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위키백과(百科):제목(題目) 선택(選擇)하기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위키백과(百科) : 제목(題目) 선택(選擇)하기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이 문서(文書)는 위키백과(百科) 문서(文書)의 제목(題目)을 정(定)함에 길잡이가 되는 것을 모은 것입니다.

“길잡이”라고 하지만 이는 강제적(强制的)인 원칙(原則)이 아닙니다. 시간(時間)이 지나면서 사문화(死文化)가 되는 것도 있을 것이고, 어떤 문서(文書)는 누가 보아도 아래 길잡이를 따르지 않는 것이 좋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미심쩍을 때에는 아래 길잡이를 따라 주십시오.

일반적(一般的)으로 문서(文書)의 제목(題目)은 한국어(韓國語)를 쓰는 사람이 의미(意味)의 혼동(混同)이 없이 쉽게 알아볼 수 있어야 하고, 동시(同時)에 다른 문서(文書)에서 링크를 걸기 쉬워야 합니다.

일반(一般)

숫자(數字)

  • 원칙적(原則的)으로 숫자(數字)는 한글로 풀어서 씁니다. 예: “10진법(陣法)”으로 쓰지 마시고, “ 십진법(十進法) ”으로 쓰십시오.
  • 날짜나 연도(鳶島)는 숫자(數字)로 씁니다. 예: “이천오년(二千五年)”으로 쓰지 마시고, “ 2005년(年) ”으로 쓰십시오.
  • 왕(王), 교황(敎皇) 등(等)의 칭호(稱號)나 대대로(代代로) 같은 이름을 써온 사람의 이름 뒤의 “세” 앞은 숫자(數字)로 씁니다. 예: “교황(敎皇) 요한 바오로 이세(二世)”로 쓰지 마시고, “ 교황(敎皇) 요한 바오로 2세(歲) ”로 쓰십시오.
  • 표제어(標題語)에 연도(年度)를 넣을 필요(必要)가 있다면 표제어(標題語) 뒤에 한 칸을 띄우고 괄호(括弧)()안에 연도(鳶島)(N년(年))를 기재(記載)합니다. 예: 헝가리 왕국(王國) (1920년(年)~1946년(年))
  • 일련번호(一連番號) 등(等) 기타(其他) 일상(日常)에서 일부(一部) 쓰이는 경우(境遇)도 숫자(數字)로 씁니다. 예: “ 종로삼가역(鍾路三加驛) ”이라고 쓰지 마시고 “ 종로(鍾路)3가역(家役) ”으로 쓰십시오.

띄어쓰기

  • '-인(人)', '-어(語)', '민족(民族)'의 뜻을 나타내는 '-족(族)(族)'은 앞말과 붙여 써야 합니다.
  • '섬'은 '발리섬(Bali-)/건지섬(Guernsey-)/뉴아일랜드섬(New Ireland-)/민도로섬(Mindoro-)'과 같이 붙여 씁니다.

문장(文章) 부호(符號) 및 기타(其他) 기호(記號)

동음이의(同音異義)

제목(題目)이 동음이의어일(同音異義語日) 경우(境遇) 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 문서(文書) 지침(指針) 의 원리(原理)가 적용(適用)됩니다. 보다 근본적(根本的)인 이해(理解)와 예시(例示) 는 해당(該當) 지침(指針)을 참고(參考)하시기 바랍니다.

  • 제목(題目) 뒤에 한 칸을 띄우고 뒤에 괄호(括弧)로 정보(情報)를 넣어 구분(區分)합니다.
  • 괄호(括弧) 안의 정보(情報)는 간결(簡潔)하게 적습니다.
    • 정보(情報)는 기본적(基本的)으로 하나만 넣습니다. 한차례(한次例) 구분(區分)해도 중복(重複)이 발생(發生)하거나, 하나만으로 구분(區分)이 불가능(不可能)할 경우(境遇)에는 정보(情報)를 추가(追加)로 넣습니다. 3개(個) 이상(以上)의 정보(情報)는 자제(自制)해 주세요.
    • 글자(글字) 외(外) 기타(其他) 문장부호(文章符號)는 따로 사용(使用)하지 않습니다.
      • 쉼표(쉼標)는 사용(使用)하지 않으며, 연도(鳶島)·기간(期間)을 표시(表示)해야 할 경우(境遇)에는 물결표(물결標) (~)를 사용(使用)합니다.
  • 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를 대표(代表)할 만한 문서(文書)는 괄호(括弧) 안의 정보(情報)를 붙이지 않습니다.

인명(人命)

  • 사람 이름은 성(姓)과 이름을 모두 씁니다.
  • 한국(韓國) 사람과 중국(中國) 사람, 베트남 사람은 성(姓)과 이름을 붙여 쓰고, 일본(日本)과 그 밖의 나라 사람은 성(姓)과 이름을 띄어 씁니다.
  • 한국(韓國)의 역사적(歷史的) 인물(人物)은 한국학중앙연구원(韓國學中央硏究院)의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韓國歷代人物綜合情報)시스템 을 참조(參照)합니다.
  • 중국(中國)의 신해혁명(辛亥革命) (1911년(年)) 이전(以前) 사람은 한국식(韓國式) 한자(漢字) 발음(發音)을 기준(基準)으로 하고, 그 밖에는 중국어(中國語) 발음(發音)을 기준(基準)으로 합니다.
  • 일본(日本) 및 헝가리 사람의 이름은 "성(性)+이름" 순(筍)을 원칙(原則)으로 합니다. 일본(日本)과 헝가리 사람의 이름이 로마자(로마字)로 표기(表記)된 경우(境遇) "이름+성(性)" 순(巡)으로 되어 있는 경우(境遇)가 많으니 유의(留意)하시기 바랍니다.
  • 연예인(演藝人)과 같은 부류(部類)의 인물(人物)은 활동명(活動名)을 표제어(標題語)로 합니다.

지명(指名)

대한민국(大韓民國) 지명(指名)

  • 광역(廣域) 자치(自治) 단체(團體)와 시(市)/군(郡)/구(區)/읍(邑)/면/동 명칭(名稱)과 섬 이름을 표제어(標題語)로 삼습니다.
예(例) -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 전라남도(全羅南道) , 안양시(安養市) , 가평군(加平郡) , 주문진읍(邑) , 광혜원면 , 인사동(仁寺洞) , 독도(獨島)

일본(日本) 지명(指名)

  • 현(現), 시(市), 구(區) 등(等)은 모두 앞말과 붙여 씁니다.
예(例) - 도쿄도(都) , 오사카부(部) , 아오모리현(아오모리縣) , 니시토쿄시(視) , 네리마구

한자문화권(漢字文化圈) 지명(指名)

  • 바다(海), 섬(島), 강(江)(江), 산(山) 등(等)에 해당(該當)하는 말은 겹쳐 적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들 접미어(接尾語) 앞에 붙는 말이 한자(漢字) 한 글자(글字)로 이루어져 있으면 겹쳐 적습니다.
예(例) - 海南島( 하이난섬 ○, 하이난다오섬×), 新島( 니지마섬 ○, 니섬×)

외래어(外來語)

로마자(로마字) 머리글자(글字) 표기(表記)

분야별(分野別)

교육(敎育)

  • 모든 한자문화권(漢字文化圈)(남북한(南北韓)/일본(日本)/(두)중국(中國)/베트남/중국어(中國語) 표기(表記)가 있는 싱가포르의 대학(大學))에서 '대학(大學)'과 '대학교(大學校)' 등(等)의 선택(選擇)은 해당(該當) 한자(漢字) 표기(表記)를 기준(基準)으로 하며, 남북한(南北韓) 외(外)에 위치(位置)한 대학(大學)의 외국어(外國語) 명칭(名稱)과 한자어(漢字語) 사이는 띄어쓰고, 남북한(南北韓)의 대학(大學)은 '대학(大學)'이든 '대학교(大學校)'이든 붙여씁니다. 일본(日本)/중국(中國)/베트남에서는 대부분(大部分)의 대학(大學)에서 ‘XXX 대학(大學)’이(李) 기준(基準) 표기(表記)가 되고, 북한(北韓)의 경우(境遇) 대부분(大部分)의 대학(大學)에서 ‘XXX대학(大學)’이(李) 기준(基準) 표기(表記)가 됩니다. 다른 국가(國家)의 대학(大學)은 그동안의 관례(慣例)에 따라 ‘XXX 대학교(大學校)’를 제목(題目)으로 사용(使用)합니다. 한국(韓國) 외(外) 대학(大學)의 번역명(飜譯名) 중(中) 한자어(漢字語)와 한자어(漢字語) 사이를 붙여쓸지 대(對)해서는 아직 뚜렷한 합의(合意)가 없습니다.
    • 예) 김일성종합대학(金日成綜合大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아오야마 가쿠인(人) 대학(大學) (일본(日本)), 베이징 대학(大學) (중국(中國)), 국립(國立) 타이완 대학(大學) (중화민국(中華民國)), 하노이 산업(産業) 대학(大學) (베트남)

문화예술(文化藝術)

음악(音樂)
방송(放送)

교통(交通)

기술(技術)

  • {{DISPLAYTITLE:}}를 이용(利用)하여 제목(題目)에 효과(效果)를 주는 것을 금(禁)하고 있습니다. 이는 시각적(視覺的)으로 모든 사용자(使用者)들에게 읽히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단(單), dBASE 와 같이 표제어(標題語)의 첫 글자(글字)를 소문자(小文字)로 해야 하는 경우(境遇)는 예외(例外)입니다. (이 경우(境遇) {{ 소문자(小文字) }} 틀을 사용(使用)합니다.)

같이 보기

각주(各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