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티라섬

키티라
원이름(原이름) : Κ?θηρα
지도(地圖)

지리
위치(位置) 에게해(에게海)
좌표(座標) 북위(北緯) 36° 10′ 동경(東京) 23° 0′  /  북위(北緯) 36.167° 동경(東京) 23.000°  / 36.167; 23.000
군(軍)도 이오니아 제도(諸島)

면적(面積) 279.593km 2

행정(行政) 구역(區域)
그리스의 기 그리스
주(週) 아티키 주(週)
현(現) 피레아스 현(現)
중심(中心) 도시(都市) 키티라 시(時)

인구(人口) 통계(統計)
인구(人口) 10,009명(名) (2001 기준(基準))
인구밀도(人口密度) 12명(名)/km 2

키티라 ( 그리스어 : Κ?θηρα ) 또는 키테라 그리스 의 한 으로, 역사적(歷史的)으로 이오니아 제도(諸島) 의 일부(一部)로 본다. 펠로폰니소스 동남쪽(東南쪽) 끝과 마주하고 있다. 피레아스 현(現) 과 상당히(相當히) 멀지만, 행정구역상(行政區域上) 피레아스 현(縣)에 속(屬)한다. 면적(面積)은 279.593 km 2 이며, 아티키 주(週) 에서 메가라 다음으로 큰 섬이다. 또 인접(隣接)한 안티키티라 섬과 더불어 인구밀도(人口密度) 가 낮은 섬이다. 주변(周邊) 바다에서 끊임없이 불어오는 바람으로 해안(海岸)은 가파른 바위 절벽(絶壁)과 깊은 만(灣)을 이루어 울퉁불퉁한 지형(地形)을 형성(形成)하였다. 수백여년간(數百餘年間) 배가 유일(唯一)한 교통(交通) 수단(手段)이었으며, 키티라 섬은 전략(戰略) 요충지(要衝地)였다. 고대(古代)부터 19세기(世紀) 중반(中盤)까지 키티라는 상인(商人), 선원(船員), 정복자(征服者)들이 오가는 교차로(交叉路)였다. 덕분(德分)에 키티라 섬은 오랫동안 여러 문명(文明)과 문화(文化)의 영향(影響)을 받았다.

행정(行政) [ 편집(編輯) ]

키티라섬과 인근(隣近)의 안티키티라섬은 2011년(年) 지방(地方) 정부(政府) 개혁(改革) 때까지 별도(別途)의 자치단체(自治團體)였다. 두 섬은 이제 키티라 자치단체(自治團體)의 자치단위(自治單位)가 되었다. [1] 자치단체(自治團體)의 면적(面積)은 300.023km 2 이고, 자치단위(自治單位)의 면적(面積)은 279.593 km 2 이다. [2] 키티라 주는 라코니아 주(州)에 속(屬)했으며, 그 후(後) 아르골리스와 코린티아 , 그리고 1929년(年)부터 1964년(年)까지 아티카 주(州)의 일부(一部)였다. 1964년(年)부터 1972년(年)까지 키티라는 새로 설립(設立)된 피레우스 주(駐) 의 일부(一部)가 되었고, 피레우스 주가(株價) 해체(解體)된 후(後) 다시 피레우스 주(州)의 일부(一部)로서 아티카 주(州)의 일부(一部)가 되었다. 키티라 주(週)는 2006년(年)에 폐지(廢止)되었다. 2011년(年)부터는 지역(地域) 단위(單位)의 아티카 지역(地域) 의 일부(一部)가 되었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고전 전(前) 및 고대 [ 편집(編輯) ]

안티키티라 기계(機械) , 아테네 국립(國立) 고고학(考古學) 박물관(博物館)

키테라에는 미노스 문명(文明) 과 동시대인(同時代人) 헬라도스 시대(時代) 의 고고학적(考古學的) 유적(遺跡)이 있다. [3] 키테라에서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까지 무역(貿易)이 이뤄져싿는 고고학적(考古學的) 증거(證據)가 있다.

키테라는 고졸기(高卒機) 초기(初期)에 페니키아 식민지(植民地)를 보유(保有)했다. 크세노폰은 키티라의 페니키아 만(萬)(아마도 섬 동쪽(東쪽)의 아블레모나스 만(萬))을 언급(言及)한다( 헬레니카 4.8.7). 아블레모나스의 스칸데아(兒)에 고졸기(高卒機) 그리스 도시(都市) 유적(遺跡)이 남아 있다. 아크로폴리스는 현재(現在) 팔레오카스트로(옛 성(城))라고 불리며, 아프로디테 우라니아 신전(神殿)이 있었는데, 페니키아의 아스타르테 여신(與信)에 대응(對應)되는 신(神)으로 보인다.

고전기(告傳旗) 키테라는 여러 큰 도시(都市) 국가(國家)의 영토(領土)에 속(屬)해 있었다. 스파르타는 기원전(紀元前) 6세기(世紀) 초(初)에 아르고스로부터 섬을 빼앗아 통치(統治)했다. 이후(以後) 아테네가 스파르타를 몰아내고 세 번(番) 섬을 점령(占領)했는데, 1차(次) 펠로폰네소스 전쟁(戰爭) 중이었던 기원전(紀元前) 456년(年), 펠로폰네소스 전쟁(戰爭) 의 대부분(大部分) 기간(期間)인 기원전(紀元前) 426년(年)부터 410년(年) 사이, 코린토스 전쟁(戰爭) 이 벌어졌던 기원전(紀元前) 393년(年)부터 387/386년(年) 사이가 이 시기(時期)에 해당(該當)한다. 아테네는 키테라섬을 무역로(貿易路)로 활용(活用)하는 동시(同時)에 라코니아를 공격(攻擊)하는 발판(발板)으로 삼았다.

키테라는 스파르타의 아카이아 동맹(同盟)이 패배(敗北)한 후(後) 기원전(紀元前) 195년(年)에 스파르타의 패배(敗北) 이후(以後) 독립적(獨立的)으로 자신(自身)의 주화(鑄貨)를 발행(發行)했다. 아우구스투스 시대(時代)에는 다시 스파르타의 관할(管轄)로 넘어갔으며, 스파르타의 부자(富者)이자 로마 시민(市民)인 가이우스 율리우스 유리(有利)클레스 의 소유(所有)였다.

이 시기(時期)까지 그리스 도시(都市)들은 사실상(事實上) 로마 제국(帝國) 의 지배(支配)를 받고 있었다. 키테라는 수(數) 세기(世紀) 동안 로마 제국(帝國)과 동(東)로마 제국(帝國) 이 지배(支配)했다. 기독교(基督敎)는 콘스탄티누스 대제(大帝) 시기(時期)인 4세기(世紀)에 전래(傳來)되었는데, 전설(傳說)에 따르면 성(性) 엘레사(社)가 라코니아에서 와서 섬을 개종(改宗)시켰다고 한다.

중세(中世) 및 현대(現代) [ 편집(編輯) ]

팔레오호라 유적(遺跡)
키티라 성(星) 전경(前景)
카투니 다리 (19세기(世紀))
코로넬리(리) 의 동판화(銅版畫)에 그려진 키티라 성(性)

키티라는 기독교(基督敎) 개종(改宗) 이후(以後) 수(數) 세기(世紀) 동안 문헌(文獻)에 언급(言及)되지 않는다. 7세기(世紀) 말(末) 비잔티움 제국(帝國)이 약화(弱化)된 시기(時期)에, 키티라는 그리스 본토(本土)를 침략(侵略)한 슬라브 부족(部族)들과 바다에서 공격(攻擊)해 온 아랍 해적(海賊)들의 공격(攻擊)에 노출(露出)되었을 가능성(可能性)이 있다. 고고학적(考古學的) 증거(證據)에 따르면, 약(約) 700년경(年頃)에 섬이 버려진 것으로 보인다.

비잔티움 제국(帝國)이 크레타를 재정복(再征服)한 후(後) 962년(年) 키티라의 성(性) 테오도로스가 재정(財政)착을 주도(主導)했는데, 그때 섬에는 떠돌이 사냥꾼 무리(無理)밖에 살지 않았다. 성(性) 테오도로스는 팔레오호라에 큰 수도원(修道院)을 세웠으며, 그 주위(周圍)에 주로(主로) 라코니아에서 온 사람들로 이루어진 마을이 형성(形成)되었다.

비잔티움 제국(帝國)이 제(第)4차(次) 십자군(十字軍) 의 정복(征服)으로 분열(分裂)되자 베네치아 공화국(共和國) 은 키티라를 포함(包含)한 그리스 섬들의 8분(分)의 3을 차지했다. 베네치아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가는 무역로(貿易路)를 보호(保護)하기 위해 키티라와 안티키티라에 해안(海岸) 경비대(警備隊)를 배치(配置)했다. 키티라는 그리스인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수복(收復)하고 근동(近洞)에서 오스만 제국(帝國)이 근동(近東)을 석권(席卷)했을 때도 베네치아가 계속(繼續) 지배(支配)했다. 베네치아 지배(支配) 시기(時期)에 키테라 섬은 체리고(高) 로 알려졌다.

아직도 키티라 사람들은 오스만 제국(帝國)의 오(誤)루츠 레이스 (바르바로사)가 팔레오호라를 약탈(掠奪)하고 파괴(破壞)했던 역사적(歷史的) 사건(事件)을 이야기한다. 이 사건(事件)은 키티라의 민속(民俗) 전통(傳統)에서 중요(重要)한 부분(部分)이다. 해적(海賊)의 공격(攻擊)을 피(避)해 바위산(바위山)에 숱한 수도원(修道院)이 세워진 것만 봐도 이러한 이야기를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

바르바리 해적(海賊)들은 지중해(地中海) 전역(全域)에서 배와 해안(海岸), 섬을 약탈(掠奪)하며, 바르바리 노예(奴隸) 무역(貿易) 을 위한 전리품(戰利品)과 노예(奴隸)를 가져갔다. 키티라는 지중해(地中海)의 무역로(貿易路)를 잇는 지점(地點)에 자리잡은 전략적(戰略的) 위치(位置) 때문에 바르바리 해적(海賊)들의 손아귀에 놓였다. [4] 17세기(世紀)에는 메시니아 남쪽(南쪽)의 사(社)피엔차(車)(칼라마타) 작은 섬들, 펠로폰네소스 남동쪽(南東쪽) 끝 남쪽(南쪽)의 체리고(高)(키티라), 소아시아(小아시아) 해안(海岸)과 사모스 남서쪽(南西쪽)의 포르니, 키오스 서쪽(西쪽)의 프사(프사)라 섬이 모두 해적(海賊) 기지(基地)였다. [5]

나폴레옹 이 1797년(年) 캄포포르미오 조약(條約) 으로 베네치아 공화국(共和國)을 종식(終熄)시켰을 때, 키티라는 가장 먼 데파르트망(網) 중(中) 하나인 메레제(第) 에 통합(統合)되었다. 고대(古代)에는 키티라섬은 키클라데스 제도(諸島) 의 일부(一部)로 여겨졌지만, 나폴레옹 시대(時代) 이후(以後)로는 이오니아 제도(諸島) 의 섬과 운명(運命)을 같이 했다.

1799년(年), 이오니아 제도(制度)는 명목상(名目上)으로는 오스만 제국(帝國)의 종주권(宗主權) 아래 있었으나 실제로(實際로)는 러시아 제국(帝國) 에 의(依)해 지배(支配)되는 에프타니소스 공화국(共和國) 이 되었다. 1807년(年), 프랑스가 이 섬들을 재점령하였고, 1809년(年) 영국(英國) 이 다시 점령(占領)하여 이오니아 제도(諸島) 합중국(合衆國) 이라는 영국(英國) 보호령(保護領) 을 세웠다. 영국(英國)은 약(約) 반세기(半世紀) 동안 이오니아 제도(制度)를 지배(支配)했으며, 영국(英國) 통치(統治) 하(下)에 고등(高等) 판무관(辦務官)이 입법(立法) 및 행정(行政) 권한(權限)을 행사(行使)했다. 영국(英國) 통치기(統治期)에도 이 섬의 이름은 베네치아식(式)으로 카리고(高) 혹은(或은) 체리고로(故로) 불렸다. 이오니아 식민지(植民地)는 오랜 기간(期間) 혼란(混亂)을 겪었는데, 1859년(年) 겨울 3주(週) 동안 고등(高等) 판무관(辦務官)을 지낸 윌리엄 글래드스턴 과 같은 이들도 이를 해결(解決)하지 못했다. 그러다 키티라를 비롯한 이오니아 제도(制度)는 웨일스 공 의 처남(妻男)인 요르요스 1세(歲) 에게 양도(讓渡)되었다.

섬의 주요(主要) 도시(都市)인 키티라(또는 호라, "마을")에는 케르키라 에 이어 이오니아 제도(制度)에서 두 번째(番째)로 큰 키티라 역사(歷史) 기록(記錄) 보관소(保管所)가 있다.

지리 [ 편집(編輯) ]

키티라의 위성(衛星) 사진(寫眞)

키티라는 279.593 제곱킬로미터 (107.95 mi 2 )의 면적(面積)을 가지고 있으며, 말레아 곶(串) 뒤에 있는 에게해(에게海) 의 남서쪽(南西쪽) 출구(出口)에 위치(位置)해 있다. [6] 험준(險峻)한 지형(地形)은 주변(周邊)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依)해 형성(形成)된 가파른 암벽(巖壁)과 깊은 만(灣)으로 이루어진 해안선(海岸線) 덕분(德分)이다. 섬에는 다양한 구성(構成)과 크기의 해변(海邊)이 많으며, 그 중(中) 절반(折半) 정도(程度)는 산악(山岳) 지형(地形)을 통해 도로(道路)로 접근(接近)할 수 있다. 근처(近處)에는 키티라 해협(海峽) 이 있다. 키티라는 에게해(에게海)판 경계(境界) 근처(近處)에 위치(位置)해 있어 지진(地震) 이 자주 발생(發生)한다. 기록(記錄)된 역사(歷史) 속 많은 지진(地震)이 섬 근처(近處) 또는 섬에서 발생(發生)했다. 최근(最近) 가장 큰 지진(地震)은 1903년(年) 미타타 마을 근처(近處)에서 발생(發生)했으며, 상당(相當)한 피해(被害)와 약간(若干)의 인명(人命) 피해(被害)를 초래(招來)했다. 21세기(世紀)에 들어 두 차례(次例) 큰 지진(地震)이 발생(發生)했는데, 2004년(年) 11월(月) 5일(日) 리히터 규모(規模) 5.6~5.8의 지진(地震)과 2006년(年) 1월(月) 8일(日) 리히터 규모(規模) 6.9의 지진(地震)이다. 후자(後者)의 진앙(震央)은 키티라에서 약(約) 20 km (12 mi) 동쪽(東쪽) 바다에 있었으며, 진원(震源)의 깊이는 약(約) 70 km (43 mi)였다. 많은 건물(建物)이 피해(被害)를 입었지만, 주로(主로) 미타타 마을의 오래된 건물(建物)들이었으며 인명(人命) 피해(被害)는 없었다. 이 지진(地震)은 이탈리아 , 이집트 , 몰타 , 요르단 에서도 감지(感知)되었다.

아블레모나스 의 모습

기후(氣候) [ 편집(編輯) ]

Kythira Island의 기후(氣候)
월(月) 1월(月) 2월(月) 3월(月) 4월(月) 5월(月) 6월(月) 7월(月) 8월(月) 9월(月) 10월(月) 11월(月) 12월(月) 연간(年間)
최고(最高) 기온(氣溫) 기록(記錄) °C (°F) 21.5
(70.7)
22.8
(73.0)
24.0
(75.2)
27.0
(80.6)
33.2
(91.8)
40.0
(104.0)
40.2
(104.4)
37.8
(100.0)
33.6
(92.5)
30.0
(86.0)
26.2
(79.2)
22.6
(72.7)
40.2
(104.4)
평균(平均) 일(日) 최고(最高) 기온(氣溫) °C (°F) 12.7
(54.9)
12.9
(55.2)
14.2
(57.6)
17.1
(62.8)
21.6
(70.9)
26.0
(78.8)
28.7
(83.7)
28.5
(83.3)
25.6
(78.1)
21.2
(70.2)
17.8
(64.0)
14.6
(58.3)
20.1
(68.2)
일(日) 평균(平均) 기온(氣溫) °C (°F) 10.8
(51.4)
10.8
(51.4)
12.0
(53.6)
14.7
(58.5)
18.8
(65.8)
23.0
(73.4)
25.6
(78.1)
25.4
(77.7)
22.9
(73.2)
18.9
(66.0)
15.8
(60.4)
12.7
(54.9)
17.6
(63.7)
평균(平均) 일(日) 최저(最低) 기온(氣溫) °C (°F) 8.9
(48.0)
8.9
(48.0)
10.0
(50.0)
12.4
(54.3)
16.1
(61.0)
19.9
(67.8)
22.4
(72.3)
22.5
(72.5)
20.3
(68.5)
16.8
(62.2)
13.9
(57.0)
10.8
(51.4)
15.2
(59.4)
최저(最低) 기온(氣溫) 기록(記錄) °C (°F) ?1.8
(28.8)
?0.8
(30.6)
?4.3
(24.3)
6.2
(43.2)
9.4
(48.9)
11.8
(53.2)
14.8
(58.6)
17.2
(63.0)
11.8
(53.2)
8.8
(47.8)
2.0
(35.6)
1.0
(33.8)
?4.3
(24.3)
평균(平均) 강수량(降水量) mm (인치) 103.3
(4.07)
67.7
(2.67)
59.5
(2.34)
28.1
(1.11)
10.5
(0.41)
1.9
(0.07)
2.4
(0.09)
2.3
(0.09)
11.2
(0.44)
54.2
(2.13)
85.6
(3.37)
115.2
(4.54)
541.9
(21.33)
평균(平均) 강수일수(降水日數) (≥ 1.0 mm) 10.2 8.5 6.4 4.0 1.7 0.3 0.3 0.3 1.1 5.1 7.7 11.0 56.6
평균(平均) 상대(相對) 습도(濕度) (%) 72.3 72.4 71.5 67.9 63.1 57.1 54.4 56.7 62.1 68.3 72.5 72.8 65.9
출처(出處): NOAA [7]

키티라 (마을) [ 편집(編輯) ]

호라의 전경(前景)
호라의 거리

중심(中心) 도시(都市)인 호(號)라는 섬의 남쪽(南쪽) 부분(部分)에 위치(位置)해 있으며, 남쪽(南쪽) 펠로폰네소스나 바티카 와 연결(連結)된 항구(港口)는 없다. 키티라의 바티카를 위한 항구(港口)는 이전(以前)에 아야펠라기아(飢餓)에 있었으나, 최근(最近) 몇 년(年) 동안 이 항구(港口)는 폐쇄(閉鎖)되었고, 키티라의 해안(海岸) 마을 디아코프티에 새 항구(港口)가 생겼다.

60개(個) 이상(以上)의 마을 이름 대부분(大部分)이 "-anika"로 끝나며, 일부(一部)는 -athika, -iana, -wades로 끝난다. 이는 마을이 처음 그 지역(地域)에 정착(定着)한 영향력(影響力) 있는 가문(家門)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기 때문이다. 예(例)를 들어, '로고테티아니카'는 그리스 성씨(姓氏) '로고테티스'에서 유래(由來)되었다.

교통(交通) [ 편집(編輯) ]

과거(過去) 키티라섬은 교통(交通) 여건(與件)이 나빴는데, 특히(特히) 겨울철 교통(交通)에 미치는 날씨의 영향(影響)으로 상황(狀況)이 더욱 악화(惡化)되었다. 그러나 디아코프티 에 새로운 항구(港口)가 건설(建設)되고 섬의 공항(空港)이 개조(改造)되면서 교통(交通) 문제(問題)가 크게 나아졌다. 섬에서 가장 인구(人口)가 많은 북쪽(北쪽) 포타(抛他)모스에서 남쪽(南쪽)의 수도(首都)인 호라까지 연결(連結)되는 새로운 도로(道路)가 현재(現在) 계획(計劃) 및 개발(開發) 단계(段階)에 있다.

항구(港口) [ 편집(編輯) ]

키티라섬은 수세기(數世紀) 동안 무역(貿易) 경로(經路)로 사용(使用)되어 왔지만, 현대적(現代的)인 항구(港口) 건설(建設)은 20세기(世紀) 후반(後半)까지 여러 번(番) 미뤄졌다. 1933년(年) 아야펠라기아(飢餓)에 항구(港口)를 건설(建設)하려는 노력(努力)이 있었으나, 재정(財政) 및 정부(政府)의 문제(問題)로 인해 몇 십(十) 년(年) 후(後)에야 비로소 건설(建設)되었다. 아야펠라기아(飢餓)의 작은 항구(港口)는 1990년대(年代) 중반(中盤)까지 섬의 주요(主要) 항구(港口)였으며, 현재(現在) 페리 선착장(船着場)에서 관광(觀光)/레저 보트 선착장(船着場)으로 개조(改造)되고 있다. 이 시기(時期)에 디아코프티의 새로운 항구(港口)가 19세기(世紀) 영국(英國) 식민지(植民地) 행정청(行政廳)이 처음으로 선택(選擇)한 부지(敷地)에 건설(建設)되었으며, 더 넓은 현대적(現代的)인 도로(道路)와 함께 더 큰 화물(貨物) 및 여객선(旅客船)을 지원(支援)하기 위해 건설(建設)되었다. 디아코프티 항구(港口)는 현재(現在) 기(基)티오 , 칼라마타 , 안티키티라 , 피레우스 의 아테네 항구(港口), 크레타 및 네아폴리스-바티카와의 정기(定期) 노선(路線)을 운행(運行)하고 있다. 항구(港口) 남쪽(南쪽)에 마리나를 추가(追加)하는 제안(提案)이 있었으나, 아직 계획(計劃)이나 일정(日程)은 발표(發表)되지 않았다. 추가(追加)로, 아야펠라기아 북쪽(北쪽)의 아야파트리키아 항구(港口)는 주요(主要) 어선(漁船) 항구(港口)로, 두 개(個)의 넓은 보트 경사로(傾斜路)와 보트 수리(水利) 시설(施設)을 갖추고 있다.

공항(空港) [ 편집(編輯) ]

섬의 주요(主要) 공항(空港)은 프릴리얀니카와 디아코프티 사이에 위치(位置)한 알렉산드로스 S. 오나시스 공항(空港)으로, 호라에서 약(約) 20 km (12 mi) 떨어져 있다. 이 공항(空港)은 21세기(世紀) 초(初)에 주로(主로) 지역(地域) 주민(住民)들이 제공(提供)한 민간(民間) 자금(資金)으로 개조(改造) 및 확장(擴張)되었다. 섬은 올림픽 항공(航空) 에게 항공(航空) 의 항공편(航空便)으로 연결(連結)된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ΦΕΚ A 87/2010, Kallikratis 개혁(改革) 법률(法律) 텍스트” (그리스어(語)). Government Gazette .  
  2. “2001 인구(人口) 및 주택(住宅) 센서스 (면적(面積) 및 평균(平均) 고도(高度) 포함(包含))” (PDF) (그리스어(語)).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2015년(年) 9월(月) 21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PDF)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3. Georgiadis, Mercourios (2023년(年) 1월(月) 1일(日)). 《The Sacred Landscape at Leska and Minoan Kythera》 (영어(英語)). INSTAP Academic Press. ISBN   978-1-62303-442-9 .  
  4. Simbula, P F. 《Iles》. 3쪽.  
  5. Zakythinos, D A. 《Corsaires et pirates》. 713?714쪽.  
  6. C.Michael Hogan. 2011. Aegean Sea . Eds. P.Saundry & C.J.Cleveland. Encyclopedia of Earth. National Council for Science and the Environment. Washington DC
  7. “Kythira Island Climate Normals 1961-1990” . 미국(美國) 해양대기청(海洋大氣廳) . 2013년(年) 1월(月) 22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 위키미디어 공용(公用)에 키티라섬 관련(關聯) 미디어 분류(分類)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