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코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체코 공화국(共和國)
?eska republika

국기(國紀)

국장(國葬)
표어(標語) Pravda vit?zi
( 체코어(語) : 진실(眞實)은 승리(勝利)한다 )
국가(國家) 나의 조국(祖國)은 어디에
수도 프라하 북위(北緯) 50° 05′ 00″ 동경(東京) 14° 25′ 00″  /  북위(北緯) 50.083333° 동경(東京) 14.416667°  / 50.083333; 14.416667
체코(체코)
정치(政治)
정치체제(政治體制) 공화제(共和制) , 단일국가(單一國家) , 내각제(內閣制)
대통령(大統領)
총리(總理)
페트르 파벨
페트르 피알라
역사(歷史)
독립(獨立)  
 ? 독립(獨立) 체코슬로바키아 에서 분리(分離)
1993년(年) 1월(月) 1일(日)
지리
면적(面積) 78,871 km 2 ( 115 위(位) )
내수면(內水面) 비율(比率) 2.12 %
시간대(時間帶) CET ( UTC +1)
DST CEST (UTC+2)
인문(人文)
공용어(公用語) 체코어(語)
인구(人口)
2021년(年) 어림 10,693,939명(名) (86위(位))
인구(人口) 밀도(密度) 134명(名)/km 2 ( 87위(位) )
경제(經濟)
GDP ( PPP ) 2020년(年) 어림값
 ? 전체(全體) $4,323억(億) ( 36위(位) )
 ? 일인당(一人當) $40,585 ( 34위(位) )
GDP (명목(名目)) 2020년(年) 어림값
HDI 0.900 ( 27위(位) , 2019년(年) 조사(調査))
통화(通話) 코루나 ( CZK )
종교(宗敎)
종교(宗敎) 무종교(無宗敎) 56.9%
기독교(基督敎) 11.7% [1]
불명(不明) 30.1%
기타 1.2% [2]
기타
ISO 3166-1 203 , CZ , CZE
도메인 .cz
국제(國際) 전화(電話) +420

체코 공화국(共和國) ( 체코어(語) : ?eska republika 체스카 레푸블리카 [ * ] , 이 소리의 정보듣기   ), 줄여서 체코 ( 체코어(語) : ?esko 체스코 [ * ] , 문화어(文化語) : 체스꼬)는 중앙(中央)유럽 에 있는 공화국(共和國) 이다. 북서쪽(北西쪽)과 서쪽(西쪽)은 독일(獨逸) , 남쪽(南쪽)은 오스트리아 , 남동쪽(南東쪽)은 슬로바키아 , 북동쪽(北東쪽)은 폴란드 와 닿아 있다. 수도(首都)는 프라하 이고, 주요(主要) 도시(都市)로는 브르노 , 오스트라바 , 즐린(櫛鱗) , 플젠 등(等)이 있다.

폴란드 와 더불어 동유럽(東유럽)에서는 공업(工業)이 발달(發達)한 나라로 알려져 있다.

체코는 크게 보헤미아 (체히), 모라바 , 실레시아 (슬(瑟)레스코) 세 지방(地方)으로 나뉜다. 체코는 1993년(年) 체코슬로바키아 로부터 분리(分離)되었다. 1999년(年) 3월(月) 12일(日) 에는 북대서양(北大西洋) 조약(條約) 기구(機構) (NATO)에 가입(加入)하였으며, 2004년(年) 5월(月) 1일(日) 에는 유럽 연합(聯合) 의 정회원국(正會員國)이 되었으나 아직 유로존은 아니다. 이 나라의 민족(民族) 구성(構成)은 대부분(大部分)이 서슬라브족 에 속(屬)하는 체코인(人) 으로 인구(人口)의 90% 정도(程度)를 유지(維持)한다. 슬로바키아인(人) 은(銀) 두 번째(番째)로 주요(主要)한 민족(民族)이다.

국명(國名) [ 편집(編輯) ]

체코라는 이름은 체코를 형성(形成)하는 3개(個)의 지방(地方) 가운데 하나인 보헤미아 의 체코어(語) 표기(表記)인 '체히'(?echy)에서 유래(由來)된 이름이다. 1993년(年) 체코슬로바키아 가 무너진 뒤에 수립(樹立)된 체코 공화국(共和國)은 '체스코'(?esko)라는 체코어(語) 약칭(略稱)을 사용(使用)한다.

1993년(年) 체코 외무부(外務部)가 체코를 뜻하는 약칭(略稱)으로 체키아 (Czechia)를 사용(使用)할 것을 제안(提案)했으며 2016년(年)부터 공식적(公式的)으로 체키아를 짧은 영어(英語)이름으로 채택(採擇)했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9세기(世紀) 말(末)부터 14세기(世紀) 초(初)까지 프르셰미슬 왕조(王朝) 가 다스렸다. 이후(以後) 룩셈부르크 왕조(王朝) 가 다스리는 중(中)에 카렐 1세(歲) 가 신성(神聖) 로마 황제(皇帝) 카를 4세(歲) 로 즉위(卽位)하였다.

15세기(世紀) 이후(以後) 후스파 종교(宗敎) 개혁(改革) 이 격렬(激烈)하게 전개(展開)되었다. 17세기(世紀)의 보헤미아는 로마 가톨릭 국가(國家)였던 합스부르크 왕가(王家) 의 지배(支配) 하(下)에 있었고,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改新敎) 양쪽(兩쪽) 교도(敎徒)들 사이에 여러 차례(次例) 불협화음(不協和音)이 일어났으나, 신성(神聖) 로마 제국(帝國) 의 황제(皇帝)들은 개신교(改新敎) 도(度)의 세력(勢力)이 크다는 것을 인식(認識)하고 신앙(信仰)을 인정(認定)해 주었다. 이후(以後) 신성(神聖) 로마 제국(帝國)의 황제(皇帝) 겸(兼) 보헤미아의 왕(王) 마티아스 (황제(皇帝) 재위(在位): 1612~19년(年), 보헤미아 왕(王) 재위(在位) : 1611~17년(年))도 양쪽(兩쪽) 진영(陣營)에 대(對)한 융화(融和) 정책(政策)을 추진(推進)하였다. 그러나 열렬(熱烈)한 로마 가톨릭 교회(敎會) 신자(信者)인 페르디난트 2세(歲) 는 보헤미아 왕(王)에 선출(選出)(재위(在位): 1617~37년(年))되는 동시(同時)에 개신교(改新敎)에 대(對)한 탄압(彈壓)을 실시(實施)했다. 그 와중(渦中)에 프라하 대주교령(大主敎令)에 있던 개신교(改新敎) 예배당(禮拜堂)들이 철거(撤去)되었고, 개신교(改新敎) 신자(信者)들은 이에 항의(抗議)하였으나 묵살(默殺)되었다. 결국(結局)에는 탄압(彈壓)에 반발(反撥)한 개신교(改新敎) 시민(市民)들이 프라하 의 왕궁(王宮)을 습격(襲擊)해 국왕(國王) 고문관(顧問官) 3명(名)을 왕궁(王宮)의 창문(窓門)에서 던져버리는 프라하 창밖(窓밖) 투척사건(投擲事件) 이라는 초유(初有)의 사태(事態)가 일어났으며(1618년), 개신교(改新敎) 신자(信者)인 보헤미아 제후(諸侯)는 이 사건(事件)을 계기(契機)로 단결(團結)하여 반란(叛亂) 을 일으켰다. 이것이 30년(年) 전쟁(戰爭) (1618~48년(年))의 시발점(始發點)이 되었다.

반란군(叛亂軍) 제후(諸侯)들은 다른 개신교(改新敎) 제후(諸侯)에게 협력(協力)을 호소(呼訴)하였고, 개신교(改新敎) 제후(諸侯) 연합(聯合)의 찬성(贊成)을 얻어냈다. 황제(皇帝) 마티아스 가 사망(死亡)하고(1619년), 보헤미아 왕(王) 페르디난트 2세(世)가 신성(神聖) 로마 제국(帝國) 황제(皇帝)도 겸임(兼任)(재위(在位): 1619~37년(年))하게 되자, 보헤미아의 제후(諸侯)들은 페르디난트 2세(歲)를 황제(皇帝)로 인정(認定)하지 않고, 개신교(改新敎) 제후(諸侯) 연합(聯合)의 중심적(中心的) 존재(存在)였던 팔츠 선제후(選帝侯) 프리드리히 5세(歲) 를 의회(議會)에서 보헤미아 의 왕(王)(재위(在位): 1619~20년(年))으로 선출(選出)하고 황제(皇帝)에게 대항(對抗)하였다.

하지만 개신교(改新敎) 동맹측(同盟側)이 개혁파(改革派) 교회(敎會) (Reformed church)와 루터교회(敎會) 의 대립(對立)으로 발이 묶인 사이, 황제(皇帝) 페르디난트 2세(歲) 는 로마 가톨릭 교회(敎會) 세력(勢力)의 연대(連帶)를 강화(强化)해 교황(敎皇) 의 원조금(援助金)과 스페인-합스부르크 왕가(王家)의 지원군(支援軍) 및 바이에른 대공(對共) 막시밀리안 1세(歲) (재위(在位): 1623~51년(年)) 등(等)의 로마 가톨릭 교회(敎會) 제후(諸侯)의 원조(援助)를 받아 틸리 백작(伯爵) 요한 체(體)르클라에스 를 사령관(司令官)으로 임명하여 군대(軍隊)를 파견(派遣)했다.

사실상(事實上) 로마 가톨릭 교회(敎會) 동맹세력(同盟勢力)이 우위(優位)를 차지함으로써 이 시점(時點)에서 승부(勝負)는 이미 결정(決定)되었다. 1620년(年) 11월(月) 8일(日) 개신교(改新敎) 동맹측(同盟側)의 보헤미아군(軍)은 백산(白山)(白山) 전투(戰鬪) 에서 틸리 백작(伯爵)이 이끄는 로마 가톨릭 교회(敎會) 동맹군(同盟軍)에게 괴멸적(壞滅的)인 대패(大敗)를 당(當)했고, 보헤미아의 수도(首都) 프라하 는 저항(抵抗)하지 못하고 항복(降伏)했다. 이후(以後) 합스부르크 왕가(王家) 의 보헤미아 지배(支配)는 강화(强化)되었다. 곧이어 1627년(年) 신(新)(新)영지조례법(領地條例法)에 의(依)해 의회(議會)는 권력(權力)을 모두 빼앗기게 되어 사실상(事實上) 속령(屬領)이 되었다. 이로 인해 다수(多數)의 보헤미아 귀족(貴族) 및 개신교도(改新敎徒)가 망명(亡命)하여 유럽 각지(各地)로 흩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합스부르크 왕가(王家)에 의(依)한 재산몰수(財産沒收) 및 국외추방(國外追放)이라는 가혹(苛酷)한 전후(戰後) 처리(處理)는 다른 개신교(改新敎) 제후(諸侯)의 이탈(離脫)을 초래(招來)하게 되었고, 전쟁(戰爭)이 장기화(長期化)하게 된 원인(原因)이 되었다. 전쟁(戰爭) 이후(以後) 신성(神聖) 로마 제국(帝國) 로마 가톨릭 지배(支配)가 강화(强化)되었고 그대로 신성(神聖) 로마 제국(帝國)의 제위(祭位)(帝位)를 독점(獨占)한 오스트리아-헝가리 가 체코를 1918년(年) 까지 지배(支配)하였다.

이후(以後) 체코슬로바키아 로 독립(獨立)하였으나 1938년(年) 에 결국(結局) 뮌헨 협정(協定) 을 통해서 나치 독일(獨逸) 에 합병(合倂)되어 제(第)2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 이 끝날 때까지 1939년(年) 보헤미아-모라비아 보호령(保護領) 으로서 점령(占領) 통치(統治)되었다. 전쟁(戰爭)이 끝난 후(後) 1945년(年) 소련(蘇聯) 에 의(依)해 공산화(共産化), 사실상(事實上) 위성국인(衛星國人)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社會主義) 공화국(共和國) 이 되었다. 이에 반발(反撥)한 민중(民衆)에 의(依)해 1968년(年) 프라하의 봄 으로 대표되는 반체제(反體制) 운동(運動)이 있었으나 군사개입(軍事介入)으로 실패(失敗)했다.

1980년대(年代) 후반(後半) 중앙(中央)유럽 민주화(民主化) 물결을 타고 비폭력(非暴力) 혁명(革命)인 벨벳 혁명(革命) 을 통해 민주화(民主化)에 성공(成功)한 후(後), 국민(國民) 투표(投票)를 통해 1993년(年) 부터 슬로바키아 와 분리(分離)하여 체코 공화국(共和國)이 성립(成立)하였다.

지리 [ 편집(編輯) ]

체코는 지리적(地理的)으로 꽤 다양한 편(便)이다. 서쪽(西쪽)의 보헤미아 지방(地方)에는 엘베 강(江)과 블타바강이 흐르는 분지(盆地) 지역(地域)이 낮은 산릉(山陵)으로 둘러싸여있다. 자국(自國) 내(內)에서 가장 높은 산(山)인 스네슈카 산 ( 체코어(語) : Sn??ka , 높이 1,602m)이 이 곳에 있다. 체코의 수도(首都)이자 체히의 수도(首都)인 프라하는, 블타바강(江) 엘베강 을(乙) 사이에 두고 있다. 모라바 사이로 모라바강(江) 이 흐른다. 모라비아 서쪽(西쪽)의 일부(一部)는 실레시아 ( 체코령(令) 실레시아 )라고 불리는 역사적(歷史的)인 지역(地域)이며, 나머지는 현재(現在)의 폴란드이다.

체코는 내륙(內陸) 국가(國家)인데 영토(領土) 내(內)를 흐르는 강(江)은 북해(北海) , 발트해(발트海) , 흑해(黑海) 로 흘러 들어간다. 체코 자국(自國) 외(外)에 함부르크 가문(家門) 중간(中間)에 3만(萬) 제곱 미터의 조차지(租借地)인 몰다우하(下)펜 이 있다. 베르사유 조약(條約)으로 슬로바키아와의 분리(分離) 전(前)에 체코슬로바키아에 귀속(歸屬)된 것이다.

체코는 산, 완만(緩慢)한 고원(高原)과, 저지대(低地帶), 동굴(洞窟), 협곡(峽谷), 넓은 평원(平原), 습지(濕地), 호수(湖水), 연못(蓮못), 댐 등(等) 정말(正말) 아름답고 다채로운 자연(自然)을 자랑한다. 그러나 불행(不幸)히도, 북쪽(北쪽)으로 가면 갈수록, 지독(至毒)한 대기(大氣) 오염(汚染)과 극치(極致)에 이른 산성비(酸性비) 오염(汚染)을 경험(經驗)하게 되는데, 이는 19세기(世紀) 무분별(無分別)한 산업화(産業化)의 영향(影響)이다. 경작(耕作)을 위해 수세기(數世紀)에 걸쳐 나무를 베어냈음에도 불구(不拘)하고, 체코의 1/3은 여전히(如前히) 숲으로 둘러 싸여 있다. 사람의 손이 닿지 않은 천연(天然)의 숲은 대부분(大部分) 경작(耕作)이 불가능(不可能)한 산악(山岳) 지역(地域)에 있다. 수목(樹木) 한계선(限界線)(1,400m)이상(以上)으로는 초원(草原), 관목림(灌木林), 지의류(地衣類) 등(等)이 있다 곰, 늑대, 스라소니와 그 외(外) 야생(野生)고양이, 마멋, 수달(水獺), 담비, 밍크 등(等)의 야생동물(野生動物)이 서식(棲息)하고 있다.

숲과 습지대(濕地帶)에는 꿩, 자고, 오리, 야생(野生)거위 등(等) 사냥조류(藻類)들이 서식(棲息)하는데, 이들은 주로(主로) 사냥감이다. 독수리(禿수리), 콘돌, 물수리, 황새, 느시, 뇌조(牢俎) 등(等)도 극히(極히) 드물게 눈에 띈다.

기후(氣候) [ 편집(編輯) ]

체코의 대부분(大部分) 지역(地域)은 습기(濕氣) 많은 대륙성(大陸性) 기후(氣候)이므로 여름엔 따뜻하고 비가 많이 내리며, 겨울엔 춥고 눈이 많이 내린다; 완만(緩慢)한 기온(氣溫) 변화(變化)를 보인다. 가장 더운 달은 7월(月)이고, 가장 추운 달은 1월(月)이다. 12월(月)에서 2월(月)까지는 저지대(沮止臺)도 영하(零下)로 떨어지고 산악지방(山岳地方)은 정도(程度)가 더 심(甚)하다. 사실상(事實上) '건기(乾期)'라는 것은 없다. 겨울에는 40에서 100일정도(日程度) 눈이 내리고(산간지방은 130일(日) 정도(程度)), 저지대(低地帶)는 안개까지 낀다.

인구(人口) 및 주민(住民) [ 편집(編輯) ]

체코 공화국(共和國)에 거주(居住)하는 주민(住民)의 90.4%는 자신(自身)의 민족적(民族的) 정체성(正體性)을 체코인(人) (참조(參照): 체히 지방(脂肪))으로, 3.7%는 모라바인(人) (참조(參照): 모라바 지방(地方))으로 생각한다. 방언(方言) 차이(差異)가 있으나 이들이 사용(使用)하는 언어(言語)는 모두 체코어(語) 로 분류(分類)된다. 1989년(年) 벨벳 혁명(革命) 직후(直後)에는 자신(自身)을 모라바인(人) 으로 생각하는 인구(人口)의 비중(比重)이 높았으나 점차(漸次) 그 비율(比率)이 줄어들고 있다.

체코슬로바키아 가 두 나라로 분리(分離)되면서 체코에 남은 슬로바키아인(人) 은 전체(全體) 인구(人口)의 2% 정도(程度)를 차지한다. 이외(以外)의 소수(少數) 민족(民族)으로 폴란드인(人) , 독일인(獨逸人) , 로마인 , 헝가리인(人) , 우크라이나인(人) 이 살고 있다.

여성(女性) 1인당(人當) 합계출산율(合計出産率) 2004년(年) 현재(現在) ( Eurostat 추정(推定)) 1.23명(名)이다. 1999년(年) 에는 1.13까지 떨어졌으나, 이후(以後) 꾸준히 늘고 있다. 2005년(年) 현재(現在) 천명당(千名當) 출생률(出生率)은 10명(名), 천명당(千名當) 사망률(死亡率)은 10.5명(名)이다.

체코의 인구밀도(人口密度)는 130명(名)/km2로 세계(世界)77위(位)이다.

문화(文化) [ 편집(編輯) ]

종교(宗敎) 구성(構成) (체코)
무응답(無應答)
  
45.2%
무종교(無宗敎)
  
34.2%
천주교(天主敎)
  
10.3%
개신교(改新敎)
  
0.9%
기타
  
9.4%

체코의 공용어(公用語)는 체코어(語) 이다. 독일어(獨逸語) , 슬로바키아어(語) , 영어(英語) , 러시아어(語) , 프랑스어(프랑스語) 체코인(人) 에게는 선호(選好)되는 외국어(外國語)다. 일부(一部)는 우크라이나어(語) , 폴란드어(語) , 헝가리어(語) 도 사용(使用)된다. 이 나라는 프랑코포니 의 참관국(參觀局)이다.

이 나라는 '몰다우' 등(等)을 남긴 베드르지흐 스메타나 , 안토닌 드보르작 을 비롯한 많은 음악가(音樂家)들을 역사(歷史) 속에 배출(排出)하기도 했다. 독일어(獨逸語)로 작품(作品)들을 남긴 프란츠 카프카 도 프라하 태생(胎生)으로 관련(關聯) 관광지(觀光地)가 많이 남아있다.

인구조사(人口調査)에서 종교적(宗敎的) 소속(所屬)을 명확히(明確히) 하지 않은 사실(事實)상의 무종교자가(無宗敎自家) 79%에 이르고 인구(人口)의 34%는 무신론자(無神論者) 로 스스로를 밝혀 세계적(世界的)으로 무종교(無宗敎), 무신론자(無神論者) 비율(比率)이 가장 높은 국가(國家) 중(中) 하나이다. 다만 최대(最大) 종교(宗敎)인 기독교(基督敎)는 신자(信者)는 12%에 불과(不過)하나 체코 문화(文化)에 큰 영향(影響)을 끼쳤고, 그 중(中) 인구(人口)의 10%는 천주교(天主敎) , 인구(人口)의 1%는 체코슬로바키아 종교개혁(宗敎改革) 의 영향(影響)으로 후스파 개신교(改新敎) 신자(信者)이고, 인구(人口)의 1% 미만(未滿)의 복음주의(福音主義) 프로테스탄트 신자(信者)가 소수(少數) 있다. 그 외(外)에 동방(東方) 정교회(正敎會) ( 체코슬로바키아 정교회(正敎會) )와 유대교(유대敎) 이슬람 신자(信者)도 존재(存在)한다.

화폐(貨幣) [ 편집(編輯) ]

화폐(貨幣)는 코루나 를 사용(使用)하며, 유로화(貨) 를 쓰지 않는다. 유로화(貨) 도입(導入)을 추진(推進)하고 있었으나, 바츨라프 클라우스 대통령(大統領)의 반대(反對)로 유로존에 가입(加入)하지 않았다.

1코루나당(當) 한화(韓貨)로 약(約) 50원이다.(2019년 12월(月) 30일기준(日基準)) 동전(銅錢)은 할레르가 있는데 종류(種類)로는 10,20,50 할레르가 있다. 그리고 일부(一部) 코루나도(度) 동전(銅錢)으로 있다.

정치(政治) [ 편집(編輯) ]

1992년(年) 12월(月) 채택(採擇)된 신헌법(新憲法)에 기초한 자유(自由) 민주주의(民主主義) 체제(體制)다. 국가수반(國家首班)은 임기(任期) 4년(年)의 총리(總理) 인(人) 내각책임제(內閣責任制) 국가(國家)이다. 의회(議會)는 임기(任期) 4년(年)의 하원(下院)과 임기(任期) 6년(年)의 상원(上院)으로 구성(構成)된 양원제(兩院制) 다. 또한 다당제(多黨制) 국가(國家)로 시민(市民)민주당·공산당(共産黨)·체코사회민주당(社會民主黨) 등(等)의 주요(主要) 정당(政黨)들이 있다. 현재(現在)는 ANO 2011 , 체코 사회민주당(社會民主黨) ,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共産黨) 이 연립내각(聯立內閣)을 구성(構成)하고 있다.

무역(貿易) [ 편집(編輯) ]

2017년(年) 기준(基準)으로 체코의 주요(主要) 수출(輸出) 상대국(相對國)은 독일(獨逸)(32.60%), 슬로바키아 공화국(共和國)(7.64%), 폴란드(5.99%), 프랑스(5.09%), 영국(英國)(4.95%)이다. 주요(主要) 수입(輸入) 상대국(相對國)은 독일(獨逸)(25.82%), 중국(中國)(12.58%), 폴란드(7.71%), 슬로바키아 공화국(共和國)(4.83%), 이탈리아(4.23%)로 주요(主要) 수출입(輸出入) 상대국(相對國)은 중국(中國)을 제외(除外)하면 모두 인접(隣接) 유럽 국가(國家)들이다.

2017년(年) 기준(基準)으로 총수출액(總輸出額)은 182,231달러, 총수입액(總輸入額)은 162,899달러이다. 주요(主要) 수출(輸出) 품목(品目)은 디젤 엔진 자동차(自動車)(8,590백만(百萬) 달러), 무선(無線) 송신(送信) 장치(裝置)(5,863백만(百萬) 달러), 자동차(自動車)(5,038백만(百萬) 달러), 디지털 처리(處理) 장치(裝置)(4,670백만(百萬) 달러), 자동차용(自動車用) 부품(部品)(4,396백만(百萬) 달러)이다. 주요(主要) 수입(輸入) 품목(品目)은 무선(無線) 송신(送信) 장치(裝置)(5,972백만(百萬) 달러), 자동차(自動車) 부품(部品)(5,912백만(百萬) 달러), 직접(直接) 회(回)로(3,333백만 달러), 원유(原油)(3,178백만(百萬) 달러), 저장장치(貯藏裝置)(3,119백만(百萬) 달러)이다. [3]

도시(都市)와 행정(行政) 구역(區域) [ 편집(編輯) ]

보헤미아 에는 수도(首都) 프라하 를 비롯한 중공업(重工業) 도시(都市)인 플젠 , 온천(溫泉) 휴양지(休養地)로 잘 알려진 카를로비바리 등(等)이 있다. 모라바 에는 모직물(毛織物) 공업(工業)으로 유명(有名)한 브르노 와 제철(製鐵) 공업(工業) 도시(都市)인 오스트라바 가 있다.

도시(都市) [ 편집(編輯) ]

  • 프라하 는 체코의 수도(首都). 정치(政治)·문화(文化)·상공업(商工業)의 중심지(中心地)로서 역사적(歷史的)인 문화유산(文化遺産)도 많다. 1968년(年) 1월(月) ‘ 프라하의 봄 ’으로 부르는 자유화(自由化) 운동(運動) 의 역사적(歷史的) 무대(舞臺)였다.
  • 플젠 은 체코 서부(西部), 프라하 남서쪽(南西쪽) 약(約) 90km 지점(地點)에 있는 도시(都市)다. 중공업(重工業) 도시(都市)며 세계적(世界的)으로 유명(有名)한 맥주공장(麥酒工場)이 있다.

행정(行政) 구역(區域) [ 편집(編輯) ]

체코의 행정(行政) 구역(區域)
위치(位置) 14개(個) 주(週) 주도(主導) 인구(人口) (2005년(年))
A 수도(首都) 프라하
(hlavni m?sto Praha) (PR)
1,172,975
C 이호체스코 주(州)
(Jiho?esky kraj) (JC)
체스케부데요비체
(?eske Bud?jovice)  
626,042
B 이호모라프스코 주(州)
(Jihomoravsky kraj) (JM)
브르노
(Brno)
1,130,157
K 카를로비바리 주(週)
(Karlovarsky kraj) (KA)
카를로비바리
(Karlovy Vary)
304,625
H 호(號)라데츠크랄로베 주(週)
(Kralovehradecky kraj) (KR)
흐라데츠크랄로베
(Hradec Kralove)
547,326
L 리베레츠 주(週)
(Liberecky kraj) (LI)
리베레츠
(Liberec)
427,681
T 모라바ㆍ슬(瑟)레스코 주(州)
(Moravskoslezsky kraj) (MO)
오스트라바
(Ostrava)
1,252,092
M 올로모우츠 주(週)
(Olomoucky kraj) (OL)
올로모우츠
(Olomouc)
639,110
E 파르두비체(鼻涕) 주(週)
(Pardubicky kraj) (PA)
파르두비체(鼻涕)
(Pardubice)
505,109
P 플젠 주(週)
(Plze?sky kraj) (PL)
플젠
(Plze?)
549,678
S 스트르셰도체스코 주(州)
(St?edo?esky kraj) (ST)
프라하
(Praha)
1,146,343
U 우스티 주(週)
(Ustecky kraj) (US)
우스티나트라벰
(Usti nad Labem)
822,429
J 비소(砒素)치나 주(週)
(kraj Vyso?ina) (VY)
이흘라바
(Jihlava)
509,813
Z 즐린(櫛鱗) 주(週)
(Zlinsky kraj) (ZL)
즐린(櫛鱗)
(Zlin)
590,333

과학(科學) 기술(技術) [ 편집(編輯) ]

체코는 보안(保安) 업체(業體)로 유명(有名)하다. 전(全) 세계(世界) 바이러스 검사(檢査) 소프트웨어 (백신 프로그램) 시장(市場) 점유율(占有率) 각각(各各) 세계(世界) 1위(位), 2위(位)인 Avast와 Avg라는 보안(保安) 업체(業體)들이 있다.

교통(交通) [ 편집(編輯) ]

중앙(中央)유럽에 위치(位置)한 선진지역(先進地域)이기 때문에 철도(鐵道)는 매우 발달(發達)했고, 총연장(總延長)은 1만(萬) 3,300km이다. 전차(戰車)·버스 등(等)의 교통기관도(交通機關度) 발달(發達)되어 있고, 엘베강 등(等)의 하천교통도(河川交通度) 중요(重要)하다. 또 프라하를 중심(中心)으로 내외(內外)의 항공(航空)로도 발달(發達)해 있다.

주요(主要) 관광지(觀光地) [ 편집(編輯) ]

체코는 중앙(中央)유럽 이지만 문화(文化)는 서유럽(西유럽) 의 색채(色彩)가 짙다. 오랜 역사(歷史)를 가지고 있어 곳곳에 로마네스크 · 고딕 · 르네상스 · 바로크 양식(樣式)의 건물(建物)이 남아 있다. 대표적(代表的)인 관광지(觀光地)는 다음과 같다.

프라하 성(性) [ 편집(編輯) ]

프라하의 대표적(代表的)인 관광지(觀光地)인 프라하 성(性) 은 9세기(世紀)에 이미 교회(敎會)가 있던 자리였다. 11 ~ 12세기(世紀)에는 로마네스크 바실리카 교회(敎會)가 성(性) 비타 로툰다를 대체(代替)하기 위해 세워졌고, 이어 성(性) 이르지 교회(敎會)가 재건(再建)되었다. 특히(特히) 같은 시기(時期)에 외각(外角)의 돌담이 축성(築城)되어 성의(誠意) 면모(面貌)를 갖추게 되었다.

카를로비바리 [ 편집(編輯) ]

카를로비바리 는 세계(世界) 3대(代) 온천(溫泉) 관광지역(觀光地域)으로 유럽인(人)의 온천(溫泉) 휴양지(休養地)로 사랑 받고 있다.

카를교(校) [ 편집(編輯) ]

12세기(世紀)에 이미 목재교(木材校)가 같은 위치(位置)에 있었는데 강(江)이 범람(汎濫)할 때 붕괴(崩壞)되어 12세기(世紀) 중엽(中葉)에 석재교(石材校)로 대체(代替)되었다. 이 석재교(石材校) 또한 강물(江물)로 인해 붕괴(崩壞)되어 1357년(年) 카를 4세(歲) 때 교회(敎會) 건축가(建築家)인 피터 팔레지가 다시 건축(建築)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수필(隨筆)베르크 성(性) [ 편집(編輯) ]

수필(隨筆)베르크 성(城)(Hrad Spilberk)은 13세기(世紀) 중반(中盤)에 브르노의 방어(防禦)를 위한 성(性)으로 건축(建築)되었다. 17세기(世紀)에는 요새(要塞) 로서, 그리고 18, 19세기(世紀)에는 정치사범(政治事犯)을 가두기 위한 감옥(監獄) 으로 사용(使用)되었다. 그 때문에 ‘합스부르크의 민중감옥(民衆監獄)’이라 불리게 되었다. 1939년(年)에서 1940년(年)에는 게슈타포 에 의(依)해 감옥(監獄)으로 쓰였고, 전후(前後)에는 군시설(軍施設)로 이용(利用)되었다가 1960년(年) 이래(以來)로는 브르노시(視) 박물관(博物館) 으로 이용(利用)되고 있다. 성(性)이 위치(位置)해 있는 곳은 박람회장소(博覽會場所)가 되었다.

성(性) 페테로 파우로 교회(敎會) [ 편집(編輯) ]

녹색시장(綠色市場)에서 남쪽(南쪽)으로 올라간 언덕에 있는 교회(敎會) 로 옛날 브르노 성(性) 이 있었다고 추측(推測)되는 자리에 위치(位置)해 있다. 로마네스크 양식(樣式)의 바실리카 는 13세기(世紀)에 고딕양식(樣式)의 으로 개축(改築)되었고, 그 후(後) 15, 16세기(世紀) 에 다시 보수(補修)되었다가 18세기(世紀) 바로크 양식(糧食)으로 재건(再建)되었다. 그 후(後)에 다시 19, 20세기(世紀) 사이에 네오 고딕 양식(糧食)으로 개축(改築)되었다. 1777년(年) 이래(以來)로 이곳은 브르노 주교(主敎) 가 있으며 12세기(世紀) 부터 존재(存在)한 교회(敎會) 지하(地下) 납골당(納骨堂)은 관람(觀覽)이 가능(可能)하다.

성(性) 야콥 교회(敎會) [ 편집(編輯) ]

성(性) 야콥 교회(敎會) (Kostel st. Jakuba)는 국가(國家)에서 보호(保護)하는 문화유적지(文化遺跡地)로 13세기(世紀)에 세워진 교회(敎會)다. 우리가 오늘날 보는 후기(後記) 고딕양식(樣式) 의 건물(建物)은 14∼15세기(世紀)에 지어진 것이고 16세기(世紀)에 최종적(最終的)으로 개축(改築)되었다. 92m는 첨탑(尖塔) 이 성(城) 야콥 교회(敎會)의 상징(象徵)이다.

디트리히슈타인 궁전(宮殿) [ 편집(編輯) ]

디트리히슈타인 궁전(宮殿) (Dietrichsteinky Palac)은 1613 ~ 1616년(年)에 걸쳐 지어진 건물(建物)이다. 내부(內部) 구조(構造)가 복잡(複雜)하다. 주교(主敎)의 안마당은 훨씬 전(前)인 1352년(年)에 만들어졌다. 현재(現在) 있는 건물(建物)은 모라비안 박물관(博物館)으로 이용(利用)되고 있다.

대외(對外) 관계(關係) [ 편집(編輯) ]

대한민국(大韓民國)과의 관계(關係) [ 편집(編輯) ]

대한민국(大韓民國) 과는 체코슬로바키아 시절(時節)인 1990년(年) 에 정식(正式) 수교(修交)하였으며 1993년(年) 체코와 슬로바키아 가 분리(分離)된 이후(以後)에도 두 국가(國家) 모두 외교(外交) 관계(關係)를 유지(維持)하고 있다. 체코에는 현대자동차(現代自動車) 의 노쇼비체(鼻涕) 현지공장(現地工場)이 있다.

러시아와의 관계(關係) [ 편집(編輯) ]

체코는 예전에 소련(蘇聯) 의 위성국(衛星國)으로 지낸 시절(時節)이 있기 때문에 러시아 와 안 좋은 관계(關係)도 유지(維持)하고 있지만 폴란드 헝가리 , 루마니아 에 비해서는 매우 나쁘지 않고 우호적(友好的)인 관계(關係)를 일정(一定) 부분(部分) 유지(維持)하고 있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참고(參考) 자료(資料) [ 편집(編輯) ]

이 문서(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현(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配布)한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의 내용(內容)을 기초(基礎)로 작성(作成)된 글이 포함(包含)되어 있습니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체코 [ 편집(編輯) ]

해외(海外)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