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압록강(鴨綠江)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압록강(鴨綠江)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압록강(鴨綠江)
(지리(地理) 유형(類型): 강(江) )
압록강(鴨綠江)
어원: 鴨綠江
나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소속(所屬) 압록강(鴨綠江) 독립수계(獨立水系)
구분(區分) 압록강(鴨綠江) (염난수(鹽難水)  · 마자수(馬訾水)   · 얄루장(腸))
지류(支流)
 - 왼쪽 허천강(虛川江)   · 장진강(長津江)
 - 오른쪽 훈장(勳章) 강(江)  · 아이허(虛) 강(江)
황금평   · 위화도(威化島)   · 비단섬(緋緞섬)
발원지(發源地) 백두산(白頭山) 천지(天地)의 칼데라벽(壁) 밭사면(赦免), 동파(東坡)·남파(南派) 등산로(登山路) 사이의 계곡(溪谷) [주(週) 1]
 - 위치(位置)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량강도(兩江道) 삼지연시(三池淵視) 백두산밀영(白頭山密營) 로동자구(勞動者區)
[주(週) 2] [ 최신(最新) 정보(情報) 아님 ]
하구(河口) 서조선(鉏朝鮮)만 비단섬(緋緞섬) 부근(附近) 수역(水域)
 - 위치(位置)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平安北道) 신도군(新島郡) 신도읍
중국 랴오닝성(랴오닝省) 둥강 시(時)
길이 790 km (491 mi)
면적(面積) 31,226 km 2 (12,056 sq mi)
압록강(鴨綠江)의 위치(位置)를 표시(標示)한 지도(地圖).

압록강(鴨綠江) (鴨綠江, 만주어(滿洲語) : ????
???
Yalu Ula 야루(夜漏) 우라, 중국어(中國語) 정체자(正體字) : 鴨綠江 , 간체자(簡體字) : ??江 , 병음 : Y?luji?ng 야루(夜漏)지앙 [ * ] )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국경(國境)에 있는 강(江) 으로 두 국가(國家)의 국경(國境) 역할(役割)을 한다.

명칭(名稱) [ 편집(編輯) ]

압록강(鴨綠江)이라는 이름은 그 한자(漢字)만 두고 보면 '오리녹색(綠色)'을 의미(意味)하는데, 1060 년(年) 송나라(宋나라) 에서 편찬(編纂)된 〈고구려전(高句麗傳)(高句麗傳)〉에 "물빛이 오리의 머리 색(色)과 같아 압록수라 불린다(色若鴨頭 號鴨?水)"라고 기록(記錄)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대(對)해서는 이백(二百) 의 시(詩) 양양가(襄陽歌)(襄陽歌) 중(中) "요간(料簡)한수압두록(遙看漢水鴨頭綠, 멀리 보이는 한수(手)는 오리의 머리처럼 푸르다.)"에서 연상(聯想)해 멋대로 해석(解釋)한 것이라는 견해(見解)가 유력(有力)하다. [1]

명칭(名稱)의 유래(由來)에 관(關)하여는 압록이 '우리'라는 뜻의 고대(古代) 한국어(韓國語) 차자(借字) (借字)한 것이라는 견해(見解)가 있다. [1] 또한 만주어(滿洲語) 로 국경(國境)을 의미(意味)하는 '얄루'(yalu)에서 유래(由來)했다는 견해(見解)가 있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압록강(鴨綠江)은 원래(元來)부터 고조선(古朝鮮),고구려(高句麗),발해(渤海)의 영토(領土)에 존재(存在)한 강이였으며 숙신(肅愼), 말갈, 예맥(藝脈), 여진(餘震), 선비등 북방(北方) 민족(民族)들의 근거지(根據地)였다. 러일(日) 전쟁(戰爭) 때는 일본군(日本軍)과 러시아군(軍)이, 한국(韓國) 전쟁(戰爭) 때에는 미국군(美國軍), 영국군(英國軍)과 인민해방군(人民解放軍), 조선인민군(朝鮮人民軍)이 전투(戰鬪)를 벌였다.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에는 일본(日本)이 중상류(中上流)에 수풍댐 을 세웠다. 이후(以後) 이 댐을 통(通)해 수력(水力) 발전(發展) 이 이루어졌다. 수풍댐에서 생산(生産)된 전력(前歷)은, 지금(只今)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중요(重要) 전력원(電力源)으로 공급(供給)되고 있지만 현재(現在)는 시설(施設)의 80% 이상(以上)이 노후화(老朽化)되어 발전소(發電所)로서의 제구실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實情)이다.

지리 [ 편집(編輯) ]

압록강(鴨綠江)은 상류(上流) 쪽의 구배(勾配)가 심(甚)한 탓에 길이가 790㎞이며, 직선(直線) 거리로만 쳐도 400㎞에 달(達)한다. 유역면적(流域面積) 63,160㎢이다. 백두산(白頭山) 의 해발(海拔) 2,500m 위치(位置)에 있는 수원(水原)(水源)에서 발원(發源)하여 한반도(韓半島) 중국(中國) 대륙(大陸)의 경계(境界)를 따라 흐르다가 신의주(新義州) 단둥 사이를 지나 서쪽(西쪽)의 황해(黃海) 로 흘러나간다.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의 지린성(지린省) 랴오닝성(랴오닝省) 이 압록강(鴨綠江)과 인접(隣接)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평안북도(平安北道) , 자강도(慈江道) , 량강도(兩江道) 가 접(接)한다. 강(江)에는 비단섬(緋緞섬) , 위화도(威化島) , 황금평 등(等)의 하중도가 있다.

수지형(型) 유역(流域) 형상(形象)을 하고 있다. [2]

지류(支流) [ 편집(編輯)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쪽 지류(支流)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쪽 지류(支流)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내용(內容)
  1. 지리학(地理學) 수문학(水文學) 적(敵) 기준(基準)을 적용(適用)할 경우(境遇), 이 계곡(溪谷)들 중(中) 압록강(鴨綠江) 하류(下流)로부터 쟀을 때 유로(流路) 길이가 가장 긴 것을 압록강(鴨綠江)의 발원천(源泉)으로 보게 된다.
  2. 본 위치(位置) 정보(情報)는 대한민국(大韓民國)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이 공동(共同) 발간(發刊)한 사전(辭典) 《조선향토대백과(朝鮮鄕土大百科)》에 수록(收錄)된, 2005년(年) 1월(月) 당시(當時)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行政) 구역(區域) 을 기준(基準)으로 하여 작성(作成)되었다. 그러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政府)는 별다른 대외(對外) 발표(發表) 없이도 기초(基礎) 단위(單位) 행정(行政) 구역(區域)을 정비(整備)하는 일이 잦은 바, 《조선향토대백과(朝鮮鄕土大百科)》 발간(發刊) 시점(時點)으로부터 10년(年)을 넘긴 현(現) 상황(狀況)에서 위키백과(百科) 는 더 이상(以上) 본 정보(情報)의 정시적(定時的) 정확성(正確性)을 보장(保障)할 수 없게 되었음을 이와 같이 밝힌다.
출처(出處)
  1. 아리랑의 고찰(古刹) =아울러 '우리'의 어원= (상(上)) 동아일보(東亞日報), 1959.5.3.
  2. 이재수(李載壽) (2018). 《수문학(水文學)》 2판(板). 구미서관(館). 70쪽. ISBN   9788982252914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