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위키백과(百科):독자(讀者) 연구(硏究) 금지(禁止)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위키백과(百科) : 독자(獨自) 연구(硏究) 금지(禁止)

이 페이지는 위키백과의 중요한 정책 및 지침 또는 문서이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준보호되어 있습니다.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위키백과(百科) 외(外)의 공간(空間)에서는 독창적(獨創的)인 연구(硏究)가 학술(學術) 연구(硏究)의 핵심적(核心的)인 요소(要素)입니다. 하지만 위키백과(百科)의 편집자(編輯者)는 기여(寄與)를 할 때 문서(文書)의 서술(敍述)을 편집자(編輯者) '자신(自身)의' 독창적(獨創的)인 연구(硏究)에 기초해서 써서는 안 됩니다. 위키백과(百科)의 편집자(編輯者)는 신뢰(信賴) 가능(可能)하고 출판(出版)된 출처(出處)에 기초해서 문서(文書)를 서술(敍述)해야 합니다.

위키백과(百科)의 문서(文書)에는 절대로(絶對로) 독자(讀者) 연구(硏究)가 들어가선 안 됩니다 . 여기서 "독자(獨自) 연구(硏究)"(獨自硏究, Original Research, OR)란 위키백과(百科) 내(內)에서 신뢰(信賴)할 수 있는, 공개적(公開的)으로 출판(出版)된 출처(出處) 가 존재(存在)하지 않는 사실(事實), 주장(主張), 아이디어, 이론(理論)과 같은 자료(資料)를 가리킵니다. [a] 여기에는 출판(出版)된 자료(資料)를 가지고 출처(出處)에서 직접적(直接的)으로 말하지 않은 결론(結論)을 내리는 등(等) 독단적(獨斷的)으로 출처(出處) 내용(內容)을 분석(分析)하거나 정리(整理), 종합(綜合)하는 행위(行爲)도 포함(包含) 됩니다. 자신(自身)이 쓴 서술(敍述)이 독자(讀者) 연구(硏究)가 아님을 증명(證明)하기 위해서는 문서(文書)의 주제(主題)와 직접적(直接的)으로 관련(關聯)이 있는 신뢰(信賴) 가능(可能)한 출판(出版)된 출처(出處)를 인용(引用)하고, 제시(提示)한 출처(出處)가 작성(作成)한 서술(敍述)을 직접적(直接的)으로 뒷받침함(函) [b] 을 보여야 합니다.

독자(獨自) 연구(硏究) 금지(禁止) 정책(政策)은 중립적(中立的) 시각(視角) , 확인(確認) 가능(可能) 정책(政策)과 함께 가장 중요(重要)한 3가지 위키백과(百科) 문서(文書) 내용(內容) 정책(政策) 중(中) 하나입니다. 이 세 정책(政策)은 위키백과(百科) 글에 허용(許容)되는 서술(敍述)의 종류(種類)와 표현(表現)을 결정(決定)하는 중요(重要)한 정책(政策)이며, 상호보완적(相互補完的)이기 때문에 절대로(絶對로) 하나만 떼어서 놓고 해석(解釋)해서는 안 됩니다. 위키백과(百科)의 편집자(編輯者)는 세(歲) 정책(政策) 모두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단(單), 독자(獨自) 연구(硏究) 금지(禁止) 정책(政策)은 위키백과(百科) 본문(本文) 문서(文書)에만 적용(適用)되며 토론(討論) 문서(文書) 나 삭제(削除) 토론(討論)과 같이 문서(文書)의 내용(內容)과 출처(出處)를 직접(直接) 평가(評價)하는 기타(其他) 페이지에는 적용(適用)되지 않습니다.

금지(禁止)되는 행위(行爲)

독자(獨自) 연구(硏究) 금지(禁止) 정책(政策)은 문서(文書)에 추가(追加)되는 모든 자료(資料)는 출처(出處)를 인용(引用)하는 방법(方法)으로 확인(確認)이 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반드시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판(出版)된 출처(出處)를 통해 확인(確認)이 가능(可能)해야 한다는 의미(意味)입니다. [a] 요약(要約)하자면 단순히(單純히) 사실(事實)이라고 해서 위키백과(百科)에 쓸 수 없고, 신뢰(信賴)할 수 있는 확인(確認) 가능(可能)한 출처(出處)로 크로스체킹이 되어야 위키백과(百科)에 쓸 수 있습니다. 즉(卽) 문서(文書)를 쓸 때 반드시 그 서술(敍述)을 뒷받침하는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를 인용(引用)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럼에도 출처(出處)의 내용(內容)을 표절(剽竊) 하거나 출처(出處)의 저작권(著作權)을 침해(侵害) 해서는 안 됩니다. 저작권(著作權) 침해(侵害)를 피(避)하기 위해 자료(資料)가 가진 정보(情報)를 그대로 유지(維持)하면서 자신(自身)만의 문장(文章)으로 재서술(再敍述)하는 행위(行爲)는 독자(讀者) 연구(硏究)가 아닙니다.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에서 찾을 수 없는 아래와 같은 편집(編輯)은 독자(獨自) 연구(硏究)로 간주(看做)됩니다.

  •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에서 언급(言及)하지 않은, 새로운 문제(問題) 해결(解決) 방법(方法) 또는 이론(理論)을 소개(紹介)하는 서술(敍述)
  • 자신(自身)만의 고유(固有)한 아이디어를 소개(紹介)하는 서술(敍述)
  • 자신(自身)만의 새로운 용어(用語)나 단어(單語)를 정의(定義)하는 서술(敍述)
  • 기존(旣存)의 용어(用語)를 새롭게 정의(定義)하거나, 새로운 의미(意味)를 가정(假定)하여 부여(附與)하는 서술(敍述)
  •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가 없는 주장(主張)을 소개(紹介)하고, 이를 다른 아이디어·이론(理論)·주장(主張)·입장(立場)을 반박(反駁)하거나 지지(支持)하는 데 사용(使用)하는 서술(敍述)
  • 신뢰(信賴)할 수 있는 사실(事實)·아이디어·이론(理論)·주장(主張)을 편집자(編輯者)가 원(願)하는 방향(方向)으로 분석(分析)하거나 종합(綜合)한 자료(資料), 혹은(或은) 트리비아(非我)를 소개(紹介)하고, 이에 대(對)한 믿을 수 있는 출처(出處)를 밝히지 않는 서술(敍述)

확인(確認) 가능(可能) 정책(政策) 에 따르면 모든 인용문(引用文)은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로 인용(引用)했음을 밝혀야 하고, 의심(疑心)되거나 의심(疑心)받을 만한 있는 모든 내용(內容)은 출처(出處)가 있어야 합니다. 또한 되도록이면 의심(疑心)받지 않는 "당연(當然)한 사실(事實)"에 대(對)해서도 확인(確認) 가능(可能)한 출처(出處)가 있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예(例)를 들어, "프랑스의 수도(首都)는 파리이다."라는 문장(文章)은 출처(出處)가 굳이 필요(必要)하지 않고 이 말을 당신(當身)이 독창적(獨創的)으로 생각한 것도 아니고 쉽게 검증(檢證)할 수 있으므로 독자(讀者) 연구(硏究)인 내용(內容)도 아닙니다. 따라서 아무도 이 말에 반대(反對)하지 않을 테고 우리는 인용(引用)이 없더라도 이 문장(文章)을 뒷받침할 출처(出處)를 찾는다면 존재(存在)할 것임을 알고 있습니다. 이것이 확인(確認)되지 않았으나 확인(確認) 가능(可能)한 사례(事例)입니다.

반대(反對)로, 위키백과(百科)에 쓸 수 없는 독자(讀者) 연구(硏究)라고 해서 그 서술(敍述)이 전부(全部) "품질(品質)이 낮다"거나 "그 아이디어가 값어치없다"는 뜻은 아닙니다. 노벨상(노벨賞) 급(級)의 연구(硏究)나 퓰리처상(賞) 에 오를 만한 단독(單獨) 보도(報道)라고 하더라도 그 내용(內容)이 다른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에 올라가지 않고 위키백과(百科)에 제일(第一) 먼저 올라간다면 위키백과(百科)는 그 서술(敍述)을 삭제(削除)할 수밖에 없습니다. 위키백과(百科)는 새로운 발견(發見)을 발표(發表)하거나 보도(報道)하는 장소(場所)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 만약(萬若) 당신(當身)이 획기적(劃期的)인 아이디어나 연구(硏究), 이론(理論)을 위키백과(百科)에 추가(追加)하고 싶으시다면 먼저 동료평가(同僚評價) 가 갖춰진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에 발표(發表)하고 나서 중립적(中立的) 시각(視角) 에 따라 서술(敍述)하는 방향(方向)이 제일(第一) 좋습니다.

출처(出處) 인용(引用)하기

위키백과(百科)는 근본적(根本的)으로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 에서 수집(蒐集)하고 조직(組織)된 연구(硏究)를 기반(基盤)으로 문서(文書) 주제(主題)를 설명(說明)합니다. 어떤 주제(主題)에 관(關)한 신뢰(信賴)할 수 있는 독립(獨立)된 출처(出處)가 없다면 위키백과(百科)에 그 주제(主題)에 대(對)한 문서(文書)가 있어서는 안 됩니다. 당신(當身)이 무언가를 새로 발견(發見)했다고 하더라도, 위키백과(百科)는 새로운 발견(發見)을 발표(發表)하는 장소(場所)가 아니므로 그 무언가를 서술(敍述)할 수 없습니다.

출처(出處)를 인용(引用)하는 제일(第一) 좋은 방법(方法)은 주제(主題)에 대(對)해 가장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를 조사(調査)해서 그 출처(出處)에서 말하는 내용(內容)을 자신(自身)의 문장(文章)으로 요약(要約)해 서술(敍述)하는 것입니다. 문서(文書)에 서술(敍述)한 내용(內容)은 그 자료(資料)를 명시적(明示的)으로 말하고 있는 출처(出處)에서 확인(確認) 가능(可能)해야 합니다. 또한 출처(出處)가 되는 자료(資料)는 의미(意味)나 그 내용(內容)을 바꾸지 않은 채로 신중(愼重)하게 요약(要約)하거나 재서술(再敍述)해야 합니다. 출처(出處)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內容)을 넘어서거나 출처(出處)가 말하는 의도(意圖)와는 다른 방식(方式)으로 맥락(脈絡)에 어긋난 인용(認容) 을 하지 않도록 주의(注意)해야 합니다. 요약(要約)하자면 오직 출처(出處)를 기반(基盤)으로만 서술(敍述)해야 합니다.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

의심(疑心)되거나 의심(疑心)을 받을 수 있는 모든 내용(內容)은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로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를 찾을 수 없는 모든 자료(資料)와 내용(內容)은 독자(讀者) 연구(硏究)로 간주(看做)됩니다. 편집자(編輯者)가 자신(自身)이 편집(編輯)한 내용(內容)이 독자(讀者) 연구(硏究)가 아님을 증명(證明)할 유일(唯一)한 방법(方法)은 동일(同一)한 자료(資料)가 있는 신뢰(信賴)할 수 있는 공개적(公開的)으로 출판(出版)된 출처(出處)를 인용(引用)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출처(出處)가 확실(確實)한 자료(資料)라고 하더라도 출처(出處)의 문맥(文脈)을 벗어나서 인용(引用)하거나 출처(出處)에서 명시적(明示的)이고 직접적(直接的)으로 뒷받침하지 않는 결론(結論)에 도달(到達)하거나 분석(分析)하는 경우(境遇)는 독자(讀者) 연구(硏究)로 간주(看做)됩니다. 아래 문단(文壇) 을 참고(參考)하세요.

일반적(一般的)으로 가장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는 다음과 같습니다.

  • 동료평가(同僚評價)된 저널 논문(論文)
  • 대학(大學) 출판사(出版社)에서 출판(出版)된 서적(書籍)
  • 학부(學部) 수준(水準) 이상(以上)의 전공서적(專攻書籍)
  • 저명(著名)한 출판사(出版社)에서 발행(發行)하는 잡지(雜誌), 저널, 서적(書籍)
  • 주요(主要) 대형(大型) 언론사(言論社)의 뉴스

경험적(經驗的)인 규칙(規則)에 따르면 더 많은 사람들이 사실(事實)을 확인(確認)하고 법적(法的)인 문제(問題)를 분석(分析)하며 글을 면밀히(綿密히) 검토(檢討)할수록, 즉(卽) 동료평가(同僚評價) 시스템이 제대로 구축(構築)된 곳일수록 그 출판물(出版物)의 신뢰도(信賴度)가 더 올라갑니다. 오프라인이든 온라인이든 자비(自費) 출판(出版)한 자료(資料)는 보통(普通)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로 보지 않습니다. 이에 대(對)해서는 다음 링크 를 참고(參考)하세요.

문서(文書)의 정보(情報)는 인용(引用)한 출처(出處)에서 확인(確認) 가능(可能) 해야 합니다. 문서(文書)의 내용(內容)은 불분명(不分明)하거나 문맥(文脈)과 다른 구절(句節)이나 지나가는 논평(論評)에 의존(依存)해서는 안 됩니다. 여러 가지 해석(解釋)이 가능(可能)한 구절(句節)은 그 출처(出處)를 문맥(文脈)에 맞게 정확(正確)하게 인용(引用)하거나, 혼동(混同)을 막기 위해 인용(引用)을 피(避)해야 합니다. 광범위(廣範圍)한 논의(論議)를 요약(要約)할 때는 출처(出處)에서 내놓은 결론(結論)을 정확(正確)하게 반영(反映)해야 합니다. 인용(引用)한 출처(出處)에서 명확(明確)하게 도출(導出)하지 않은 결론(結論)을 어떤 식(式)으로든 내리는 행위(行爲)는 독자(讀者) 연구(硏究)입니다. 출처(出處)는 반드시 그 문맥(文脈)과 주제(主題)에 맞게 인용(引用)해야 합니다.

1차(次), 2차(次), 3차(次) 자료(資料)

위키백과(百科)의 문서(文書)는 신뢰(信賴)할 수 있는 공개(公開) 출판(出版)된 2차(次) 자료(資料) 에 기초해야 하며, 그 외(外)에 1차(次) 자료(資料) 3차(次) 자료(資料) 를 인용(引用)할 수 있습니다. 주제(主題)의 문서(文書) 등재(登載) 기준(基準) 여부(與否)를 확립(確立)하고 1차(次) 자료(資料)를 독자적(獨自的)으로 해석(解釋)하는 일을 막기 위해 2차(次) 자료(資料)와 3차(次) 자료(資料)를 사용(使用)해야 합니다. 1차(次) 자료(資料)에 대(對)한 모든 분석(分析)이나 해석(解釋), 또는 이를 합쳐 얻은 새로운 결론(結論)을 주장(主張)하기 위해서는 그를 언급(言及)한 2차(次) 혹은(或은) 3차(次) 자료(資料)를 인용(引用)해야 하며 위키백과(百科)의 편집자(編輯者)가 직접(直接) 1차(次) 자료(資料)를 분석(分析)해서 새로운 결론(結論)을 내려서는 안 됩니다.

적절(適切)한 출처(出處) 인용(引用)이 무엇이냐는 복잡(複雜)한 문제(問題)이며 아래의 설명(說明)은 일반론적(一般論的)인 규칙(規則)입니다. 1차(次), 2차(次), 3차(次) 자료(資料)가 어떤 경우(境遇)에 적절(適切)할지 결정(決定)하는 일은 편집자(編輯者)의 판단(判斷)과 상식(常識) 의 문제(問題)이며 주제(主題)의 토론(討論) 문서(文書)에서 적절(適切)한지 여부(與否)를 논의(論議)해야 합니다. 어떤 출처(出處)는 한 문구(文句)를 볼 때는 1차(次) 자료(資料)로 볼 수도 있지만, 다른 쪽으로 보면 2차(次) 자료(資料)로 볼 수도 있습니다. 심지어(甚至於) 하나의 출처(出處)에서도 특정(特定) 내용(內容)에 대(對)해서는 1차(次)와 2차(次) 자료(資料) 모두를 포괄(包括)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정책(政策)의 목적상(目的上) 1차(次), 2차(次), 3차(次) 자료(資料)는 다음과 같이 정의(定義)합니다. [c]

  • 1차(次) 자료(資料) 는 사건(事件)과 매우 밀접(密接)한 기초(基礎) 자료(資料)로, 직접(直接) 연관(聯關)된 사람들이 작성(作成)한 경우(境遇)가 많습니다. 1차(次) 자료(資料)는 사건(事件), 역사(歷史)의 한 시기(時期), 예술(藝術) 작품(作品), 정치적(政治的) 결정(決定) 등(等)에 대(對)한 내부자(內部者)의 견해(見解)를 직접(直接) 보여줍니다. 1차(次) 자료(資料)는 독립적(獨立的)인 자료(資料)일 수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교통(交通) 사고(事故) 목격자(目擊者)가 작성(作成)한 교통사고(交通事故)의 진술록(陳述錄)이 사건(事件)에 대(對)한 정보(情報)를 담은 1차(次) 자료(資料)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슷하게 논문(論文) 저자(著者)가 수행(遂行)한 새로운 실험(實驗)을 기록(記錄)한 과학(科學) 논문(論文)이 실험(實驗) 결과(結果)에 대(對)한 1차(次) 자료(資料)입니다. 일기(日記)와 같은 역사(歷史) 자료(資料)도 1차(次) 자료(資料)에 해당(該當)합니다. [d]
    정책(政策) : 다른 정책(政策)에서 제한(制限)하지 않는 한(限),
    1. 평판(評判)이 좋은 공개(公開) 출판(出版)된 1차(次) 자료(資料)는 위키백과(百科)에 사용(使用)할 수 있지만, 오용(誤用)하기 쉽기 때문에 주의(注意)해서 인용(引用)해야 합니다. [e]
    2. 1차(次) 자료(資料)의 내용(內容)을 해석(解釋)하기 위해서는 그 해석(解釋)을 위한 신뢰(信賴)할 수 있는 2차(次) 자료(資料)가 반드시 필요(必要)합니다.
    3. 위키백과(百科)에서 1차(次) 자료(資料)는 추가적(追加的)인 전문(專門) 지식(知識)을 교육(敎育)받지 않았더라도 그 출처(出處)에 접근(接近)할 수 있는 모든 사람들 이 확인(確認)할 수 있는 사실(事實)에 대(對)한 간단(簡單)하고 설명(說明)하는 서술(敍述)에서만 사용(使用)할 수 있습니다. 예(例)를 들어 음악가(音樂家)에 관(關)한 문서(文書)에서는 음반사(音盤社)가 출판(出版)한 음반(音盤) 목록(目錄)과 트랙 리스트를 인용(引用)할 수 있으며, 소설(小說)에 관(關)한 문서(文書)에서는 줄거리를 설명(說明)하기 위해 한 구절(句節)을 인용(引用)할 수 있지만 책(冊) 구절(句節)의 해석(解釋)을 위해서는 반드시 2차(次) 자료(資料) 출처(出處)가 있어야 합니다.
    4. 1차(次) 자료(資料)에서 찾을 수 있는 정보(情報)를 스스로 분석(分析)하거나, 평가(評價)하거나, 해석(解釋)하거나 종합(綜合)하지 마십시오. 대신(代身) 신뢰(信賴)할 수 있는 2차(次) 출처(出處)를 인용(認容)하세요.
    5. 문서(文書) 전체(全體)를 1차(次) 자료(資料) 인용(引用)에 의존(依存)하지 말고 , 1차(次) 자료(資料)의 긴 구절(句節)을 인용(引用)할 땐 매우 주의(注意)를 기울여야 합니다.
    6. 개인적(個人的)인 경험(經驗)에서 나온 출처(出處) 없는 자료(資料)를 추가(追加)하지 마십시오. 이 경우(境遇) 위키백과(百科)가 그 정보(情報)의 1차(次) 자료(資料)가 되버립니다. 또한 신뢰(信賴)할 수 있는 자료(資料)에서 나왔더라도, 살아있는 사람에 대(對)한 1차(次) 자료(資料)를 취급(取扱)할 때는 독자(讀者) 연구(硏究)가 되지 않도록 각별히(各別히) 주의(注意)를 기울여야 합니다. 관련(關聯) 정책(政策)에 대(對)해서는 위키백과(百科):생존(生存) 인물(人物)의 전기(電氣)#출처(出處) 를 참고(參考)하세요.

  • 2차(次) 자료(資料) 란 1차(次) 자료(資料)에 기반(基盤)하여 보통(普通) 사건(事件)에서 최소한(最小限) 한 단계(段階) 이상(以上) 떨어져 있는 저자(著者) 자신(自身)의 생각을 보여주는 자료(資料)입니다. 2차(次) 자료(資料)는 저자(著者)의 분석(分析), 평가(評價), 해석(解釋)이나 1차(次) 출처(出處)에서 출처(出處)에서 가져온 사실(事實), 증거(證據), 개념(槪念), 아이디어를 종합(綜合)하고 있습니다. 2차(次) 자료(資料)도 전부(全部) 독립적(獨立的)인 자료(資料)인 것은 아닙니다. 2차(次) 자료(資料)는 1차(次) 자료(資料)를 근거(根據)로 자신(自身)만의 분석(分析)이나 평가(評價) 판단(判斷)을 내립니다. [f] 예(例)를 들어 한 분야(分野)를 연구(硏究)한 논문(論文)을 분석(分析)한 리뷰 논문(論文) 은 그 연구(硏究)의 2차(次) 자료(資料)에 해당(該當)합니다. [g] 어떤 자료(資料)가 1차인(差異)지 2차(車)인지는 맥락(脈絡)에 따라 달라집니다. 제(第)2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 에 관(關)한 군사역사학자(軍事歷史學者)의 서적(書籍)은 전쟁(戰爭)에 대(對)한 2차(次) 자료(資料)로 취급(取扱)할 수 있지만, 그 서적(書籍) 안에 저자(著者) 자신(自身)의 전쟁(戰爭) 경험(經驗)에 대(對)한 상세(詳細)한 증언(證言)이 들어 있다면 그 증언(證言) 부분(部分)은 전쟁(戰爭) 경험(經驗)에 대(對)한 1차(次) 자료(資料)가 될 것입니다. 한 서적(書籍)의 서평(書評)은 그 서적(書籍)에 대(對)한 의견(意見)일 수도, 요약(要約)일 수도, 학술적(學術的)인 리뷰가 될 수도 있습니다. [h]
    정책(政策) : 위키백과(百科)의 문서(文書)는 대부분(大部分) 신뢰(信賴)할 수 있는 2차(次) 자료(資料)의 내용(內容)에 기반(基盤)합니다. 문서(文書)에서 특정(特定) 분석(分析), 평가(評價), 해석(解釋), 종합(綜合)하는 주장(主張)을 하고 싶을 경우(境遇)에는 오직 그 주장(主張)이 신뢰(信賴)할 수 있는 2차(次) 자료(資料)에서 발표(發表)한 경우(境遇)에만 실을 수 있습니다.
  • 3차(次) 자료(資料) 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나 기타(其他) 개요서같이 1차(次)와 2차(次) 자료(資料)를 인용(引用)하고 요약(要約)해 작성(作成)한 출판물(出版物)입니다. 위키백과도(百科度) 3차(次) 자료(資料)에 해당(該當)됩니다. [i] 학부(學部) 이하(以下) 수준(水準)의 개요(槪要) 교과서(敎科書)들은 여러 2차(次) 자료(資料)를 종합(綜合)해 만들므로 역시(亦是) 3차(次) 자료(資料)로 간주(看做)됩니다.
    정책(政策) : 신뢰(信賴)할 수 있는 3차(次) 자료(資料)는 광범위(廣範圍)한 주제(主題)를 요약(要約)할 수 있으며, 수많은 1차(次), 2차(次) 자료(資料)를 포함(包含)하고 있어 특히(特히) 각각(各各)의 1차(次), 2차(次) 자료(資料)가 서로 모순(矛盾)된 경우(境遇) 각각(各各)의 적절(適切)한 비중(比重) 을 평가(評價)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일부(一部) 3차(次) 자료(資料)는 그 안에서 각각(各各)의 자료(資料)마다 신뢰도(信賴度)가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즉(卽) 주어진 3차(次) 자료(資料) 안에서 일부(一部) 항목(項目)은 다른 항목(項目)보다도 신뢰도(信賴度)가 더 높을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3차(次) 자료(資料)를 사용(使用)할 때도 각각(各各)의 자료(資料)를 적절(適切)한 비중(比重)으로 인용(引用)해야 합니다. 또한 위키백과(百科)의 문서(文書) 자체(自體)는 다른 위키백과(百科)의 문서(文書)에 3차(次) 자료(資料)로 쓸 순 없지만, 위키백과(百科) 자체(自體)에 관(關)한 문서(文書)에서는 1차(次) 자료(資料)로 쓸 수도 있습니다. [j]

공개(公開) 출판(出版)된 자료(資料)를 통해 새로운 결론(結論)을 이끌어 내는 행위(行爲)

출처(出處)에서 명시적(明示的)으로 언급(言及)하지 않은 결론(結論)에 도달(到達)하거나 이를 암시(暗示)하기 위해 여러 출처(出處)의 자료(資料)를 하나로 합치지 마십시오. 마찬가지로 출처(出處)에서 명시적(明示的)으로 언급(言及)하지 않은 결론(結論)에 도달(到達)하거나 이를 시사(示唆)하기 위(爲)해 한 출처(出處)의 여러 부분(部分)을 서로 합치지 마십시오. 신뢰(信賴)할 수 있는 한 출처(出處)에서 A라고 말하고 있고, 또 다른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에서 B라고 말하고 있을 때 두 출처(出處) 모두에서 언급(言及)하지 않은 새로운 결론(結論) C를 도출(導出)하기 위해 A와 B를 하나로 종합(綜合)하지 마십시오. 이렇게 출판(出版)된 자료(資料)를 부적절(不適切)하게 편집(編輯)하고 합쳐서 새로운 결론(結論)을 이끌어 내는 행위(行爲)도 독자(獨自) 연구(硏究)에 해당(該當)됩니다 . [k] "A이고 B이므로, 결국(結局) C이다."라는 서술(敍述)은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 에서 문서(文書)의 주제(主題)와 관련(關聯)해 정확히(正確히) 동일(同一)한 문장(文章)의 주장(主張)이 있을 경우(境遇)에만 작성(作成)이 허용(許容)됩니다. 한 출처(出處)에서 "A"라는 말을 말하고, 또 다른 구문(構文)에서 "B"라고 말하고 있지만 어떠한 맥락(脈絡)이나 연관(聯關) 없이 "따라서 C이다."라는 말이 없다면 절대로(絶對로) 새로운 결론(結論)을 쓸 수 없습니다.

아래는 부적절(不適切)하게 출판(出版)된 자료(資料)를 합치는 간단(簡單)한 예시(例示)를 보여줍니다. 첫 문장(文章)의 두 정보(情報)는 모두 각각(各各)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를 통해 확인(確認)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그 두 정보(情報)를 통해서 "유엔은 세계(世界) 평화(平和)를 유지(維持)하지 못했다"는 새로운 결론(結論)을 (보이진 않지만) 이끌어냈습니다. 이 경우(境遇)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에서 두 정보(情報)를 동일(同一)한 방식(方式)으로 이었다는 자료(資料)가 없다면 이는 독자(讀者) 연구(硏究)입니다.

아니오아니오 유엔이 명시(明示)하는 목표(目標)는 국제(國際) 평화(平和)와 안전(安全) 보장(保障)이지만, 유엔 수립(樹立) 이후(以後) 전세계적(全世界的)으로 약(約) 160회(回)의 전쟁(戰爭)이 발발(勃發)했다.

아래 문장(文章)은 정확(正確)하게 동일(同一)한 두 문장(文章)을 사용(使用)해서 위의 문장(文章)이 암시(暗示)하는 결론(結論)과는 정반대(正反對)의 결론(結論)을 내놓습니다. 이는 출처(出處)가 제시(提示)되지 않은 경우(境遇) 자료(資料)의 합성(合成)을 통해 내놓을 수 있는 결론(結論)이 얼마나 쉽게 조작(操作)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아니오아니오 유엔의 목적(目的)은 국제(國際) 평화(平和)와 안전(安全) 보장(保障)이며, 창설(創設) 이후(以後) 세계(世界)는 160여(餘) 회(回)밖에 전쟁(戰爭)을 겪지 않았다.

아래는 좀 더 복잡(複雜)한 예시(例示)입니다. 아래 예시(例示)는 '김철수'와 '홍길동(洪吉童)'이라는 가명(假名)의 두 저자(著者) 사이에 있었던 논쟁(論爭)을 설명(說明)하는 위키백과(百科)의 실제(實際) 한 문서(文書)의 단락(段落)을 옮겨온 것입니다. 아래 예시(例示)의 경우(境遇) 각(各) 문장(文章)은 동일(同一)한 논쟁(論爭)에 대(對)해 언급(言及)하는 한 출처(出處)를 인용(引用)해서 신중(愼重)하게 인용(引用)했기 때문에 적절(適切)한 서술(敍述)입니다.

예 김철수는 홍길동(洪吉童)이 다른 저자(著者)의 책(冊)에서 참고(參考) 문헌(文獻)을 그대로 복사(複寫)해, 표절(剽竊)을 했다고 주장(主張)했다. 홍길동(洪吉童)은 새로운 출처(出處)를 찾기 위해 다른 사람의 책(冊)을 이용(利用)하는 것은 학문적(學問的)으로 허용(許容)되는 것이라고 항변(抗辯)했다.

하지만 위 문단(文壇)에 이어지는 아래 문단(文段)은 부적절(不適切)한 예시(例示)입니다.

아니오아니오 만약(萬若) 홍길동(洪吉童)이 원전(原電) 출처(出處)를 참고(參考)하지 않았다면, 이것은 하버드 대학교(大學校)의 "출처(出處)를 적는 법(法)" 안내서(案內書)에서 추천(推薦)한 것처럼 실제로(實際로) 참고(參考)한 참고(參考) 문헌(文獻)만 적도록 한 관례(慣例)와 어긋난다. 하버드 대학교(大學校)의 안내서(案內書)는 이 규칙(規則)을 어기는 행위(行爲)를 "표절(剽竊)"이라고 단정(斷定)짓지는 않았다. 대신(代身)에 원전(原電)의 정보(情報), 발상(發想), 단어(單語), 문장(文章) 구조(構造) 등(等)을 인용(引用) 없이 사용(使用)하는 행위(行爲)를 표절(剽竊)이라고 정의(定義)했다.

겉으로는 그럴듯해 보이는 문장(文章)이지만, 실제로(實際로)는 독자(讀者) 연구(硏究)인 문장(文章)입니다. 두 번째(番째) 문단(文段)은 김철수가 원문(原文)에서 사용(使用)한 표절(剽竊)의 정의(定義)가 아닌, 작성자(作成者)가 하버드 대학교(大學校) 안내서(案內書)에서 표절(剽竊)의 정의(正義)를 가져와서 "홍길동(洪吉童)은 표절(剽竊)은 하지 않았다"라는 (보이지 않는) 결론(結論)을 이끌어내는 문단(文壇)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番째) 문단(文壇) 같이 작성(作成)하고 싶다면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에서 홍길동(洪吉童)과 김철수의 논쟁(論爭)에 대(對)해 설명(說明)하고 거기서 하버드 대학교(大學校) 안내서(案內書)의 표절(剽竊) 정의(正義)를 인용(引用)해서 위 문단(文壇)과 동일(同一)한 주장(主張)을 한다는 것을 확인(確認)해줄 출처(出處)가 있어야 합니다. 다시 말해서 정확(正確)한 분석(分析)을 하고 싶다면 위키백과(百科)에 편집(編輯)하기 전(前)에 해당(該當) 주제(主題)와 관련(關聯)된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에서 그런 동일(同一)한 분석(分析)이 발표(發表)됐어야 합니다.

독자(獨自) 연구(硏究)가 아닌 것

직접(直接) 만든 그림

몇몇 국가(國家)의 저작권법(著作權法) 때문에 위키백과(百科)에서 사용(使用)할 수 있는 그림은 상대적(相對的)으로 제한(制限)이 많습니다. 따라서 편집자(編輯者)들이 직접(直接) 자신(自身)이 만든 그림을 업로드하고 적절(適切)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혹은(或은) 이에 준(準)하는 자유(自由) 라이선스에 따라 그림을 배포(配布)하는 행위(行爲)는 적극(積極) 권장(勸奬)됩니다. 위키백과(百科) 편집자(編輯者)가 직접(直接) 만든 그림은 "독자(獨自) 연구(硏究) 금지(禁止)" 정책(政策)의 핵심적(核心的)인 내용(內容)인 출판(出版)하지 않은 아이디어나 주장(主張)을 설명(說明)하거나 소개(紹介)하는 그림이 아니라면 독자(讀者) 연구(硏究)로 간주(看做)되지 않습니다. 다만 그림의 설명(說明)은 문서(文書) 본문(本文)의 문장(文章)과 동일(同一)하게 독자(讀者) 연구(硏究) 금지(禁止) 정책(政策)의 적용(適用)을 받습니다.

직접(直接) 만든 그림을 허용(許容)할 때 사진(寫眞)을 변형(變形)하거나 조작(造作)하는 등(等)의 행위(行爲)가 발생(發生)할 수 있는데, 편집자(編輯者)가 사진(寫眞) 조작(造作) 기술(技術)을 사용(使用)해서 그림에 표시(標示)된 사실(事實)이나 위치(位置)를 왜곡(歪曲)하는 행위(行爲)는 허용(許容)되지 않습니다. 조작(造作)된 그림은 눈에 띄게 명시적(明示的)으로 조작(造作)되었음을 알려야 합니다. 백과사전(百科事典)의 가치(價値)에 실질적(實質的)인 영향(影響)을 주는 모든 조작(造作)된 그림은 파일의 토론란(討論欄)에서 토론(討論)을 거쳐야 합니다. 그리고 독자(讀者) 연구(硏究)를 위해, 혹은(或은) 그와 관련(關聯)하여 만들어진 그림은 자유(自由) 라이선스라 하더라도 허용(許容)되지 않습니다. 예(例)를 들어 공개(公開) 발표(發表)되지 않은 자신(自身)의 이론(理論)을 설명(說明)하기 위한 수소(水素) 원자(原子)의 다이어그램 같은 그림은 허용(許容)되지 않습니다. 생존(生存) 인물(人物)에 관(關)한 사진(寫眞) 은 그 주제(主題)를 거짓되거나 가볍게 폄하(貶下)하는 식(式)으로 나타내서는 안 됩니다.

번역(飜譯)과 전사(戰死)

한국어(韓國語)가 아닌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의 경우(境遇) 그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에서 공개적(公開的)으로 사용(使用)할 수 있는 한국어(韓國語) 번역문(飜譯文)이 없는 경우(境遇)가 더러 있습니다. 이 때 편집자(編輯者)가 직접(直接)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의 자료(資料)를 한국어(韓國語)로 충실(忠實)하게 번역(飜譯)하거나 오디오 또는 비디오의 형태(形態)로 구어체(口語體)를 통해 전사(戰死)하는 행위(行爲) 그 자체(自體)는 독자(讀者) 연구(硏究)로 간주(看做)되지 않습니다. 번역(飜譯)이 필요(必要)한 타국어(他國語) 출처(出處)를 다루는 방법(方法)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위키백과(百科):확인(確認) 가능(可能)#다른 언어(言語)로 쓰인 출처(出處) 문단(文段)을 참고(參考)하세요.

일상(日常) 계산(計算)

편집자(編輯者)들 사이에서 절차상(節次上) 계산(計算) 결과(結果)가 올바르며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 의 내용(內容)을 올바르게 반영(反映)한다는 총의(總意) 가 있다면 일상적(日常的)인 계산(計算) 그 자체(自體)는 독자(讀者) 연구(硏究)에 해당(該當)되지 않습니다. 숫자(數字)를 더하고 빼는 등(等)의 사칙연산(四則演算) 이나 단위(單位) 변환(變換), 사람의 나이 계산(計算)과 같은 기본적(基本的)인 산술(算術)은 거의 대부분(大部分) 허용(許容)됩니다. 환산(換算) 틀 분류(分類) 에서 그러한 종류(種類)의 일을 수행(遂行)하는 틀을 볼 수 있습니다.

'일상적(日常的)인 계산(計算)', 특히(特히) 수학(數學)이나 과학(科學) 문서(文書)에서의 계산(計算)을 이해(理解)하기 위해서는 수리문해력(修理文解力)이 필요(必要)할 수 있습니다. 경우(境遇)에 따라선 편집자(編輯者)가 각주(脚註)를 통해 계산(計算) 과정(過程)을 쓸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통계(統計)의 비교(比較)나 해석(解釋)은 단순(單純) 계산(計算)이라 보기에는 여러 어려움이 있습니다. 편집자(編輯者)는 서로 다른 방법론(方法論)을 사용(使用)하는 통계(統計) 자료(資料)를 서로 비교(比較)하거나, 통계(統計) 자료(資料)를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가 사용(使用)하지 않은 다른 방식(方式)으로 해석(解釋)하는 행위(行爲)는 허용(許容)되지 않습니다. 즉(卽) 1차(次) 자료(資料)인 통계(統計) 자료(資料)를 오독(誤讀)하거나 자신(自身)만의 방법(方法)으로 해석(解釋)하는 행위(行爲)는 독자(讀者) 연구(硏究)에 해당(該當)됩니다.

자신(自身)이 발표(發表)한 연구(硏究)

독자(獨自) 연구(硏究) 금지(禁止) 정책(政策)은 전문(專門) 지식(知識)을 가진 편집자(編輯者)가 자신(自身)이 가진 지식(知識)을 위키백과(百科)에 사용(使用)하지 못하도록 하는 막지 않습니다. 단지(但只)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를 통해 공개(公開) 발표(發表)되지 않은 개인(個人)의 지식(知識)을 쓰는 행위(行爲)를 금지(禁止)하는 것입니다. 만약(萬若) 편집자(編輯者)가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를 통해 자신(自身)의 연구(硏究) 성과(成果)를 다른 곳에 공개(公開) 발표(發表)한 적이 있다면 , 이를 출처(出處)로 문서(文書)를 쓸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제삼자(第三者)의 입장(立場)에서 중립적(中立的) 시각(視角) 을 지키고 이해관계(利害關係)의 충돌(衝突)에 어긋나지 않게 서술(敍述)해야 합니다.

연관(聯關)된 주제(主題)

확인(確認) 가능(可能)

위키백과(百科)의 내용(內容)은 편집자(編輯者)들의 개인적(個人的)인 믿음이나 경험(經驗)이 아니라 이전(以前)에 공개(公開) 출판(出版)된 정보(情報) 를 통해 만들어집니다. 어떤 것이 '사실(事實)'이라고 확신(確信)하더라도 그것을 위키백과(百科)에 추가(追加)하기 위해서는 그 '사실(事實)'이(李) 확인(確認) 가능(可能) 해야 합니다. 확인(確認) 가능(可能) 정책(政策)에 따르면 모든 인용문(引用文)은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로 인용(引用)했음을 밝혀야 하고, 의심(疑心)되거나 의심(疑心)받을 만한 있는 모든 내용(內容)은 출처(出處)가 있어야 합니다.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에 대(對)해서는 위키백과(百科):확인(確認) 가능(可能)#출처(出處) 문단(文段)을 참고(參考)하세요.

중립적(中立的) 시각(視角)

독자(獨自) 연구(硏究) 금지(禁止) 정책(政策)은 편집자(編輯者)가 위키백과(百科) 문서(文書)에 자신(自身)만의 관점(觀點)을 제시(提示)하는 일을 제한(制限)합니다. 타인(他人)이 생산(生産)한 확인(確認) 가능(可能)한 연구(硏究)를 포함(包含)하는 일의 중요성(重要性)을 강조(强調)하는 독자(讀者) 연구(硏究) 금지(禁止)는 여러 관점(觀點)을 아우를 수 있게도 만듭니다. 즉(卽) 독자(讀者) 연구(硏究) 금지(禁止) 정책(政策)은 중립적(中立的) 시각(視角) 정책(政策)을 도와줍니다. 대부분(大部分)의 경우(境遇) 주어진 주제(主題)에 관(關)한 여러 가지의 확립(確立)된 시각(視角)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境遇) 아무리 연구(硏究)를 한다고 해도 권위(權威) 있는 단(單) 하나의 절대적(絶對的)인 견해(見解)는 존재(存在)하지 않습니다. 모든 관점(觀點)을 연구(硏究)하는 것이 개별(個別) 편집자(編輯者)의 책임(責任)은 아닙니다. 하지만 문서(文書)에 특정(特定) 연구(硏究)에 대(對)해 쓸 때 편집자(編輯者)들은 그런 견해(見解)가 얼마나 받아들여져 있는지, 그 견해(見解)가 다수설(多數說)인지 소수설(少數說)인지 명확(明確)하게 주변(周邊) 맥락(脈絡)과 관련(關聯) 내용(內容)을 밝혀야 합니다. 즉(卽) 중립적(中立的) 정책(政策)에 따라 주류(主流)의 관점(觀點)은 주류적(酒類敵)으로, 소수(少數)의 관점(觀點)은 소수(少數)로 공정(公正)한 비중(比重)에 맞춰 작성(作成)해야 하고 주류(主流)와 소수(少數)의 관점(觀點) 기준(基準)은 확인(確認) 가능(可能)한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에서 어떻게 언급(言及)하느냐 이지 편집자(編輯者)의 독자(獨自) 연구(硏究)나 생각이 아닙니다.

극소수(極少數)만이 지지(支持)하는 견해(見解)나 연구(硏究)는 일종(一種)의 독자(讀者) 연구(硏究)로도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대(對)해 지미 웨일스 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 만약(萬若) 당신(當身)의 관점(觀點)이 다수(多數)가 지지(支持)하는 경우(境遇), 일반적(一般的)으로 받아들여지는 참고(參考) 문헌(文獻)을 이용(利用)하여 입증(立證)하기 쉬울 것입니다.
  • 만약(萬若) 당신(當身)의 관점(觀點)이 약간(若干) 소수설인(少數說人) 경우(境遇), 그 관점(觀點)은 저명(著名)한(prominent) 지지자(支持者)의 이름을 들기 쉬울 것입니다.
  • 만약(萬若) 당신(當身)의 관점(觀點)이 매우 소수(少數)만 지지(支持)하는 경우(境遇), 그것이 진짜(眞짜)인지 증명(證明)할 수 있든 없든 간(間)에 일부(一部) 부수적(附隨的)인 문서(文書)를 제외(除外)하고는 위키백과(百科)에 실을 수 없습니다. 위키백과(百科)는 자신(自身)만의 독자적(獨自的)인 연구(硏究)를 하는 곳이 아닙니다. [9]

같이 보기

관련(關聯) 지침(指針)

관련(關聯) 틀

  • {{ 독자(獨自) 연구(硏究) }}?문서(文書)에 독자(獨自) 연구(硏究)가 있음을 경고(警告)하기 위해 사용(使用)
  • {{ 독자(獨自) }}?문서(文書)의 한 문단(文壇)에 독자(獨自) 연구(硏究)가 있음을 경고(警告)하기 위해 사용(使用)

보조(補助) 자료(資料)

수필(隨筆)

연구(硏究) 도움말

각주(各州)

내용주(內容主)

  1. 여기서 "신뢰(信賴)할 수 있는, 공개적(公開的)으로 출판(出版)된 출처(出處)가 존재(存在)한다"라는 말에선 뒷받침할 수 있는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가 출판(出版)되었으며 전(全) 세계(世界) 어디에서였든지, 어느 언어(言語)로든, 인터넷 접속(接續) 가능(可能) 여부(與否)와 상관없이(相關없이) 그 출처(出處)가 존재(存在)한다면 문서(文書)에 그 출처(出處)가 첨부(添附)되지 않은 경우(境遇)에도 '존재(存在)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출처(出處)가 아예 제시(提示)되지 않은 문서(文書)라고 해도 신뢰(信賴) 가능(可能)한, 출판(出版)된 출처(出處)에서 뒷받침할 수 있다는 "합리적(合理的)인 기대(期待)"가 있다면 독자(讀者) 연구(硏究) 금지(禁止) 정책(政策)을 위반(違反)하지 않았다고 봅니다.
  2. 출처(出處)가 서술(敍述)을 "직접적(直接的)으로 뒷받침한다"는 말은 서술(敍述)이 말하는 정보(情報)와 결론(結論)이 출처(出處)에 명시적(明示的)으로 직접(直接) 언급(言及)되어 있어, 서술(敍述)을 뒷받침하기 위해 출처(出處)를 인용(引用)하는 일이 독자(讀者) 연구(硏究) 금지(禁止) 정책(政策)을 위반(違反)하지 않는다는 의미(意味)입니다. 여기서 출처(出處)를 인용(引用)하는 방법(方法)은 위키백과(百科):출처(出處) 밝히기 지침(指針) 등(等)을 참고(參考)하시기 바랍니다.
  3. 메릴랜드 대학교(大學校) 도서관(圖書館)은 1차(次), 2차(次), 3차(次) 자료(資料)의 전형적(典型的)인 예시(例示)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1]
  4. 그 외(外)에도 1차(次) 자료(資料)에 해당(該當)하는 대표적(代表的)인 예시(例示)로는 고고학적(考古學的) 유물(遺物), 인구조사(人口調査) 자료(資料), 공청회(公聽會) 혹은(或은) 감시(監視) 카메라의 영상(映像)이나 녹취록(錄取錄), 범죄(犯罪) 조사(調査) 기록(記錄), 모든 국가(國家)의 민(閔), 형사상(刑事上) 재판(裁判) 및 소송(訴訟) 기록(記錄)(재판(裁判) 당사자(當事者) 혹은(或은) 관련자(關聯者) 중(中) 한 명(名)과 관련(關聯)된 자료(資料), 재판(裁判) 전(前), 재판(裁判) 중(中), 재판(裁判) 후(後) 관련(關聯) 당사자(當事者)가 발표(發表) 혹은(或은) 공개(公開)한 자료(資料) 포함(包含)), 사설(社說), 논평(論評), 칼럼, 블로그, (맥락(脈絡)에 따라) 리뷰 혹은(或은) 인터뷰 내용(內容), 여론(輿論) 조사(調査) 혹은(或은) 설문지(設問紙)의 조사(調査) 결과(結果), 독창적(獨創的)인 철학(哲學) 작품(作品), 종교(宗敎) 경전(經典), 중세(中世) 및 고대(古代) 작품(作品)(이전(以前)에 알려졌거나 손실(損失)된 글을 인용(引用)한 작품(作品) 포함(包含)), 비석(碑石) 글귀(글句) 및 유언(遺言), 시(時), 대본(臺本), 각본(脚本), 소설(小說), 영화(映畫), 비디오,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예술적(藝術的)이고 허구적(虛構的)인 작품(作品)을 포함(包含)합니다. 1차(次) 자료(資料)의 정의(定義)는 다음과 같습니다.
    • 네바다 대학교(大學校) 리노 도서관(圖書館)은 1차(次) 자료(資料)를 "특정(特定) 사건(事件)의 내부적(內部的)인 시각(視角)"을 보여주는 자료(資料)라고 정의(定義)합니다. 그 예시(例示)로는 자서전(自敍傳), 일기(日記), 이메일, 인터뷰, 편지(便紙), 회의록(會議錄), 뉴스 영상(映像), 공식(公式) 기록(記錄), 사진(寫眞), 원본(元本) 연구(硏究) 자료(資料), 연설(演說)과 같은 원본(元本) 자료(資料) 와 예술(藝術), 드라마, 영화(映畫), 음악(音樂), 소설(小說), 시(詩)와 같은 예술(藝術) 작품(作品) , 건축물(建築物), 의류(衣類), DNA, 가구(家口), 보석(寶石), 도자기(陶瓷器)와 같은 유물(遺物) 및 공예품(工藝品) 이 있습니다. [2]
    • 캘리포니아 대학교(大學校) 버클리 도서관(圖書館) 은 다음과 같이 정의(定義)합니다. "1차(次) 자료(資料)는 검토(檢討)된 기간(期間) 중(中)에 만들어졌거나 또는 나중에 검토(檢討)된 사건(事件)의 연관자(聯關者)가 직접(直接) 작성(作成)한 (회고록(回顧錄) 등(等)) 자료(資料)를 의미합니다. 이런 1차(次) 자료(資料)는 관련자(關聯者) 혹은(或은) 관찰자(觀察者)의 개인적(個人的)인 관점(觀點)이 그대로 반영(反映)되어 있습니다. 1차(次) 자료(資料)는 연구자(硏究者)가 역사적(歷史的) 사건(事件)이나 그 기간(期間)동안 실제로(實際로) 일어난 일에 가능(可能)한 한(限)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합니다." [3]
    • 듀크 대학교(大學校) 도서관(圖書館) 은 다음과 같이 정의(定義)합니다. "1차(次) 자료(資料)는 사건(事件)을 직접적(直接的)으로 설명(說明)하는 자료(資料)입니다. 1차(次) 출처(出處)에는 신문(新聞) 기사(記事), 편지(便紙), 일기(日記), 인터뷰, 법률(法律), 정부(政府) 위원회(委員會) 보고서(報告書), 기타(其他) 여러가지 유형(類型)의 보고서(報告書)가 있습니다." [4]
  5. 예외적(例外的)인 주장(主張)을 하는 경우(境遇)에는, 그에 따르는 예외적(例外的)인 출처(出處) 가 필요(必要)합니다. 1차(次) 자료(資料)를 가지고 예외적(例外的)인 주장(主張)을 무조건적(無條件的)으로 할 수 없습니다.
  6. 캘리포니아 대학교(大學校) 버클리 도서관(圖書館)은 2차(次) 자료(資料)를 "역사적(歷史的)인 사건(事件)이나 현상(現象)을 해석(解釋)하거나 분석(分析)하는 저작물(著作物)입니다. 일반적(一般的)으로 사건(事件)에서 최소한(最小限) 한 단계(段階) 이상(以上) 떨어져 있습니다."라고 설명(說明)하고 있습니다. [3]
  7. 이타카 대학(大學) 도서관(圖書館)에서는 1차(次)와 2차(次) 자료(資料)의 구분(區分)을 연구(硏究) 논문(論文)과 리뷰 논문(論文)의 구분(區分)으로 설명(說明)하고 있습니다. [5] 연구(硏究) 논문(論文)은 더 유용(有用)하긴 하지만 1차(次) 자료(資料)로, 리뷰 논문(論文)은 2차(次) 자료(資料)로 보는 경향(傾向)이 크긴 하지만 어느 유형(類型)의 논문(論文)이더라도 1차(次) 자료(資料)이자 2차(次) 자료(資料)가 될 수 있으므로 상황(狀況)에 따라 잘 구분(區分)해야 한다는 점(點)을 주의(注意)해야 합니다.
  8. 서평(書評)은 뉴스 자료(資料)의 별도(別途) 섹션 아래에 있거나 하나의 뉴스 보도(報道) 안에 포함(包含)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즉(卽) 서평(書評)은 1차(次) 자료(資料)일 수도, 2차(次) 자료(資料)일 수도 있으며 상황(狀況)에 따라 판단(判斷)하여 써야 합니다. 다만 서평(書評)은 어디까지나 서적(書籍)에 대(對)한 문서(文書)에서 보조적(補助的)인 자료(資料)로 사용(使用)해야 하며 서평(書評) 자체(自體)를 2차(次) 자료(資料)로 취급(取扱)해서는 안 됩니다. 책(冊)에 포함(包含)된 주제(主題)에 대(對)한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로 서평(書評)을 사용(使用)하지 마십시오. 서평(書評)은 서적(書籍)이 다루는 주제(主題)에 대(對)한 2차(次) 출처(出處)가 아니라, 서적(書籍)과 저자(著者), 이와 관련(關聯)된 집필(執筆) 문제(問題)에 대(對)한 독자적(獨自的)인 비평(批評)을 목적(目的)으로 한 글쓰기입니다. 서평(書評)에 대(對)한 정의(定義)는 다음과 같습니다.
    • 프린스턴의 워드넷 2011에서는 서평(書評)을 "(보통(普通) 최근(最近)에 출판(出版)된 책(冊)에 대(對)한) 서적(書籍)의 비판적(批判的)인 논평(論評)"이라고 정의(定義)하고 있습니다. [6]
    • 버지니아 공대(工大) 도서관(圖書館)은 서평(書評)을 다음과 같이 설명(說明)하고 있습니다. "서평(書評)은 신문(新聞), 잡지(雜誌), 또는 학술서적(學術書籍) 등(等)에 출판(出版)되어 서적(書籍)을 설명(說明)하고 평가(評價)하는 문서(文書)를 말합니다  ... 서평(書評)은 서적(書籍)의 문학적(文學的) 비평(批評)과는 다릅니다. 문학적(文學的) 비평(批評)은 서적(書籍)의 작가(作家)나 장르에서 사용(使用)하는 표현(表現)이나 주제(主題)를 탐구(探究)하는 목적(目的)을 가지고 있습니다." [7]
  9. 위키백과(百科)는 3차(次) 자료(資料)에 해당(該當)하긴 하지만, 위키백과(百科)의 문서(文書)는 신뢰(信賴)할 수 있는 출처(出處)에 해당(該當)되지 않습니다. 백:확인(確認)#순환참조(循環參照) 백:신뢰(信賴)#자비출판(自費出版) 를 참고(參考)하세요.
  10. 이렇게 위키백과(百科) 자체(自體)에 관(關)한 문서(文書)는 사실상(事實上)의 독자(讀者) 연구(硏究)를 포함(包含)하고 있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위키백과(百科) 이외(以外)에는 그 문서(文書)를 쓸 때 참고(參考)할 만한 자료(資料)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위키백과(百科)를 대상(對象)으로 하지 않는 문서(文書)에 대(對)해서는 이러한 페이지들 또한 독자(讀者) 연구(硏究)를 피(避)해야 합니다. 이와 관련(關聯)된 문서(文書)에는 위키백과(百科) 분류(分類) 의 문서(文書)를 참고(參考)해주세요.
  11. 지미 웨일스는 독자적(獨自的)으로 역사적(歷史的) 이론(理論)을 이끌어내려는 사람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기도 했습니다. "위키백과(百科)가 왜 여러 실험(實驗) 결과(結果) 등(等)을 근거(根據)로 새로운 독창적(獨創的)인 물리학(物理學) 이론(理論)을 만들지 말아야 하는지를 완벽(完璧)하게 이해(理解)하는 사람이라도 이와 동일(同一)한 것이 어떻게 역사(歷史)에도 적용(適用)되는지를 깨닫지 못할 수 있습니다." [8]

출처주(出處週)

  1.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Sources” . University of Maryland Libraries. 2013년(年) 2월(月) 1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2. “What is a Primary Source?” . University of Nevada, Reno Libraries. 2007년(年) 2월(月) 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3. “Finding Historical Primary Sources” .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Library. 2012년(年) 7월(月) 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4. “How to Find Primary Sources” . Duke University Libraries. 2012년(年) 3월(月) 1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5. “Primary and secondary sources” . Ithaca College Library. 2013년(年) 10월(月) 6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6. “book review” . 《WordNet Search 3.1》. Princeton University.  
  7. “Book Reviews” . Virginia Tech University Libraries. 2013년(年) 1월(月) 5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8. Wales, Jimmy (2004년(年) 12월(月) 6일(日)). “Original research” . 《WikiEN-l Mailing List》. Wikimedia Foundation.  
  9. Wales, Jimmy (2003년(年) 9월(月) 29일(日)). “roy_q_royce@hotmail.com: --A Request RE a WIKIArticle--” . 《WikiEN-l Mailing List》. Wikimedia Foundation.  

참고(參考) 문헌(文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