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태국(泰國)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태국(泰國)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타이 왕국(王國)
??????????????

국기(國紀)

국장(國葬)
표어(標語) ???? ????? ??????????????( 한국어(韓國語) : 국가(國家), 종교(宗敎), 국왕(國王)
국가(國家) 플렝 찻(茶) 타이
왕실(王室) 국가(國家) 국왕(國王) 찬가(讚歌)
수도 방콕 북위(北緯) 13° 45′ 08″ 동경(東京) 100° 29′ 38″  /  북위(北緯) 13.752222° 동경(東京) 100.493889°  / 13.752222; 100.493889
태국(泰國)(태국(泰國))
정치(政治)
정치체제(政治體制) 단일(單一) 국가(國家) 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 하(下) 의원내각제(議員內閣制) ¹
(사실상(事實上) 전제군주제(專制君主制) 하(下) 군사(軍事) 정부(政府) ²)
국왕(國王) 마하 와치랄롱꼰
총리(總理) 세타 타위신(他威信)
왕실(王室) 짜끄리(리) 왕조(王朝)
역사(歷史)
독립(獨立) 크메르 제국(帝國) 에서 독립(獨立)
 ?  수코타이 왕조(王朝)
 • 아유타야 왕조(王朝)
 • 딱신(新) 왕조(王朝)
 • 짜끄리(리) 왕조(王朝)
 • 시암(詩庵) 혁명(革命)
1238년(年) ? 1368년(年)
1350년(年) ? 1767년(年)
1767년(年) ? 1782년(年)
1782년(年) 4월(月) 7일(日)
1932년(年) 6월(月) 24일(日)
지리
면적(面積) 513,120 km 2 ( 50 위(位) )
내수면(內水面) 비율(比率) 0.4 %
시간대(時間帶) UTC ( UTC +7)
인문(人文)
공용어(公用語) 태국어(泰國語)
공용문자(公用文字) 태국(泰國) 문자(文字)
인구(人口)
2021년(年) 어림 69,950,850명(名) (22위(位))
인구(人口) 밀도(密度) 127명(名)/km 2 ( 59위(位) )
경제(經濟)
GDP ( PPP ) 2021년(年) 어림값
 ? 전체(全體) $1조(兆) 3,400억(億) ( 22위(位) )
 ? 일인당(一人當) $19,169 ( 69위(位) )
GDP (명목(名目)) 2021년(年) 어림값
HDI 0.777 ( 79위(位) , 2019년(年) 조사(調査))
통화(通話) ( THB )
종교(宗敎)
최대종교(最大宗敎) 상좌부(上座部) 불교(佛敎)
종교(宗敎) 상좌부(上座部) 불교(佛敎) 94%
이슬람교(이슬람敎) 5%
기독교(基督敎) 0.9%
힌두교(힌두敎) 0.1%
기타
기년법(紀年法) 불기(불氣)
ISO 3166-1 764 , TH , THA
도메인 .th
국제(國際) 전화(電話) +66
태국(泰國)의 왕실(王室) 국가(國家) 국가(國家) 이다.
¹ 헌법(憲法) 제(第)2조(條), 제(第)3조(條).
² 헌법(憲法) 제(第)2장(張) 등(等).
(민주정(民主政)을 표하고 있으나 국왕(國王)의 권한(權限)이 강(强)하며 국왕(國王)의 동의하(同意下)에 군사(軍士) 쿠데타가 이뤄짐.)

타이 왕국(王國) ( 태국어(泰國語) : ?????????????? 라차(車) 아나짝 타이 [ * ] ), 또는 태국(泰國) ( 태국어(泰國語) : ????????? 쁘라텟 타이 [ * ] , 문화어(文化語) : 타이)은 동남아시아(東南아시아) 말레이반도(半島) 인도차이나반도(半島) 사이에 걸쳐 있는 국가(國家)이다. 76개(個)의 주(州) 로 구성(構成)되어 있으며, 전체(全體) 면적(面積)은 약(約) 513,120km 2 ,인구(人口)는 약(約) 6,600만(萬) 명(名)이다. 세계(世界)에서 50번째(番째)로 면적(面積)이 넓은 국가(國家)이며, 22번째(番째)로 인구(人口)가 많은 국가(國家)이기도 하다. 수도(首都)이자 최대(最大) 도시(都市)는 방콕 이다. 북쪽(北쪽)으로는 미얀마 라오스 와 접경(接境)하고 있으며, 동쪽(東쪽)으로는 라오스 캄보디아 와 접(接)하고 있다. 남쪽(南쪽)에는 타이만(灣) 말레이시아 가 있고, 서쪽(西쪽)에는 안다만 해(海) 가 있다. 해상(海上) 국경(國境)으로는 베트남 인도네시아 , 그리고 인도(印度) 와 국경(國境)을 접(接)하고 있다.

타이족은 약(約) 11세기(世紀) 즈음에 중국(中國) 남서부(南西部)에서 동남아(東南亞) 반도(半島)로 이주(移住)해왔다. 이후(以後) 인도(印度) 문화(文化)의 영향(影響)을 강(剛)하게 받은 몬 왕국(王國) , 크메르 제국(帝國) , 말레이 군주국(君主國)들이 등장(登場)하여 현재(現在) 태국계(泰國系) 왕조(王朝)인 수코타이 왕국(王國) , 란나 왕국(王國) , 아유타야 왕국(王國) 과 경쟁(競爭)을 별였다. 명사(名詞)에 따르면 14세기말(世紀末) 원나라(元나라) 에 이어 홍무제(洪武帝) 가 섬라곡국(暹羅曲鞠)(暹羅斛國)을 섬라국(暹羅國)(暹羅國)으로 인정(認定)하여 주었다는 기록(記錄)이 있다. 아유타야 왕국(王國)의 시기(時期)인 1511년(年)부터는 포르투갈인(人)들과 만나며 유럽과의 교역(交易)을 시작(始作)하였고, 아유타야 왕국(王國)은 15세기(世紀) 즈음에 전성기(全盛期)를 맞아 지역(地域) 강국(强國)으로 번성(蕃盛)하였다. 허나 왕국(王國)도 점차(漸次) 쇠퇴(衰退)하기 시작(始作)했고, 결국(結局) 1767년(年)에 버마-태국(泰國) 전쟁(戰爭)으로 멸망(滅亡)하였다. 이후(以後) 탁신 장군(將軍) 이 왕국(王國)을 재통합(再統合)하는 데에 성공(成功)했고, 단명(短命)한 톤부리 왕국(王國) 을 세웠다. 그러나 탁신 장군(將軍)은 폭정(暴政)으로 신망(信望)을 잃었고, 현재(現在) 짜끄리(리) 왕조(王朝) 의 시조(始祖)인 풋타엿파쭐라록 이 새로운 왕(王)으로 즉위(卽位)하였다. 이 왕조(王朝)는 현(現) 국왕(國王)인 라마 10세(歲) 까지 왕조(王朝)를 이어오고 있다.

국호(國號) [ 편집(編輯) ]

태국(泰國) (泰國)이라는 명칭(名稱)은 타이 ( 태국어(泰國語) : ??? )를 중국어(中國語) 에서 '타이'라고 발음되는 한자(漢字) '泰'로 음역(音譯)한 것으로, 타이 왕국(王國) (泰王國)의 준말이다. 태국어(泰國語) 국호(國號)는 쁘라텟 타이 ( 태국어(泰國語) : ????????? →자유(自由)의 땅 )이다. 영어(英語) 권(卷)에서는 타일랜드(Thailand)라고 표기(表記)하고 있다.

1939년(年) 6월(月)에 국호(國號)를 시암(詩庵) ( 태국어(泰國語) : ???? 사(社)얌 [ * ] , 음역어(音譯語) : 섬라(暹羅) (暹羅)/ 섬라곡국(暹羅曲鞠) (暹羅斛國))에서 타이 로 고쳤다가, 1945년(年) 9월(月)에 다시 시암(詩庵) 으로 되돌렸다. 1949년(年) 5월(月) 11일(日) 에 국호(國號)를 다시 타이 로 고쳐서 현재(現在)에 이르고 있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선사(先史) 시대(時代) [ 편집(編輯) ]

현재(現在) 태국(泰國) 영토(領土)에는 대략(大略) 2만(萬) 년(年) 전(前)부터 인류(人類)가 거주(居住)하기 시작(始作)했다. 가장 초기(初期)의 쌀 재배(栽培) 유적(遺跡)은 기원전(紀元前) 2000년(年) 즈음의 것이며, 기원전(紀元前) 1,250년(年)에서 1,000년(年) 사이에 청동기(靑銅器) 에 진입(進入)하였다. 특히(特히) 태국(泰國) 북서부(北西部)에 있는 반(班) 치앙 유적지(遺跡地)는 현재(現在) 동남아시아(東南아시아) 전체(全體)에서 가장 오래된 구리 생산지(生産地)로, 당시(當時) 태국(泰國) 지역(地域)의 높은 문명(文明) 수준(水準)을 잘 보여주고 있다. 태국(泰國)은 약(約) 기원전(紀元前) 500년(年) 정도(程度)에 철기(鐵器) 시대(時代)로 진입(進入)하였으며, 기원전(紀元前) 2세기(世紀) 즈음에 태국(泰國)에 세워진 푸난(亂) 왕국(王國) 은 동남아(東南亞) 전체(全體)에서 가장 강력(强力)한 왕국(王國)이었다. 6세기(世紀)에는 몬족(族) 들이 드바라바티, 하리푼자야 등(等)의 왕국(王國)들을 세웠으며, 크메르인(人)들은 9세기(世紀) 경(頃)에 앙코르를 중심(中心)으로 크메르 제국(帝國) 을 세웠다. 말라카 해협(海峽)을 통과(通過)하는 무역로(貿易路)를 장악(掌握)하여 번성(蕃盛)한 말레이계(系) 왕조(王朝)인 탐(貪)브랄링가는 약(約) 10세기(世紀) 즈음에 생겨나 전성기(全盛期)를 맞았다. 이후(以後) 태국(泰國)을 비롯한 동남아(東南亞) 지역(地域)은 인도(印度)의 문화(文化)에 강(剛)하게 영향(影響)을 받았으며, 푸난(亂) 왕국(王國)부터 크메르 제국(帝國) 시기(時期)까지 지속적(持續的)으로 인도식(印度式) 문화(文化)와 전통(傳統)이 동남아(東南亞) 전체(全體)로 뿌리깊게 스며들어왔다.

현(現) 태국(泰國)의 주요(主要) 민족(民族)인 타이족 을 언급(言及)한 첫 중국(中國) 문헌(文獻)은 기원전(紀元前) 6세기(世紀)의 것이다. 타이족의 기원(起源)에 대(對)해서는 의견(意見)이 분분(紛紛)하지만, 어떤 고고학자(考古學者)들은 그들이 라오스, 태국(泰國), 미얀마, 인도(印度), 중국(中國)에서 건너온 다양한 민족(民族)들이 5세기(世紀)에서 8세기(世紀) 사이동안 섞여 만들어진 것이라고 추정(推定)하고 있다. 타이족은 약(約) 11세기(世紀) 즈음에 당시(當時) 몬족(族)과 크메르인(人)들이 살고 있던 현재(現在)의 태국(泰國) 영토(領土)로 이주(移住)해들어오기 시작(始作)했으며, 서로 융합(融合)되며 풍요로운 문화(文化)를 발전시켜나갔다.

수코타이 왕국(王國) [ 편집(編輯) ]

수코타이 왕국(王國) 시대(時代) 만들어진 왓 마하탓의 불상(佛像)

크메르 제국(帝國)과 파간 왕국(王國) 이 13세기(世紀) 초(初)에 쇠퇴(衰退)하기 시작(始作)하자, 그 자리에 수많은 도시왕국(都市王國)들이 생겨나며 경쟁(競爭)하였다. 한편(한便) 타이족은 끝없이 뻗어나가며 현재(現在)의 인도(印度) 동북부(東北部)에서부터 현재(現在)의 라오스와 말레이 반도(半島)로 이주(移住)하였으며, 13세기(世紀) 즈음에 이르자 이미 드바라티와 라보 왕국(王國) 등(等) 대부분(大部分)의 동남아(東南亞) 영토(領土)들까지 세(歲)를 뻗치고 있었다. 다만 동남아(東南亞) 현지(現地) 문헌(文獻)에서 타이족들의 이주(移住)를 기록(記錄)해놓은 공식적(公式的)인 자료(資料)는 아직까지 발견(發見)되지 않았다.

1230년대(年代) 후반(後半) 경(警), 타이족 계열(系列)의 지역(地域) 토후(土侯)였던 씨인트라팃 이 크메르를 상대(相對)로 반란(叛亂)을 일으켰고, 1238년(年)에는 스스로 수코타이 왕국(王國) 의 초대(初代) 국왕(國王)으로 즉위(卽位)하였다. 현재(現在) 태국(泰國) 역사학계(歷史學界)는 수코타이 왕국(王國)을 첫 타이족 계열(系列)의 왕국(王國)으로 치고 있다. 수코타이 왕국(王國)은 람캄행 대왕(大王)의 재위기(在位期)에 최전성기(最全盛期)를 맞으며 영토(領土)를 급격히(急激히) 늘려나갔다. 다만 이때까지만 하여도 수코타이 왕국(王國)은 중앙집권식(中央集權式) 국가(國家)가 아닌, 여러 제후국(諸侯國)들이 모여 만들어진 느슨한 집합체(集合體) 정도(程度)에 불과(不過)하였다. 한편(한便) 람캄행 대왕(大王)은 현재(現在)의 타이 문자(文字) 를 고안(考案)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현재(現在) 태국(泰國)에도 막대(莫大)한 영향(影響)을 끼쳤다. 수코타이 왕국(王國)의 마하 타마라차(車) 1세(世)는 태국(泰國)에 처음으로 상좌부(上座部) 불교(佛敎) 를 들여오기도 했다.

한편(한便) 북쪽(北쪽)에서는 지역(地域) 왕조(王朝)의 후계자(後繼者)인 망그라이가 1292년(年)에 치앙마이 를 중심(中心)으로 란나 왕국(王國) 을 세웠다. 그는 주변(周邊) 지역(地域)들을 통합(統合)하였고, 란나 왕국(王國)은 약(約) 200여(餘) 년간(年間) 주변(周邊) 일대(一帶)를 다스리게 된다. 란나 왕국(王國)은 메콩 강(江) 까지 이르는 4치 동맹(同盟)을 구축(構築)하였으며, 전성기(全盛期)에는 수많은 인구(人口)를 거느리며 문화(文化)를 꽃피우기도 했다. 한편(한便) 짜오프라야 분지(盆地) 하부(下部)에서는 롭부리 , 아유타야 등(等)의 도시(都市)들이 11세기(世紀)에 건립(建立)되었다.

아유타야 왕국(王國) [ 편집(編輯) ]

아유타야 왕국(王國)의 건국(建國)에 대(對)해서는 여러 설(說)들이 있으나,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설은 라보 왕국(王國)에서 처음 발흥(發興)하였으며, 초대(初代) 국왕(國王)인 우통을 중심(中心)으로 세(貰)를 확장(擴張)시켜나갔다는 것이다. 초기(初期)에는 자치적(自治的)인 도시국가(都市國家)들이 아유타야의 국왕(國王)과 느슨한 조공(朝貢) 관계(關係)로 엮인 형태(形態)로, 중앙집권적(中央集權的)인 국가(國家)는 아니었다. 아유타야 왕국(王國)은 군대(軍隊)와 정략결혼(政略結婚)을 반복(反復)하며 세(勢)를 불려 나갔고, 15세기(世紀)에 이르자 크메르 제국(帝國)을 공격(攻擊)하고 수도(首都)인 앙코르 를 점령(占領)하기까지 하였다. 아유타야는 크메르를 몰아내고 지역(地域) 강국(强國)으로 떠올랐으며, 기존(旣存)의 수코타이 왕국(王國)마저 멸망시키고 아유타야에 편입시키는 데에 성공(成功)하였다. 보로마트라일록카낫 국왕(國王)은 왕국(王國)에 처음으로 봉건제(封建制)를 도입(導入)하였고, 이 봉건제(封建制)는 20세기(世紀)까지 이어지며 ‘사끄띠나’라고 불리는 태국(泰國) 특유(特有)의 계급제도(階級制度)를 만들어내게 되었다. 아유타야는 말레이 반도(半島)에도 관심(關心)을 가졌으나, 명나라(明나라) 의 지원(支援)을 받은 말라카 술탄국(國) 을 꺾는데에는 실패(失敗)하면서 팽창(膨脹)에 제동(制動)이 걸렸다.

아유타야 왕국(王國)은 16세기(世紀) 초(初)에 처음으로 유럽과 교류(交流)를 가졌다. 포르투갈의 사절(使節)이 1511년(年)에 왕국(王國)에 도착(到着)하였고, 당시(當時) 왕(王)이었던 라마 티보디 2세(世)에게 군사(軍士)를 공물(貢物)로 바쳤다. 이후(以後) 포르투갈의 뒤를 이어 프랑스, 네덜란드, 영국(英國) 등(等)이 연이어 도착(到着)하였다. 그러던 중(中) 몬족(族)이 아유타야 왕국(王國)으로 하여금 버마의 따웅우(禹) 왕조(王朝) 와 전쟁(戰爭)을 벌이도록 하였고, 1540년대(年代)부터 치열(熾烈)한 전쟁(戰爭)을 벌였으나 결국(結局) 1570년(年)에 아유타야 왕국(王國)의 수도(首都)가 함락(陷落)되면서 처참(悽慘)하게 패(敗)하고 말았다. 이후(以後) 아유타야 왕국(王國)은 중흥군주(中興君主) 나레쑤언 국왕(國王) 이 1584년(年)에 다시 독립(獨立)을 선언(宣言)하기 전(前)까지 버마의 봉신국(國)으로 남았다.

아유타야 왕국(王國)의 국왕(國王)들은 대(代)를 이어가면서까지 유럽 열강(列强)들과 좋은 관계(關係)를 유지(維持)하려 노력(努力)하였다. 특히(特히) 나라이 국왕(國王)의 재위기(在位期)에 동남아(東南亞)를 여행(旅行)한 유럽 여행가(旅行家)들은 아유타야 왕국(王國)을 중국(中國)과 인도(印度)와 함께 아시아의 최강국(最强國)들 중(中) 하나로 묘사(描寫)하기도 했을 정도(程度)였다. 다만 지나친 서양(西洋)과의 친화정책(親和政策)은 민족주의자(民族主義者)들의 강력(强力)한 반발(反撥)을 낳았고, 결국(結局) 1688년(年)에는 나라이 국왕(國王)에 반대(反對)하는 대대적(大大的)인 반란(叛亂)이 터지기도 했다. 다만 이후(以後)에도 서양(西洋)과의 관계(關係)는 지속적(持續的)으로 원만(圓滿)하였고, 프랑스 선교사(宣敎師)들도 활동(活動)을 계속(繼續)하며 선교(宣敎)하였다.

아유타야는 나레쑤언 국왕(國王)이 버마에서의 독립(獨立)을 선포(宣布)한 이후(以後), 이전(以前)의 피해(被害)를 회복(回復)하고 황금기(黃金期)에 들어섰다. 아유타야 왕국(王國)은 18세기(世紀)의 두 번째(番째) 사반세기(四半世紀)동안 예술(藝術), 문학(文學) 등(等)을 눈부시게 꽃피웠으며 교육(敎育)을 중점(重點)으로 두어 다양한 문화(文化) 발전(發展) 정책(政策)을 펼쳤다. 또한 1715년(年)에 캄보디아 지역(地域)의 통치권(統治權)을 두고 베트남과 일부(一部) 전쟁(戰爭)을 벌인 것만 제외(除外)하면, 외교적(外交的)으로도 매우 평화롭고 안정(安定)된 시기(時期)였다. 그러나 이런 황금기도(黃金期度) 결국(結局) 끝을 맞았고, 피비린내나는 계승(繼承) 전쟁(戰爭)이 일어나며 내분(內紛)이 발생(發生)했으며 장관(長官)들과 왕자(王子)들이 서로 죽고죽이는 혈투(血鬪)를 벌였다. 이렇게 왕국(王國)이 약(弱)해지는 도중(途中), 1765년(年)에 4만(萬) 명(名)에 달(達)하는 버마 군대(軍隊)가 아유타야를 침략(侵略)하였으며 14달에 걸친 공성전(攻城戰) 끝에 마침내 1767년(年) 4월(月)에 수도(首都) 아유타야가 함락(陷落)되며 아유타야 왕국(王國)도 멸망(滅亡)하였다.

톤부리 왕국(王國) [ 편집(編輯) ]

버마가 쳐들어와 수(數)도 아유타야를 함락(陷落)시키고 왕국(王國)이 멸망(滅亡)한 직후(直後), 태국(泰國)은 정치적(政治的) 대혼란(大混亂)에 휩싸였다. 버마 군대(軍隊)는 아유타야에 주둔(駐屯)을 계속(繼續)하였으며, 그와중(渦中)에 5명(名)의 지방관(地方官)들이 서로 국왕(國王)을 자처(自處)하고 전쟁(戰爭)을 벌였던 것이다. 이들 중(中) 유능(有能)한 군사령관(軍司令官)이었던 딱신(新) 장군(將軍)이 점차(漸次) 내분(內紛) 상태(狀態)의 태국(泰國)을 통합(統合)하여나가기 시작(始作)하였고, 짜오프라야 강(江) 으로 함대(艦隊)를 보내 톤부리 를 장악(掌握)한 이후(以後) 같은 해에는 아유타야를 점거(占據)하고 있던 버마 군대(軍隊)도 수도(首都)가 점령(占領)된지 약(約) 7개월(個月) 만에 모두 몰아내는 데에 성공(成功)하였다.

딱신(新) 장군(將軍)은 이후(以後) 왕(王)으로 즉위(卽位)하였고, 톤부리를 임시(臨時) 수도(首都)로 삼아 톤부리 왕조(王朝) 를 세웠다. 그는 즉위(卽位) 직후(直後)부터 전쟁(戰爭)을 벌여 버마 세력(勢力)을 란나 지역(地域)에서 1775년(年)에 쫓아내었고, 1778년(年)에는 비엔티안 을 함락(陷落)하였으며 1770년대(年代)에는 캄보디아에 태국(泰國)에 종속(從屬)된 왕조(王朝)를 세우려고 시도(試圖)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톤부리 왕조(王朝) 말기(末期)에 딱신(新) 장군(將軍)의 ‘광기(狂氣)’에 반란(叛亂)을 일으킨 쿠데타 세력(勢力)이 딱신(新) 왕(王)을 몰아냈고, 그의 휘하(麾下) 장군(將軍)이었던 짜오프라야 차크리 장군(將軍)이 딱신(新) 왕(王)과 아들들을 죽였다. 차크리 장군(將軍)은 이후(以後) 1782년(年) 4월(月) 6일(日)에 라타나코신 왕국(王國) 을 건국(建國)하며 현재(現在)까지 이어져내려오고 있는 짜끄리(리) 왕조(王朝) 를 세우게 된다.

짜끄리(리) 왕조(王朝) [ 편집(編輯) ]

라마 1세(世)가 즉위(卽位)한 이후(以後), 라타나코신 왕국(王國)은 성공적(成功的)으로 버마의 침략(侵略)을 이겨냈으며 버마와의 오랜 전쟁(戰爭)에서 승리(勝利)하였다. 또한 라마 1세(世)는 라오스와 캄보디아의 거대(巨大)한 영토(領土)를 병합(倂合)하기도 하였다. 1821년(年)에는 영국(英國)의 존 크로퍼드가 시암(詩庵)(태국(泰國)의 이전(移轉) 국명(國名))을 방문(訪問)하여 새로운 무역(貿易) 조약(條約)을 맺으려 하였고, 1826년(年)에는 시암은 영국(英國)과 버니 조약(條約)을 맺었다. 한편(한便) 라오스의 아누웡 국왕(國王)은 영국(英國)이 이 과정(過程)에서 시암을 침공(侵攻)할 것이라고 오해(誤解)하였고, 1826년(年)에 반란(叛亂)을 일으켜 시암을 공격(攻擊)하려 들었다. 그러나 영국(英國)은 시암을 침략(侵略)하지 않았고, 오히려 라오스는 처참(悽慘)하게 진압(鎭壓)당했으며 대다수(大多數)의 라오스 왕족(王族)들이 강제(强制)로 방콕으로 끌려가거나 처형당했다. 시암은 베트남과도 여러 차례(次例) 전쟁(戰爭)을 치루었고, 이 전쟁(戰爭)에서 베트남에 우위(優位)를 거두며 캄보디아에 대(對)한 주권(主權)을 확립(確立)하였다.

19세기(世紀) 후반(後半), 시암은 여러 식민지(植民地)들을 세워 민족적(民族的) 구성(構成)이 다른 영토(領土)들까지 한꺼번에 통치(統治)하려 들었다. 몽꿋 국왕(國王) 은 다가오는 서양(西洋)의 제국주의(帝國主義) 위협(威脅)에 대(對)해 인지(認知)하였고, 이후(以後)에는 영국(英國) 정부(政府)에 사절(使節)을 보내 긴장(緊張)을 완화(緩和)하려 들었다. 그러나 이후(以後) 시암을 만만하게 보기 시작(始作)한 영국(英國)은 홍콩 총독(總督)이었던 존 보링 경(卿)을 보내 보링 조약(條約)을 시암과 맺었으며, 이후(以後)에도 여러차례(次例) 시암과 강제적(强制的)인 불평등(不平等) 조약(條約)을 맺기 시작(始作)하였다. 한편(한便) 몽꿋 국왕(國王)은 말라리아 로 일찍 사망(死亡)하였고, 그의 뒤를 이어 아직 어린 라마 5세(歲) 가 왕위(王位)에 올랐다.

라마 5세(世)는 왕실위원회(王室委員會)를 설치(設置)하고 노예제(奴隸制), 농노제(農奴制)를 폐지(廢止)하는 등(等) 급진적(急進的)인 개혁(改革) 정책(政策)을 펼쳤고, 중앙집중적(中央集中的)인 정책(政策)들을 많이 내놓았다. 1870년대(年代)와 80년대(年代)에는 북부(北部)에 있던 보호령도(保護領度) 모두 왕국(王國)으로 편입시켰으며, 영토(領土)를 동북쪽(東北쪽)과 남쪽(南쪽)으로 뻗어나가기를 계속(繼續)하였다. 그는 현재(現在)의 각기(各其) 부처(部處)와 비슷한 12개(個)의 '크롬‘들을 설치(設置)하였으며, 여러 차례(次例) 근대화(近代化) 개혁(改革)들을 실시(實施)하며 국력(國力)을 유지(維持)하였다. 이러한 노력(努力)에 힘입어, 그리고 영국(英國)과 프랑스가 태국(泰國)을 사이에 두어 완충(完充) 국가(國家)로 만들기로 합의(合意)하면서 태국(泰國)은 동남아(東南亞)에서 유일(唯一)하게 서구(西歐) 세력(勢力)들에 의(依)하여 식민화(植民化)가 되지 않은 국가(國家)로 남아있을 수 있었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不拘)하고 태국(泰國)은 태국(泰國)은 영국(英國)에게는 말레이 인종(人種)이 거주(居住)하는 말레이 반도(半島)의 크다(Kedah)·프를리스(Perlis)·트렝가누(Terengganu)·클란탄(Kelantan) [1] 을, 프랑스에게는 메콩강(메콩江) 왼쪽 연안(沿岸)의 라오스를 떼어주어야 했다. 그러나 빠따니라 불리는 말레이 인종(人種)이 거주(居住)하는 나머지 지역(地域) [2] 은 오늘날에도 태국(泰國)의 영토(領土)로 남아 있다. 그 외(外)에도 치외법권(治外法權) 같은 불공정(不公正)한 조약(條約)들도 여전히(如前히) 남아있기는 하였다.

한편(한便) 시암은 연합국(聯合國) 측(側)이 이전(以前)의 불평등조약(不平等條約)들을 개정(改正)해주지 않을까하는 기대감(期待感) 때문에 1917년(年)에 제(第)1차(次) 세계대전(世界大戰) 에서 연합국(聯合國)의 편(便)으로 참전(參戰)하였다. 이후(以後) 세계대전(世界大戰)이 연합국(聯合國)의 승리(勝利)로 끝나자, 시암은 승전국(勝戰國)이 되었으며 파리 평화회의(平和會議)에 참석(參席)하여 관세(關稅)의 자유(自由), 그리고 치외법권(治外法權)의 폐지(廢止) 등(等)을 얻어내는 데에 성공(成功)하였다.

입헌군주정(立憲君主情) [ 편집(編輯) ]

1932년(年)에는 피분송크람 장군(將軍)과 태국인민당(泰國人民黨)의 주도(主導)로 무혈(無血) 쿠데타가 일어났고, 이 쿠데타로 인하여 국왕(國王)은 실권(實權)을 잃고 명예직(名譽職)으로 전락(轉落)하게 되었다. 당시(當時) 국왕(國王)이었던 라마 7세(歲) 는 강제(强制)로 헌법(憲法)에 서명(署名)하도록 강요받았으며, 이로 인(因)해 시암은 전제군주정(專制君主政)에서 입헌군주정(立憲君主情)으로 체제(體制)가 바뀐다. 그러나 얼마 가지 않아 대공황(大恐慌) 의 바람이 시암에도 몰아닥쳤고, 쌀 가격(價格)이 폭락(暴落)하고 경제(經濟)가 급하강(級下降)하자 국민(國民)들 사이에서 원성(怨聲)의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이후(以後) 1933년(年)에 쿠데타 세력(勢力)들을 몰아내고 전제군주정(專制君主政)을 되돌리려는 또다른 쿠데타가 터졌으나, 실패(失敗)하였다. 라마 7세(世)는 지속적(持續的)으로 정부(政府)와 갈등(葛藤)을 겪으며 관계(關係)가 악화(惡化)되었고, 결국(結局) 반강제(半强制)로 퇴위(退位)하였다. 라마 7세(世)가 퇴위(退位)한 직후(直後), 정부(政府)는 스위스에서 공부(工夫)하고 있던 아난다를 새로운 국왕(國王)으로 즉위(卽位)시키니 이가 바로 라마 8세(歲) 이다.

이후(以後) 태국(泰國) 인민당(人民黨)의 군부(軍部) 출신(出身) 인사(人士)들이 점차(漸次) 시암의 정치계(政治界)를 장악(掌握)해나가기 시작(始作)하였다. 피분송크람 장군(將軍)은 1938년(年)에 총리직(總理職)에 올랐고, 정치적(政治的)인 탄압(彈壓)과 동시(同時)에 반왕실(反王室) 정책(政策)들을 펴나가며 독재(獨裁) 체제(體制)를 굳혔다. 송크람 정부(政府)는 반중(反中), 반(反)프랑스, 서구화(西歐化) 정책(政策)을 펼쳤고, 1940년(年)에는 국호(國號)를 ‘시암(詩庵)’에서 ‘태국(泰國)’으로 바꾸었다. 1941년(年)에는 비시 프랑스 정부(政府)와 무력(武力) 충돌(衝突)하였으며, 이 전쟁(戰爭)에서 승리(勝利)하며 라오스와 캄보디아 영토(領土) 일부(一部)를 가져오는 데에 성공(成功)하였다. 1941년(年) 12월(月) 8일(日)에는 일본(日本) 제국(帝國) 의 침공(侵攻)을 받았고, 일본(日本)과 싸울 여력(餘力)이 없었던 송크람 정부(政府)는 개전(開戰) 직후(直後) 휴전(休戰)을 선언(宣言)했다. 일본군(日本軍)은 태국(泰國)을 자유롭게 드나들기 시작(始作)하였고, 12월(月) 21일(日)에는 군사(軍事) 협정(協定)을 맺어 일본(日本)이 태국(泰國)이 서구(西歐) 세력(勢力)들에게 잃어버린 영토(領土) 수복(收復)을 도와주는 대신(代身)에 세계(世界) 대전(大戰) 에서 일본(日本) 편(便), 즉(卽) 추축국(樞軸國) 편(便)에서 싸우기로 합의(合意)하였다. 태국(泰國)은 미국(美國)과 영국(英國)에 전쟁(戰爭)을 선포(宣布)하였다. 그러나 송크람의 독재(獨裁)와 일본(日本)의 간섭(干涉)에 맞서 국민(國民)들이 자유(自由)타이운동(運動)(Free Thai Movement)를 벌였기도 하였다. 1945년(年)에는 일본(日本)이 완벽(完璧)히 패망(敗亡)하며 세계(世界) 대전(大戰)이 끝났다. 다만 승전국(勝戰國) 측(側)이었던 연합국(聯合國)들이 태국(泰國)의 선전포고(宣戰布告) 사실(事實) 자체(自體)를 인정(認定)하지 않으면서 간신히(艱辛히) 패전국(敗戰國) 신세(身世)는 면할 수 있었다.

1946년(年) 6월(月)에 젊은 라마 8세(世)가 수상쩍은 총기(銃器) 사고(事故)로 인하여 죽은 채로 발견(發見)되었다. 그의 뒤를 이어 그의 동생인 라마 9세(歲) 가 왕위(王位)에 올랐다. 이후(以後) 태국(泰國)은 1954년(年)에 공산주의(共産主義)에 맞서 미국(美國)의 동맹국(同盟國)이 되었다. 1957년(年)에는 사릿 타(他)나랏 장군(將軍)이 쿠데타를 일으켰고, 그동안 태국(泰國) 정계(政界)를 지배(支配)해오던 태국(泰國) 인민당(人民黨)을 쫒아낸 이후(以後) 권위주의적(權威主義的)인 정책(政策)을 펼쳤다. 그는 신적(神的)인 왕실(王室)의 권위(權威)에 힘입어 자신(自身)의 정통성(正統性)을 확립(確立)하였으며, 자신(自身)의 입맛에 맞지 않는 인물(人物)들을 서서히(徐徐히) 제거(除去)해나가면서 권력(權力)을 굳혔다. 타(他)나랏 장군(將軍)은 태국(泰國)의 인프라와 교육(敎育)에 나름대로 심혈(心血)을 기울였으며, 1961년(年)에 미국(美國)이 베트남 전쟁(戰爭) 에 참여(參與)한 직후(直後)에는 미국(美國)과 군사협정(軍事協定)을 맺어 미국(美國)의 태국(泰國) 보호(保護)를 확인(確認)받기도 하였다.

이시기 태국(泰國) 사회(社會)는 급격(急激)한 서양화(西洋化)와 현대화(現代化)가 이루어졌다. 도시화(都市化)가 급격히(急激히) 진행(進行)되며 수많은 농촌(農村) 인구(人口)가 일자리를 찾아 방콕 등(等) 대도시(大都市)로 모여들었으며, 도시민(都市民)들에 비하여 자신(自身)들이 소외(疏外)받았다고 느낀 농촌(農村)의 농부(農夫)들은 점차(漸次) 공산주의(共産主義)에 빠져들었다. 한편(한便) 이시기(時期)에는 경제(經濟) 발전(發展)이 급격히(急激히) 이루어지며 방콕 등(等)의 대도시(大都市)에서 막대(莫大)한 양(量)의 중산층(中産層)이 생겨나기도 했다. 1971년(年) 10월(月)에는 타(他)놈 끼띠카쫀 총리(總理)의 독재(獨裁)에 맞서 대중(大衆)들이 대규모(大規模) 시위(示威)를 벌였고, 이 과정(過程)에서 민간인(民間人) 사상자(死傷者)가 생기기도 했다. 결국(結局) 국왕(國王)이 직접(直接) 개입(介入)하여 끼띠카쫀 총리(總理)를 몰아내고 법학자(法學者) 출신(出身)의 사냐 다르마삭(麻索)티를 새로운 총리(總理)로 임명하며 1932년(年) 이래(以來) 처음으로 국왕(國王)이 정치(政治)에 직접적(直接的)으로 개입(介入)한 사례(事例)를 남겼다. 이후(以後) 태국(泰國)은 극히(極히) 짧은 기간(期間) 동안 의회(議會) 민주주의(民主主義)를 맛보았는데, 이 얼마 되지 않은 민주화(民主化) 시기(時期)를 태국(泰國) 현지(現地)에서는 ‘민주주의(民主主義)가 꽃핀 시기(時期)(?????????????????????)’라고 칭(稱)한다.

태국(泰國) 역사상(歷史上) 가장 오랫동안 재위(在位)한 푸미폰 아둔야뎃 국왕(國王)

현대(現代) [ 편집(編輯) ]

사이공 이 함락(陷落)되며 남베트남 이 멸망(滅亡)하자, 안그래도 불안정(不安定)했던 태국(泰國) 사회(社會)는 갈수록 흔들렸으며 극우(極右) 세력(勢力)들은 좌파(左派) 계열(系列)의 학생(學生)들을 공산주의자(共産主義者)로 몰아 숙청(肅淸)하기 시작(始作)하였다. 이로 인하여 1976년(年)에는 탐마(探馬)삿 대학(大學) 의 학생(學生)들이 대거(大擧) 살해당하는 참극(慘劇)이 벌어지기까지 했다. 그날 쿠데타가 일어났고, 태국(泰國)의 민주정부(民主政府)가 쫒겨난 자리에는 극우세력(極右勢力)이 득세(得勢)한 정부(政府)가 들어서 언론인(言論人), 관리(管理), 지식인(知識人)들을 대대적(大大的)으로 탄압(彈壓)하였다. 극우(極右) 정부(政府)는 반공(反共)을 내세우며 독재(獨裁)를 정당화(正當化)하였으며, 수많은 사람들을 탄압(彈壓)하며 국민(國民)들의 반감(反感)을 샀다. 같은 해 일어난 또다른 쿠데타로 인하여 그나마 더 온건(穩健)한 성향(性向)의 정부(政府)가 들어섰으며, 1978년(年)에는 공산주의자(共産主義者)들에게 우호(友好)를 제안(提案)하기도 했다.

이후(以後) 난민(難民) 문제(問題), 국경(國境) 분쟁(紛爭), 경제(經濟) 문제(問題)들이 연(連)이어 겹치며 악재(惡材)에 시달리자, 쁘렘 띤나술라논 장군(將軍)이 쿠데타를 일으켜 1980년(年)에서 1988년(年)까지 총리(總理)로 재임(再任)하였다. 쁘렘 총리(總理) 시기(時期)는 종종(種種) ‘반(飯)-민주주의(民主主義)’ 시기(時期)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양원제(兩院制)로 구성(構成)된 태국(泰國)의 의회(議會)들 중(中) 하원(下院)은 모두 민주(民主) 선출제(選出制)로, 상원(上院)은 모두 임명제(任命制)로 구성(構成)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그의 시기(時期)에는 국왕(國王)이 점차(漸次) 정사(政事)에 깊숙이 관여(關與)하기 시작(始作)하였다. 1988년(年)에는 처음으로 태국(泰國)에서 선거(選擧)를 통하여 뽑힌 총리(總理)가 나오기도 하였다.

1991년(年)의 쿠데타로 권력(權力)을 장악(掌握)한 수찐다 끄라쁘라윤(尹) 장군(將軍)은 자신(自身)이 총리직(總理職)에 관심(關心)이 없음을 밝혔으나, 1992년(年) 대선(大選)에서 비리(非理)를 저지르며 결국(結局) 승리(勝利)를 거머쥐었다. 이에 분노(憤怒)한 국민(國民)들은 대규모(大規模) 시위(示威)를 일으켰고, 결국(結局) 이때도 라마 9세(世)가 또다시 정국(政局)에 개입(介入)하며 국민(國民)들의 손을 들어줌으로써 수찐다 총리(總理)는 그날로 사직(辭職)하였다. 1997년(年)에 터진 아시아 금융위기(金融危機) 는 40여(餘) 년(年)에 이른 경제성장(經濟成長)을 끝내버렸다. 정부(政府)는 IMF 에게 구제(救濟) 금융(金融)을 받았으며, 이는 수많은 국민(國民)들의 원성(怨聲)을 샀다. 포퓰리스트 정치인(政治人) 탁신(託身) 시(詩)나와트라 가 이끄는 정당(政黨)이 이에 편승(便乘)하여 인기(人氣)몰이를 하였고, 탁신(託身) 총리(總理)는 2001년(年)부터 2006년(年)까지 재임(再任)하였다. 한편(한便) 2004년(年) 인도양(印度洋)에 지진(地震)과 쓰나미가 일어나며 태국(泰國) 남부(南部)를 대대적(大大的)으로 덮쳤고, 어마어마한 인명피해(人命被害)가 일어나며 탁신 정부(政府)에 대(對)한 반감(反感)이 크게 증폭(增幅)되었다. 이후(以後) 탁신(託身) 총리(總理)의 2기(期) 집권기(執權期)에 대규모(大規模) 반대(反對) 시위(示威)가 일어났고, 결국(結局) 2006년(年)에 쿠데타 가 일어나며 탁신(託身) 총리(總理)도 쫒겨났다. 군부(軍部) 세력(勢力)은 군정(軍政)을 설치(設置)하였고, 이 군정(軍政)은 대략(大略) 1년(年) 정도(程度) 지속(持續)되었다.

2007년(年)에는 탁신(託身) 전(前) 총리(總理)와 연합(聯合)한 태국(泰國) 인민(人民)의 힘 당(黨) 이 선거(選擧)에서 승리(勝利)하였다. 이후(以後) 인민(人民)의 힘 당(黨)은 민주당과 연정(聯政)을 맺어 정부(政府)를 구성(構成)하였고, 이후(以後) 탁신계(界) 인사(人士)들이 정부(政府)에 줄줄이 재등용(再登用)되는 것에 반대(反對)한 세력(勢力)들이 시위(示威)를 일으켰으나 성공(成功)하지는 못하였다. 2011년(年) 총선(總選)에서도 탁신계(界) 정당(政黨)이 승리(勝利)를 거두었고, 탁신의 누이인 잉락 시(詩)나와트라 가 새로운 총리(總理)로 당선(當選)되었다. 반대세력(反對勢力)들은 탁신의 친척(親戚)들이 정계(政界)를 장악(掌握)하고 있는 현실(現實)을 비판(批判)하며 시위(示威)를 일으키기도 하였다. 잉락 총리(總理)는 의회(議會)를 해산(解散)하고 선거(選擧)를 미루려 들었으나, 헌법재판소(憲法裁判所)가 이를 저지(沮止)하면서 실패(失敗)하였다. 이후(以後) 2014년(年)에 또다시 쿠데타 가 일어났고, 쁘라윳 찬오차(贊誤差) 장군(將軍)의 주도하(主導下)의 국가평화유지위원회(國家平和維持委員會) 가 결성(結成)되어 현재(現在)까지 태국(泰國)을 통치(統治)해오고 있다. 쁘라윳 총리(總理)는 시민권(市民權)과 정치권(政治權)을 제한(制限)하였으며, 국왕(國王)의 권위(權威)를 모독(冒瀆)하는 행위(行爲)들을 엄격히(嚴格히) 단속(團束)하는 탄압적(彈壓的)인 정책(政策)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치적(政治的) 야당(野黨)과 반대(反對) 세력(勢力)들은 ‘단속(團束) 캠프’로 보내지고 있다는 설(說)도 있어 논란(論難)은 여전히(如前히) 증폭(增幅)되고 있다. 한편(한便) 태국(泰國) 역사상(歷史上) 가장 오랫동안 재위(在位)한 라마 9세(世)가 2016년(年)에 사망(死亡)하자 그의 아들 라마 10세(歲) 가 왕위(王位)에 올랐다. 2019년(年)에는 군부(軍部)가 3월(月)에 총선(總選)을 치르기로 합의(合意)하였고, 쁘라윳 총리(總理)는 군부(軍部)를 지지(支持)하는 팔랑쁘라차랏당(黨)의 지원(支援)을 받아 총리직(總理職)을 유지(維持)하는 데에 성공(成功)하였다. 한편(한便) 2020년(年) 들어서는 코로나 19 사태(事態) 와 함께 내려진 비상(非常) 봉쇄령에 반발(反撥)하며 2020년(年) 태국(泰國) 민주화(民主化) 시위(示威) 가 일어나기도 했다.

자연(自然) 환경(環境) [ 편집(編輯) ]

지리 [ 편집(編輯) ]

북부(北部) 산악지대(山岳地帶)
카오야이 국립(國立) 공원(公園)
태국(泰國) 남부(南部)의 섬, 크라비.
태국(泰國) 북부(北部)의 숲, 치앙마이.

국토(國土)의 면적(面積)은 51만(萬)4000km 2 로 세계(世界) 49위(位)이다. 이는 프랑스 미국(美國) 캘리포니아주(캘리포니아州) 와 유사(類似)한 크기이다. 동남아시아(東南아시아) 대륙(大陸)의 중앙(中央)에 위치(位置)한 태국(泰國)은 자연(自然) 환경(環境)에 따라 크게 네 개(個)의 지역(地域) - 북부(北部), 중부(中部), 동북부(東北部) 및 남부(南部)- 로 구분(區分)되며, 그 지역(地域)마다 여러 가지 특징(特徵)을 보인다.

북부(北部)
북부(北部)는 높은 산악지대(山岳地帶)로 미얀마, 라오스와 접경(接境)한다. 비교적(比較的) 시원한 기후(氣候)이다. 남북방향(南北方向)의 높은 산맥(山脈)이 줄지어 있으며, 태국(泰國) 내(內) 최고봉(最高峯)인 도이 인타논(論) (2,576m)도 이 지역(地域)에 있다. 산맥(山脈) 사이에 치앙마이·치앙라이·난·람빵 등(等) 작은 분지(盆地)가 형성(形成)되어 있으며, 하천(河川) 골짜기를 이용(利用)한 교통로(交通路)가 예로부터 발달(發達)되었다. 주변(周邊) 산지(山地)에서 흘러내리는 강물(江물)로 전통적(傳統的) 관개수리체계(灌漑水利體系)가 발달(發達)되어 태국(泰國)에서 가장 생산성(生産性) 높은 집약적(集約的) 농업(農業)이 이루어지고 있다. 코끼리들이 숲에서 일을 하고 겨울철 딸기나 복숭아와 같은 과일을 재배(栽培)하기에 알맞은 곳이다.
동북부(東北部)
동북부(東北部)( 이싼 )는 거의 전역(全域)에 코랏 분지(盆地) 가 펼쳐져 있으며, 강우량(降雨量)이 적어 농작물(農作物)이 자라기 어려운 환경(環境)에 있고, 경제적(經濟的)인 빈곤(貧困)이 문제(問題)가 되는 지역(地域)이다. 태국(泰國) 중부(中部) 동쪽(東쪽) 끝은 페차분 산맥(山脈)과 동파야(凍破野)디옌 산맥(山脈)으로 갑자기 막힌다. 이 산맥(山脈)들은 역사적(歷史的)으로 태국(泰國) 중부(中部)와 태국(泰國) 동북부(東北部)를 갈라놓았는데, 산맥(山脈) 서쪽(西쪽)은 가파른 산지(山地)이자 무성(茂盛)한 삼림지역(森林地域)이고 동쪽(東쪽)은 큰 대지(大地)로 태국(泰國) 전국토(全國土)의 약(約) 1/3을 차지한다. 메콩강(메콩江) 에 접(接)하고 있기도 하다. 기복(起伏)있는 저지대(低地帶)는 논으로 만들어지고, 고지대(高地帶)는 소림(疏林)(疎林)으로 덮였지만 인구증가(人口增加)에 따라 소림지역(疏林地域)도 논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벼농사(벼農事) 외(外)에 밭농사(밭農事)와 축산(畜産)도 이루어진다.
중부(中部)
중부(中部)에는 짜오프라야강(江) 이 형성한(形成韓) 광대(廣大)한 짜오프라야 삼각주(三角洲)로 불리는 풍성(豐盛)한 평지(平地)가 퍼져, 세계(世界)에서 손꼽히는 유수(有數)한 벼농사(벼農事) 지대(地帶)를 만들어 내고 있다. 짜오프라야 강(江)은 국내(國內) 제일(第一)의 하천(河川)으로 중부(中部)의 교통(交通)의 대동맥(大動脈)이면서 생활(生活)과 농업(農業) 생산(生産)에 필요(必要)한 물을 공급(供給)한다. 태국(泰國) 중부(中部)의 대부분(大部分)을 구성(構成)하는 짜오프라야 삼각주(三角洲)는 구(舊)델타와 신델타(打)로 나뉜다. 구(舊)델타는 예로부터 육지(陸地)로 만들어진 땅이며, 장대(壯大)한 자연제방(自然堤防)과 습지(濕地)로 인해 깊은 물에서도 잘 견디는 부도(不渡)(浮滔)라는 벼 품종(品種)이 재배(栽培)되고 있다. 신(新)델타는 아유타야로부터 해안(海岸)에 이르는 드넓은 지역(地域)이며, 완전(完全)한 평탄지(平坦地)로 좀체로 물이 빠지지 않는다. 19세기(世紀) 말(末)부터 물길이 가로세로로 파여져 벼농사(벼農事) 경작지(耕作地)를 확장(擴張)시킴과 동시(同時)에 새로운 취락도(聚落度) 형성(形成)하였으며 오늘날 태국(泰國) 제(第)1의 곡창지(穀倉地)이다. 품질(品質) 좋은 과일도 이곳에서 많이 재배(栽培)된다. 태국(泰國) 중부(中部) 서쪽(西쪽) 끝은 다우나산맥(山脈)으로 미얀마 와 국경(國境)을 이룬다.
남부(南部)
대왕(大王)쥐가오리 , 피피 국립(國立) 공원(公園)
남부(南部)는 말레이 반도(半島) 의 일부(一部)를 차지하며, 대부분(大部分) 산지(山地)이나 시암만쪽 동편(東便)에는 해안(海岸)에 잇닿은 소규모(小規模) 해안평야(海岸平野)가 몇 곳에 형성(形成)되어 자급자족(自給自足)할 수 있는 벼농사(벼農事)가 이루어진다. 파라 고무나무가 펼쳐져 있고, 최근(最近)까지 주석(主席) 채굴(採掘)이 활발(活潑)했다. 어업(漁業)도 중요(重要)하다. 또, 우기(雨期)가 중부(中部)보다 긴 것으로도 유명(有名)하다. 태국(泰國) 정부(政府)는 남부(南部)에 말레이 반도(半島) 대운하(大運河) 계획(計劃)을 제시(提示)하고 있지만, 아직 검토(檢討) 중(中)이다. [3]
위(位) 4개(個)의 지역(地域)에 아래 2개(個)의 지역(地域)을 더하여 6개(個)의 지역(地域)으로 구분(區分)할 수도 있다. [4] :74
쿠이 부리 국립(國立) 공원(公園)에서 코끼리
동부(東部) 해안(海岸) 지대(地帶)
아름다운 해변(海邊) 휴양지(休養地)로 유명(有名)한 지역(地域)이다.
서부(西部)
수력(水力) 발전(發展)을 하기에 알맞은 서쪽(西쪽)의 산악지역(山岳地域)과 계곡(溪谷)이다.

기후(氣候) [ 편집(編輯) ]

다른 여러 동남아시아(東南아시아) 나라와 마찬가지로 열대(熱帶) 몬순 지대(地帶)에 속(屬)한다. 수도(首都) 방콕에서 가장 더운 4월(月) 평균(平均) 기온(氣溫)이 섭씨(攝氏) 29.5도(度)이며, 가장 시원한 12월(月) 평균(平均) 기온(氣溫)은 섭씨(攝氏) 25.3도(度)이다. 연교차(年較差)는 4.2이다. 이러한 단조(單調)로운 기후(氣候)에 변화(變化)를 가져오는 게 몬순이다. 5월(月)부터 10월(月)까지 남서(南西)몬순이 부는 우기(雨期)이며, 연간(年間) 강우량(降雨量)의 거의 전부(全部)가 이 시기(時期)에 쏠린다. 11월(月)부터 4월(月)까지는 동북(東北)몬순이 불어 아시아 대륙(大陸)의 건조(乾燥)한 대기(大氣)의 영향(影響)을 받아 건조기(乾燥器)가 된다. [5]

정치(政治) [ 편집(編輯) ]

1932년(年) 이전(以前)까지만 해도 태국(泰國)은 절대군주정(絶對君主鄭)이었다. 현대(現代) 태국(泰國)의 전신(前身)들 중(中) 하나였던 수코타이 왕국(王國) 에서는 국왕(國王)을 다르마 , 즉(卽) 우주(宇宙)의 섭리(攝理)에 따라 세계(世界)를 통치(統治)하는 절대자(絶對者)로 묘사(描寫)하였고, 이 전통(傳統)이 지역(地域)에 뿌리깊게 박혀있는 불교(佛敎)와 합쳐지며 국왕(國王)의 권위(權威)가 지금(只今)까지도 절대적(絶對的)인 수준(水準)에 이르게 된 것이다. 특히(特히) 명군(名君)이었던 라마 5세(歲) 가 지방분권적(地方分權的)인 제후국(諸侯國)들로 나뉘어 있던 태국(泰國)을 중앙집중적(中央集中的)인 국가(國家)로 탈바꿈시키는 데에 성공(成功)하면서 국왕(國王)의 권력(權力)은 강력(强力)해져만 갔다. 다만 1932년(年) 6월(月) 24일(日), 태국(泰國) 인민당(人民黨)이 무혈(無血)쿠데타에 성공(成功)하며 권력(權力)을 국왕(國王)에게서 빼앗아 입헌군주정의(立憲君主正義) 기틀을 닦았다.

태국(泰國)은 1932년(年) 이래(以來) 무려(無慮) 20번(番)이나 헌법(憲法)을 개헌(改憲)하였다. 가장 최근(最近)의 개헌(改憲)은 2017년(年)에 있었다. 워낙 헌법(憲法)이 자주 바뀐 만큼, 국가(國家) 체제(體制)도 여러 번(番) 바뀌었는데 완전(完全)한 군부(軍部) 독재체제(獨裁體制)에서 입헌(立憲) 민주주의(民主主義)까지 다양한 체제(體制)를 왔다갔다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태국(泰國)은 세계(世界)에서 4번째(番째)로 쿠데타가 많이 일어난 국가(國家)이며, 1932년(年)부터 2009년(年) 사이의 83년(年) 동안 55년(年)을 군부(軍部) 출신(出身) 인사(人士)들이 태국(泰國)을 지배(支配)했을 정도(程度)로 군부(軍部)의 입김이 강력(强力)하다 가장 최근(最近)에는 국가평화유지위원회(國家平和維持委員會) 가 쿠데타를 일으켜 2014년(年)에서 2019년(年)까지 태국(泰國)의 권력(權力)을 휘어잡았다.

태국(泰國)의 정치(政治)는 크게 입헌군주정의(立憲君主正義) 틀 안에 짜여져 있으며, 세습(世襲) 군주(君主)가 국가(國家) 최고수반(最高首班)의 자격(資格)을 가지며 현재(現在)의 국가수반(國家首班)은 2016년(年) 10월(月)에 즉위(卽位)한 라마 10세(歲)이다. 헌법(憲法)에 의(依)하면 국왕(國王)은 국가(國家)의 상징(象徵)이며 태국군(泰國軍)의 최고사령관(最高司令官), 그리고 태국(泰國) 불교(佛敎)의 최고지도자(最高指導者)들 중(中) 한 명(名)이기도 하다. 후계자(後繼者)를 선정(選定)할 권한(權限)이 있으며, 왕실(王室) 내탕금도(內帑金度) 마음대로 운용(運用)할 수 있다. 원칙적(原則的)으로는 정치(政治)에 간섭(干涉)하는 것이 금지(禁止)되어 있으나, 왕실(王室)이 정치(政治)에 관여(關與)하는 경우(境遇)가 상당히(相當히) 잦으며 모든 헌법(憲法)에도 국왕(國王)의 정치권(政治權)을 암묵적(暗默的)으로 보장(保障)하고 있다. 이처럼 국왕(國王)의 권위(權威)가 매우 강력(强力)하기 때문에 태국(泰國)에서 국왕(國王)을 모욕(侮辱)하는 행위(行爲)는 무례죄(無禮罪)로 처벌(處罰)될 수 있다.

태국(泰國)은 공식적(公式的)으로는 삼권분립제(三權分立第) 를 채택(採擇)하고 있다.

  • 행정부(行政府) - 태국(泰國) 총리(總理) 가 최고책임자(最高責任者)이며, 총리(總理)는 상원(上院)에 의(依)해 선출(選出)된다. 내각(內閣)은 총리(總理)의 요청(要請) 하(下)에 국왕(國王)이 직접(直接) 임명하며, 총리(總理)는 태국(泰國)의 정부(政府) 수반(首班)이기도 하다.
  • 사법부(司法府) - 사법부(司法府)는 헌법(憲法)에 의(依)하면 행정부(行政府)와 입법부(立法府)로부터 완전독립(完全獨立)되어 자유로워야하지만, 최근(最近)들어 태국(泰國) 법원(法院)에서 편파적(偏頗的)인 판정(判定)이 연달아 나오며 현존(現存) 법(法)보다 정치(政治)에 더 신경(神經)을 쓰고 있다는 비판(批判)을 듣고 있다.
태국(泰國) 의회(議會)

민주주의(民主主義) [ 편집(編輯) ]

태국(泰國)의 정치(政治) 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 에 근거(根據)한 민주주의(民主主義) 이다. 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는 1932년(年) 쿠데타에 의(依)해 확립(確立)됐다. 2016년(年) 서거(逝去)한 푸미폰 아둔야뎃 국왕(國王)을 계승(繼承)한 현(現) 국왕(國王)은 마하 와치랄롱꼰 이다.

2001년(年) 포퓰리즘 성향(性向)의 탁신 친나왓 이 압도적(壓倒的) 표차(票差)로 총리(總理)가 된 후(後) 그의 권위주의(權威主義)나 부패(腐敗), 포퓰리즘을 둘러싼 논란(論難)으로 태국(泰國)은 2차례(次例)의 쿠데타와 여러 시위(示威)를 겪었다. 농민(農民)과 도시빈민(都市貧民)으로 구성(構成)된 탁신의 지지자(支持者)는 레드셔츠라 불리고 국왕(國王) 및 왕실(王室), 고위(高位) 관료(官僚), 군부(軍部), 도시(都市) 중산층(中産層)으로 구성(構成)된 반대파(反對派)는 옐로 셔츠라 불린다. [6]

2019년(年) 최근(最近) 군부(軍部) 쿠데타 이후(以後) 5년(年)만에 총선(總選)이 치뤄졌지만 부정선거(不正選擧) 의혹(疑惑)을 면(面)하진 못했다.

쿠데타 [ 편집(編輯) ]

태국(泰國)은 1932년(年) 쿠데타 후(後) 현재(現在)까지 19차례(次例)나 쿠데타를 겪었다. 가장 최근(最近)의 쿠데타는 2014년(年) 5월(月) 20일(日) 일어났다 . 태국(泰國)의 쿠데타는 폭력사태(暴力事態) 없이 제도화(制度化) 된 단계(段階)를 통해 일어난다고 평가(評價)받는다. [7]

민주주의(民主主義) 지수(指數) [ 편집(編輯) ]

2016년(年)을 기준(基準)으로 민주주의(民主主義) 지수(指數) (Democracy Index)는 4.92점(點)으로 전(全) 세계(世界) 100위(位)이다. 결함(缺陷)이 있는 민주주의(民主主義)를 넘어서 비자유적(遺跡) 민주주의(民主主義) 국가(國家)로 분류(分類)된다. 인도네시아(48위(位))나 필리핀(50위(位)), 말레이시아(65위(位)) 등(等) 다른 동남아시아(東南아시아) 국가(國家)들에 비해서도 현저히(顯著히) 낮은 편(便)이며, 사실상(事實上) 독재국가(獨裁國家)로 분류(分類)되는 싱가포르(70위(位))보다도 낮다. 이는 태국(泰國)의 심각(深刻)하고 뒤쳐진 민주주의(民主主義)의 현실(現實)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태국(泰國)의 행정구역(行政區域)도

행정(行政) 구역(區域) [ 편집(編輯) ]

수도 방콕 (끄룽텝)이며, 치앙마이 핫야이 등(等)의 주요(主要) 도시(都市)가 있다. 행정(行政) 구역(區域)으로는 위치(位置) 구분(區分)에 따라 5개(個)의 지역(地域)(중부(中部), 동부(東部), 북부(北部), 북동부(北東部), 남부(南部))에, 76개(個)의 짱왓(changwat)으로 나뉜다( 태국(泰國)의 주(州) 참조(參照)). 중부(中部)에는 앙텅 등(等) 19개(個), 동부(東部)에는 차층(車層)사오 등(等) 7개(個), 북부(北部)에는 치앙마이 등(等) 17개(個), 동북부(東北部)에는 암(癌)낫짜른 등(等) 19개(個), 남부(南部)에는 춤폰 등(等) 14개(個)의 짱왓이 있다.

태국(泰國)은 기본적(基本的)으로 단일국가(單一國家)로, 1991년(年)에 발표(發表)한 국가정부구성법(國家政府構成法) 2534호(號)에 의(依)하여 총(總) 3단계(段階)로 행정(行政) 구역(區域)을 나누고 있다 태국(泰國)은 76개(個)의 주(株)(짱왓)들로 나누어져 있으며, 수도(首都)인 방콕과 파타야 등(等) 2개(個)의 특별행정구역(特別行政區域)이 따로 있다. 방콕은 수도(首都)의 중요성(重要性) 때문에 종종(種種) 주(州)와 같은 급(級)으로 분류(分類)되기도 하며, 오히려 더 중요(重要)하게 여겨지는 경우(境遇)도 있다고 한다. 각각(各各)의 주(州)들은 또다시 구(舊)(암포(巖泡)에)로 나누어지고 이 구들은 또 면(面)(탐본(貪本))으로 나뉜다. 각(各) 주(州)의 주도(州都)들의 명칭(名稱)이 그 주의(注意) 명칭(名稱)이 되는데, 예(例)를 들어 치앙마이 주(州)의 주도(州都)인 치앙마이의 이름을 따서 주(株)를 치앙마이 주라고 이름붙인 것이다. 모든 주지사(州知事), 구청장(區廳長), 면장(面長)들은 중앙(中央) 정부(政府)가 직접(直接) 임명하며, 이 때문에 지방자치(地方自治)가 생각보다 원활(圓滑)하지는 못하다.

대외(對外) 관계(關係) [ 편집(編輯) ]

제(第)1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 이 일어났을 때 태국(泰國)의 여론(輿論)은 친(親) 독일(獨逸) 이었다. 일찍이 프랑스 영국(英國) 에는 많은 영토(領土)를 빼앗긴 적이 있었던 데 비해, 독일(獨逸)은 철도(鐵道) 개발(開發)에 도움을 주었고, 태국(泰國)의 영토(領土)에 야심(野心)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라마 6세(歲) 는 1914년(年) 중립(中立)을 선포(宣布)하고 전쟁(戰爭)이 종반(終盤)에 이를 때까지 계속(繼續) 중립입장(中立立場)을 고수(固守)하였다. 1917년(年) 미국(美國) 이 대(大)독 선전포고(宣戰布告)를 하고 연합국(聯合國) 측(側)의 승리(勝利)가 확실(確實)해지자, 라마 6세(世)는 독일(獨逸)과 오스트리아 에 대(對)하여 선전포고하였다. 이와 같은 형식적(形式的)인 참전(參戰)이 태국(泰國)에게 막대(莫大)한 이익(利益)을 가져왔다. 파리 강화(講和) 회의(會議) (1919년(年))가 열렸을 때 태국(泰國)은 전승국(戰勝國)의 입장(立場)으로 참가(參加)하고 국제(國際) 연맹(聯盟) 의 창설(創設)과 함께 정회원국(正會員國)이 되어(1920년) 불평등(不平等) 조약(條約)을 갱신(更新)하는 계기(契機)가 되었다. 제(第)1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 중(中)의 태국(泰國) 외교(外交)는 이중(二重) 외교(外交)(dual diplomacy)이고, 주위(周圍) 정세(情勢)에 따라 유연히 흔들리는 대나무외교(外交)(bamboo diplomacy)였다. [8]

태국(泰國)은 동남아시아(東南아시아) 에서 유일(唯一)하게 서구(西歐) 열강(列强)의 식민통치(植民統治)를 받지 않고 독립(獨立)을 유지(維持)하였다. 제(第)2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 이후(以後)에는 반공주의(反共主義) 에 기초하여 미국(美國) 과 적극적(積極的)으로 친밀(親密) 관계(關係)를 맺어 많은 경제(經濟) 원조(援助)를 받았다. 그러나 데탕트 를 계기(契機)로 공산주의(共産主義) 국가(國家)들과도 돈독(敦篤)한 외교(外交) 관계(關係)를 유지(維持)하여 왔고, 대한민국(大韓民國) 과는 전략적(戰略的) 동반자(同伴者) 관계(關係)다.

태국(泰國)은 지도부(指導部)가 빈번(頻繁)이 교체당하는 수난(受難)을 현재(現在)까지도 겪고 있음에도 불구(不拘)하고, 국제정치(國際政治)와 동남아(東南亞) 정세(情勢)에 굉장히(宏壯히) 깊숙하게 관여(關與)하고 있다. 특히(特히) 태국(泰國)은 미국(美國)의 최우방들 중(中) 하나로 동남아(東南亞) 지역(地域)에서 중국(中國) 등(等) 공산(共産) 세력(勢力)을 견제(牽制)하는 역할(役割)을 맞고 있으며, ASEAN 의 창립국(創立國)들 중(中) 하나로서 활동(活動)도 활발히(活潑히) 하고 있다. 또한 태국(泰國)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브루나이, 라오스, 캄보디아, 미얀마, 베트남 등(等) 동남아(東南亞)에 위치(位置)하고 있는 국가(國家)들과 특히(特히) 연(鳶)이 깊으며, 매년(每年) 연례적(年例的)으로 외교장관회의(外交長官會議), 경제장관회의(經濟長官會議)를 모여 연다. 2003년(年)에는 APEC 초청국(招請國)으로 참석(參席)하기도 했다. 2005년(年)에는 비정기(非定期) 동아시아(東아시아) 정상회의(頂上會議) 에 참석(參席)하기도 했다.

최근(最近)들어 태국(泰國)은 유난히 국제사회(國際社會)에서 두각(頭角)을 드러내고 있다. 동티모르가 인도네시아로부터 독립(獨立)을 선언(宣言)하였을 때, 태국(泰國)을 역사상(歷史上) 처음으로 평화유지군(平和維持軍)을 파병(派兵)하여 동티모르 지역(地域)의 정세(情勢) 안정(安定)을 도왔으며, 현재(現在)까지도 UN 평화유지군(平和維持軍) 의 임무(任務)를 띠고 그 곳에 주둔(駐屯)하고 있다. 또한 국가(國家) 위상(位相)을 높이기 위하여 미주(美洲) 기구(機構) , 유럽안보협력기구 등(等) 지방(地方) 협력(協力) 기구(機構)들에도 활발히(活潑히) 참여(參與)하고 있다. 태국(泰國)은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등(等) 분쟁지역(紛爭地域)에도 군(軍)을 파병(派兵)하기도 했다.

상대적(相對的)으로 최근(最近)에 탁신(託身) 총리(總理)는 중국(中國), 호주(濠洲), 바레인, 인도(印度), 미국(美國)과 FTA 조약(條約)을 맺었는데, 이 중(中) 특히(特히) 미국(美國)과의 FTA 조약(條約)이 연약(軟弱)한 태국(泰國) 산업(産業)을 밀어버릴 수 있다는 비판(批判)을 많이 들었다고 전(傳)해진다. 탁신(託身) 총리(總理)는 그 외(外)에도 태국(泰國)이 해외(海外) 원조(援助)를 늘릴 것이며, 메콩 강(江) 유역(流域) 국가(國家)들을 돕기 위하여 노력(努力)을 기울일 것이라고 천명(闡明)하였다. 탁신(託身) 총리(總理)는 라오스 등(等)의 국가(國家)들을 원조(援助)하며 태국(泰國)을 동남아(東南亞)에서의 지역(地域) 강국(强國)으로 다시 돌려놓기 위해 힘쓰고 있으나,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등(等)이 무서운 경제(經濟) 성장률(成長率)을 기록(記錄)하고 있기에 생각만큼 잘되고 있지 않은 실정(實情)이다.

태국(泰國)은 이라크 전쟁(戰爭) 에서 미국(美國) 편(便)을 들어 423명(名)의 군인(軍人)들을 파병(派兵)하기도 했다. 그러나 2004년(年) 9월(月) 10일(日)에 철수(撤收)했다. 이 전쟁(戰爭)에서 대략(大略) 2명(名)의 군인(軍人)들이 기습(奇襲) 공격(攻擊)을 받아 사망(死亡)한 것으로 알려졌다. 2009년(年) 4월(月)에는 태국(泰國)과 캄보디아가 국경(國境) 근처(近處)의 900여(餘) 년(年) 된 힌두교(힌두敎) 사원(寺院) 유적(遺跡)에서 군사(軍事) 충돌(衝突)을 벌였다. 캄보디아 정부(政府)는 최소(最小) 4명(名)의 태국(泰國) 군인(軍人)들을 사살(射殺)했으며 10여(餘) 명(名)을 체포(逮捕)했다고 발표(發表)했으나, 태국(泰國) 정부(政府)는 그 어떠한 자국(自國) 군인(軍人)들도 죽거나 다친 바가 없다고 공식적(公式的)으로 부인(否認)했다. 현재(現在)까지도 캄보디아와 태국(泰國)은 이 충돌(衝突)의 원인(原因)이 서로에게 있다고 떠넘기고 있다.

태국(泰國)의 항공모함(航空母艦) 인(人) 차크리 나루에벳

국방(國防) [ 편집(編輯) ]

태국군(泰國軍)(?????????)은 크게 육군(陸軍)(???????????), 해군(海軍) (?????????????), 공군(空軍)(??????????????)으로 구성(構成)되어 있으며, 그 외(外)에도 여러 준군사조직(準軍事組織) 들을 거느리고 있다. 태국(泰國)의 육군(陸軍)은 약(約) 306,000여(餘) 명(名)이며, 245,000여(餘) 명(名)을 예비군(豫備軍)으로 가지고 있다. 태국(泰國) 군(軍)의 최고(最高) 통수권자(統帥權者)는 국왕(國王)이지만, 이는 명예직(名譽職)일뿐 실제로(實際로) 군대(軍隊)를 담당(擔當)할 최고(最高) 권한(權限)은 총리(總理)에게 있다. 태국(泰國) 국방부장관(國防部長官)이 육군(陸軍)의 총책임자(總責任者)로, 총리(總理)의 명령(命令)을 따르며 군(軍) 관련(關聯) 사무(事務)들을 감독(監督)한다. 태국(泰國)의 1년(年) 국방비(國防費) 예산(豫算)은 2005년(年)에는 780억(億) 바트 정도(程度)였던 데에 반(反)해, 2016년(年)에 이르자 2,070억(億) 바트 정도(程度)로 뛰어오르며 거의 3배(倍) 넘게 상승(上昇)했다. 게다가 2019년(年)에는 GDP의 1.5%를 국방비(國防費)가 차지하기도 했다. 2015년(年) 9월(月)에 조사(調査)된 자료(資料) 결과(結果)에 의(依)하면, 태국(泰國)의 군사력(軍事力)은 세계(世界) 16위(位) 정도(程度)라고 한다.

군대(軍隊)는 단순(單純) 방위(防衛) 업무(業務)뿐만 아니라 인도주의적(人道主義的)인 임무(任務)도 함께 맡는데, 가장 대표적(代表的)인 것이 미얀마의 로힝야족(族) 을 인도네시아나 말레이시아로 옮겨주는 임무(任務)에 참여(參與)한 것이었다.

헌법(憲法)에 따르면 모든 태국(泰國) 국민(國民)들은 군대(軍隊)에서 복무(服務)해야 한다. 태국(泰國)은 21세(歲)가 넘는 남성(男性)들에 한하여 추첨제(抽籤制)를 채택(採擇)하고 있으며, 이들은 입대(入隊)한 후(後) 국토방위생(國土防衛生)(Territorial Defence Student)로 교육(敎育)받으며, 이 과정(過程)을 수료(修了)한 성적(成跡)과 사회(社會)에서의 교육(敎育) 수준(水準)에 따라서 각각(各各) 다른 종류(種類)의 업무(業務)에 배치(配置)된다. 다만 이 국토방위(國土防衛) 교육(敎育)은 종종(種種) 비판(批判)을 많이 받아왔는데, 이(李) 교육과정(敎育課程)이 창의적(創意的)인 군인(軍人)을 생산(生産)하기는커녕 고참(古參)들의 시중꾼이나 군산회사(群山會社)들의 하수인(下手人) 따위나 양산(量産)해낸다고 지적(指摘)받기 때문이다. 2020년(年) 3월(月)의 보고서(報告書) 결과(結果), 엠네스티에서는 군(軍) 지도자(指導者)들이 국토방위(國土防衛) 교육(敎育)을 남용(濫用)하여 군인(軍人)들을 신체적(身體的), 정신적(精神的)으로 학대(虐待)하고 폭로(暴露)하기도 했다.

해외(海外) 전문가(專門家)들은 태국군(泰國軍)의 존재(存在) 이유(理由)가 외국(外國)의 침입(侵入)보다는 내국(內國)의 소요(騷擾) 진압(鎭壓)에 더 치중(置重)해있는 것 같다고 평(評)하기도 한다. 특히(特히) 태국군대(泰國軍隊)는 국내안전보위부(國內安全保衛部)(Internal Security Operations Command)라는 특수(特殊) 준경찰조직(準警察組織)을 보유(保有)하고 있는데, 이들은 사회운동가(社會運動家)들과 시민(市民)들을 감시(監視)하는 역할(役割)을 하며 심지어(甚至於)는 반민주적(反民主的)인 임무(任務)들을 종종(種種) 수행(遂行)하기도 한다. 이들은 추적(追跡), 감시(監視), 암살(暗殺)과 같은 행위(行爲)들로도 악명(惡名)이 높기도 하다. 태국(泰國) 군대(軍隊)가 워낙 태국(泰國) 정계(政界)에 깊이 관여(關與)하다보니 부정부패(不淨腐敗)도 막대(莫大)하고 현역(現役) 의원(議員)들 다수(多數)가 군대(軍隊)의 요직(要職)에 앉아있다가 온 사람들인 경우(境遇)도 많다.

병역(兵役)은 징병제(徵兵制) 이며 징병(徵兵)은 추첨(抽籤)으로 진행(進行)한다. 체력검사(體力檢査)를 실시(實施)해 1, 2, 3 등급(等級)으로 나눈다. 이후(以後) 1급(級) → 2급(級) → 3급(級) 순서(順序)대로 추첨(抽籤)을 하는데 검정 구슬과 붉은 구슬의 비율(比率)을 알 수 없는 [9] 100개(個)의 구슬이 담긴 항아리(缸아리) 에서 입영(入營) 대상자(對象者)는 구슬을 뽑는다. 검정 구슬이 나오면 병역(兵役)에서 면제(免除)되며, 붉은 구슬이 나오면 1개월(個月) 이내(以內)에 입대(入隊)해야 하며 병역(兵役) 연기(延期)가 불가능(不可能)하다. 추첨(抽籤)은 붉은 구슬이 소진(消盡)될 때까지만 진행(進行)되며, 붉은 구슬이 모두 소진(消盡)되면 이후(以後) 추첨자(抽籤者)들은 전원(全員) 병역(兵役)이 면제(免除)된다. 이 추첨(抽籤)은 공정성(公正性) 문제(問題)로 인해 텔레비전 에서 생방송(生放送) 으로 중계(中繼)를 한다. 병역(兵役) 의무(義務) 기간(期間)은 자원(自願) 입대(入隊)를 하면 대학(大學) 진학자(進學者)는 6개월(個月), 고졸(高卒) 이하(以下)는 1년(年)이며 붉은 구슬을 뽑으면 학력(學歷)에 상관(相關)없이 2년(年)이다. 트랜스젠더 의 경우(境遇) 육체적(肉體的)으로 완벽(完璧)한 남성(男性) → 유방(乳房) 확대(擴大) 수술(手術) 및 전신(全身) 성형(成形)으로 외모(外貌)만 여성(女性)인 남성(男性) 순서(順序)로 병역(兵役) 의무(義務) 추첨(抽籤)의 기회(機會)가 오며, 온전(穩全)한 남성(男性)으로 할당량(割當量)을 모두 채울 경우(境遇) 외모(外貌)만 여성(女性)인 남성(男性)은 병역(兵役)이 면제(免除)된다. 또한 음경(陰莖) 을 수술(手術)한 진짜(眞짜) 트랜스젠더 의 경우(境遇)는 병역(兵役)이 완전히(完全히) 면제(免除)되기 때문에 신체검사장(身體檢事長)에 증명서(證明書)를 들고 와서 인증(引證)하면 병역(兵役)이 면제(免除)된다.

경제(經濟) [ 편집(編輯) ]

태국(泰國)에서 가장 큰 도시(都市)인 방콕은 무역(貿易)과 산업(産業)의 중심지(中心地)이다.


개관(開館) [ 편집(編輯) ]

태국(泰國)은 신흥공업국(新興工業國) 중(中) 하나이다. 태국(泰國)은 2017년(年) 기준(基準)으로 PPP로 환산(換算)하여 1조(兆) 2,360만(萬) 달러의 경제력(經濟力)을 보유(保有)하고 있었으며, 동남아시아(東南아시아) 전체(全體)에서도 인도네시아 다음으로 2번째(番째)로 거대(巨大)한 경제국가(經濟國家)다. 동남아시아(東南아시아)에서 부(富)의 분배도(分配圖)에서는 중간(中間) 정도(程度)며, 1인당(人當) GDP로 비교(比較)했을 시(市)에서는 싱가포르,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다음으로 약(約) 4위(位) 정도(程度)다.

태국(泰國)은 인근(隣近)의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등(等) 신흥경제국(新興經濟國)들의 경제적(經濟的) 받침돌 역할(役割)을 하고 있는 국가(國家)이기도 하다. 2014년(年) 3분기(分期)의 조사(調査) 결과(結果), 태국(泰國)의 실업률(失業率)은 약(約) 0.84% 정도(程度)로 매우 낮다.

태국(泰國)은 1985년(年)부터 1996년(年)까지 약(約) 매년(每年) 12.4%라는 기록적(記錄的)인 성장률(成長率)을 보이며 고도(高度) 성장(成長)을 이룩해왔다. 그러나 1997년(年)에 태국(泰國)의 통화(通話)인 바트에 대(對)한 압박(壓迫)이 이어지면서, 경제(經濟)가 1.9% 추락(墜落)하였고 취약(脆弱)한 금융(金融) 부문(部門)의 실태(實態)가 드러나면서 정부(政府)로 하여금 변동환율제(變動換率制)를 채택(採擇)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들어버렸다. 총리(總理)는 결국(結局) 사퇴(辭退)를 강요당했고, 내각(內閣)은 경제(經濟) 위기(危機) 때문에 엄청난 비난(非難)을 받았다. 바트는 1978년(年)부터 1997년(年)까지 약(約) 25 정도(程度)였으나, 1998년(年) 1월(月)에는 56으로 최저점(最低點)을 찍었고, 그해 태국(泰國) 경제(經濟)는 10.8% 감소(減少)하면서 아시아 금융위기(金融危機) 를 대대적(大大的)으로 촉발(觸發)하였다.

태국(泰國) 경제(經濟)는 1999년(年)부터 다시 회복(回復)하기 시작(始作)했으며, 2000년(年)에는 수출(輸出) 호조(好調)에 힘입어 4.2%라는 성장률(成長率)을 보이며 이전(以前)의 정체기(停滯期)에서 벗어나는 듯 했다. 다만 2001년(年)의 세계(世界) 경제(經濟) 침체(沈滯)로 인하여 2001년(年)에는 약간(若干) 성장률(成長率)이 2.2%로 내려앉았다. 그럼에도 불구(不拘)하고 태국(泰國)은 바트 약세(弱勢)와 내수(內需) 증가(增加), 그리고 탁신(託身) 총리(總理) 주도(主導)의 대규모(大規模) 국책사업(國策事業)들로 인하여 아시아 내(內)에서는 가장 양호(良好)한 경제(經濟) 실적(實績)을 냈다고 평가(評價)받는다. 이덕분에 2002년(年)부터 2004년(年)까지는 매년(每年) 5~7%씩 높은 성장률(成長率)을 내었다.

2005년(年)에서 2007년(年)까지는 성장률(成長率)이 주춤하며 4~5% 정도(程度)로 내려갔다. 미국(美國) 달러의 약세(弱勢)로 인하여 태국(泰國) 바트화(貨)는 날로 값이 올라갔고, 2008년(年) 3월(月)에는 달러가 거의 33바트까지 내려앉았다. 다만 이 때문에 1인당(人當) GDP는 증가(增加)하여 2001년(年)과 2011년(年) 사이에 특히(特히) 수도권(首都圈)인 방콕 지대(地帶)의 1인당(人當) GDP가 이전(移轉) 7,900달러에서 13,300달러 정도(程度)로 치솟았다고 한다.

2010년(年)도 들어 대규모(大規模) 민주화(民主化) 시위(示威)가 일어나며 태국(泰國) 경제(經濟) 성장률(成長率)은 4에서 5% 사이를 맴돌았으며, 이후(以後)에도 정치적(政治的) 불안정(不安定)이 심화(深化)되며 외국(外國) 투자자(投資者)들이 태국(泰國)에 투자(投資)를 꺼리면서 태국(泰國) 경제(經濟)는 제 잠재력(潛在力)을 모두 발휘(發揮)하지 못하고 발목이 잡혀있는 상태(狀態)를 유지(維持)했다. IMF는 태국(泰國) 경제(經濟)가 2012년(年)에는 5.5%, 2013년(年)에는 7.5% 성장(成長)할 것이라고 예측(豫測)하기도 했다. 2014년(年) 5월(月) 22일(日)의 쿠데타 이후(以後), 인플레이션 현상(現象)을 감안(勘案)한 태국(泰國)의 실제(實際) 경제성장률(經濟成長率)은 3.9% 정도(程度)로 추산(推算)된다.

경제(經濟) 주요(主要) 지표(指標)
(2017년(年)) [ 출처(出處) 필요(必要) ]
인구(人口) 68,863,514 명(名)(2016년(年))
국내총생산(國內總生産) 4,552억(億) 달러(2017년(年))
1인당(人當) GDP 6,593.82 달러(2017년(年))
GDP 대비(對比) 공공부채(公共負債) 비율(比率) 43.57%(2015년(年))
경제성장률(經濟成長率) 3.9%(2017년(年))
실업률(失業率) 1.0%(2010년(年))
수출(輸出) 1,525억(億) 달러(2007년(年))
수입(輸入) 2,019.37억(億) 달러(2015년(年))
경상수지(經常收支) 148억(億) 달러(2010년(年))
외환보유고(外換保有高) 198.4억(億) 달러(2018.06)
외채(外債) 522억(億) 달러
세계적(世界的)인 쌀 수출국(輸出國), 태국(泰國)

농업(農業) [ 편집(編輯) ]

농업(農業)은 태국(泰國)의 주산업(主産業)이며 그 중(中)에서도 도작(盜作)(稻作)은 국민생활(國民生活)의 기초(基礎)이다. 쌀은 국민(國民)의 주식(主食)인 동시(同時) 제(第)1의 수출품(輸出品)이기도 하다. 태국(泰國)은 세계(世界) 제(第)1위(位)의 쌀 수출국(輸出國)으로서 매년(每年) 도정미 650만(萬) 톤을 수출(輸出)한다. 농업(農業)은 태국(泰國) GDP의 약(約) 10% 정도(程度)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人口)의 약(約) 40%가 농업(農業)에 종사(從事)하고 있다. 쌀은 이 나라의 가장 중요(重要)한 곡물(穀物)이다. 태국(泰國)은 메콩 강(江) 유역(流域)의 나라 중(中) 가장 높은 경지율(境地率)(27.25%)을 보인다. [10] 이 중(中) 55%는 쌀 경작지(耕作地)이다. [11] 주산지(主産地)는 많은 소작농(小作農)이 생산(生産)에 종사(從事)하고 있는 중부(中部) 삼각주지역(三角洲地域)이다. 쌀 다음으로 중요(重要)한 산물(産物)이 고무와 옥수수인데 역시(亦是) 수출(輸出)된다.

수산업(水産業) [ 편집(編輯) ]

수산자원(水産資源)으로는 담수어(淡水魚)가 압도적(壓倒的)으로 많다. 하천(河川), 운하(運河), 호수(湖水)에서 잡히는 어류(魚類)는 국민(國民)의 필요(必要) 불가결(不可缺)한 단백질(蛋白質) 공급원(供給源)이 되고 있다. 연안(沿岸)의 해양어업(海洋漁業)은 별로(別로) 발달(發達)해 있지 않다. [12]

공업(工業) [ 편집(編輯) ]

전(前)에는 경공업(輕工業)이 약간(若干) 발달(發達)했을 정도(程度)로 외국(外國) 공업제품(工業製品)의 시장(市場)이었으나 1980년대(年代)부터 외국자본(外國資本)의 도입(導入)으로 공업화(工業化)를 이룩했다. 태국(泰國)은 동남아시아(東南아시아)에서 자동차(自動車) 생산량(生産量)이 많은 국가(國家)이고 컴퓨터, 통신기기등(通信機器等) 전자산업도(電子産業度) 발달(發達)했다. 제조업(製造業)은 주로(主로) 외국기업(外國企業)의 기술(技術)에 의존(依存)한다. [12]

2012년(年) 태국(泰國)의 자동차(自動車) 생산량(生産量)은 245만(萬) 대로 전년(前年) 대비(對比) 68.3%의 성장률(成長率)을 보임과 함께, 프랑스를 제치고 세계(世界) 10대(代) 자동차(自動車) 생산국가(生産國家)에 진입(進入)하였다.

태국(泰國)의 전자산업(電子産業)은 지난 30년(年) 동안 꾸준히 성장(成長)을 해온 산업(産業)으로 600억(億) 달러의 생산(生産)에 달(達)하고 있으며 최근(最近) 자동차(自動車) 산업(産業)의 성장(成長) 전(前)까지 태국(泰國)의 제(第)1의 수출산업(輸出産業)이었다. 다만, 핵심부품(核心部品)의 생산(生産)이나 원천기술(源泉技術) 개발(開發) 능력(能力)은 부족(不足)하여 대부분(大部分)이 OEM이다.

유통(流通)과 무역(貿易) [ 편집(編輯) ]

화교(華僑)의 활약(活躍)이 없으면 경제(經濟)가 마비(痲痹)될 정도(程度)로 화교(華僑)가 유통기구(流通機構)를 독점(獨占)하고 있다. 주요(主要) 수출상대국(輸出相對國)은 미국(美國)·네덜란드·싱가포르·홍콩·일본(日本) 등(等)이다. 수입(輸入)도 크게 달라져 소비재수입(消費財輸入)이 크게 줄고, 공업생산용(工業生産龍) 원재료(原材料)·자본재(資本財)·원유(原油) 등(等)이 두드러지게 늘었다. 주수입(州輸入) 상대국(相對國)은 미국(美國)·사우디아라비아·싱가포르·말레이지아·일본(日本) 등(等)이다. 공업화(工業化)에 필요(必要)한 원재료(原材料)와 자본재수입(資本財輸入)이 급증(急增)해 농산물(農産物) 수출액(輸出額)을 넘기 때문에 무역수지(貿易收支)는 언제나 적자(赤字)이다. 특히(特히) 대일(對日) 무역적자(貿易赤字)가 커져 해마다 무역마찰문제(貿易摩擦問題)를 불러 일으켰다. 무역수지적자(貿易收支赤字)는 관광수입(觀光收入)과 외국(外國)으로부터의 송금(送金)과 민간투자(民間投資)·정부차관(政府借款) 등(等)으로 메워진다. 특히(特히) 관광수입(觀光收入) 증대(增大)와 더불어 아랍산유국(産油國)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노동임금(勞動賃金)이 많다. [12]

관광(觀光) 산업(産業) [ 편집(編輯) ]

왓 아룬방콕; 태국(泰國)은 또한 가장 중요(重要)한 국제(國際) 관광지(觀光地) 중(中) 하나이다
해변(海邊), 끄라비주(週) .

태국(泰國) 관광업(觀光業)은 태국(泰國) 전체(全體) GDP의 약(約) 6% 정도(程度)를 차지한다. 2013년(年)에는 동남아(東南亞) 전체(全體)에서 가장 관광객(觀光客)들이 많이 찾은 국가(國家)였으며, 12조(兆) 바트에 달(達)하는 외환(外換)을 직접적(直接的)으로 끌어들이며 가히(可히) 엄청난 양(量)의 수익(收益)을 올리고 있다. 그 외(外)에도 관광업(觀光業)으로 인해 생기는 부가적(附加的)인 이익(利益)까지 포함(包含)하면 태국(泰國) GDP의 20.2%를 차지할 정도(程度)로 관광업(觀光業)이 경제(經濟)에서 차지하는 비중(比重)이 크다고 한다.

아시아계(系) 관광객(觀光客)들은 주로(主로) 방콕 일대(一帶)를 주로(主로) 찾고, 아니면 치앙마이 등(等) 역사(歷史) 유적(遺跡)들을 관람(觀覽)하기 위하여 태국(泰國)을 찾는 경우(境遇)가 많다. 서양(西洋) 관광객(觀光客)들은 방콕 뿐만 아니라 남부(南部)에 있는 아름다운 섬들과 해변(海邊)들을 더 많이 찾는다고 한다. 특히(特히) 태국(泰國) 북부(北部) 지역(地域)은 다양한 민족(民族)들이 살고 있으며 숲으로 덮인 풍광(風光)들이 많아 인기(人氣)가 좋다고도 한다. 다만 태국(泰國)의 치안(治安)이 마음놓고 돌아다닐 정도(程度)는 아니기에, 태국(泰國) 정부(政府) 측(側)에서는 독립적(獨立的)인 관광경찰(觀光警察)들을 창설(創設)하여 주요(主要) 관광지(觀光地) 지역(地域)에 배치(配置)해놓는다고 한다.

태국(泰國)은 전세계(全世界)에서 5번째(番째)로 의료관광(醫療觀光)이 활성화(活性化)된 나라로, 2018년(年)에만 250만(萬) 명(名)의 사람들이 의료(醫療) 목적(目的)으로 태국(泰國)을 방문(訪問)했다. 그 외(外)에도 성전환수술(性轉換手術) 로도 이름이 높으며, 성형수술(成形手術)에도 조예(造詣)가 깊다고 알려져있다. 2010년(年)과 2012년(年) 사이에 태국(泰國)을 방문(訪問)한 의료(醫療) 관광객(觀光客)들의 90%가 성전환수술(性轉換手術)을 위해 태국(泰國)을 방문(訪問)했다고 한다.

화폐(貨幣) [ 편집(編輯) ]

태국(泰國)의 화폐(貨幣) 단위(單位)는 으로, 1밧은 100사(司)땅(satang)이다. 지폐(紙幣)는 20, 50, 100, 500, 1000 밧이 있으며, 동전(銅錢)은 25, 50 사(司)땅과 1, 2, 5, 10 밧이 있다. 전(前) 권종(券種)에 모두 국왕(國王)이 그려져 있다. 사(司)땅 동전(銅錢)은 보통(普通) 슈퍼마켓이나 편의점(便宜店) 등(等)에서 간혹(間或) 사용(使用)되며 일반적(一般的)으로는 잘 쓰이지 않는 편(便)이다.

주요(主要) 자원(自願) [ 편집(編輯) ]

주요(主要) 자연(自然) 자원(自願)으로는 주석(主席) , 천연(天然) 고무 , 텅스텐 , 천연(天然) 가스 , 탄탈럼 , 목재(木材) , , 물고기 , 석고(石膏) , 갈탄(褐炭) , 형석(螢石) , 경작지(耕作地) , , 카사바 , 안티몬 등(等)이 있다.

교통(交通) [ 편집(編輯) ]

수완(手腕)나품 공항(空港)

교통(交通)에 있어서는 하천(河川)과 운하(運河)를 이용(利用)한 수운(水雲)이 대단히 중요(重要)한 역할(役割)을 하고 있다. 중부(中部)에서는 운하(運河)가 사방팔방(四方八方)으로 발달(發達)해서 사람과 물자(物資)의 수송(輸送)에 이용(利用)되고 있다. 일찍이 방콕 은 운하(運河)와 수로(水路)가 많아 수운(水雲)이 발달(發達)하여, "동양(東洋)의 베니스"라고 칭송(稱頌)받기도 하였으나, 지금(只今)은 그 대부분(大部分)이 매립되어 도로(道路)가 되어 버렸다. 또한 태국(泰國) 북부(北部)의 국경(國境)을 흐르는 메콩강(메콩江) 에는 2001년(年) 6월(月)에 타이, 라오스 , 미얀마 ,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간(間)에 메콩강(메콩江) 상선통항협정(商船通航協定)이 체결(締結)되어, 유역(流域) 각국(各國) 간(間)의 통항로(桶航路)로 이용(利用)되고 있다. 태국(泰國)의 철도(鐵道)는 국유회사(國有會社)인 타이국유철도(國有鐵道)가 4개(個) 노선(路線)을 운영(運營)하며,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와는 직결(直結)된다. 방콕에는 고가철도(高架鐵道)와 지하철(地下鐵)도 개통(開通)되었다. 도로교통(道路交通)은 현재(現在) 급속(急速)한 발달(發達) 과정(過程)에 있다. [13] 국내(國內) 모든 도시(都市)를 연결(連結)하는 교통기관(交通機關)으로서, 철도(鐵道)보다도 대량수송공사(大量輸送公社)에 의(依)한 버스 쪽으로 발달(發達)하고 있다. 도시(都市) 교통(交通)도 방콕을 제외(除外)한 대부분(大部分)의 도시(都市)에서는 소형(小型) 트럭을 개조(改造)하여 만든 버스(썽태우)가 일반적(一般的)이다. 수완(手腕)나품 공항(空港) 은 아시아의 허브 공항(空港)의 하나로서, 전(全) 세계(世界)의 항공사(航空社)들이 드나들고 있으며, 타이항공(航空) 과 여러 저가(低價) 항공사(航空社)들이 운항(運航) 중(中)이다. 대한민국(大韓民國) 인천(仁川) , 일본(日本) 나리타 등(等)의 도시(都市)에는 타이항공(航空) , 대한항공(大韓航空) , 일본항공(日本航空) 등(等)이 운항(運航)하고 있다.

사회(社會) [ 편집(編輯) ]

인구(人口) [ 편집(編輯) ]

타이족 이 75%로 다수(多數)를 차지한다. 또한 태국(泰國) 주류(主流)에서 벗어난 여러 인종(人種)이 태국(泰國)의 인구(人口)를 구성(構成)하고 있다. 중국계(中國系)가 18%, 기타 말레이족(族), 크메르족(族), 몽족(몽族), 고산족(高山族) 등(等) 나머지를 차지한다. 그 가운데 타이족은 미얀마 , 라오스 , 캄보디아 , 말레이시아 에도 거주(居住)하고 있으며, 태국(泰國)의 문화적(文化的) 영향(影響)이 강(剛)하게 작용(作用)함에도 여전히(如前히) 엄격(嚴格)한 전통(傳統) 생활(生活) 방식(方式)을 고수(固守)하고 있다. 화교(化敎) 또한 태국(泰國) 사회(社會), 특히(特히) 방콕 주변(周邊)에서 특징적(特徵的)인 요소(要素)이다. 태국(泰國) 사회(社會)로 성공적(成功的)인 진입(進入)을 이룬 화교(化敎)는 정치(政治)나 경제(經濟) 권력(權力)을 가진 세력(勢力)으로 부상(負傷)했는데 그 대표적(代表的)인 예(例)가 태국(泰國)의 전(前) 수상(首相) 탁신 친나왓 이다. 그는 2001년(年) 부터 정권(政權)을 잡았으나 2006년(年) 9월(月) 19일(日) 쿠데타로 축출당했다. 소수(少數) 민족(民族)으로는 화교(華僑) 이외(以外)에도, 크메르족(族), 몬족(族), 말레이족(族), 산간부족(山間不足)(먀오, 야오, 라와, 리소, 무소, 카렌, 이코)이 있다. [14]

태국(泰國)은 2019년(年) 기준(基準)으로 66,558,935명(名)의 인구(人口)를 보유(保有)하고 있다. 대부분(大部分)의 국민(國民)들은 시골에 거주(居住)하며, 특히(特히) 중부(中部) 지역(地域)의 곡창(穀倉) 지대(地帶)에 밀집(密集)되어 있다. 2010년(年) 기준(基準)으로 대략(大略) 45.7%의 국민(國民)들이 도심부(都心部)에 살고 있었으며, 이들 중(中) 대부분(大部分)은 수도(首都)인 방콕을 중심(中心)으로 한 수도권(首都圈) 지방(地方)에 몰려 살고 있다. 태국(泰國)은 급격(急激)한 인구(人口) 증가(增加)를 막기 위하여 정부(政府) 주도(主導)의 산아제한(産兒制限) 정책(政策)을 펼쳤고, 1960년대(年代)만 해도 약(約) 3.1%에 달(達)하는 높은 경제(經濟) 성장률(成長率)을 보인 데에 반(反)하여 현재(現在)는 약(約) 0.4% 정도(程度)로 낮아졌다. 1970년대(年代)에는 한 가정(家庭) 당(黨) 약(約) 5.7명(名) 정도(程度)가 살고 있었는데, 2010년(年)의 통계(統計) 결과(結果)에 의(依)하면 약(約) 3.2명(名) 정도(程度) 만이 살고 있었다고 한다.

태국(泰國) 인구(人口)의 95.9%가 태국(泰國) 국적(國籍)의 태국인(泰國人)이며, 나머지 약(約) 2% 정도(程度)는 일자리를 위하여 떠나온 미얀마인들, 그리고 나머지 국적인(國籍人)들이 약(約) 1.3% 정도(程度)를 차지한다. 2011년(年) 왕실(王室) 주도(主導)의 차별금지조사(差別禁止調査)에 의(依)하면, 태국(泰國)에는 현재(現在) 약(約) 62개(個) 정도(程度)의 소수민족(少數民族)들이 거주(居住)하고 있으며, 태국(泰國) 내(內)에서 가장 인구(人口) 비율(比率)이 높은 타이계(系) 제족(諸族)들은 약(約) 34.1% 정도(程度)를 차지하고 있다.

언어(言語) [ 편집(編輯) ]

태국(泰國)의 공식언어(公式言語)는 태국어(泰國語) 이다. 태국어(泰國語)는 인근(隣近)의 라오어(語), 하이난과 윈난 산악(山岳) 지방(地方)에서 사용(使用)되는 소수(少數) 민족(民族)들의 언어(言語)와도 굉장히(宏壯히) 비슷하다. 태국(泰國) 정부(政府)에서는 정부(政府) 주도(主導)로 태국어(泰國語)를 모든 국민(國民)들의 공용어(公用語)로 정착시키기 위하여 노력(努力)하고 있으며, 모든 학교(學校)에서 의무적(義務的)으로 태국어(泰國語)를 국어(國語)로 선택(選擇)하여 가르치고 있다. 참고(參考)로 태국어(泰國語)를 적을 때에는 크메르 문자(文字) 에서 착안(着眼)하여 만들어진 태국(泰國) 문자(文字) 를 사용(使用)하여 표기(表記)한다.

태국(泰國) 정부(政府)는 2011년(年)에 약(約) 62개(個)의 언어(言語)를 공식적(公式的)으로 인정(認定)하였다. 태국어(泰國語)를 제외(除外)하면 태국(泰國)에서 가장 자주 사용(使用)되는 언어(言語)는 북동부(北東部) 지방(地方)에서 사용(使用)되는 라오어(語) 이다. 종종(種種) 지역(地域) 방언(方言)으로 분류(分類)되기도 하는데, 주로(主로) 옛 란쌍(雙) 왕국(王國)에 속(屬)해있었던 지방(地方)에서 주로(主로) 사용(使用)되고 있다. 또한 말레이시아와 가까운 남부(南部) 지방(地方)에서는 케란탄-파타니 말레이어(말레이語)가 사용(使用)되고 있으며 화교(華僑)들이 워낙 많은 탓에 중국어(中國語)도 자주 사용(使用)된다.

치안(治安) [ 편집(編輯) ]

태국(泰國)에서는 관광객(觀光客)을 상대(相對)로 한 소매치기나 날치기 범죄(犯罪)가 주로(主로) 발생(發生)하며, 방콕의 유흥가(遊興街) 밀집(密集) 지역(地域)인 팟퐁, 나나 지역(地域)에서는 마약(痲藥)이 불법적(不法的)으로 유통(流通)되기도 한다. [15] 태국(泰國)의 국왕(國王)이나 왕실(王室)을 비방(誹謗), 모독(冒瀆)하는 불경죄(不敬罪)를 범(犯)하면 태국(泰國) 형법(刑法) 112조(條)에 따라 최저(最低) 3년(年)에서 최고(最高) 15년(年)의 징역(懲役) 에 처(處)해질 수 있는데 [16] [17] 이는 태국(泰國) 국왕(國王)의 사진(寫眞)이나 초상(肖像)을 훼손(毁損)하는 것도 해당(該當)된다. [18]

교육(敎育) [ 편집(編輯) ]

유치원(幼稚園)

태국(泰國)의 교육(敎育) 제도(制度)는 유치원(幼稚園) 제도(制度)가 이미 기본적(基本的)으로 정착(定着)되어 왔으며, 초(初) 중(中) 고(高) 대학교(大學校)의 기본(基本) 학제(學制)가 한국(韓國) 과 같거나 비슷하게 운영(運營)된다. 유치원(幼稚園) 및 영아(嬰兒) 유치원(幼稚園) 교육(敎育)은 교육(敎育) 자체(自體)에 대(對)한 관심(關心)이 높아서라기보다는, 반드시 있어야 하기 때문에 존재(存在)한다. 태국(泰國)에서는 일할 수 있는 여자(女子)들의 절반(折半)이 직업(職業) 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내와 남편(男便) 모두 직장(職場)을 다니는 맞벌이 부부(夫婦)가 많다. 그래서 부모(父母)의 출근(出勤) 시간대(時間帶)에서부터 퇴근(退勤) 시간대(時間帶)까지 아이들을 돌봐 주는 탁아소(託兒所)의 역할(役割)을 부담(負擔)하는 요금(料金)에 따라서 탄력(彈力) 있게 감당(堪當)하고 있다.

진학(進學)


태국(泰國)에서 명문대(名門大)에 입학(入學)하기 위해서는 좋은 고등학교(高等學校) 를 나와야 가능(可能)하다. 일반적(一般的)으로 상급학교(上級學校) 진학(進學)은 시험(試驗)을 통하여 하기 때문에 원(願)하는 고등학교(高等學校) 에서 공부(工夫)하기 위해서는 좋은 중학교(中學校) 를, 좋은 중학교(中學校)를 위해서는 좋은 초등학교(初等學校) 를, 좋은 초등학교(初等學校) 를 다니기 위해서는 좋은 유치원(幼稚園) 을 나와야만 한다. 따라서 교육(敎育) 에 관심(關心) 있는 부모(父母)들은 아이들이 에서 좀 멀고, 힘이 들더라도 좀 더 나은 유치원(幼稚園)에 보내려고 애를 쓴다. 비판적(批判的)으로 보면, 태국(泰國)에서 교육(敎育) 의 기회(機會)는 자녀(子女)를 명문학교(名門學校)에 보낼 수 있을 만큼 돈이 많은 소수(少數) 부유층(富裕層)들만 가질 수 있고, 거의 대부분(大部分)의 민중(民衆)들에게는 처음부터 상당히(相當히) 닫혀있는 것이다.

태국(泰國)의 보이, 걸 스카우트

중고교(中高校) 과정(過程)

태국(泰國)에는 중학교(中學校), 고등학교(高等學校) 과정(課程)을 위해 각각(各各) 3년(年)을 들여야만 하는 정규(正規) 학제(學制) 이외(以外)에도, 중고교(中高校) 졸업장(卒業狀)을 비교적(比較的) 손쉽게 받을 수 있는 길이 여러 가지로 열려 있다.

  1. 주간(晝間)에는 일하면서 야간(夜間) 수업(授業) 또는 주말(週末) 수업(授業)으로 2년(年) 정도(程度) 공부(工夫)하면 중학교(中學校)나 고등학교(高等學校) 졸업장(卒業狀)을 얻을 수 있는 준 정규(正規) 과정(過程)이 전국적(全國的)으로 많은 정규학교(正規學校)에 병설(竝設)되어 있기 때문에 조금만 시간(時間)을 내면 졸업(卒業)할 수 있다. 이렇게 공부(工夫)할 수 있는 조건(條件)은 제때에 공부(工夫)를 시작(始作)하지 못하고 2-3년(年) 정도(程度) 자기(自己) 학년(學年)보다 늦어진 사람들을 대상(對象)으로 한다.
  2. 준 정규(正規) 과정(過程)에도 훨씬 못 미치는 수업(授業) 시간(時間) 및 수업(授業) 연한(年限)을 갖고 중(中) 고등학교(高等學校) 과정(課程)을 마칠 수 있는 경우(境遇)도 있다.
  3. 검정고시(檢定考試)가 있다.

대학교(大學校)

1917년(年) 에 세워진 쭐랄롱꼰 대학(大學)

대학(大學) 과정(過程)은 분야별(分野別)로 명문대(名門大)가 있는데, 방콕의 쭐라롱껀, 탐마쌋, 씨(氏)나카린위(位)롯, 씬라빠껀, 까셋쌋, 마히던 대학교(大學校) 등(等)이 명문(名門)이며 지방(地方)의 명문(名門)으로는 북부(北部)의 치앙마이 대학교(大學校), 북동부(北東部)(이산(離散))의 컨깬대학교, 남부(南部)의 송클라나카린대학교가 있다. 한편(한便), 공부(工夫)는 하고 싶으나 가정형편(家庭形便)이 뒷받침되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 방콕에는 물론(勿論) 지방(地方)에도 곳곳에 개방대학(開放大學)이 개설(開設)되어 있다. 그 중(中) 방콕에 있는 람캄행 대학(大學)은 세계(世界)에서 학생(學生) 수(數)가 가장 많은 대학(大學)으로 알려져 있다. 고등학교(高等學校) 졸업장(卒業狀)만 있으면 누구든 공부(工夫)를 시작(始作)할 수 있다. 학비(學費)가 저렴(低廉)하여 등록금(登錄金)과 교재(敎材) 구입비(購入費)를 포함(包含)하여 한 학기당(學期當) 25-30달러 정도(程度) 되므로 공부(工夫)를 하고픈 학생(學生)들이 전국(全國)에서 몰려든다. 강의(講義)는 하나도 안 들어도 되고, 시험(試驗) 성적(成績)으로 학점(學點)을 얻는다. 하지만 졸업(卒業)이 어려워서, 개방대학(開放大學)을 나오면 사회(社會) 에서 능력(能力)을 인정받으면서 일할 수 있다.

문화(文化) [ 편집(編輯) ]

승려(僧侶)가 되기 전(前) 받는 목욕(沐浴)은 태국(泰國)의 전통(傳統)이다.

태국(泰國)은 불교(佛敎)의 나라이자 사원(寺院)의 나라이다. 주민(住民)의 95% 이상(以上)이 불교(佛敎) 신자(信者)이며, 거의 대부분(大部分)이 소승(小乘) 불교(佛敎) 신자(信者)이다. 태국(泰國)의 승려(僧侶)들은 한국(韓國)과는 달리 육식(肉食)과 음주(飮酒)를 허용(許容)하지만 정오(正午) 이후(以後)의 식사(食事)는 금지(禁止)하며, 여성(女性)은 승려(僧侶)와 접촉(接觸)할 수 없다. 또한 태국(泰國)에는 아름다운 왕궁(王宮)과 많은 불교(佛敎) 사원(寺院)들이 있다. 태국(泰國)은 왕실(王室)에 대(對)한 믿음과 존경(尊敬)이 대단한 나라이다.

조상(祖上)에 대(對)한 존경(尊敬)은 태국(泰國)의 정신적(精神的) 관습(慣習)의 중요(重要)한 한 부분(部分)이다. 태국(泰國) 사람들은 환대(歡待)하는 마음과 관대(寬大)한 마음을 가졌으나 강(剛)한 사회적(社會的) 계급(階級) 의식(意識)도 있다. 태국(泰國) 문화(文化)에서 어른 공경(恭敬)은 중요(重要)한 요소(要素)이다. 연장자(年長者)가 항상(恒常) 가족(家族) 대소사(大小事)를 결정(決定)하거나 의례(儀禮)를 주관(主管)한다.

태국(泰國)의 전통(傳統) 인사법(人事法)인 " 와이 "는 두 사람 중(中) 젊은 사람이 먼저 하는데, 이는 손바닥끼리 서로 닿도록 두 손을 모은 다음, 손가락 끝은 위로 향(向)하게 하고 얼굴이 손에 닿도록 머리를 숙여서 하는 인사(人事)이다. 이 인사(人事)를 할 때는 남자(男子)는 "사왓디 크랍", 여자(女子)는 "사왓디 카"라는 인사말(人事말)을 함께 한다. 그러면 연장자(年長者)가 같은 방법(方法)으로 답례(答禮)한다. 태국(泰國)의 아이들이 학교(學校)에 갈 때, 부모님(父母님)에게 존경(尊敬)의 마음을 보이며 "와이"를 행(行)한다. 학교(學校)에서 돌아와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와이는 타인(他人)에 대(對)한 존경(尊敬)과 경의(敬意)의 마음을 표시(表示)하는 것인데 이는 인도(印度) 문화권(文化圈)의 나마스테와 비슷하다.

건축(建築) [ 편집(編輯) ]

왓 프라깨오

태국(泰國)의 건축물(建築物)들은 주로(主로) 찌는 듯한 태국(泰國)의 더위에 최대한(最大限) 맞춘 형식(形式)으로 지어져 있으며, 세계(世界) 최대(最大)의 불교국가(佛敎國家)들 중(中) 하나라는 명성(名聲)에 맞게 불교적(佛敎的) 색채(色彩)과 굉장히(宏壯히) 강(剛)하다. 또한 옛 동남아(東南亞)의 강국(强國)이었던 캄보디아, 미얀마 등(等)의 건축(建築) 방식(方式)으로도(爐度)부터 많이 영향(影響)을 받아다고 알려져 있다. 1350년(年)부터 1767년(年)부터 태국(泰國)에는 ‘아유타야 양식(養殖)’이라고 하는 건축술(建築術)이 유행(流行)했는데, 아유타야 양식(樣式)은 주로(主로) 거대(巨大)한 규모(規模)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장식(裝飾)도 황금빛(黃金빛)이 많고 극히(極히) 화려(華麗)한 것을 특징(特徵)으로 삼는다. 이 시기(時期)가 태국(泰國) 건축(建築)의 황금기(黃金期)로 평가(評價)받기도 한다. 아유타야 양식(樣式)의 사원(寺院)들은 지붕 끝에서 기다란 장식용(裝飾用) 돌기(突起)가 위로 뻗어 올라가 있으며, 또한 건물(建物) 내부(內部)에 채광창(採光窓)이 많아 햇빛이 잘 들어온다고 한다.

태국(泰國)의 사찰(寺刹)들은 ‘왓’이라고도 하는데, 속세(俗世)와 구분(區分)짓는다는 의미(意味)로 높은 벽(壁)을 둘러치며 태국(泰國) 건축(建築)의 최고봉(最高峯)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程度)로 그 화려(華麗)함이 절정(絶頂)에 달(達)한다. 태국(泰國)의 왓 건설(建設) 방식(方式)은 주로(主로) 캄보디아의 영향(影響)을 강(剛)하게 받았으며, 현재(現在)에는 태국(泰國)만의 고유(固有)한 건축(建築) 방식(方式)을 발전시켜나가고 있다.

종교(宗敎) [ 편집(編輯) ]

태국(泰國)의 특징적(特徵的)인 상좌부(上座部) 불교(佛敎)
태국(泰國)의 종교(宗敎) [19]
불교(佛敎)
  
94.50%
이슬람교(이슬람敎)
  
4.29%
기독교(基督敎)
  
1.17%
힌두교(힌두敎)
  
0.03%
기타
  
0.01%

태국(泰國)은 불교(佛敎)의 색채(色彩)를 가진 나라이자 사원(寺院)의 나라이다. 주민(住民)의 95% 이상(以上)이 불교(佛敎) 신자(信者)이나 국교(國交)가 해제(解除)된 지금(只今)은 다양한 종교(宗敎)를 인정(認定)하는 분위기(雰圍氣)이다. [20] 소승불교(小乘佛敎) 는 1997년(年)까지 태국(泰國)의 국교(國敎)였다. 그러나 종교적(宗敎的) 다양성(多樣性)을 인정(認定)하기 위해 국교(國交)를 해제(解除)했다. 아직은 달력(달曆), 풍습(風習) 등(等)에도 불교적(佛敎的)인 것이 많다. 실제로(實際로), 태국(泰國)의 불교(佛敎)는 서서히(徐徐히) 발전(發展)하여 동물숭배(動物崇拜)나 조상숭배(祖上崇拜)로부터 기원(起源)된 지역(地域) 종교(宗敎)들을 포섭(包攝)하였다. 국왕(國王)을 비롯하여 남자(男子)라면 일생(一生)에 적어도 한번(한番)은 절에 들어가 삭발(削髮) 하며 3개월(個月) 정도(程度)의 수도과정(首都過程)을 지내고 오는 것도 의무적(義務的)이다. 이른 새벽이면 누런 법복(法服)을 걸친 탁발(托鉢) 승려(僧侶)들이 사원(寺院)을 나서 행렬(行列)을 시작(始作)하고 신도(信徒)들은 정성스럽게 이들에게 공양(供養)을 바친다. 태국(泰國)의 승려(僧侶)들은 어느 나라에서보다도 사회적(社會的) 지위(地位)가 높다. 태국(泰國)에는 아름다운 왕궁(王宮)과 많은 사원(社員)들이 있는데, 차크리 왕조(王朝)의 수호사원(守護社員)으로서 에메랄드 사원(社員)과 수코타이 중심부(中心部)에 있는 최대사원인(最大寺院人) 왓 마하탓, 유서(由緖)깊은 절(節) 왓 아룬 등(等) 3만여개(萬餘個)에 달(達)하는 크고 작은 사원(社員)은 아름답기 그지없다. [21]

태국(泰國)의 최대(最大) 종교(宗敎)는 소승불교(小乘佛敎)로, 태국(泰國) 문화(文化)에서 빼놓고 말하기 힘들 정도(程度)로 핵심적(核心的)인 지위(地位)를 누리고 있다. 태국(泰國) 국민(國民)들의 일상(日常) 생활(生活)에서 불교(佛敎)가 차지하는 비중(比重)은 세계(世界)에서 가장 높은 수준(水準)이며, 중국(中國) 다음으로 최대(最大) 규모(規模)의 불교(佛敎)도 수(數)를 자랑하고 있기도 한다. 2000년(年) 자료(資料) 조사(調査) 결과(結果)에 의(依)하면 대략(大略) 94.6% 정도(程度)의 국민(國民)들이 불교도(佛敎徒)라고 한다. 제(第) 2의 종교(宗敎)는 이슬람교(이슬람敎)로, 2015년(年) 기준(基準)으로 전체(全體) 인구(人口)의 4.29% 정도(程度)가 무슬림이라고 한다.

이슬람 인구(人口)는 주로(主로) 파타니, 얄라, 사툰(死鬪), 나라티왓 등(等) 남부(南部) 지방(地方)에 대거(大擧) 몰려있다. 특히(特히) 완전(完全)한 이슬람계(系) 국가(國家)인 말레이시아의 영향(影響)을 받은 남부(南部) 말레이 반도(半島) 지역(地域)에 이슬람교도(이슬람敎徒)들이 많으며, 대부분(大部分)이 수니파(수니派) 무슬림들이다. 기독교도(基督敎徒) 수(數)는 약(約) 1.17%이며, 극소수(極少數)의 사람들만이 힌두교(힌두敎)나 시크교 등(等)의 종교(宗敎)들을 믿고 이들은 대부분(大部分) 대도시권(大都市圈)에 산다. 또한 유대인(유대人)들의 민족(民族) 종교(宗敎)인 유대교도(紐帶敎徒) 17세기(世紀) 이래(以來)부터 태국(泰國)에 소규모(小規模) 정착촌(定着村)을 짓고 살아왔다고 한다.

태국(泰國) 헌법(憲法)에는 국교(國交)를 명시(明示)해놓지 않았고, 종교(宗敎)의 자유(自由)를 보장(保障)하고 있다. 심지어(甚至於) 폐쇄적이기(閉鎖的理氣)로 유명(有名)한 태국(泰國) 정부(政府) 측(側)에서도 종교(宗敎)를 가지고 큰 문제(問題)를 삼는 경우(境遇)가 드물며, 선교(宣敎)의 자유(自由)를 허가(許可)하며 비허가(非許可)받은 종교(宗敎) 단체(團體)들의 포교(布敎)도 자유로(自由路)히 허락(許諾)하고 있다. 다만 사회적(社會的)으로 암묵적(暗默的)인 소수(少數) 종교(宗敎)에 대(對)한 차별(差別)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말은 근근히 나돌고 있는 실정(實情)이다.

무용(舞踊) [ 편집(編輯) ]

콘의 쇼는 태국(泰國) 공연(公演)의 가장 양식화(樣式化) 된 형태(形態)이다

태국(泰國)의 고전무용(古典舞踊)은 콘과 라콘, 라밤 등(等) 세 종류(種類)가 있는데 수많은 장식품(裝飾品)을 사용(使用)한 화려(華麗)한 의상(衣裳)과 우아(優雅)한 춤동작(動作)이 특징(特徵)이며 태국(泰國)의 중요(重要)한 관광자원(觀光資源)이자 자랑거리이다.

언어(言語) [ 편집(編輯) ]

람 캄행(行) 왕(王)의 비석(碑石)

태국어(泰國語) 공용어(公用語) 로 지정(指定)되어 있다. 태국어(泰國語)는 크메르족(族)과 몬족(族)의 언어(言語)가 섞여 만들어졌다. 자음(子音) 44자(字), 모음 32자(者)이고, 5개(個)의 성조(聲調)가 있다. 북부(北部) 지방(地方)은 사투리를 사용(使用)하지만 표준어(標準語)와 큰 차이(差異)가 없다. [22]

언론(言論) [ 편집(編輯) ]

태국(泰國) 사회(社會)는 최근(最近)에 여러 개(個)의 언어(言語)를 사용(使用)하는 언론(言論)과 미디어가 영향력(影響力)을 행사(行使)하고 있다. 수많은 영어(英語) , 태국어(泰國語) , 중국어(中國語) 신문(新聞)들이 유통(流通)되고 있다. 가장 인기(人氣) 있는 태국(泰國)의 잡지(雜誌)들은 매혹적(魅惑的)이고 우아(優雅)하게 보이려고 머리기사(머리記事)에 영어(英語)를 쓴다. 방콕 에서 일어나는 대부분(大部分)의 큰 사업(事業) 건들은 영어(英語) 로 진행(進行)된다. 태국(泰國) 사람들끼리 말할 때에도 그들이 교육(敎育)을 받았고 높은 사회적(社會的) 지위(地位)를 가졌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영어(英語)로 말한다. 태국(泰國)은 2003년(年) 기준(基準)으로 매일(每日) 최소한(最小限) 1300만(萬) 부수(部首)의 신문(新聞)이 유통(流通)되는, 동남아시아(東南아시아)에서 가장 큰 신문(新聞) 시장(市場)이다.

요리(料理) [ 편집(編輯) ]

태국(泰國)의 음식(飮食)은 다섯 가지 기본적(基本的)인 맛, 단 맛, 향(香)이 강(剛)한 맛, 신(神) 맛, 쓴 맛, 짠 맛이 어우러져 있다. 태국(泰國) 음식(飮食)에 보통(普通) 쓰이는 재료(材料)로는 마늘 , 고추 , 라임 주스, 코코넛 , 캐슈 열매, 레몬 그라스, 생선(生鮮) 소스가 있다. 주식(株式)은 , 특히(特히) 다양한 재스민 쌀(홈 말리 쌀이라고도 함(函))이며 거의 매(每) 끼니에 포함(包含)된다. 태국(泰國)은 세계(世界) 최대(最大)의 쌀 수출국(輸出國)이며 태국(泰國) 사람들은 1년(年)에 100kg(도정미 기준(基準))의 쌀을 소비(消費)한다. [23] . 태국(泰國)이 원산지(原産地)인 5,000여(餘) 가지의 쌀이 필리핀 에 있는 국제(國際)쌀연구소(硏究所)(IRRI)의 유전자(遺傳子) 은행(銀行)에 보관(保管)되어 있다. 태국(泰國)의 국왕(國王)은 국제(國際)쌀연구소(硏究所)의 공식(公式) 후원자(後援者)이다.

영화(映畫) [ 편집(編輯) ]

최근(最近) 들어 태국(泰國) 영화(映畫)는 완성도(完成度) 높은 작품성과(作品成果) 기법(技法)으로 세계적(世界的) 주목(注目)을 끌고 있다. 태국(泰國) 영화(映畫)를 세계무대(世界舞臺)로 이끈 선구자(先驅者)는 쁘랏야 삔깨우 (Prachya Pinkaew) 감독(監督)이었다. 그의 작품(作品)인 《 옹박 - 무에타이의 후예(後裔) 》(Ong-bak), 《옹박 - 두 번째(番째) 미션》(Tom-Yum-Goong) 토니 자(者) 주연(主演)의, 두 영화(映畫) 모두 전(全) 세계적(世界的)으로 4,700 만(萬) 달러 이상(以上)을 벌었다. 미국(美國) 박스 오피스에도 있다.

태국(泰國)의 유명(有名)한 공포(恐怖) 영화(映畫) 《 셔터 》(Shutter 2004), 《 》(Alone 2007), 《 포비아 》(4bia 2008). 태국(泰國) 영화(映畫)는 동남아시아(東南아시아)와 아시아의 다른 국가(國家)에서도 큰 성공(成功)을 거두고 있다. 《 피막(皮膜) 》(Pee Mak 2013) [24] 로맨틱 코미디와 피막(皮膜) 같은 공포(恐怖) 영화(映畫)를 전(全) 세계적(世界的)으로 판매(販賣)하여 3,300 만(萬) 달러를 벌어들였다. [25] 또한 《 배드 지니어스 》(Bad Genius 2017)는 아시아에서 인기(人氣)가 있으며 수익(收益)은 4,200만(萬) 달러를 넘어섰다. 태국(泰國) 역사상(歷史上) 가장 성공적(成功的)인 태국(泰國) 영화(映畫)이다. [26] [27]

라콘 ( 태국(泰國)의 텔레비전 드라마 ) 은 태국(泰國)과 태국(泰國) 이외(以外)의 지역(地域)에서 인기(人氣)를 얻었다. [28] [29] , 《 타인(他人)의 비밀(祕密) 》(Kluen Cheewit 2017), 《 왕세녀(往世女) 》(The Crown Princess 2018). 또는 십대(十代) 라콘, 《 더 기프티드 》(The Gifted 2018), 《 2gether: The Series 》(2020). [30]

태국(泰國) 엔터테인먼트 산업(産業)의 영화(映畫)는 성장(成長)을 보였다. 타타 영 리사 는 댄스 팝 아티스트로서 세계적(世界的)인 명성(名聲)을 얻었다. [31]

스포츠 [ 편집(編輯) ]

부아 카우(Buakaw), 유명(有名)한 국제(國際) 무에타이 개업자인(開業自認).

축구(蹴球) 가 무에 타이를 대신(代身)하여 인기(人氣)를 얻고 있으며 이제는 태국(泰國)에서 가장 인기(人氣) 있는 스포츠이다. 태국(泰國) 사람들이 자신(自身)이 좋아하는 잉글리쉬 프리미어 리그의 팀을 텔레비전을 통해 응원(應援)하는 장면(場面)은 낯설지가 않게 되었다.

또 한 가지 과거(過去)에 인기(人氣) 있었던 스포츠로 연(年) 날리기가 있었다. 그 밖에 킥복싱, 칼싸움, 닭싸움 등(等)의 오락(娛樂)이 있다. [32]

무어이 타이(무에타이, 태국식(泰國式) 권투(拳鬪))는 태국(泰國)의 국가적(國家的)인 스포츠이다. 태국(泰國) 사람들은 그냥 "무어이"라고 부르는 격투기(格鬪技)이다. 과거(過去)에, 무어이는 궁정(宮廷) 병사(兵士)들이 전장(戰場)에서 무장(武裝) 해제(解除)되었을 때를 대비(對備)하기 위해서 배웠다. 병사(兵士)들이 제대(除隊)한 뒤 그들 상당수(相當數)는 불교(佛敎) 승려(僧侶)가 되었고 사찰(寺刹)에 머물렀다. 태국(泰國) 사람들의 삶은 불교(佛敎), 사찰(査察)과 가깝게 관련(關聯)되어 있는데 태국(泰國) 사람들은 자녀(子女)들을 사찰(査察)에 보내 승려(僧侶) 교육(敎育)을 시키기도 한다. 무어이는 사찰(寺刹)의 교과목(敎科目) 중(中) 하나이다. [33] .

무어이 타이는 1990년대(年代) 에 세계적(世界的)인 인기(人氣)를 끌었다. 동남아시아(東南아시아)의 다른 나라에도 이와 비슷한 격투기(格鬪技)가 있지만 무어이 타이는 팔꿈치를 포함(包含)한 때리기 공격(攻擊), 던지기 공격(攻擊), 무릎 공격(攻擊)을 허용(許容)하는 규칙(規則)을 받아들였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이 곳은 나중에 말레이시아 북부(北部)의 주(主)가 된다.
  2. 이는 다시 4개(個)의 구역(區域)으로 세분(細分)된다.
  3.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사전(大百科事典) 》〈 타이의 자연(自然)
  4. 김성기 (2000). 《코스따라 세계여행(世界旅行) 동남아시아(東南아시아)》. 민서출판사. ISBN   978-89-422-0046-7 .  
  5.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사전(大百科事典) 》〈 타이의 기후(氣候)
  6. http://www.asaninst.org/contents/8%EB%85%84%EC%97%90-19%EB%B2%88-%ED%83%9C%EA%B5%AD-%EC%BF%A0%EB%8D%B0%ED%83%80-%EC%8B%AC%EC%B8%B5-%EB%B6%84%EC%84%9D/
  7. http://www.asaninst.org/contents/8%EB%85%84%EC%97%90-19%EB%B2%88-%ED%83%9C%EA%B5%AD-%EC%BF%A0%EB%8D%B0%ED%83%80-%EC%8B%AC%EC%B8%B5-%EB%B6%84%EC%84%9D/
  8. 한국태국학회(韓國泰國學會), 《태국(泰國)의 이해(理解)》 (동남아학총서(東南亞學總署)2), 한국외국어대학교(韓國外國語大學校) 출판부(出版部) (2005)33쪽
  9. 붉은 구슬을 딱 필요(必要)한 병력(兵力) 숫자(數字) 만큼만 넣어 놓는다. 나머지는 전부(全部) 검정 구슬이다.
  10. “CIA world factbook - Greater Mekong Subregion” . 2014년(年) 3월(月) 26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7년(年) 8월(月) 4일(日)에 확인(確認)함 .  
  11. “IRRI country profile” . 2008년(年) 3월(月) 27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7년(年) 8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12.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사전(大百科事典) 》〈 타이의 산업(産業)
  13.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사전(大百科事典) 》〈 타이의 교통(交通)·도시(都市)
  14.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사전(大百科事典) 》〈 타이의 역사(歷史)·주민(住民)
  15. “해외안전여행(海外安全旅行) : 국가별(國家別) 안전정보(安全情報)” . 대한민국(大韓民國) 외교통상부(外交通商部) . 2010년(年) 11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방콕을 비롯한 파타야, 푸켓 등(等) 주요(主要) 관광지(觀光地)에서는 소매치기 오토바이 날치기 등(等)이 빈번히(頻繁히) 발생(發生)하는 바, 소지품(所持品) 관리(管理)에 유의(留意)해야 하며 귀중품(貴重品), 고가(高價) 카메라 등(等)을 눈에 띄게 휴대(携帶)하고 다니지 않도록 주의(注意)하여야 한다. …중략(中略)… 수도(首都) 방콕 시내(市內)의 경우(境遇) 유흥가(遊興街) 밀집(密集) 지역(地域)인 팟퐁, 나나 지역(地域)은 마약(痲藥)이 불법적(不法的)으로 유통(流通)되는 만큼 유흥업소(遊興業所) 출입시(出入時) 유의(留意)하여야 한다.  
  16. 태국(泰國) 형법(刑法) 제(第)112조(條): 국왕(國王), 왕비(王妃), 왕위(王位) 계승자(繼承者) 또는 섭정(攝政)을 비방(誹謗), 모욕(侮辱)하거나 위협(威脅)한 자(者)는 최저(最低) 3년(年), 최고(最高) 15년(年)까지의 징역(懲役)에 처(處)한다. (????? ??? ???????????????? ??????? ?????????????????????????????????????? ????????? ???????? ????????????????????????????? ????????????????????????????????????????)
  17. (연합뉴스(聯合뉴스) 인용(認容)) (2008년(年) 11월(月) 4일(日)). “태국(泰國) 군부(軍部), 국왕모독죄(國王冒瀆罪)로 탁신 고발(告發) 검토(檢討)” . 조선닷컴. 2011년(年) 5월(月) 11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0년(年) 11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입헌군주제인(立憲君主制人) 태국(泰國)에서는 국왕(國王)과 왕실(王室)에 대(對)한 모독(冒瀆)은 중죄(重罪)로 다스려 유죄(有罪)로 판명(判明)될 경우(境遇) 징역(懲役) 3년(年)에서 최고(最高) 15년형(年刑)에 처(處)해진다. 이 법(法)은 종종(種種) 정적(靜寂)을 공격(攻擊)하기 위한 정치적(政治的) 도구(道具)로 악용(惡用)되고 있다는 비판(批判)을 받고 있다.  
  18. 전성옥(연합뉴스(聯合뉴스) 인용(認容)) (2006년(年) 12월(月) 22일(日)). “태국국왕(泰國國王) 초상화(肖像畫) 먹칠(먹漆) 스위스인(人) ‘75년(年) 징역(懲役)’ 위기(危機)” . 한겨레신문사(新聞社) . 2010년(年) 11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9. “Population by religion, region and area, 2015” (PDF) . NSO. 2017년(年) 12월(月) 10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PDF)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7년(年) 10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20.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사전(大百科事典) 》〈 타이의 역사(歷史)·주민(住民)
  21.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사전(大百科事典) 》〈 타이의 사회(社會)
  22. 트래블게릴라 편(便), (2005년(年)). 《태국(泰國)·베트남·캄보디아·라오스 100배(倍) 즐기기》. 랜덤하우스중앙(中央). 30쪽.  
  23. “IRRI country profile” . 2008년(年) 3월(月) 27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0년(年) 1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24. Limited, Bangkok Post Public Company. “New 'Mae Nak' packs cinemas” . 2020년(年) 6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25. ““Pee Mak” rides high on horror-comedy blend” (미국(美國) 영어(英語)). 2013년(年) 6월(月) 7일(日). 2020년(年) 6월(月) 4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0년(年) 6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26. “The true genius of ‘Bad Genius’ | The Malaysian Insight” (영어(英語)) . 2020년(年) 6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27. Limited, Bangkok Post Public Company. “Journey to the top” . 2020년(年) 6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28. Policarpio, Allan (2018년(年) 7월(月) 3일(日)). “Thailand’s ‘lakorn’ soap operas come to PH” (영어(英語)) . 2020년(年) 6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29. “Young Chinese increasingly drawn to Thai pop culture and traditions - Global Times” . 2020년(年) 8월(月) 14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0년(年) 6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30. “How Thai LGBT show, 2gether: The Series, became an instant hit” (영어(英語)). 2020년(年) 5월(月) 28일(日) . 2020년(年) 6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31. Okwodu, Janelle. “7 Rising Style Stars to Watch in 2020” (미국(美國) 영어(英語)) . 2020년(年) 6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32.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사전(大百科事典) 》〈 타이의 사회(社會)
  33. “Muay Thai History” . 2010년(年) 12월(月) 28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0년(年) 1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