬 179,584개(個)가 있다. [19] 사이마호(馬戶) 는 유럽에서 4번째(番째)로 크다. 핀란드에 있는 큰 호수(湖水)는 다음과 같다.

  • 네시호
  • 빠이엔네호
  • 사이마호(馬戶)(Saima)
  • 오리호(號)
  • 삐에리넨호
  • 오울루호(號)
  • 로카호(號)
  • 이나리호(號)

핀란드 국토(國土)의 4분(分)의 1 정도(程度)는 북극권(北極圈) 에 있어 여름에는 백야(白夜) 현상(現象)이 관찰(觀察)된다. 핀란드 최북단(最北端)에서는 여름에는 73일(日) 동안 해가 지지 않고, 겨울에는 51일(日) 동안 해가 뜨지 않는다.

기후(氣候) [ 편집(編輯) ]

핀란드의 기후(氣候) 는 수도(首都)인 헬싱키 등(等) 남부(南部) 해안(海岸)가 일부(一部) 지역(地域)이나 주변(周邊) 지역(地域)에만 습윤(濕潤) 대륙성(大陸性) 기후(氣候) 인(人) Dfb 이고, 대다수(大多數)의 지역(地域) 중(中) 나머지 상당수(相當數)의 지역(地域)은 아극 기후(氣候) (냉대(冷帶) 기후(氣候))인 Dfc 툰드라 기후(氣候) ( ET )가 나타난다.

경제(經濟) [ 편집(編輯) ]

핀란드 최대(最大) 기업(企業) 노키아의 본사(本社)

핀란드는 스웨덴 , 덴마크 , 노르웨이 등(等) 이웃 나라들에 비해 상대적(相對的)으로 가난했기 때문에 1860년(年) 대기근(大飢饉)과 같은 경제적(經濟的) 변동(變動)에 취약(脆弱)한 나라였다. 1930년대(年代)까지 핀란드의 산업(産業) 농업(農業) 이 거의 대부분(大部分)이었고, 1950년대(年代) 까지도 인구(人口)의 절반(折半) 이상(以上)이 1차(次) 산업(産業)에 종사(從事)했다.

제(第)2차(次) 세계대전(世界大戰) 이후(以後), 영국(英國) , 프랑스 등(等)과 같은 나라들이 국유화(國有化)를 진행(進行)할 때에도, 핀란드는 국유화(國有化)를 기피(忌避)했다. 보호무역주의(保護貿易主義)가 실패(失敗)한 후(後), 1973년(年) 유럽공동체(共同體) 와의 자유무역(自由貿易)을 위해 무역장벽(貿易障壁)을 완화(緩和)하고, 산업(産業)의 시장경쟁력(市場競爭力)을 강화(强化)했다. 1980년대(年代)에 빚에 바탕을 둔 거품경제(經濟)가 무너짐으로써 1991년(年) 에서 1993년(年) 까지 심각(深刻)한 경기(景氣) 후퇴(後退)가 있었다.

인구(人口)가 대한민국(大韓民國)의 1/10에 불과(不過)한 핀란드는 1980년대(年代) 이후(以後) 농업(農業) 및 임업(林業) 중심(中心)의 경제(經濟) 체제(體制)에서 노키아 등(等) 휴대(携帶) 전화(電話)의 생산량(生産量)이 세계(世界) 1위(位)에 오르는 등(等) 첨단산업(尖端産業)을 핵심(核心)으로 하는 산업(産業) 선진국(先進國) 으로 현저(顯著)한 변화(變化)를 이루는 데 성공(成功)했다. 2008년(年) 기준(基準)으로, 종사자별(從事者別)로 농림(農林) 4.5%, 공업(工業) 18.3%, 건설(建設) 7.3%, 상업(商業) 16%, 재무(財務)·보험(保險) 14.5%, 교통(交通)·통신(通信) 7%, 공공(公共) 서비스 32.4%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서비스 산업(産業)이 전체(全體) 경제(經濟)의 65.7%를 차지하고, 공업(工業)이 31.4%를 차지한다. 주요(主要) 공업(工業) 부문(部門)으로는 전자(電子) 21.6%, 기계(機械)·자동차(自動車)·금속공업(金屬工業) 21.1%, 삼림공업(森林工業) 13.3%, 화학공업(化學工業) 10.9% 등(等)이 있다.

150년(年) 전(前) 제지업체(製紙業體)로 시작(始作)한 노키아 (NOKIA)와 리눅스(Linux)로 유명(有名)하다. 세계경제(世界經濟)포럼 (WEF)이 매년(每年) 발표(發表)하는 세계(世界) 경쟁력(競爭力) 보고서(報告書) 에는 2001년(年)부터 2004년(年)까지 4년(年) 연속(連續) 선두(先頭)가 되었다.(2002년 2위(位)로 발표(發表)되었다가 재평가(再評價) 후(後) 1위(位)로 수정(修正).)

여성(女性) 의 노동력화(勞動力化)는 진행(進行)되고 있으며, 특히(特히) 법률가(法律家) , 의사(醫師) 는 여성(女性)이 절반(折半)을 차지하고 있다. 기업(企業) 에서 높은 지위(地位)를 차지하는 여성(女性)도 늘고 있지만, 남성(男性) 에 비하면 아직 적다. 여성(女性)은 남성(男性)에 비해 정규직(正規職)으로 고용(雇用)되기 어려운 경향(傾向)이 있고, 젊은 여성(女性)에 계약직(契約職) 일자리가 많다.(20대 여성(女性)의 4%가 파견(派遣) 사원(寺院).) 타임 뱅크 제도(制度)를 적용(適用)하여 바쁜 시기(時期)에 근무(勤務)하여 바쁘지 않은 때 여가(餘暇) 시간(時間)을 쓸 수 있는 제도(制度)도 존재(存在)한다. 1994년(年) 에 16.6%까지 상승(上昇)한 실업률(失業率)은 불경기(不景氣)에서 벗어나 해마다 개선(改善)되고 있으며, 2006년(年) 에는 7.7%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GDP 와 구매력(購買力)이 증가(增加)하면서 러시아 발트 삼국(三國) 에서 유입(流入)되는 노동자(勞動者) 의 증가(增加)로 일을 찾지 못해 매춘부(賣春婦) 같은 성(性) 산업(産業)에 종사(從事)하는 사람도 증가(增加) 추세(趨勢)에 있다. 2016년(年) 기준(基準)으로 1인당(人當) 명목(名目) GDP 는 42,654 달러, 국내(國內) 총생산량(總生産量)은 약(約) 2,400억(億) 달러이다.

국민(國民) [ 편집(編輯) ]

핀란드는 인구(人口) 대다수(大多數)는 핀란드인(人) 이고, 공용어(公用語)는 핀란드어 스웨덴어(語) 이다.

인구(人口) 통계(統計) [ 편집(編輯) ]

민족(民族) 비율(比率)은 핀란드인(人) 이 93%, 스웨덴인(人) 이 6% 등(等)으로 핀란드인(人) 이 압도적(壓倒的)으로 많으며, 사미인 , 러시아인(人) 과 기타 민족(民族)은 1%를 차지한다.

언어(言語) [ 편집(編輯) ]

핀란드어 스웨덴어(語) 가 공용어(公用語)로 지정(指定)되어 있으며, 특히(特히) 스웨덴어(語)는 과거(過去) 스웨덴의 지배(支配)를 받았던 영향(影響)으로 인해 공용어(公用語)로 지정(指定)되어 있다. 비율상(比率上)으로 핀란드어는 93.4%, 스웨덴어(語)가 5.9%로 핀란드어 사용자(使用者)가 압도적(壓倒的)으로 많지만, 2개(個) 모두 공용어(公用語)로, 1919년(年) 에 제정(制定)되었다. 모든 도로(道路) 표지판(標識板), 거리의 이름, 경고문(警告文) 등(等)이 양쪽(兩쪽) 언어(言語)로 표기(表記)되지만 거의 대부분(大部分), 일상생활(日常生活)에서는 핀란드어 가 주로(主로) 쓰인다. 스웨덴어(語)는 거의 대부분(大部分) 남서부(南西部)의 있는 인(人) 올란드 제도(諸島) 에서 쓰이고 있지만, 이미 핀란드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며 소수파(少數派)라고 불리고 있으며, 기업(企業) , 산업계(産業界) 에서 영향력(影響力)을 가지며, 정부(政府) 에도 주요정당(主要政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용어(公用語) 문제(問題)는 역사적(歷史的)인 문제(問題)였다. 스웨덴어(語)는 일부(一部)에서도 고귀(高貴)한 언어(言語)로 인식(認識)되어 받아들여졌다.

북부(北部)의 사미인 사미(沙彌)어 를 쓰고, 1970년대(年代) 에 지위(地位)가 올라갔다. 1999년(年) 의 헌법개정(憲法改正)에 의(依)해서 준공용어(竣工用語)로 명기(明記)되었다. 동시(同時)에 집시 , 그 외(外)의 소수민족(少數民族) 에 대(對)한 배려(配慮)도 더해져 있다. 거의 대부분(大部分)의 국민(國民)들이 영어(英語) 에 능통(能通)하고 일부(一部)는 독일어(獨逸語) 러시아어(語) 역시(亦是) 구사(驅使)한다. 러시아어(語)를 모국어(母國語)로 하는 러시아 출신(出身)의 귀환자(歸還者)는 최근(最近) 계속(繼續) 증가(增加)하고 있다. 러시아어(語)는 1세기(世紀)에 걸쳐서 지배사회(支配社會)의 상층부(上層部)에서만 영향력(影響力)을 준 것 뿐이었고, 국민(國民)사이에서는 침투(浸透)하는 경우(境遇)는 없었다. 이것은 러시아어(語)를 야만 민족(民族)의 언어(言語)로 인식(認識)하고 있었던 사람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소수(少數)는 에스토니아어(語) , 노르웨이어(語) 를 쓰는 경우(境遇)도 있다.

종교(宗敎) [ 편집(編輯) ]

종교(宗敎)는 개신교(改新敎) (주로(主로) 루터교 )가 89%, 동방(東方) 정교회(正敎會) 가 1%, 무종교(無宗敎) 9%, 기타(其他)(거의 대부분(大部分)이 이슬람교(이슬람敎) 아니면 가톨릭교 )는 1%로 개신교(改新敎) ( 루터교 )가 압도적(壓倒的)으로 많지만, 핀란드 세속주의(世俗主義) 정책(政策)을 실시(實施)하고 있다.

문화(文化) [ 편집(編輯) ]

미카엘 아그리콜라

문학(文學) [ 편집(編輯) ]

최초(最初)의 핀란드어 책(冊)을 쓰고 신약성서(新約聖書) 를 핀란드어로 번역(飜譯)한 투르쿠 의 주교(主敎) 미카엘 아그리콜라 ( 1510 ~ 1557년(年) 경(警))는 핀란드 문학(文學) 의 아버지로 일컬어진다. 19세기(世紀) 엘리아스 뢴로트 가 집필(執筆)한 핀란드의 민족(民族) 서사시(敍事詩) 《 칼레발라 》는 핀란드 전통(傳統) 문화(文化)에 대(對)한 큰 관심(關心)을 불러 일으켰다. 소설가(小說家) 프란스 에밀 실란패(牌) 1939년(年) 노벨 문학상(文學賞) 을 받았다. 소설가(小說家) 미카 발타리 도 전(全) 세계(世界)에 알려져 있다.

음악(音樂) [ 편집(編輯) ]

음악가(音樂家)로는 《 핀란디아 》를 작곡(作曲)한 장(腸) 시벨리우스 가 유명(有名)하다. 핀란드 전통(傳統) 음악(音樂)에는 하프와 비슷한 현악기(絃樂器)인 칸텔레 가 쓰인다. 또한 나이트위시 , 소나타 아티카 등(等) 헤비 메탈 음악(音樂)도 인기(人氣)를 얻고 있다. 로르디 는 2006년(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에서 우승(優勝)하였다.

건축(建築) [ 편집(編輯) ]

핀란드는 또 알바르 알토 (Alvar Aalto)를 비롯한 유명(有名)한 건축가(建築家)를 많이 배출(輩出)하였다.

사우나 의 모습

사우나 (sauna)도 매우 유명(有名)하며, 핀란드의 전통어(傳統語)이기도 하다. “사우나”는 핀란드 어 중(中)에서 국제적(國際的)으로 쓰이는 낱말 중(中)의 하나이다. 사우나는 달궈진 돌에 물을 껴얹어 생기는 수증기(水蒸氣)를 이용(利用)하는데, 섭씨(攝氏) 90도(度)에서 100도(度)까지 상승(上昇)한다.

요리(料理) [ 편집(編輯) ]

카리알란파이스티

핀란드 요리(料理) ( 핀란드어 : suomalainen keittio 수오말라니엔 케이티외(外) )는 일반적(一般的)으로 간단(簡單)한 요리(料理)이며, 물고기도 많이 들어간다. 요리(料理) 중(中) 제일(第一) 유명(有名)한 것은 카리알란파이스티 이며, 주로(主로) 쇠고기 돼지고기 가 들어가는 스튜 이자(利子), 핀란드의 국민(國民) 요리(料理)이다. 연어(鰱魚) 스프는 연어(鰱魚) 가 들어가는 스프이며, 대한민국(大韓民國) 에서도 유명(有名)해지고 있다. 생강(生薑) 쿠키는 크리스마스 전(前) 날에 만들어 크리스마스 시즌 내내 먹는 음식(飮食)이다. 보통(普通) '글뢰기(牢忌)'라고 하는 매콤한 음료(飮料)와 함께 먹는데 어른들의 경우(境遇) 보드카에 섞어 먹는다.

미디어와 통신(通信) [ 편집(編輯) ]

100개(個) 이상(以上)의 신문사(新聞社)가 있고, 300개(個)의 잡지(雜誌), 2000개(個) 이상(以上)의 전문지(專門誌), 60개(個)의 라디오 방송국(放送局), 5개(個)의 국영(國營) 라디오 채널, 5개(個)의 디지털 라디오 채널이 있다. 매년(每年) 30편(篇)의 영화(映畫)가 만들어지고, 15,000권(卷)의 책(冊)이 출판(出版)되며, 1000만장(萬張)의 음반(音盤)이 판매(販賣)된다. [20]

국영(國營) 방송(放送)사인 YLE 는 5개(個)의 채널과 15개(個)의 라디오 채널을 5개(個)의 언어(言語)로 송신(送信)한다.

약(約) 85%의 국민(國民)들이 인터넷을 이용(利用)하고, 2009년(年)을 기준(基準)으로 180만명(萬名) 이상(以上)이 광대역(廣帶域) 인터넷에 접속(接續)한다. [21]

교육(敎育) [ 편집(編輯) ]

스웨덴어(語) 를 주로(主로) 사용(使用)하는 올란드 제도(諸島) 를 제외(除外)하고 학교(學校)에서는 핀란드어 가 필수(必須)이며, 스웨덴어(語) 도 필수(必須)로 지정(指定)되어 있고, 영어(英語) 및 기타(其他) 언어(言語)에 대(對)한 교육(敎育)이 이루어지고 있다. 스웨덴계(系) 국민(國民)은 어려서부터 TV 등(等)을 통해 자연(自然)스럽게 핀란드어 를 접(接)하게 되고, 보통(普通) 종합학교(綜合學校) 7학년(學年)부터 학교(學校)에서 스웨덴어(語)를 배우기 시작(始作)한다. 현재(現在)는 스웨덴어(語)보다 영어(英語)에 중점(重點)을 두고 있으며, 종합학교(綜合學校) 3학년(學年) 정도(程度)부터 영어(英語) 수업(授業)을 시작(始作)한다. 또한 종합학교(綜合學校) (초등학교(初等學校)와 중학교(中學校)를 합친 과정(過程)으로 9년(年))에서도 다른 외국어(外國語)를 선택(選擇) 과목(科目)으로 이수(履修)하고 있다. 그러나 외국어(外國語) 과목(科目) 교육(敎育) 과정(過程) 등(等)은 지자체(地自體)와 학교(學校)마다 다를 수 있다. 정부(政府)들의 외국어(外國語)에 대(對)한 관심(關心)이 전반적(全般的)으로 높기 때문에 4 ~ 5개(個) 국어(國語)를 능숙(能熟)하게 사용(使用)하는 핀란드인(人)이 많다.

핀란드에서는 초등학교(初等學校) 중학교(中學校) 의 구별(區別)이 없으며 학교(學校) 제도(制度)는 종합학교(綜合學校)를 9년간(年間) 다니고 고등학교(高等學校)에 3년간(年間) 다니는, 일명(一名) 9-3제(制)를 채택(採擇)하고 있으며 종합학교(綜合學校) 9학년(學年)과 고등학교(高等學校) 1학년(學年) 사이에 진로(進路)를 찾기 위(爲)한 1년간(年間)의 휴학(休學)을 채택(採擇)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은 대학(大學)에 가기 전(前)에 13년(年) 동안 공부(工夫)하는 것이다.

대학(大學)은 모두 국립(國立)으로 비교적(比較的) 쉽게 들어갈 수 있는 수준(水準)이다. 그러나 핀란드의 교육(敎育) 수준(水準)은 세계(世界) 교육계(敎育界)에서 "핀란드 메쏘드(핀란드(만(灣)의) 방식(方式))"로 주목(注目)할 만큼 수준(水準)이 높다. 학생(學生)들은 경쟁(競爭)에 의(依)한 상대(相對) 평가(評價)가 아니라 달성도(達成度)에 의(依)해 평가(評價)되는 절대(絶對) 평가(評價)로 평가(評價)된다. 그러나 이것은 학력(學歷)의 차이(差異)를 무시(無視)한 똑같은 교육(敎育)이 아니며, 고등학교(高等學校)는 종합학교(綜合學校) 중등반(中等半) 성적(成跡)에 따라 갈 수 있다. 또한, 종합학교(綜合學校)의 교육(敎育)에 주목(注目)할만한 것은 성적(成績)이 낮은 학생(學生)이 특별(特別) 학급(學級)에 배정(配定)되거나, 보충(補充) 수업(授業)을 받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학력(學力)을 차별화(差別化)하여, 저학력(低學歷) 학생(學生)에 대(對)한 개별(個別) 교육(敎育)으로 뒤떨어진 학업성취도(學業成就度)를 보충(補充)해 줌으로써 학생(學生)이 학교(學校)의 인형(人形)으로 전락(轉落)되는 것을 방지(防止)하는 제도(制度)가 핀란드 교육(敎育)의 특징(特徵)이다.

유네스코 의 규정(規定)에 따른 고등(高等) 교육(敎育) 기관(機關) (대학(大學) 및 기타(其他) 고등(高等) 교육(敎育) 기관(機關) 과정(過程))의 진학률(進學率)은 2004년(年) 도(道)를 기준(基準)으로 세계(世界) 두 번째(番째)로 87%이다. 2004년도(年度)에 열린 OECD PISA (학업능력평가(學業能力評價))에서는 한국(韓國) , 일본(日本) , 싱가포르 등(等) 교육열(敎育熱)이 높은 국가(國家)가 유럽 선진국(先進國)을 제치고 학력(學歷) 세계(世界) 제일(第一)을 기록(記錄)하였지만, OECD 조사(調査) 자체(自體)에 많은 문제점(問題點)이 지적(指摘)되고 있다. PISA는 (1) 독해(讀解) (2) 수학(修學) 능력(能力) (3) 과학(科學) 문맹률(文盲率)이라는 세 분야(分野)에 대(對)해서만 57 개국(個國)을 대상(對象)으로 조사(調査)하였다.

핀란드 학교(學校)는 주(週) 5일제(日制)를 적용(適用)하며, 교사(敎師)는 대학원(大學院) 졸업(卒業)이 기본(基本)이다. 성적(成績)이 떨어지는 학생(學生)에 대(對)한 지원(支援)이 강력(强力)하며, 의무(義務) 교육(敎育)이지만 유급(留級) 제도(制度)가 있으며, 초등학교(初等學校)부터 대학(大學)까지 절대다수(絶對多數) 학교(學校)의 학비(學費)가 무료(無料)이다. 한 교실(敎室)에 주(株) 교사(敎師), 보조교사(補助敎師), 특수아동담당(特殊兒童擔當) 교사(敎師)를 포함(包含)하여 3명(名) 까지도 들어갈 수 있다.

군사(軍事) [ 편집(編輯) ]

핀란드 독립기념일(獨立記念日)의 레오파드 2 A4 전차(戰車) 행진(行進)
FNS "한코" 하미나급(級) 미사일 고속정(高速艇)
핀란드에서 제조(製造)한 F-18 전투기(戰鬪機)
  • 상비군(常備軍)-30,000명(名)
  • 최대(最大) 동원(動員) 가능수(可能數)-60,000명(名)
    • 육군(陸軍)-30,000명(名)
    • 해군(海軍)-11,000명(名)
    • 공군(空軍)-9,000명(名)
  • 군사비(軍事費)- GDP 의 2%

3군(軍) 이외(以外)에 인원(人員) 5000명(名) 가량(假量)의 국경수비대(國境守備隊)가 별도(別途)로 짜여져 있는데 평상시(平常時)에는 내무부(內務部) 지휘(指揮) 아래에 있지만, 유사시(有事時)에는 군(軍)으로 통합(統合)된다.

복무기간(服務期間)은 6개월(個月) 가량(假量)으로, 18살 이상(以上)의 남자(男子)에 대(對)해 징병제(徵兵制)를 실시(實施)한다. 여성(女性)과 여호와의 증인(證人) (Jehovah's witness) 신도(信徒)들(종교(宗敎) 법인(法人))은 면제(免除) 된다.

100명당(名當) 소형무기(小型武器) 소유율(所有率)이 2007년(年) 기준(基準)으로 미국(美國), 독일(獨逸) 다음의 세계(世界) 3위(位) 수준(水準)이다. 냉전(冷戰) 시대(時代)에는 소련제의(蘇聯提議) 미그 21 전투기(戰鬪機)와 AK 소총(小銃) , T-54/55과 T-72 전차(戰車)와 중립국(中立國)의 스웨덴제(製) 사브 35 드라켄 전투기(戰鬪機) 등(等)을 보유(保有)하고 있었다. 현재(現在)는 미국(美國)에서 구매(購買)한 F/A-18 호넷 전투공격기(戰鬪攻擊機) , 독일제(獨逸製) 레오파드 2 전차(戰車) 등(等)을 갖추고 있다.

축제(祝祭) 및 행사(行事) [ 편집(編輯) ]

하지(Juhannus)는 핀란드인(人)에게 가장 중요(重要)한 연례행사(年例行事)이다. 사람들은 일년(一年) 중(中) 가장 낮이 긴 날을 축하(祝賀)하기 위해 도심(都心)을 떠나 여름별장(別莊)으로 간다. 모닥불을 피우고 호숫가(湖水가)에서 흥겹게 수영(水泳)하며 뱃놀이를 한다. 엄청나게 술을 마시는 것 또한 하지 축제(祝祭)의 한 특징(特徵)이다. 7월(月)의 포리(捕吏)째즈축제(祝祭)(Pori Jazz Festival)는 가장 인기(人氣) 있는 째즈 축제(祝祭)이지만 중세기(中世紀)의 성(性) 올라빈린나 (Olavinnlinna Castle)에서 열리는 사보(社報)린나오페라축제(祝祭)(Savonlinna Opera Festival)가 가장 유명(有名)하다. 세계적(世界的)으로 유명(有名)한 몇몇 축제(祝祭)는 대부분(大部分) 먼 지역(地域)에서 열린다. 예(例)를 들면 쿠모(Kuhmo)의 실내악축제(室內樂祝祭), 코꼴라(Kokkola) 근처(近處) 카우스티넨 (Kaustinen)의 민속음악제(民俗音樂第) 등(等)이다. 하지(下肢)의 주말(週末)에 열리는 록 페스티벌은 큰 연례행사(年例行事)이며 가장 오래된 축제(祝祭)는 7월(月) 투르크에서 열리는 루이스록(錄)(Ruisrock) 축제(祝祭)이다. 난(難)탈리(Naantali)와 한코 (Hanko) 마을에는, 가장 게으른 사람을 뽑아 바다에 던지는 7월(月) 27일(日) 잠꾸러기의 날(Sleepyhead Day)이 있으며, 가장 생소(生疏)한 행사(行事)로는 해마다 7월(月) 손카예르비(Sonkaj rvi.)에서 열리는 아내를 업고 뛰는 경기(競技)(wife-carrying championship)이다.

크리스마스 [ 편집(編輯) ]

크리스마스는 핀란드 의 중요(重要)한 축제(祝祭)이다. 로바니에미 에 있는 산타마을은 매년(每年) 크리스마스 때면 관광객(觀光客)들이 찾아온다. 핀란드 산타클로스 는 전세계(全世界)에서 매우 유명(有名)하다. 이러한 이유(理由)로인해 로바니에미는 산타클로스 의 고향(故鄕) 이라고도 불린다.

대외관계(對外關係) [ 편집(編輯) ]

한국(韓國)과의 관계(關係)

남북한(南北韓) 동시수교국(同時修交國)으로 1973년(年)에 외교관계(外交關係)를 맺었다. 남한(南韓)과는 1973년(年) 8월(月) 24일(日)에 외교관계(外交關係)를 맺었다. 핀란드는 한국(韓國)을 1973년(年) 4월(月) 13일(日) 승인(承認)하였다. 핀란드는 서울에 대사관(大使館)을, 한국(韓國)은 헬싱키에 대사관(大使館)을 각각(各各) 두고 있다. 현재(現在) 한국(韓國)과 핀란드는 핀에어 항공편(航空便)이 운항(運航)하고 있다.

러시아와의 관계(關係)

러시아와는 대체로(大體로) 좋은 관계(關係)를 유지(維持)하고 있지만, 역사적(歷史的)으로 러시아의 지배(支配)를 받은 적도 있어서 나쁜 관계(關係)도 가지고 있다. 냉전시기(冷戰時期)에는 소련(蘇聯) 과의 관계(關係)에선 친소적인(親疏的人) 관계(關係)를 계속(繼續) 유지(維持)했지만, 소련해체(蘇聯解體) 이후(以後)에는 서방(西方)과의 관계(關係)를 강화(强化)하고 있으며 EU 에도 가입(加入)했다. 하지만 러시아와도 좋은 관계(關係)를 유지(維持)하고 있다. 핀란드 경제(經濟)가 최근(最近) 어려워지면서 핀란드의 대(對)러 의존도(依存度)가 높아지고 있으며, 러시아 자본(資本)이 핀란드의 기업(企業)을 인수(引受) 인계(引繼)하는 등(等) 핀란드에 진출(進出)을 하고 있다. 그와 동시(同時)에 러시아인(人) 이 핀란드로 이주(移住)하는 비율(比率)도 높아지고 있다. [22]

일본(日本)과의 관계(關係)

핀란드는 일본(日本)과는 우호협력관계(友好協力關係)에 서있으며, 국제(國際) 사회상(社會相)에도 일본(日本)은 핀란드의 입장(立場)을 지지(支持)해왔다. 당시(當時) 제(第)2차(次) 세계대전(世界大戰) 때에는 추축국(樞軸國) 의 편(便)에서 같이 소련(蘇聯) 에 맟서서 싸우기도 하였으며, 대립(對立) 관계(關係)에 있기도 하였다. 지금(只今)도 핀란드는 일본(日本)과의 관계(關係)에 좋은 위치(位置)를 하고 있다. 현재(現在) 일본(日本)과 핀란드는 일본항공(日本航空) 핀에어 항공편(航空便)이 운항(運航)하고 있다.

중국(中國)과의 관계(關係)

중국(中國)과의 관계(關係)는 매우 좋았다. 그러나 2013년(年) 핀란드 외교부(外交部) 네트워크의 심각(深刻)한 정보(情報) 유출(流出)에 러시아와 중국(中國)이 연관(聯關)된 것으로 의심(疑心)되어서, 관계(關係)가 많이 나빠졌다. [23]

기타(其他) 주제(主題)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Tilastokeskus. “Population” . 《www.tilastokeskus.fi》 (영어(英語)) . 2022년(年) 11월(月) 7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2. “Finland in Figures: Population” (핀란드어). Population Register Centre. 2014년(年) 3월(月) 27일(日) . 2014년(年) 4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3. “Kotisivu - Kuntaliiton Kunnat.net” (핀란드어). Suomen Kuntaliitto . 2015년(年) 5월(月) 6일(日)에 확인(確認)함 .  
  4.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2004". U.S. Department of State. 15 September 2004. Retrieved 22 January 2007.
  5. Georg Haggren; Petri Halinen; Mika Lavento; Sami Raninen; Anna Wessman (2015). 《Muinaisuutemme jaljet》. Helsinki: Gaudeamus. 23쪽. ISBN   978-952-495-363-4 .  
  6. Georg Haggren; Petri Halinen; Mika Lavento; Sami Raninen; Anna Wessman (2015). 《Muinaisuutemme jaljet》. Helsinki: Gaudeamus. 339쪽. ISBN   9789524953634 .  
  7. Parliament of Finland. “History of the Finnish Parliament” . 《eduskunta.fi》. 2015년(年) 12월(月) 6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8. “Finland” . International Monetary Fund . 2013년(年) 4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9. “Finland: World Audit Democracy Profile” . 《WorldAudit.org》. 2013년(年) 10월(月) 30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10. “Tertiary education graduation rates?Education: Key Tables from OECD” . OECD iLibrary. 2010년(年) 6월(月) 14일(日). doi : 10.1787/20755120-table1 . 2011년(年) 4월(月) 30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3월(月) 6일(日)에 확인(確認)함 .  
  11. “Her er verdens mest konkurransedyktige land?Makro og politikk” . E24.no. 2010년(年) 9월(月) 9일(日). 2010년(年) 10월(月) 14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3월(月) 6일(日)에 확인(確認)함 .  
  12. “The 2009 Legatum Prosperity Index” . Prosperity.com. 2009년(年) 10월(月) 2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0년(年) 2월(月) 4일(日)에 확인(確認)함 .  
  13. “Human Capital Report 2015” . 《 World Economic Forum . 2015년(年) 5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4. “Fragile States Index 2016” . Fundforpeace.org. 2017년(年) 2월(月) 4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6년(年) 11월(月) 27일(日)에 확인(確認)함 .  
  15. 《Gender Gap Report》 (PDF) . WEF.  
  16. Hetter, Katia (2019년(年) 3월(月) 26일(日)). “This is the world's happiest country in 2019” . 《 CNN . 2019년(年) 3월(月) 31일(日)에 확인(確認)함 .  
  17. “Finland and Nato” . 《Finnish Government》. 2023년(年) 4월(月) 4일(日). 2022년(年) 7월(月) 25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3년(年) 4월(月) 5일(日)에 확인(確認)함 .  
  18. “Valtioneuvosto paatti Uudenmaan ja Ita-Uudenmaan maakuntien yhdistamisesta” (핀란드어). Ministry of Finance. 2009년(年) 10월(月) 22일(日). 2011년(年) 8월(月) 7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0년(年) 12월(月) 30일(日)에 확인(確認)함 .  
  19. 노경희 (2013년(年) 4월(月) 1일(日)). “미래(未來)를 준비(準備)하는 핀란드 바이오에너지 정책(政策)” . 중부일보 . 2020년(年) 10월(月) 2일(日)에 확인(確認)함 .  
  20. “보관(保管)된 사본(寫本)” . 2011년(年) 5월(月) 1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0년(年) 11월(月) 3일(日)에 확인(確認)함 .  
  21. http://www.stat.fi/til/sutivi/2007/sutivi_2007_2007-09-28_tie_001_en.html
  22. 노키아 빠진 핀란드, 對러시아 의존(依存) ↑
  23. MTV3: Large-scale network spying uncovered at MFA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핀란드 [ 편집(編輯) ]

대한민국(大韓民國)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