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헌 (주교(主敎))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베드로   이기헌   주교(主敎)
교구(敎區) 천주교(天主敎) 의정부교구(議政府敎區)
직책(職責) 천주교(天主敎) 의정부교구(議政府敎區) 장(腸)
임기(任期) 2010년(年) 5월(月) 4일(日) ~ 2024년(年) 5월(月) 2일(日)
후임자(後任者) 손희송
성직(聖職)
사제서품(司祭敍品) 1975년(年) 12월(月) 8일(日)
수여(授與)  김수환(金壽煥) 추기경(樞機卿)
주교서품(主敎敍品) 1999년(年) 12월(月) 14일(日)
수여(授與)  김수환(金壽煥) 추기경(樞機卿)
개인정보(個人情報)
출생(出生) 1947년(年) 12월(月) 31일(日) ( 1947-12-31 ) (76세(歲))
재조선 미국 육군사령부 군정청 북조선인민위원회(北朝鮮人民委員會) 평양특별시(平壤特別市)
국적(國籍)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교파(敎派) 로마 가톨릭교회
학력(學歷) 가톨릭대학교 신학(神學)과

이기헌 (李基憲, 1947년(年) 12월(月) 31일(日) ~ )은 대한민국(大韓民國) 로마 가톨릭교회 성직자(聖職者)이다. 세례명(洗禮名)은 베드로 이며, 제(第)2대(代) 천주교(天主敎) 의정부교구(議政府敎區) 의 교구장(敎區長) 주교(主敎)와 한국(韓國) 천주교(天主敎) 주교회의(主敎會議) 선교사목주교위원회(宣敎司牧主敎委員會) 위원장(委員長)과 문화위원회(文化委員會) 위원장직(委員長職)을 지냈다. 1947년(年) 평양(平壤)에서 출생(出生)했으며, 1975년(年) 사제품(司祭品)을 받은 뒤 서울 천호동·상봉동(上鳳洞)·명동(明洞) 주교좌본당(主敎座本堂) 보좌신부(補佐神父)를 거쳤다. 1978년(年) 군종장교(軍宗將校)로 입대(入隊)해 1982년(年)까지 군종사목(軍宗司牧)을 맡았고, 잠원동(蠶院洞)·석관동·일본(日本) 동경(東京) 한인본당(韓人本堂) 주임신부(主任神父)를 역임(歷任)했으며, 서울대교구(大敎區) 사무처장(事務處長)으로 재임(在任)하던 1999년(年) 제(第)2대(代) 군종교구장(軍宗敎區長) 주교(主敎)로 임명(任命)됐다. 주교회(主敎會)의 가정사목위원회(家庭司牧委員會) 위원장(委員長), 생명(生命) 31운동본부(運動本部) 책임(責任) 주교(主敎), 아시아주교회의연합회(主敎會議聯合會)(FABC) 제(第)8차(次) 정기총회(定期總會) 담당(擔當) 주교(主敎), 천주교(天主敎) 군종교구장(軍宗敎區長)을 맡았다.

생애(生涯) [ 편집(編輯) ]

1947년(年) 12월(月) 31일(日) 평양(平壤)에서 이재풍(베네딕토) 옹(翁)과 정용철(수산나) 여사(女史) 슬하(膝下)에 4남(男) 4녀(女) 중(中) 넷째로 태어났다.

1975년(年) 가톨릭대학교 신학과(神學科) 졸업(卒業)과 동시(同時)에 김수환(金壽煥) 추기경(樞機卿)으로부터 사제품(司祭品)을 받은 이기헌은 1995년(年) 교구(敎區) 교육국장(敎育局長), 1998년(年) 교구사무처장(敎區事務處長) 등(等)을 두루 거치며 교구(敎區) 발전(發展)의 중추적(中樞的)인 역할(役割)을 담당(擔當)해왔다. 특히(特히) 1998년(年)에는 서울대교구(大敎區) 민족화해위원회(民族和解委員會) 위원(委員) 자격(資格)으로 최창무 대주교(大主敎) 등(等)과 함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을 방문(訪問), 남북(南北) 가톨릭 신자간(信者間)에 교류(交流)와 협력(協力)의 물꼬를 트기도 했다. [1]

2010년(年) 2월(月) 26일(日) 교황(敎皇) 베네딕토 16세(歲)에 의(依)해 천주교(天主敎) 의정부교구장(議政府敎區長) 주교(主敎)로 임명(任命)되었으며, 같은 해 5월(月) 4일(日)에 천주교(天主敎) 의정부교구장(議政府敎區長)으로 착좌(着座)하였다.

문장(文章) [ 편집(編輯) ]

이기헌 주교(主敎)의 문장(文章)은 사목표어(司牧標語)인 ‘새로운 노래를 주님(主님)께 불러라’(시편 149장(張))의 ‘기쁨에 충만(充滿)한 찬양(讚揚) 시편(詩篇)’의 내용(內容)을 표상화(表象化)한 것이다.

문장(文章)의 상단(上段)에 주교(主敎) 예모(禮貌)(禮帽)와 좌우(左右)에 늘어진 3단(段) 술은 주교(主敎)의 직위(職位)를 나타내며, 성작(聖爵)과 방패(防牌)는 악으로부터의 신앙(信仰)의 수호(守護)를 의미(意味)한다. 방패(防牌) 위의 십자가(十字架)는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사도단(段)의 후예(後裔)이자 주님(主님)의 대리자(代理者)인 주교(主敎)의 직무(職務)를 의미하며, 십자가(十字架) 안 큰 별은 의정부교구(議政府敎區)를 이끌며 봉사(奉仕)하는 주교(主敎)의 사목권(司牧權)을 상징(象徵)한다.

성작(聖爵)과 방패(防牌)의 내부(內部) 윗부분(윗部分)에 위치(位置)한 원은 ‘그리스도의 성체(聖體)’를 상징(象徵)하며, 성체(聖體) 안 비둘기는 세상(世上)을 비추는 성령(聖靈)을 표상해 ‘의정부교구(議政府敎區) 사제단(司祭團)과 교구민(敎區民) 모두의 일치(一致)’를 나타내고 있다.

접시 모양(模樣)의 성작(聖爵)과 그 위 황금빛(黃金빛) 선(線)은 찬양(讚揚)의 노래를 파이프 오르간의 형태(形態)로 나타낸 것으로, 찬양(讚揚)의 노래를 바치는 형상(形象)을 성작(聖爵) 밑 그림자로 표상(表象)하고 있다. [2]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서상덕 기자(記者) (1999년(年) 11월(月) 14일(日)). “이기헌 주교(主敎)의 신앙(信仰)과 삶” . 가톨릭신문(新聞). 2011년(年) 11월(月) 18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1999년(年) 11월(月) 14일(日)에 확인(確認)함 .  
  2. 오혜민 기자(記者) (2010년(年) 3월(月) 28일(日)). “의정부교구장(議政府敎區長) 이기헌 주교(主敎) 문장(文章) 확정(確定)” . 가톨릭신문(新聞) . 2011년(年) 4월(月) 27일(日)에 확인(確認)함 .  
전임(前任)
이한택 (요셉)
제(第)2대(代) 천주교(天主敎) 의정부교구장(議政府敎區長)
2010년(年) 5월(月) 4일(日) - 2024년(年) 5월(月) 2일(日)
후임(後任)
손희송 (베네딕토)
전임(前任)
정명조 (아우구스티노)
제(第)2대(代) 천주교(天主敎) 군종교구장(軍宗敎區長)
1999년(年) - 2010년(年)
후임(後任)
유수일 (F. 하비에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