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이문세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이문세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이문세
기본(基本) 정보(情報)
출생(出生) 1959년(年) 1월(月) 17일(日) ( 1959-01-17 ) (65세(歲))
대한민국(大韓民國)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성별(性別) 남성(男性)
거주지(居住地) 대한민국(大韓民國) 서울특별시(特別市)
장르 팝 발라드
활동(活動) 시기(時期) 1978년(年)~
배우자(配偶者) 이지현
가족(家族) 장모(某) 육완순 (한국무용가(韓國舞踊家) 겸(兼) 대학(大學) 교수(敎授))
자녀(子女)는 슬하(膝下) 1남(男)
형제자매(兄弟姊妹) 관계(關係)로는 1남(男) 3녀(女) 중(中) 막내
종교(宗敎) 개신교(改新敎) ( 성결교(聖潔敎) )
소속사(所屬社) 케이문(門)에프엔디
관련(關聯) 활동(活動) 삼각관계(三角關係)(이문세, 박상원 , 노영심 )
웹사이트 이문세 - 인스타그램
이문세 - X
이문세 - 페이스북
대표곡(代表曲)
나는 행복(幸福)한 사람 1983년(年)
난 아직 모르잖아요 1985년(年)
소녀(少女) 1985년(年)
그대와 영원히(永遠히) 1985년(年)
깊은 밤을 날아서 1987년(年)
사랑이 지나가면 1987년(年)
가을이 오면 1987년(年)
그녀(그女)의 웃음소리뿐 1987년(年)
이별(離別)이야기 (With. 김은희) 1987년(年)
붉은 노을 1988년(年)
가로수(街路樹) 그늘 아래 서면 1988년(年)
광화문(光化門) 연가(戀歌) 1988년(年)
시(詩)를 위한 시(詩) 1988년(年)
그게 나였어 1989년(年)
이세상(世上) 살아가다 보면 1989년(年)
옛사랑 1991년(年)
한번(番)쯤 아니 두번(番)쯤 (With. 김건모(金健模) ) 1993년(年)
조조할인(早朝割引) (With. 이적(移籍) , 조규찬 ) 1996년(年)
솔로 예찬(禮讚) 1998년(年)
기억(記憶)이란 사랑보다 2001년(年)
알 수 없는 인생(人生) 2006년(年)
봄바람 2020년(年)

이문세 (李文世, 1959년(年) 1월(月) 17일(日) ~)는 대한민국(大韓民國)의 대중음악인(大衆音樂人) 이다.

생애(生涯) 및 경력(經歷) [ 편집(編輯) ]

1959년(年) 2월(月) 24일(日)(음력(陰曆) 1월(月) 17일(日))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에서 태어나, 1978년(年) CBS 《세븐틴》의 DJ를 맡으며 라디오 DJ로 먼저 데뷔하였다. 1981년(年) MBC TV 프로그램 《영(英) 일레븐》의 MC로도 진출(進出)하였다. 데뷔 초(初)에도 타고난 입담과 함께 1970년대(年代) 한국(韓國) 음악(音樂) 의 근간(根幹)이었던 통기타(筒기타) 포크 팝 발라드 음악(音樂) 분야(分野)에서 1980년대(年代) 정통(正統) 팝 발라드 음악계(音樂界)로 넘어오자, 1983년(年) 발라드 가수(歌手)로 정식(正式) 음악(音樂) 활동(活動)을 시작(始作)하면서 가수(歌手) 활동(活動)에도 첫발을 내디뎠다.

1983년(年) 《나는 행복(幸福)한 사람》과 1984년(年)에 2집(輯) 《파랑새》를 발표(發表)하였으나 직후(直後)에는 이렇다 할 주목(注目)을 받지는 못했다. 그의 가수(歌手)로서 성공(成功)은 1985년(年) 당시(當時) 은인(恩人)과도 같은 작곡가(作曲家) 이영훈(李榮薰) 을 만나게 되면서 꽃피운다. 3집(輯) `난 아직 모르잖아요`라는 곡(曲)이 폭발적(暴發的)인 인기(人氣)를 끌었고, 그 해 방송(放送) 순위(順位) 1위(位)에 오르며 인기(人氣) 가수(歌手) 대열(隊列)에 오른다. 이때부터 이문세- 이영훈(李榮薰) 둘의 콤비 체제(體制)는 1980년대(年代)의 가요계(歌謠界)에 팝 발라드 음악(音樂)을 널리 알렸다.

1987년(年)에 발표(發表)한 4집(輯) 수록곡(收錄曲) 중(中) 대다수(大多數)가 대중(大衆)에게 널리 알려지면서 높은 판매고(販賣高)를 올렸고, [1] 팝 발라드 음악(音樂) 가수(歌手)로서 인기(人氣)를 확고히(確固히) 했다. 1993년(年)부터 개인사정(個人事情)으로 그 때까지 자신(自身)의 음악(音樂) 동반자(同伴者)였던 이영훈(李榮薰)과 결별(訣別)하고, 그때부터 자신(自身)만의 독자적(獨自的)인 음악세계(音樂世界)를 만들고자 발판(발板)을 다졌으나 그 변신(變身)은 별다른 주목(注目)을 받지는 못한다. [1] 1996년(年)에 발표(發表)한 《조조할인(早朝割引)》을 통해 본격(本格) 음악적(音樂的) 이미지 변신(變身)을 시도(試圖)했다. 1998년(年)에는 이문세 자신(自身)이 직접(直接) 가사(歌詞)를 작사(作詞)하고, 가수(歌手) 겸(兼) 작곡가(作曲家) 조규만 이 작곡(作曲)하면서 받은 노래인 타이틀곡(曲) 《솔로 예찬(禮讚)》을 발표(發表)했다.

특히(特히) 청소년(靑少年)을 주청취자(駐聽取者)로 하는 라디오 프로그램 《 별이 빛나는 밤에 》 진행자(進行者)로 수년간(數年間) 활약(活躍)하며, 1990년대(年代) 초반(初盤)에는 '밤의 교육부(敎育部) 장관(長官)'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2001년(年)에는 작곡가(作曲家) 이영훈(李榮薰) 과 8년(年) 만에 재회(再會)하여 이영훈이 작사(作詞) 및 작곡(作曲)한 《기억(記憶)이란 사랑보다》라는 노래를 받아 발표(發表)하였다.

인간(人間) 관계(關係) [ 편집(編輯) ]

이문세는 은인(恩人)이나 다름없는 이영훈이 대장암(大腸癌)으로 입원(入院) 당시(當時) 본인(本人)의 이미지 개선(改善)을 위해 이영훈(李榮薰)에게 사전(事前)에 통보(通報)도 없이 병실(病室)로 기자(記者)(‘간장(간醬)종지 사건(事件)’으로 유명(有名)한)와 카메라를 대동(帶同)해 다음날 시문(詩文)1면(面)에 기사(記事)를 싣고 이영훈(李榮薰)에게 잠수(潛水)를 탄다. 이후(以後) 이문세가 배신(背信)했던 전(前) 매니저 오씨(吳氏)의 증언(證言)에서 이영훈의 장례식(葬禮式)에 조의금(弔意金)으로 20만(萬)원을 내려고 했으나, 이영훈(李榮薰)과 단순히(單純히) 아는 사이거나,인연이 짧은 윤도현, 김장훈조차도 100만(萬)원 200만(萬)원을 조의한 것을 알고 근처(近處) ATM에서 100만(萬)원을 뽑아오라 시켰다고 했다. 다음해 소지섭이 친구(親舊) 박용하를 위(爲)해 장례금(葬禮金)을 전부(全部) 낸 것과 대조(對照)된다.

https://m.blog.naver.com/wkdwogh1221/192509348


이수만 , 유열(柳列) 과 셋이서 당대(當代) 발라드를 주름잡은 이른바 '마삼 트리오'로 유명(有名)했는데 셋 다 인상(引上)이 말(馬)상(賞)이었기 때문이었다. 이를 계기(契機)로 셋은 친분(親分)이 생겼고 그 때로부터 현재(現在)까지 주기적(週期的)으로 모임을 가진다.

학력(學歷) [ 편집(編輯) ]

대표곡(代表曲) [ 편집(編輯) ]

음반(音盤) [ 편집(編輯) ]

  • 2018년(年) 제(第)16집(輯) 《비트윈 어스(Between Us)》<나의 하루><희미(稀微)해서><멀리 걸어가>
  • 《겨울특집(特輯) This Christmas》 (featuring 한(限)해)
  • 2015년(年) 제(第)15집(輯) 《봄바람》
  • 2014년(年) KBS 주말(週末)드라마 '참 좋은시절' OST 《슬픔도 지나고 나면》 《참 좋은 시절(時節)》
  • 2010년(年) MBC 주말특별기획(週末特別企劃) 드라마 '욕망(欲望)의 불꽃' OST 《 사랑은 늘 도망가
  • 2008년(年) 싱글 《이 겨울이 지나간다》
  • 2006년(年) MBC 주말특별기획(週末特別企劃) 드라마 '발칙한 여자(女子)들' OST 《 알 수 없는 인생(人生) 》 《모르나요》
  • 2002년(年) 제(第)14집(輯) 《빨간내복(內服)》 《Song From The Snow》 《내사랑,심수봉》
  • 2001년(年) 제(第)13집(輯) 《내가 멀리 있는건》 《기억(記憶)이란 사랑보다》
  • 1999년(年) 제(第)12집(輯) 《애수(哀愁)》 《슬픈 사랑의 노래》
  • 1998년(年) 제(第)11집(輯) 《내 마음속의 너를》《솔로 예찬(禮讚)》
  • 1996년(年) 제(第)10집(輯) 《 조조할인(早朝割引) 》《난(亂) 괜찮아》 《겨울의 미소(微笑)》
  • 1995년(年) 제(第)9집(輯) 《후회(後悔)》 《나의 사랑이란것은》
  • 1993년(年) 제(第)8집(輯) 《오래된 사진(寫眞)처럼》 《종원에게》
  • 2019년(年) JTBC 금토(金土)드라마 '눈이부시게' OST 《 옛사랑 》 《가을이 가도》
  • 1989년(年) 제(第)6집(輯) 《그게 나였어》 《 이 세상(世上) 살아가다 보면
  • 1988년(年) 제(第)5집(輯) 《시(詩)를 위한 시(詩)》《 광화문(光化門) 연가(戀歌) 》 《 가로수(街路樹) 그늘 아래 서면 》 《 붉은 노을
  • 1988년(年) 《새벽 별》 《사랑의 꽃》
  • 1987년(年) 제(第)4집(輯) 《 사랑이 지나가면 》《가을이 오면》《 깊은 밤을 날아서 》《 그녀(그女)의 웃음소리뿐
  • 1986년(年) 이문세의 넋두리 《가는 사람 갈지라도》 《평범(平凡)한 이야기》
  • 1985년(年) 제(第)3집(輯) 《할말은 하지 못했죠》《 난 아직 모르잖아요 》《빗속에서》《휘파람》《 소녀(少女) 》《그대와 영원히(永遠히)》
  • 1984년(年) 제(第)2집(輯) 《신비(神祕)한 세계(世界)》
  • 1983년(年) 제(第)1집(輯) 《나는 행복(幸福)한 사람》《오마니》《 파랑새 》《운수(運輸) 좋은 날》
  • 1982년(年) 《떠돌이 인생(人生)도 하늘은 있다》 《평범(平凡)한 이야기》
  • 1980년(年) 가수(歌手) '김기록(金記錄)'의 앨범에 《가는 사람 갈지라도》 《바보스럽게》 《가까운 우리는》 수록

영화(映畫) 출연작(出演作) [ 편집(編輯) ]

방송(放送) 활동(活動) 이력(履歷) [ 편집(編輯) ]

TV [ 편집(編輯) ]

라디오 [ 편집(編輯) ]

광고(廣告) [ 편집(編輯) ]

수상(受賞) [ 편집(編輯) ]

가요(歌謠) 프로그램 1위(位) [ 편집(編輯) ]

연도(鳶島) 수상(受賞) 내역(內譯) (총(總) 10회(回))
1986년(年) (총(銃) 5회(回))
1996년(年) (총(銃) 5회(回))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최성철 (2016년(年) 8월(月) 11일(日)). “[대중음악가(大衆音樂家) 열전(列傳)] 22. 이문세” . 부산일보(釜山日報) . 2018년(年) 10월(月) 30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 위키미디어 공용(公用)에 이문세 관련(關聯) 미디어 분류(分類)가 있습니다.
골든 디스크 《대상》
1986년(年) 1987년(年)
이문세
1988년(年)
조용필 주현미
사랑이 지나가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