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현경 (1936년(年))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오현경
출생(出生) 1936년(年) 11월(月) 11일(日) ( 1936-11-11 )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경성부(京城府)
사망(死亡) 2024년(年) 3월(月) 1일(日) ( 2024-03-01 ) (87세(歲))
대한민국(大韓民國) 경기도(京畿道) 김포시(金浦市)
직업(職業) 배우(俳優)
활동(活動) 기간(期間) 1953년(年)~2024년(年)
종교(宗敎) 불교(佛敎)
학력(學歷) 중앙대학교 대학원(大學院) 국어국문학과(國語國文學科) 문학석사과정(文學碩士過程) 수료(修了)
친척(親戚) 윤봉춘(尹逢春) (장인(匠人))
윤(尹)삼륙 (손윗처남(妻男))
이영은 (사위)
배우자(配偶者) 윤소정 (2017년(年) 사별(死別))
자녀(子女) 오지혜 (딸), 오세호(아들)
수상(受賞) 본문(本文) 참고(參考)

오현경 (吳鉉京, 1936년(年) 11월(月) 11일(日) ~ 2024년(年) 3월(月) 1일(日) )은 대한민국(大韓民國)의 배우(俳優) 이며 호(號)는 송백(松柏)(松柏)이다. 배우자(配偶者)인 윤소정 과의 사이에 딸 오지혜 와 아들 오세호를 두었으며, 원로(元老) 영화인(映畫人) 윤봉춘(尹逢春) 의 사위다.

서울고등학교(高等學校) 시절(時節)부터 연극(演劇) 활동(活動)을 하기 시작(始作)한 그는 제(第)1회(回) 전국(全國) 중고교(中高校) 연극경연대회(演劇競演大會) 참가작품(參加作品) <사육신(死六臣)>에 출연(出演)함으로써 데뷔했다.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시절(時節)부터 많은 작품(作品)에 출연(出演)한 그는 1960년대(年代)의 기수(旗手)로 등장(登場)한 극단(極端) '실험극장(實驗劇場)'의 창립(創立) 동인(同人)으로 지금(只今)에 이르고 있다. 희극적(喜劇的) 마스크와 재치(才致) 넘치는 연기자(演技者)로서 주로(主로) 희극(喜劇)의 주인공(主人公)으로 많이 등장(登場)하지만 비극(悲劇)에도 능(能)하며, 모든 작품(作品)을 소화(消化)해낼 수 있는 만능(萬能) 연기자(演技者)이다. 그가 주연(主演)한 작품(作品)은 <세일즈맨의 죽음> <화니> <피가로의 결혼(結婚)> <맹진사댁(孟進士宅) 경사(慶事)> <메테오(誤)> <허생전(許生傳)(許生傳)> <오셀로> <동천홍(東天紅)> <무익조(無翼鳥)(無翼鳥)> <너도 먹고 물러나라> <밤으로의 긴 여로(旅路)> <일요일(日曜日)의 불청객(不請客)> <기적(奇跡)을 파는 백화점(百貨店)> 등(等) 수없이(數없이) 많다. [1]

생애(生涯) [ 편집(編輯) ]

서울 출생(出生)이다. 서울고등학교(高等學校) 졸업(卒業) 을 거쳐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국어국문학과(國語國文學科)를 학사(學士) 취득(取得)하였으며 중앙대학교 대학원(大學院) 국어국문학과(國語國文學科) 문학(文學) 석사(碩士) 과정(課程)을 수료(修了)하였다. 고교(高校) 시절(時節)부터 연극(演劇) 활동(活動)을 하기 시작(始作)한 그는 1953년(年) 제(第)1회(回) 전국(全國) 중고교(中高校) 연극경연대회(演劇競演大會) 참가작품(參加作品) 《사육신(死六臣)》에 출연(出演)함으로써 연극계(演劇界)에 데뷔하였다. 대학시절(大學時節)부터 많은 작품(作品)에 출연(出演)한 그는 1960년대(年代)의 기수(旗手)로 등장(登場)한 극단(極端) '실험극장(實驗劇場)'의 창립동인(創立同人)이기도 하다. [2]

1961년(年) 서울중앙방송 TV 개국(個國)(12월(月) 31일(日)) 전(前)에 드라마국(局) 개국(個國) 특채(特採) 탤런트로 입사(入社)하였다.

연기(演技) 활동(活動) [ 편집(編輯) ]

연극(演劇), 영화(映畫), 드라마 등(等)에서 많은 작품(作品)에 출연(出演)하였다. 그는 희극적(喜劇的) 마스크와 재치(才致) 넘치는 연기자(演技者)로서 주로(主로) 희극(喜劇)의 주인공(主人公)으로 많이 등장(登場)하지만 비극(悲劇)에도 능(能)하며, 모든 작품(作品)을 소화(消化)해낼 수 있는 만능(萬能) 연기자(演技者)로 평가(評價)받고 있다. [2]

출연작(出演作) [ 편집(編輯) ]

연극(演劇) [ 편집(編輯) ]

외(外) 다수(多數)

영화(映畫) [ 편집(編輯) ]

TV 드라마 [ 편집(編輯) ]

수상(首相) 및 선출(選出) [ 편집(編輯) ]

  • 1970년(年) 한국문화대상(韓國文化大賞) 연극부문(演劇部門) 대상(對象)
  • 1983년(年) 대한민국(大韓民國) 연극제(演劇祭) 남자연기상(男子演技賞)
  • 1985년(年) 동아연극상(東亞演劇賞) 남자연기상(男子演技賞)
  • 1991년(年) 서울연극제(演劇祭) 연기상(演技賞)
  • 1992년(年) KBS 연기대상(演技大賞) 대상(對象)
  • 2008년(年) 서울연극제(演劇祭) 남자연기상(男子演技賞)
  • 2009년(年) 대한민국(大韓民國) 연극대상(演劇大賞) 남자연기상(男子演技賞)
  • 2011년(年) 올해의 서울시(서울市) 문화상(文化相) 연극부문(演劇部門) [3]
  • 2012년(年) 연문인상(戀文引上)(연세대학교 문과대학(文科大學))
  • 2013년(年) 대한민국예술원 회원(會員) 선출(選出)

가족(家族) 관계(關係) [ 편집(編輯) ]

  • 배우자(配偶者): 윤소정 (1944년(年) 7월(月) 4일(日)~2017년(年) 6월(月) 16일(日))
    • 아들: 오세호
      • 며느리: 김은정
        • 손주: 오상이
    • 딸: 오지혜 (1968년(年) 9월(月) 3일(日)~)
      • 사위: 이영은 (1971년(年)~)
        • 외손주(外孫주): 이수린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 〈오현경〉
  2. 문화(文化)·민속(民俗)/한국(韓國)의 연극(演劇)/한국(韓國)의 신극(新劇)/신극(新劇)의 배우(俳優)/오현경,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大百科)》
  3. 연극배우(演劇俳優) 오현경 등(等) 11명(名) '서울시(서울市) 문화상(文化相)' 수상(受賞) , 《아시아 경제(經濟)》, 2011. 11. 20.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KBS 연기대상(演技大賞) 《대상》
1991년(年) 1992년(年)
오현경
1993년(年)
이낙훈 하희라
TV 손자병법(孫子兵法) 이장수 역(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