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아르헨티나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아르헨티나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아르헨티나 공화국(共和國)
Republica Argentina
Teta Argentina

국기(國紀)

국장(國葬)
표어(標語) En Union y Libertad
(통일(統一)과 자유(自由))
국가(國家) 아르헨티나 국가(國家)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 남위(南緯) 34° 36′ 12″ 서경(書經) 58° 22′ 54″  /  남위(南緯) 34.603333° 서경(書經) 58.381667°  / -34.603333; -58.381667
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
정치(政治)
정치체제(政治體制) 공화제(共和制) , 연방제(聯邦制) , 대통령제(大統領制)
대통령(大統領) 하비에르 밀레이
부통령(副統領) 빅토리아 비야루엘
입법부(立法府) 국민의회(國民議會)
상원(上院) 상원(上院)
하원(下院) 대의원(代議員)
집권여당(執權與黨) 자유당(自由黨)
역사(歷史)
독립(獨立) 스페인 로부터 독립(獨立)
 ?  아르헨티나 5월(月) 혁명(革命) 1810년(年) 5월(月) 25일(日)
 ? 독립(獨立) 선언(宣言) 1816년(年) 7월(月) 9일(日)
지리
면적(面積) 2,766,890 km 2 ( 8 위(位) )
내수면(內水面) 비율(比率) 1.1 %
시간대(時間帶) ART ( UTC -3)
DST ARST (UTC-3)
인문(人文)
공용어(公用語) 없음
국어(國語) 스페인어(語)
지역어(地域語) 과라니어
인구(人口)
2015년(年) 어림 43,131,966명(名) (31위(位))
인구(人口) 밀도(密度) 14명(名)/km 2 ( 195위(位) )
경제(經濟)
GDP ( PPP ) 2012년(年) 어림값
 ? 전체(全體) $9,749억(億) ( 22위(位) )
 ? 일인당(一人當) $18,205 ( 51위(位) )
GDP (명목(名目)) 2012년(年) 어림값
HDI 0.811 ( 45위(位) , 2012년(年) 조사(調査))
통화(通話) 페소 ( ARS )
종교(宗敎)
국교(國校) 가톨릭교
종교(宗敎) 기독교(基督敎) 79.6% [1]
무종교(無宗敎) 19.2%
기타(其他) 종교(宗敎) 1.2%
기타
ISO 3166-1 032 , AR , ARG
도메인 .ar
국제(國際) 전화(電話) +54

아르헨티나 공화국(共和國) ( 스페인어(語) : Republica Argentina 레푸블리카 아르헨티나 [ * ] , 과라니어 : Teta Argentina ) [1] 줄여서 아르헨티나 ( 스페인어(語) : Argentina 아르헨티나 [ * ] )는 남아메리카(南아메리카) 대륙(大陸) 남부(南部)에 자리 잡고 있는 연방(聯邦) 공화국(共和國) 이다. 연방국가(聯邦國家)로서 23개(個)의 주(州)와 자치시(自治市) 1개(個)로 구성(構成)되어 있으며, 주요(主要) 도시(都市)로는 부에노스아이레스 , 코르도바 , 바이아블랑카 , 마르델플라타 , 라플라타 등(等)이 있고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시 이다.

동쪽(東쪽)의 대서양(大西洋) 과 서쪽(西쪽)의 안데스산맥(안데스山脈) 사이에 2,766,890km 2 의 면적(面積)을 차지하여 남아메리카(南아메리카)에서 브라질 에 이어 두 번째(番째)로 넓으며, 세계(世界)에서 여덟 번째(番째)로 큰 나라이다. 아르헨티나는 북쪽(北쪽)으로는 파라과이 볼리비아 , 북동쪽(北東쪽)으로는 브라질 우루과이 , 서·남쪽으로는 칠레 국경(國境) 을 싸우고 있다. 공용어(公用語)는 스페인어(語) 이며 여러 차례(次例)의 대량(大量) 이민(移民)으로 이탈리아 계(契) 등(等) 백인(白人) 인구(人口)가 대다수(大多數)를 차지하고 있다. 아르헨티나는 또한 영국(英國)의 해외(海外) 영토(領土) 로 인정(認定)되고 있는 포클랜드 제도(諸島)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制度) , 남극(南極)의 일부(一部)인 아르헨티나령(領) 남극(南極) 에 대(對)한 영유권(領有權)도 주장(主張)하고 있다. 아르헨티나는 라틴 아메리카 에서 구매력(購買力) 대비(對備) 1인당(人當) GDP 3위(位), 인간개발지수(人間開發指數) 2위(位)의 국가(國家)로 조사(調査)되었고, 명목(名目) GDP는 세계(世界) 30위(位), 구매력(購買力)을 고려(考慮)한 GDP는 세계(世界)에서 23위(位)이다. 세계은행(世界銀行) 에서는 이 나라를 국민총소득(國民總所得) 중상(中傷) 수준(水準)의 국가(國家) 혹은(或은) 신흥(新興) 시장(市場)으로 분류(分類)했다. 아르헨티나는 메르코수르 , 남미(南美) 국가(國家) 연합(聯合) , 세계은행(世界銀行) 그룹 , G-15 , G-20 에 속(屬)하는 나라이다.

지리 [ 원본(元本) 편집(編輯) ]

지형(地形) [ 원본(元本) 편집(編輯) ]

아르헨티나의 지형도(地形圖)

아르헨티나는 남아메리카(南아메리카) 대륙(大陸) 의 최남단부(最南端部)에 위치(位置)하며, 브라질 에 버금가는 넓은 국토(國土)를 가진 남아메리카(南아메리카) 에서 두 번째(番째)로 큰 나라이다. 전(全) 세계적(世界的)으로는 러시아, 미국(美國), 브라질, 캐나다,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오스트레일리아, 인도(印度) 다음 8위(位)의 넓은 면적(面積)을 가진 나라이다. 북쪽기(北쪽機) 볼리비아 , 동북쪽(東北쪽)은 우루과이 · 브라질 · 파라과이 , 서쪽(西쪽)은 칠레 에 접(接)하고, 동남쪽(東南쪽)은 대서양(大西洋) 에 잇닿아 있다. 남쪽(南쪽)의 최장(最長) 거리(距離)는 3,700km, 동서(東西)의 최대(最大) 거리(距離)는 1,700km라는 넓은 국토(國土)의 서부(西部)를 안데스산맥(안데스山脈) 이 남북(南北)으로 관통(貫通)하고 있으며 조인(調印)빌섬 을 포함(包含)하여 남극(南極)의 일부(一部)도 아르헨티나의 영토(領土)이다. 효펵을 포함(包含)하여 열대(熱帶) 우림(雨林)에서부터 한랭(寒冷) 지대(地帶)까지 전지구상(全地球上)에 있는 모든 기후(氣候) 지역(地域)을 갖고 있다. 남미(南美)에서 가장 높은 산(山)인 아콩카과 산(山) 역시(亦是) 아르헨티나에 있다.

아르헨티나는 남극(南極) 에서 아르헨티나령(領) 남극(南極) 이라는 969,464 제곱킬로미터 의 지역(地域)에 대(對)해 영유권(領有權)을 주장(主張)하는데, 일부(一部)는 칠레( 칠레령 남극(南極) )와 영국(英國) ( 영국령(英國領) 남극(南極) )의 영유권(領有權) 주장(主張) 지역(地域)과 겹친다. 그러나 이 주장(主張)은 1961년(年) 체결(締結)된 남극(南極) 조약(條約) 에 의(依)해 공식적(公式的)으로 유예(猶豫)되어 현재(現在)까지 실효(實效) 지배(支配)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팜파스 는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서쪽(西쪽)과 남쪽(南쪽)에 펼쳐진 중앙(中央)의 대평원(大平原)이다. 습(濕)한 팜파 라고도 하는데, 부에노스아이레스주 코르도바주(株) 의 대부분(大部分)과 산타페주(週) , 라팜파주(坡州) 의 상당(相當) 부분(部分)을 차지하고 있다. 라팜파 주(州)의 서쪽(西쪽) 부분(部分)과 산루이스주(週) 도(道) 대체로(大體로) 평야(平野)( 건조(乾燥)한 팜파 )인데, 건조(乾燥)해서 주로(主로) 초지(草地)로 쓰인다. 이름이 같은 코르도바주(株) 지역(地域)의 시에라데코르도바 산맥(山脈) 은 팜파스에서 가장 지리적(地理的)으로 두드러지는 지형(地形)이다.

이 지역(地域)과 우루과이 사이에는 길이 약(約) 4,700km의 라플라타강 이 흐른다. '은(銀)의 강(江)'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어귀의 강폭(江幅)은 약(約) 220km 가량(假量)이다.

팜파스는 농업(農業)에 적절(適切)한 비옥(肥沃)한 땅으로 쇠고기 · 양모(養母) · · 옥수수 등(等)을 많이 산출(算出)하며, 이 나라의 중요(重要) 경제(經濟) 지역(地域)이다. 제조(製造) 공업(工業)도 여기에 집중(集中)하고 있다.

북부(北部)의 아열대(亞熱帶) 평원(平原) 그란차코 지역(地域)은 계절(季節)에 따라 건조(乾燥)하거나 습(濕)해진다. 주로(主로) 목화(木花)를 재배(栽培)하고 가축(家畜)을 방목(放牧)한다. 이 지역(地域)에는 차코주 , 포르모사주(使嗾) 가 있다. 간간히 아열대(亞熱帶) 우림(雨林), 관목림(灌木林), 습지(濕地)가 자리잡고 있으며 수많은 식물(植物)과 동물(動物)의 서식지(棲息地)이다. 산티아고델에스테로주(老酒) 는 그란차코에서도 건조(乾燥)한 지역(地域)이다.

메소포타미아 파라나강 우루과이강(江) 사이에 위치(位置)한 곳이다. 이 지역(地域)에는 코리엔테스주(週) 엔트레리오스주(週) 가 있다. 목축(牧畜)과 식물(植物) 재배(栽培)에 적합한 평야(平野) 지역(地域)으로, 코리엔테스 중부(中部)에는 이베라 습지(濕地) 가 있다. 미시오네스주 는 더 더운 지역(地域)으로, 브라질고원(高原) 의 지형적(地形的) 영향(影響)을 받는다. 아열대(亞熱帶) 우림(雨林)과 이과수 폭포(瀑布) 가 있다.

아르헨티나 남부(南部)의 네그로강(江) 에서 마젤란 해협(海峽) 에 이르는 파타고니아 스텝 초원(草原)에는 네우켄주(週) , 리오네그로주(週) , 추부트주(週) , 산타크루스주(週) 가 있다. 이 지역(地域) 대부분(大部分)은 북쪽(北쪽)으로는 반건조(半乾燥) 기후(氣候)에 추우며, 남쪽(南쪽)으로는 건조(乾燥)하다. 그러나 서쪽(西쪽) 경계(警戒)에는 숲이 자라며 여러 호수(湖水)가 있다. 그리고 대륙(大陸)의 돌출부(突出部) 끝에는 칠레 와 절반(折半)씩 영유(永有)하는 티에라델푸에고 제도(制度) 가 있으며, 바다의 영향(影響)으로 서늘하고 습(濕)하며, 온화(溫和)하다. 파타고니아 북부(北部)(네그로 강(江) 남쪽(南쪽), 네우켄)은 코마우에 지역(地域)이라고도 한다.

파타고니아는 목양지(牧羊地)로서 유명(有名)하며, 석유(石油) 자원(資源) 지대(地帶)로서도 중요(重要)하다.

쿠요 (Cuyo) 아르헨티나 중서부(中西部)는 안데스산맥(안데스山脈) 의 영향권(影響圈)이다. 산맥(山脈) 동쪽(東쪽)의 건조(乾燥)한 지역(地域)을 쿠요 라고 한다. 고산(高山) 지대(地帶)에서 녹은 물은 저지대(低地帶)에 있는 오아시스에 물을 공급(供給)한다. 이 지역(地域)은 멘도사주 산후안주 의 과실(過失)과 포도주(葡萄酒) 생산(生産)의 중심(中心)을 이룬다. 여기서 더 북쪽(北쪽)으로 가면 라리오하주(週) 의 더 덥고 건조(乾燥)한 기후(氣候)를 만난다. 산루이스주(週) 북쪽(北쪽)의 시에라팜페아나스산맥 이라는 세 곳의 낮은 산맥(山脈)이 북(北)에서 남(南)으로 뻗어 이곳 최동단(最東端) 경계(境界)를 이룬다.

칠레 국경(國境) 지역(地域)에는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높은 산(山)인 아콩카과산(山) 이 있다. 안데스산맥(안데스山脈) 중(中)에서 가장 높은 산(山)일 뿐 아니라 남반구(南半球)와 서반구(西半球)에서도 최고봉(最高峯)이다. 높이는 약(約) 7,000m이다.

아르헨티나 북서부(北西部) (NOA) 이 지역(地域)은 아르헨티나에서 평균(平均) 고도(高度)가 가장 높은 곳이다. 산맥(山脈)이 뻗어 있으며, 어떤 봉우리는 6,000m에 이르기도 한다. 이 산지(山地)는 북쪽(北쪽)으로 갈수록 더 넓어진다. 산맥(山脈)은 비옥(肥沃)한 강가(江가) 계곡(溪谷)에서 끊기는데, 가장 중요(重要)한 곳은 카타(打)마르카주(週) , 투쿠만주(州) , 살타주 칼차(車)키 계곡(溪谷) 이다. 더 북쪽(北쪽)으로 볼리비아와 가까운 후후이주(移住) 는 주로(主로) 중부(中部) 안데스의 고원(高原)에 있다. 남회귀선(南回歸線) 이 이 곳 북부(北部)를 지난다.

기후(氣候) [ 원본(元本) 편집(編輯) ]

라리오하주(週) 타람파야 자연공원(自然公園)의 사막지대(沙漠地帶)(북동쪽(北東쪽))

기후(氣候)는 국토(國土)가 남북(南北)으로 뻗고 넓기 때문에 지역차(地域差)가 크지만, 대체로(大體로) 온화(溫和)하다. 북부(北部)와 동북부(東北部)는 아열대성(亞熱帶性)으로, 우계(雨季)(10∼3월(月))와 건계(乾季)(4∼9월(月))로 나뉘며, 여름이 길고 덥고, 겨울철은 짧지만 매우 춥다.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 를 중심(中心)으로 하는 중앙부(中央部)는 온대(溫帶) 기후(氣候) 에 속(屬)하며, 강수량(降水量)은 여름철에 많으나 대체로(大體로) 연중(年中) 고른 편(便)이다. 그리고 중앙부(中央部)의 여름은 더우며 뇌우(雷雨)를 동반(同伴)한다(때때로 세계(世界)에서 가장 큰 우박(雨雹)이 내리기도 한다.). 남부(南部)의 겨울, 즉(卽) 11~12월(月)은 매우 덥다.

남아메리카(南아메리카)에서 기록(記錄)된 가장 높은 온도(溫度)와 가장 낮은 온도(溫度)가 아르헨티나에서 기록(記錄)되었다. 1920년(年) 1월(月) 2일(日), 코르도바주(株) 에서 49.1 °C가 기록(記錄)되었다. 가장 낮은 온도(溫度)로는 1972년(年) 7월(月) 17일(日), 산후안주 에서 기록(記錄)된 ?39 °C이다.

남반구(南半球) 에 있으므로 4계(係)(四季)의 시기(時期)는 북반부(北半部)와 정반대(正反對)여서 1년(年)의 시작(始作)인 1월(月) 1일(日) 여름 이 된다.

생태계(生態系) [ 원본(元本) 편집(編輯) ]

북쪽(北쪽)의 그란차코 지역(地域)은 Dalbergia속의 브라질리안(吏案) 로즈우드나 퀘브라쵸, 카로브 나무 등(等)의 아열대식물(亞熱帶植物)들이 주(主)를 이루고 있다. 안데스 근처(近處)의 더 메마른 곳에는 사바나 와 비슷한 지역(地域)이 존재(存在)한다. 수생식물(水生植物)들은 아르헨티나의 습지(濕地)에 잘 자란다. 아르헨티나의 중부(中部)에 있는 습윤팜파스는 톨그래스 초원(草原)이다. 원래(元來)의 팜파스에는 사실상(事實上) 나무가 없으나 양버즘나무(洋버즘나무) 유칼립투스 등(等)과 같은 수입종(輸入種)들이 길이나 마을, 시골의 사유지(私有地)( 에스탄시아 ) 등(等)에 자란다. 유일(唯一)한 팜파스 원산지(原産地)의 나무는 피토(被土)라카이다. 팜파스 토양(土壤)의 표면(表面)은 진(津)한 검은색(검은色)으로 주로(主로) 흔히 부엽토(腐葉土)로 알려진 몰리솔 로 되어있다. 이것은 이 지역(地域)을 세계(世界)에서 가장 생산적(生産的)인 농업지(農業地)로 만들었지만 또한 상업적(商業的) 농업(農業)으로 인해 이 지역(地域)의 본래(本來) 생태계(生態系)를 심(甚)하게 훼손(毁損)시키는 원인(原因)이 되기도 한다. 비가 적게 오는 서쪽(西쪽)의 팜파스는 건조(乾燥)팜파스로서 짧은 풀이 자라는 평원(平原)이거나 스텝 지역(地域)이다. 29개(個)의 국립공원(國立公園) 이 있다.

대부분(大部分)의 파타고니아 는 안데스산맥(안데스山脈)에 의(依)한 비(非)그늘 이 형성(形成)되어 건조(乾燥)한 지역(地域)에 맞는 식물군(植物群)들이 존재(存在)한다. 이 지역(地域)의 토양(土壤)은 딱딱하고 바위가 많아 강(江)이나 계곡(溪谷) 근처(近處)를 제외(除外)하고는 대부분(大部分)의 땅에서 농사(農事)를 짓는 것이 불가능(不可能)하다. 파타고니아의 서쪽(西쪽)과 티에라델푸에고섬 에는 침엽수(針葉樹) 림과 활엽수(闊葉樹) 림 등(等)이 있다.

쿠요 에는 가시가 있는 식물(植物)이나 다른 건조지역(乾燥地域)에 사는 식물(植物)들이 풍부(豐富)하다. 강(江)을 따라서는 몇몇 종(種)의 나무와 풀들이 자란다. 이 지역(地域)의 조건(條件)은 포도(葡萄)가 자라기 적합한 조건(條件)이다. 아르헨티나의 북서쪽(北西쪽)은 다양한 종(種)의 선인장(仙人掌) 이 존재(存在)한다. 약(約) 4000m의 고도(高度)의 지역(地域)에는 초목(草木)이 자라지 않는다.

아르헨티나 북서쪽(北西쪽)에 서식(棲息)하는 퓨마

북쪽(北쪽)의 아열대(亞熱帶) 지역(地域)에는 많은 종(種)의 동물(動物)들이 서식(棲息)하고 있다. 재규어 , 퓨마 , 오(誤)셀롯 등(等)의 고양이과 동물(動物)들, 고함(高喊)원숭이 와 같은 영장류(靈長類), 악어(鰐魚) 와 같은 거대(巨大)한 파충류(爬蟲類) 등(等)이 서식(棲息)한다. , 페커리 , 카피바라 , 들개 등(等)과 다양한 종(種)의 거북 등(等)도 서식(棲息)하고 있다. 다양한 종(種)의 조류(潮流) 역시(亦是) 서식(棲息)하고 있는데, 특히(特히) 벌새 , 홍학(紅學) , 큰부리새 , 제비 등(等)을 꼽을 수 있다.

아르헨티나 중부(中部)의 초원(草原)에는 큰개미핥기 , 아르마딜로 , 팜파스 고양이 , 갈기늑대 , 마라 , 기니피그 등(等)의 포유류(哺乳類)와 레아 가 서식(棲息)한다. 왜가리과 의 새, 그리고 티나무 역시(亦是) 이 지역(地域)에 서식(棲息)하고 있다. 팜파스 사슴 , 팜파스 여우 등(等)도 서식(棲息)한다. 이들 중(中) 몇몇 종들은 파타고니아 에도 서식(棲息)하고 있다.

서쪽(西쪽)의 산지(山地)에는 다른 동물(動物)들이 산다. 라마 구아나코 , 비쿠냐 등(等)의 남미(南美)의 특징적(特徵的)인 종들이 서식(棲息)한다. 또한 여우나 비스카차 , 안데스 고양이 , 그리고 아메리카의 날 수 있는 새중(中)에서 가장 큰 안데스콘도르 등(等) 역시(亦是) 서식(棲息)한다.

남방(南方)참고래

아르헨티나 남부(南部)는 퓨마 , 안데스 사슴 , 푸두 (세계(世界)에서 가장 작은 사슴), 그리고 도입종인(導入種人) 멧돼지 등(等)의 서식지(棲息地)이다. 파타고니아의 해안가(海岸가)에는 코끼리물범 , 물개 , 바다사자(바다獅子), 그리고 다양한 종(種)의 펭귄 등(等)이 서식(棲息)한다. 조금 더 남쪽(南쪽)은 가마우지 가 있다.

아르헨티나의 영해(領海)에는 돌고래, 범고래 , 그리고 남방(南方)참고래 와 같은 고래 등(等) 다양(多樣)한 바다생물(生物)들이 서식(棲息)하고 있다. 정어리 , 만새기 , 연어(鰱魚) , 그리고 상어 등(等)의 바다물고기가 서식(棲息)하고 또한 티에라델푸에고섬 에는 오징어와 같은 것도 서식(棲息)한다. 아르헨티나의 강(江)과 개울에는 다양한 종(種)의 송어(松魚) 역시(亦是) 서식(棲息)한다. 보아 나 매우 독성(毒性)이 강(剛)한 살모사(殺母蛇) 등(等)도 서식(棲息)한다. 1928년(年) 조사(調査) 이후(以後) 호르네로 가 아르헨티나의 국조(國調)로 선정(選定)되었다.

역사(歷史) [ 원본(元本) 편집(編輯) ]

부에노스 아이레스 카빌도. 독립(獨立) 선언(宣言)으로 이어지는 1810년(年)의 결의(決議) 장면(場面)

콜럼버스 이전(以前) 시대(時代) [ 원본(元本) 편집(編輯) ]

아메리카 지역(地域)의 원주민(原住民)들이 살았던 가장 오래된 증거중(證據中) 하나인 리오 핀투라스 암각화(巖刻畫)

아르헨티나에 최초(最初)로 인간(人間)이 정주(定住)한 증거(證據)는 파타고니아 에서 발견(發見)되며 기원전(紀元前) 11,000여년(餘年)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지역(地域)에는 국가(國家) 없이 인디오 들이 부족(不足)을 이루며 살고 있었는데, 파차쿠텍 왕(王)이 통치(統治)하던 잉카 제국(帝國) 은 1480년(年)에 공격(攻擊)을 시작(始作)하여 오늘날의 아르헨티나 북서부(北西部)를 정복(征服)해서 코야수유(野獸油) 지역(地域)에 포함(包含)시켰다. 과라니족(族) 들은 유카 , 고구마 , 예르바 마테 농업(農業) 을 발전(發展)시켰다. 중부(中部)와 남부(南部) 지역(地域)( 팜파스 와 파타고니아)은 유목민(遊牧民)들이 지배(支配)했으며 17세기(世紀) 마푸체 인(人)들이 통일(統一)시켰다.

식민(植民) 시대(時代) [ 원본(元本) 편집(編輯) ]

호세 데 산(山) 마르틴 장군(將軍). 아르헨티나와 칠레 , 페루 의 해방자(解放者)

1516년(年) 이 땅에 유럽인(人) 들이 들어왔다. 스페인은 1542년(年), 남아메리카(南아메리카) 대부분(大部分)을 아우르는 페루 부왕령(副王領) 을 설립(設立)했다. 그들이 현재(現在) 아르헨티나 지역(地域)에 처음 정착(定着)한 것은 1527년(年) 파라나강 근처(近處)의 지역(地域)이었다. 그들은 1536년(年)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처음 영구(永久) 식민지(植民地)를 건설(建設)했으나, 원주민(原住民)들에 의(依)해 파괴(破壞)되었다. 스페인 은 1580년(年) 부에노스아이레스 에 영구(永久) 식민지(植民地) 를 다시 건설(建設)하였다.

이 지역(地域)은 주로(主로) 스페인 이민자(移民者)들과 크리오요 라는 그들의 후손(後孫)과 메스티소 , 토착민(土着民)과 아프리카 노예(奴隸)의 후예(後裔)들의 나라였다. 식민(植民) 시대(時代) 정착민(定着民) 중(中) 1/3은 부에노스 아이레스 나 다른 도시(都市) 에 모여 살았으며, 나머지는 가우초 라 하여 팜파스 에서 살았다. 나머지 지방(地方)에는 원주민(原住民)들이 살았고, 파타고니아 그란차코 의 대부분(大部分) 지역(地域)은 원주민(原住民) 지배하(支配下)에 남았다.

1776년(年), 전의(全義) 페루 부왕령(副王領) 의 영토(領土)였던 지역(地域)에 부에노스아이레스 를 수도(首都)로 하여 리오 데 라 플라타 부왕령(副王領) 이 설치(設置)되었다. (이 영향(影響)으로 스페인어(語) 가 아르헨티나의 공용어(公用語) 로 쓰이고 있고 기독교(基督敎) ( 로마 가톨릭교회 )가 주요한 종교(宗敎) 이다.) 영국(英國) 이 1806년(年)~1807년(年)에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두 번(番) 침공(侵攻)했으나 [2] 후(後)에 대중적(大衆的) 지지(支持)를 얻어 총독(總督) 이 되는 프랑스 장교(將校) 산티아고 리니에르 에 의(依)해 두번(番) 다 저지당했다.

독립(獨立) [ 원본(元本) 편집(編輯) ]

1808년(年) 나폴레옹 이 스페인을 침공(侵攻)하여 왕위(王位)를 찬탈(簒奪)한 후(後) 친형(親兄) 조제프 를 국왕(國王)으로 임명한다. [3] 이 사건(事件)의 실체(實體)가 아르헨티나로 전(傳)해지자 1810년(年) 5월(月) 25일(日)에 부에노스 아이레스 시민(市民)들은 1차(次) 의회(議會) (First Government Junta, 5월(月) 혁명(革命) )을 조직(組織)했다. 현재(現在)의 아르헨티나를 이루게 되는 두 나라가 생겼는데, 남아메리카(南아메리카) 합주국(合奏國) (1810년(年))과 자유(自由) 연맹(聯盟) (1815년(年))이었다. 다른 주(株)들은 자치론자(自治論者)와 중앙집권론자(中央集權論者)들의 견해(見解) 차(差)로 통합(統合) 국가(國家)에 귀속(歸屬)되는데 시간(時間)이 걸렸다. 파라과이 는 1811년(年) 독립(獨立)을 선언(宣言)하며 분리(分離)했다.

후안 마누엘 데 로사스. 1829년(年)~1852년(年) 집권(執權).
달마시오 벨레스 사르스필드. 그의 1869년(年) 민법(民法)은 아르헨티나 법(法) 제도(制度)의 초석(礎石)을 놓았다.
이폴리토(土) 이리고옌 대통령(大統領). 1928년(年) 끈기(끈氣) 있는 활동가(活動家)로 ( 남성(男性) ) 보통(普通) 선거(選擧)를 관철(貫徹)하여 공화국(共和國)의 첫 민선(民選) 대통령(大統領)으로 선출(選出)되었다.

호세 데 산(山) 마르틴 이 1814년(年)에서 1817년(年) 사이에 군사(軍事) 작전(作戰)을 지휘(指揮)하면서 점차(漸次) 독립(獨立)은 현실(現實)이 되었다. 아르헨티나 사람들은 산(山) 마르틴을 국가(國家) 독립(獨立) 영웅(英雄)으로 추앙(推仰)하고 있다. 산(山) 마르틴과 그의 군대(軍隊)는 1817년(年) 안데스를 넘어 칠레 페루 의 왕당파(王黨派)를 무찔러 독립(獨立)을 공고(鞏固)하게 다졌다. 1816년(年) 7월(月) 9일(日) 투쿠만 의회(議會) 가 소집(召集)되어 스페인 에서 공식적(公式的)으로 독립(獨立)을 선언(宣言)했다. 1820년(年) 자유(自由) 연맹(聯盟)(Liga Federal)은 남아메리카 통합주(統合週) 군대(軍隊)와 브라질 에서 온 포르투갈 군대(軍隊)의 공격(攻擊)으로 무너졌으며, 이 주(州)는 남아메리카 통합주로(統合主로) 귀속(歸屬)되었다. 1825년(年) 볼리비아 가 독립(獨立)을 선언(宣言)했고, 1826년(年)에 아르헨티나는 브라질로부터 독립(獨立)을 시도(試圖)하는 시스플라티나주(羅州)를 적극적(積極的)으로 지지(支持)한 결과(結果) 당시(當時) 브라질의 속주(屬州)였던 시스플라티나주의 독립(獨立)을 막으려는 브라질과 무력(武力)으로 충돌(衝突)하여 전쟁(戰爭)을 하기에 이르렀다. 이것이 아르헨티나-브라질 전쟁(戰爭) 이었다. 1828년(年)에는 아르헨티나-브라질 전쟁(戰爭) 이 정전(停戰)을 맺고 그 결과(結果) 시스플라티나주(羅州)가 우루과이 라는 이름으로 독립(獨立)했다. 이 정전(停電)으로 부에노스아이레스주 총독(總督) 후안 마누엘 데 로사스 가 부상(負傷)했는데, 연방주의자(聯邦主義者) 인 그는 공포(恐怖) 정치(政治)를 펴고 불안(不安)한 연맹(聯盟)을 계속(繼續) 유지(維持)했다.

훌리오 로카 대통령(大統領). 1880년(年)에서 1906년(年)까지 정계(政界)를 지배(支配)했다.

1852년(年) 로사스 총독(總督)이 축출(逐出)되자 중앙집권당(中央執權黨) (Unitarios)과 연방주의자(聯邦主義者) (Federales) 사이에 치열(熾烈)한 싸움이 벌어졌는데 이는 결과적(結果的)으로 미래(未來)의 내분(內紛)을 미리 막게 된다. 1853년(年) 헌법(憲法) 이 통과(通過)된다. 이것은 법학자(法學者) 후안 바우티스타 알베르디 가 초안(草案)을 썼으며, 프란체스코회 수사(搜査) 마메르토(土) 에르키우(禹) 가 설교(說敎)를 통해 헌법(憲法)과 국가(國家) 통합(統合)을 변호(辯護)했으며, 처음 몇 년간(年間) 어려운 시기(時期)를 맞았으나, 1865년(年) 전쟁(戰爭)으로 국가(國家) 통합(統合)이 강화(强化)되는 결과(結果)를 낳았다. 대신(代身) 그 전쟁(戰爭)으로 파라과이 를 멸망(滅亡) 위기(危機)까지 몰고 갔다.

현대(現代) 아르헨티나의 등장(登場) 과정(過程) [ 원본(元本) 편집(編輯) ]

1870년대(年代) 부터 해외(海外) 투자(投資)와 이민자(移民者)들이 밀려 들어오며 농업(農業) 등(等)이 근대적(近代的)으로 발전(發展)했고 아르헨티나 사회(社會)와 경제(經濟) 새롭게 재편(再編)되어 국가(國家) 통합(統合)이 강화(强化)되었다. 그러나 1870년대(年代) "사막(沙漠)의 정복(征服)" 남부(南部) 팜파스 파타고니아 의 토착(土着) 부족(部族)들을 탄압(彈壓)하여 1,300여명(餘名)의 토착민(土着民)이 죽었다.

1880년(年)과 1929년(年) 사이 아르헨티나는 경제(經濟) 성장(成長)을 계속(繼續)하여 당시(當時) 세계적(世界的)으로 부유(富裕)한 10개국(個國) 중(中) 한 곳이었으며 농업(農業) 수출(輸出) 경제(經濟)로 이익(利益)을 보았다. 이민자(移民者)들이 늘고 사망률(死亡率)이 떨어지면서 아르헨티나 인구(人口)는 5배(倍)로 늘었고, 경제(經濟)는 15배(倍)로 확대(擴大)되었다.

국민자치당(國民自治當) 은 비민주적(非民主的)으로 아르헨티나 정치(政治)를 지배(支配)했으나 1912년(年) 로케 사엔스 페냐 대통령(大統領)이 남성(男性) 보통(普通) 선거(選擧)와 비밀(祕密) 선거(選擧)를 법제화(法制化)했다. 그리하여 그들의 전통적(傳統的)인 정적(政敵)인 중앙집권(中央集權)론자 급진(急進) 시민(市民) 연맹(聯盟) 이 1916년(年) 아르헨티나 첫 자유(自由) 선거(選擧)에서 승리(勝利)했다. 이폴리토(土) 이리고옌 대통령(大統領)은 사회(社會) 경제(經濟) 개혁(改革)을 추진(推進)하고 가족농(家族農)과 소상인(小商人) 지원(支援)을 확대(擴大)했다. 그러나 세계(世界) 대공황(大恐慌) 의 여파(餘波)로 1930년(年) 군부(軍部)는 그를 축출(逐出)했다. 그리하여 십(十) 여년간(餘年間) 보수주의자(保守主義者)의 지배(支配)가 시작(始作)되었으며 경제(經濟) 정책(政策)을 보호주의(保護主義)로 선회(旋回)했다. 아르헨티나는 제(第)1차(次) 세계대전(世界大戰) 때 중립(中立)을 지켰고, 제(第)2차(次) 세계대전(世界大戰) 때도 대체로(大體로) 그런 태도(態度)를 보였으며, 연합국(聯合國)의 식량(食糧) 공급처(供給處)가 되었다.

페론에서 군사독재(軍事獨裁)까지 [ 원본(元本) 편집(編輯) ]

페론정부(政府) [ 원본(元本) 편집(編輯) ]

1946년(年) 후안 페론 이(李) 대통령(大統領)이 되면서 정치적(政治的) 변화(變化)가 일어났다 그는 사회(社會) 교육(敎育) 정책(政策)을 폈으며, 노동조합(勞動組合) 에 가입(加入)한 조합원(組合員)의 수(數)가 늘어나서 노동자(勞動者) 계급(階級)이 성장(成長)하였다. 그의 아내 에바 페론 ("에비타"로 잘 알려졌다.)은 페론의 두 번째(番째) 임기(任期)까지 영부인(令夫人) 으로 중요(重要)한 역할(役割)을 했다. 그녀(그女)는 페론의 성공(成功)으로 노동자(勞動者) 계급(階級) 사이에서 거물(巨物)이었다. 1947년(年) 그녀(그女)는 에바 페론 재단(財團) 을 설립(設立)하여 사회(社會) 복지(福祉) 를 실시(實施)했다.

후안 페론 대통령(大統領)(1946년(年))

이것은 아르헨티나 최초(最初)로 정부(政府)가 사회(社會) 복지(福祉) 에 관심(關心)을 두게 된 사건(事件)이었으며, 기존(旣存)의 과두정치(寡頭政治)와는 양립(兩立)할 수 없는 것이었다. 에비타는 무뚝뚝한 페론과 그의 지지자(支持者) 사이의 " 사랑 의 다리"로 여겨졌다. 그녀(그女)는 여성(女性) 참정권(參政權)을 얻어냈으며, 페론주의(主義) 여성당 을 창립(創立)하기도 했다. 페론의 두 번째(番째) 임기(任期)까지 그의 경제학자(經濟學者) 들은 산업(産業) 도시(都市) 발전(發展)을 장려(奬勵)했다. 1952년(年) 에비타가 33살의 나이로 죽자 페론 행정부(行政府)는 점차(漸次) 아르헨티나의 주요(主要)한 종교인(宗敎人) 로마 가톨릭교회 와 자신(自身)의 정치(政治) 운동(運動) 사이의 갈등(葛藤)으로 곤란(困難)에 처(處)했다. 1955년(年) 쿠데타 가 일어나 스페인 으로 망명(亡命) 했다.

일리아 [ 원본(元本) 편집(編輯) ]

1963년(年) 아르투로 일리아 가 대통령(大統領)에 선출(選出)되어 경제(經濟)를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努力)했다. 경제적(經濟的) 번영(繁榮)에도 불구(不拘)하고 그가 페론주의자(主義者)들을 정계(政界)에 끌어들이려 하자 군부(軍部)는 1966년(年) 쿠데타로 대통령(大統領)을 축출(逐出)했다.

페론의 재집권(再執權) [ 원본(元本) 편집(編輯) ]

억압적(抑壓的)인 군부독재정권(軍部獨裁政權)은 국내(國內) 개발(開發)과 공공(公共) 사업(事業)에 대(對)한 투자(投資)를 장려(奬勵)했다. 1975년(年)에 경제(經濟) 는 매우 발전(發展)했고 빈곤(貧困) 은 7%나 떨어져 낮은 수준(水準)이었다. 부분적(部分的)으로 군부(軍部) 독재정권(獨裁政權)의 억압(抑壓) 에 대(對)한 저항(抵抗)으로써 정치적(政治的) 소요(騷擾)가 확대(擴大)되자 망명지(亡命地)에서 페론은 능란(能爛)하게 학생(學生)과 지식인(知識人) 으로 구성(構成)된 시위대(示威隊)를 동원(動員)해서 결국(結局) 군사(軍事) 정권(政權)은 1973년(年) 자유(自由) 선거(選擧)를 요구(要求)하게 되었으며, 페론은 스페인에서 다시 돌아와 대통령(大統領)이 되었다. 그러나 페론은 1974년(年) 7월(月)에 죽고, 그의 셋째 부인(夫人)이자 부통령(副統領) 이사벨 페론 은 남편(男便)의 뒤를 승계(承繼)했다. 이사벨 페론은 페론주의자(主義子) 파벌(派閥) 사이의 타협(妥協)으로 선택(選擇)된 것이었다. 좌우익(左右翼) 극단주의자(極端主義者) 사이의 폭력(暴力) 사태(事態)와 재정위기(財政危機)가 일어나자 1976년(年) 3월(月) 24일(日) 군사(軍士) 쿠데타 로 이사벨도 축출(逐出)됐다.

군사정부(軍事政府)(PRN) 통치(統治) 기간(期間) 동안 아르헨티나의 빈곤율(貧困率)(Porcentaje de la poblacion)이(李) 폭증했다. - 아르헨티나 국립통계(國立統計)센서스연구소(硏究所)(Indec)
군사정권(軍事政權) [ 원본(元本) 편집(編輯) ]

군사정권(軍事政權)은 스스로를 국가(國家) 재건(再建) 과정(過程) 이라고 불렀는데, 군사정권(軍事政權)은 쿠데타를 일으킨 다음 불법적(不法的)인 수단(手段)을 동원(動員)하여 반대파(反對派)를 탄압(彈壓)(일명(一名) 더러운 전쟁(戰爭) )했다. 군부독재정권(軍部獨裁政權) 당시(當時) 아르헨티나 비밀정보국(祕密情報局)은 칠레 비밀경찰(祕密警察) 및 미국(美國) 중앙정보국(中央情報局) 과 협조(協助)하여 콘도르 작전(作戰) 을 수행(遂行)해 수천명(數千名)의 반체제(反體制) "행방불명자(行方不明者)"가 생겼다.

1976년(年) 쿠데타 로 집권(執權)한 아르헨티나 군사정권(軍事政權)(일명(一名) 국가(國家) 재건(再建) 과정(過程) )은 여러 복잡(複雜)한 경제(經濟) 문제(問題)를 남기고 물러났다. 1976년(年) 군사정권(軍事政權)이 중화학(重化學) 공업(工業) 육성정책(育成政策)을 본격화(本格化)하면서 성급(性急)하게 자본(資本) 및 수입자유화(輸入自由化)를 실시(實施)하여 외채(外債)가 1975년(年) 78억(億)달러에서 외채(外債)가 1983년(年)에는 450억(億)달러로 늘어났다. 외채(外債) 상환(償還)을 위해 다시 외채(外債)를 끌어들이는 악순환(惡循環)은 이때부터 시작(始作)됐다. [4] 군사정권(軍事政權)은 노동법(勞動法) 개정(改正), 노조탄압(勞組彈壓), 최저임금(最低賃金) 폐지(廢止)를 통해 해고(解雇)를 자유롭게 하도록 허용(許容)하고 임금(賃金)을 대폭(大幅) 하락(下落)시켰다. 1970년(年)을 기준(基準)으로 실질(實質) 임금(賃金)을 100이라고 하면, 1975년(年)에는 124로 상승(上昇)했지만, 1976년(年)에는 1년(年)만에 30년(年) 이래(以來) 최저(最低) 수준(水準)인 79까지 떨어졌다. 이로 인해 국민(國民)의 생활(生活) 수준(水準)이 하락(下落)하여 군사정권(軍事政權) 말기(末期)에 빈곤율(貧困率)이 40%, 실질실업률(實質失業率)은 18%까지 치솟았다. [5] [6]

국민(國民)들은 군사정권(軍事政權)에 저항(抵抗)했고 1982년(年) 군사(軍事) 정부(政府)가 영국(英國) 포클랜드 전쟁(戰爭) 을 벌이다 패(敗)하자 신뢰(信賴)를 잃고 1983년(年) 민정(民政) 이양(移讓)이 이뤄지고 선거(選擧)를 치르게 된다. 이 과정(過程)에서 로베르토 에두아르도 비올라 부터 레이날도 비(非)그노네 에 이르기까지 2년(年)(1981년(年) ~ 1983년(年))밖에 안되는 짧은 기간(期間) 동안 4명(名)의 대통령(大統領)이 거쳐갔을 정도(程度)로 이 시기(時期) 아르헨티나의 정치(政治)는 매우 혼란(混亂)스러웠다.

민주화(民主化) 이후(以後) [ 원본(元本) 편집(編輯) ]

알폰신 [ 원본(元本) 편집(編輯) ]

라울 알폰신 정부(政府)는 "행방불명자(行方不明者)"를 찾는 작업(作業)에 착수(着手)했으며, 군대(軍隊) 에 대(對)한 민간(民間)의 통제(統制) 및 민주적(民主的)인 통합(統合) 조직(組織)을 세웠다. 군사독재정권(軍事獨裁政權) 출신자(出身者)들은 고발(告發)되어 종신형(終身刑) 을 선고(宣告)받는 처벌(處罰)을 받았다. 그러나 과거(過去) 정권(政權)이 떠안은 외채(外債)는 그대로 남아 국제통화기금(國際通貨基金) 과 개인(個人) 채권자(債權者)들은 아르헨티나 경제(經濟)에 몇몇 조건(條件)을 내렸으며, 국가(國家)는 우선(于先) 공공(公共) 사업(事業)과 국내(國內) 신용(信用)을 희생(犧牲)하고 외채(外債)를 갚아야 했다. 알폰신은 경제(經濟) 악화(惡化)를 해결(解決)하지 못하여 대중(大衆)의 지지(支持)를 잃었다. 뒤이어 갑자기 닥친 1989년(年) 통화(通貨) 위기(危機)로 물가(物價)는 15배(倍)나 껑충 뛰었으며, 그는 5개월(個月) 일찍 대통령직(大統領職)에서 사임(辭任)했다.

메넴 [ 원본(元本) 편집(編輯) ]

새로 대통령(大統領)에 선출(選出)된 카를로스 메넴 은 사유화(私有化) 정책(政策)을 펴기 시작(始作)했으며, 1990년(年)에 두 번째(番째) 하이퍼인플레이션 이후(以後) 경제학자(經濟學者) 도밍고 까발로 를 기용(起用)하여 1991년(年) 페소화(貨) 환율(換率)을 달러화(달러貨)에 고정(固定)시켰으며, 시장(市場) 기반(基盤)의 정책(政策)을 추진(推進)해 사유화(私有化) 정책(政策)에 박차(拍車)를 가(加)하는 동시(同時)에 무역(貿易) 장벽(障壁)과 기업(企業) 규제(規制)를 철폐(撤廢)했다. 이런 개혁(改革) 덕분(德分)에 1990년대(年代) 거의 내내 물가(物價) 안정(安定)을 이루면서 투자(投資)와 성장(成長) 확대(擴大)를 이끌었다. 그러나 페소화(貨)는 시장(市場)에 달러화(달러貨)가 밀려들어와 제 가치(價値)를 유지(維持)하지 못했으며, 외채(外債)가 다시 늘어나는 결과(結果)를 낳았다. 1998년(年) 일련(一連)의 국제(國際) 금융(金融) 위기(危機)가 닥치고 고정(固定) 페소화(貨)가 지나치게 고평가(高評價)되면서 점차(漸次) 경제(經濟) 위기(危機)로 빠져들었다. 경제(經濟) 안정(安定)에 대(對)한 기대(期待)는 갑자기 무너졌으며, 그의 임기말(任期末)인 1999년(年) 누적(累積)된 문제(問題)들과 부패(腐敗) 보고(報告)로 메넴은 인기(人氣)를 잃었다.

브라질 대통령(大統領) 루이스 이나시오 룰라 다 시우바( 2003 ~)와 호세 사르네이( 1985 - 90 )가 아르헨티나 대통령(大統領) 네스토르 키르츠네르(2003- 07 )와 라울 알폰신( 1983 - 89 )과 다시 만났다.

루아 [ 원본(元本) 편집(編輯) ]

후임(後任) 대통령(大統領) 페르난도 데 라 루아 는 카를로스 메넴정권(政權)의 만성적(慢性的)인 재정(財政) 적자(赤字)와 악화(惡化)된 수출(輸出) 경쟁력(競爭力)을 물려받았다. 정치(政治) 연합(聯合)은 균열(龜裂)을 보이기 시작(始作)했고, 카바요가 다시 경제(經濟) 장관(長官)으로 돌아오자 이는 금융(金融) 파생상품(派生商品) 시장(市場)에 의(依)한 위기(危機)로 해석(解釋)되었다. 이에 맞불로 카바요(要)는 결국(結局) 자본(資本) 이탈(離脫) 흐름을 막고 긴급(緊急)한 채무(債務) 위기(危機)를 막을 수밖에(은행 계좌(計座)를 동결(凍結)하며 정점(頂點)을 이루었다) 없었다. 그러나 대중(大衆)의 불만(不滿)은 계속(繼續)되었고 2001년(年) 12월(月) 20일(日) 아르헨티나는 1890년(年) 대불황(大不況) 이래(以來) 최악(最惡)의 사회(社會) 및 경제(經濟) 위기(危機)에 봉착(逢着)했다. 거리에선 폭력(暴力) 시위(示威) 가 일어났고 경찰(警察) 과 충돌(衝突)하여 사망자(死亡者)가 발생(發生)했다. 시위(示威) 군중(群衆) 사이로 점차(漸次) "모두 꺼져라"라고 외쳤으며, 결국(結局) 데 라 루아 대통령(大統領)도 사임(辭任)하게 된다.

두알데 [ 원본(元本) 편집(編輯) ]

아르헨티나는 2주(週) 동안 세 명(名)의 대통령(大統領)을 갈아치웠으며, 2002년(年) 1월(月) 2일(日) 입법(立法) 의회(議會)가 에두아르도 두알데 를 임시(臨時) 대통령(大統領)으로 임명하면서 극(極)에 달(達)했다. 아르헨티나는 해외(海外) 채무(債務)에 대(對)해 채무(債務) 불이행(不履行) (default)를 선언(宣言)했으며, 11년간(年間) 지속(持續)된 페소화(貨)의 달러화(달러貨) 연동(聯動)은 폐지(廢止)되었고, 이로써 페소화(貨)가 크게 절하(切下)되고 인플레이션 을 막았다. 중도(中道) 좌파(左派) 성향(性向)의 페론주의자(主義子) 두알데는 2002년(年) 말(末)까지 실업률(失業率)이 25%에 이르고 실질(實質) 임금(賃金)이 지난 60년간(年間) 최저치(最低値)를 보이면서 금융(金融) 및 사회경제(社會經濟) 위기(危機)에 봉착(逢着)했다. 이 위기(危機)로 대중(大衆)은 정치인(政治人)과 제도(制度)를 더욱 불신(不信)하게 되었다. 이듬해 시위(示威)가 득세(得勢)했고, 경제(經濟)는 2002년(年) 말(末)부터 안정(安定)되기 시작(始作)했으며 그해 12월(月) 은행(銀行) 인출(引出) 제한(制限)이 해제(解除)되었다.

키르츠네르 [ 원본(元本) 편집(編輯) ]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데 키르츠네르 대통령(大統領). 2007년(年) 12월(月)에 취임(就任)했다.

2003년(年) 5월(月) 자유사회주의(自由社會主義) 페론주의(主義) 자(者) 네스토르 키르츠네르 산타크루스 주지사(州知事)가 대통령(大統領)에 선출(選出)됐다. 환율(換率)의 평가절하(平價切下) 정책(政策) 덕택(德澤)에 정부(政府)는 산업(産業) 부흥(復興)했으며, 수입대체(輸入代替) (import substitution)와 수출(輸出) 증가(增加)에 기반(基盤)을 둔 새 정책(政策)을 실행(實行)했고, 재정(財政)과 무역(貿易) 면(面)에서 안정적(安定的)으로 흑자(黑字)를 보였다. 키르츠네르 시기(時期)에 아르헨티나는 대부분(大部分)의 채권(債券)에 높은 할인율(割引率)(약(藥) 66%)로 채무(債務) 재조정(再調整)을 했다. 또한 2005년(年) 국제통화기금(國際通貨基金) 에 대(對)한 모든 외채(外債)를 갚았다. 공익(公益) 사업(事業)을 재조정(再調整)하고 90년대(年代) 민영화(民營化)된 기업(企業) 중(中) 일부(一部)를 국유화(國有化)했다. 그의 경제부(經濟部) 장관(長官)인 로베르토 라바냐 는 강력(强力)한 소득(所得) 증진(增進) 정책(政策)과 공공(公共) 사업(事業) 투자(投資)를 추진(推進)했다. 그리하여 아르헨티나는 경제위기(經濟危機)에서 벗어나 경제(經濟) 성장(成長)을 계속(繼續) 하게 되었다. 그리고 추후(追後) 아르헨티나는 G20 회원국(會員國)이 되었다.

네스토르 키르츠네르가 2007년(年) 대선(大選)에 출마(出馬)하지 않는 대신(代身), 그의 부인(夫人)인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상원의원(上院議員)이 출마(出馬)하여 당선(當選)됐다. 페르난데스는 아르헨티나 역사상(歷史上) 직접(直接) 선거(選擧)로 뽑힌 첫 번째(番째) 여성(女性) 대통령(大統領)이 됐다. 여당(與黨)인 승리(勝利)를 위한 전선(電線) 은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와 함께 치러진 총선(總選)과 지방선거(地方選擧)에 승리(勝利)해서 의회(議會)를 다수(多數)를 차지했다. 페르난데스 대통령(大統領)은 농업(農業) 수출세(輸出稅) 인상(引上) 계획(計劃)을 펴려고 하자, 2008년(年) 3월(月)부터 7월(月)까지 농업인(農業人)들이 대규모(大規模) 시위(示威)를 벌이며 직장폐쇄(職場閉鎖)로 반발(反撥)했다. 2008년(年) 7월(月) 16일(日) 부통령(副統領) 훌리오 코보스 는 의회(議會)의 가부(可否) 동수(同數)(同數) 결과(結果)에서 상원의장(上院議長)으로서 여당(與黨)에 반대표(反對票)를 던져서 대통령(大統領)의 정책(政策)을 좌절시켰다. 2008년(年) 10월(月) 세계(世界) 금융(金融) 위기(危機)가 닥치자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대통령(大統領)은 남편(男便)의 정책(政策)대로 국가(國家)가 직접(直接) 경제(經濟)에 개입(介入)했다. 2009년(年) 6월(月) 총선(總選)에서 집권연합(執權聯合) 승리(勝利)를 위한 전선(電線) 이 패(敗)해 과반수(過半數)를 잃었다. 2009년(年) 10월(月) 아르헨티나 상하원(上下院)은 야당(野黨)의 반대(反對)에도 불구(不拘)하고 1개(個) 업체(業體)가 소유(所有)할 수 있는 방송(放送) 면허(免許)의 수(數)를 제한(制限)하는 것을 주요(主要) 내용(內容)으로 하는 미디어 개편법안(改編法案)을 통과(通過)시켰다. 이 미디어 개편법안(改編法案)에 대(對)해 정부(政府)와 대립각(對立角)을 세워온 클라린 을 겨냥했다는 평가(評價)도 있다. [7]

인구(人口) 현황(現況) [ 원본(元本) 편집(編輯) ]

현재(現在) 수치(數値) [ 원본(元本) 편집(編輯) ]

아르헨티나 통계(統計) 및 인구조사국(人口調査局) (INDEC)의 2001년(年) 인구조사(人口調査)를 보면 아르헨티나의 총(總) 인구(人口)는36,260,130명이다. 남아메리카(南아메리카)에서는 3위(位)이며, 전(全) 세계(世界)로는 30위(位)에 해당(該當)한다. 전(全) 세계적(世界的)으로 8위(位)의 면적(面積)을 자랑하는 국토(國土)를 보유(保有)한 나라 치고는 인구(人口)가 너무나 적은 나라이기도 하다. 2008년(年)에는 40,482,000으로 늘었다. 이 나라의 인구밀도(人口密度)는 1평방킬로미터당(當) 15명(名)으로 전(全) 세계(世界) 평균(平均) 50명(名)보다 낮다. 인구(人口) 분포(分布)는 편중(偏重)되어 있으며, 수도(首都)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인구(人口) 밀도(密度)는 1평방킬로미터당(當) 14,000명(名)이 넘는데 비해 산타 크루스 주(州)는 1평방킬로미터당(當) 1명(名)도 채 안된다. 1930년대(年代) 이래(以來) 적정(適正)한 출산율(出産率) 덕분(德分)에 아르헨티나는 라틴 아메리카에서 유일(唯一)하게 순 이민율(移民率)이 양수(羊水)(+)인 나라로 해마다 +0.4%로 순수(純粹) 이민자(移民者)가 들어온다.

지역별(地域別) 인구(人口) [8]
코르도바 시청(視聽)
순위(順位) 도시(都市) 주(週) 인구(人口) 지방(脂肪)
1 부에노스아이레스 City + 31 partidos in 부에노스아이레스주 12,789,000 팜파스
2 코르도바 코르도바주(株) 1,372,000 팜파스
3 로사리오 산타페주(週) 1,242,000 팜파스
4 멘도사 멘도사주 885,000 쿠요
5 산미겔데투쿠만 투쿠만주(州) 789,000  NOA (northwest) 
6 라플라타 부에노스아이레스주 732,000 팜파스
7 마르델플라타 부에노스아이레스주 604,000 팜파스
8 살타(薩埵) 살타주 516,000 NOA (northwest)
9 산타페 산타페주(週) 493,000 팜파스
10 산후안 산후안주 453,000 쿠요
11 레시(視)스텐시아 차코주 377,000 그란차코
12 산티아고델에스테로 산티아고델에스테로주(老酒) 357,000 그란차코
13 코리엔테스 코리엔테스주(週) 345,000 메소포타미아
14 바이아블랑카 부에노스아이레스주 304,000 팜파스
15 산살바도르데후후이 후후이주(移住) 298,000 NOA (northwest)
16 포사(褒姒)다스 미시오네스주 287,000 메소포타미아
17 파라나 엔트레리오스주(週) 268,000 메소포타미아
18 네우켄 네우켄주(週) 255,000 파타고니아
19 포르모사(社) 포르모사주(使嗾) 229,000 그란차코
20 산페르난도델바예데카타마르카 카타(打)마르카주(週) 196,000 NOA (northwest)
21 산루이스 산루이스주(週) 192,000 쿠요
22 라리오하 라리오하주(週) 172,000 NOA (northwest)
23 리오콰르토 코르도바주(株) 161,000 팜파스
24 콩코르디아 엔트레리오스주(週) 148,000 메소포타미아
25 코모도로리바다비아 추부트주(週) 141,000 파타고니아

인종(人種) [ 원본(元本) 편집(編輯) ]

"이민자(移民者) 축제(祝祭)"( Fiesta del Inmigrante )에서는 19세기(世紀)에서 20세기(世紀) 오베라 시(市)의 아르헨티나 이민(移民)을 기념(記念)한다. 하지만 이민자(移民者) 축제(祝祭) 개최(開催)와는 무색(無色)하게 아르헨티나는 인종(人種) 차별(差別)이 심(甚)한 편(便)이다. 인구(人口) 절대(絶對) 다수(多數)가 백인(白人)이며 인종(人種)에 대(對)한 우월감(優越感)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나라에서 방문(訪問)한 방문객(訪問客)들, 특히(特히) 흑인(黑人) 계통(系統)이나 동남아시아(東南아시아) 국가(國家) 사람들이 방문(訪問)하면 인종(人種) 차별적(差別的)인 모욕(侮辱)을 하기도 하며 심지어(甚至於) 마트 등(等) 생필품(生必品) 가계(家計)에서 물건(物件)을 계산(計算)을 안 해주는 등(等)의 모욕(侮辱)을 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영원(永遠)한 우방(友邦) 국가(國家)인 우루과이조차도 이러한 인종(人種) 차별(差別) 때문에 아르헨티나에 핀잔을 줄 정도(程度)이며 앙숙(怏宿) 관계(關係)인 브라질은 아르헨티나를 이러한 문제점(問題點)을 들어 인종(人種) 차별(差別)밖에 할 줄 모르는 나라라고 비판(批判)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現在)는 이런 일이 거의 없어졌으며 아르헨티나 원주민(原住民)들이 아르헨티나 축구(蹴球) 국가대표(國家代表)팀 에 진출(進出)하는 등(等) 차별(差別)은 사실상(事實上) 사라졌다.

이민(移民) [ 원본(元本) 편집(編輯) ]

아르헨티나는 캐나다 , 오스트레일리아 , 미국(美國) 과 더불어 이민자(移民者)들의 나라이다.

유럽계(系)와 원주민(原住民) [ 원본(元本) 편집(編輯) ]

대부분(大部分)의 아르헨티나인(人)들은 유럽에서 온 식민시대(植民時代) 정착민(定着民)과 19~20세기(世紀) 이주민(移住民)들의 후손(後孫)이며, 아르헨티나 인구(人口)의 90%는 유럽계(系) 백인(白人)이다. 이들 유럽 이민자(移民者) 대다수(大多數)는 이탈리아 스페인 출신(出身)이다. 쿠오레 (사랑의 학교(學校))에 나오는 마르코 소년(少年)이 엄마를 찾아 아르헨티나를 여행(旅行)한 이야기는 19세기(世紀) 20세기(世紀) 에 이탈리아 사람들의 이민(移民) 이 많았음을 잘 말해주고 있다. 인구(人口)의 6%는 메스티소 이다. 또 4%는 아랍인(人) 이나 동아시아(東아시아) 인(人) 후손(後孫)이다. 초근(草根) 국가(國家) 인구조사(人口調査)에 따르면 600,000여명(餘名) (1.6%)만이 원주민(原住民)이다.

유럽이민(移民)의 출신지(出身地) [ 원본(元本) 편집(編輯) ]

스페인 식민자(植民者)들이 처음으로 도착(到着)한 이래(以來), 19세기(世紀) 중엽(中葉)부터 20세기(世紀) 중엽(中葉)까지 620만(萬) 여명(餘名)의 유럽 이주민(移住民) 이 나라로 들어왔다. 주요(主要) 출신지(出身地)로는 이탈리아( 피에몬테 , 롬바르드 , 나중에는 캄파니아 , 칼라브리아 ), 스페인(주로(主로) 갈리시아 바스크 ), 프랑스이다. 그 밖에도 아일랜드 , 영국(英國) , 독일(獨逸) , 오스트리아 , 덴마크 , 노르웨이 , 스웨덴 , 그리스 , 포르투갈 등(等)이 있다. 러시아 , 우크라이나 , 벨라루스 등(等) 동유럽(東유럽)이나 폴란드 , 헝가리 , 슬로베니아 , 크로아티아 , 루마니아 등(等) 중부(中部) 유럽에서도 이민자(移民者)가 왔다.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등(等) 발칸 국가(國家)에서도 상당수(相當數)가 왔다. 아르메니아 인도(印度) 있으며, 추부트 계곡(溪谷) 에는 웨일스 인(人)들이 큰 집단(集團)을 이루고 있다. 러시아인(人) , 폴란드인(人) , 프랑스인(人) , 독일인(獨逸人) , 이탈리아인(人) , 에스파냐인(人) 등(等)은 인종적(人種的)으로도 서로 섞이고 이들 중(中)에 혼혈(混血)이 존재(存在)하기도 하는 편(便)이다.

1906년(年)에 건설(建設)되어 수많은 새 이민자(移民者)를 맞아주던 "이민자(移民者) 호텔"은 이제 국립(國立) 박물관(博物館)이 되었다.

소수(少數) 민족(民族) [ 원본(元本) 편집(編輯) ]

아직 적지만 동아시아(東아시아)에서 온 이주자(移住者) 수(數)도 점점(漸漸) 늘어나고 있으며, 주로(主로)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살고 있다. 최초(最初)의 아시아계(系) 아르헨티나인(人)은 일본인(日本人)의 후손(後孫)으로 이후(以後) 한국(韓國)인, 중국인(中國人), 베트남 인(人) 등(等)이 뒤 따라서 현재(現在) 60,000명(名)이 넘었다. 특히(特히) 한국계(韓國系)의 경우(境遇)는 1971년(年) 박정희(朴正熙) 대통령(大統領)의 이민장려정책(移民奬勵政策)에 따라 대거(大擧) 유입(流入)되어 아르헨티나는 남아메리카(南아메리카)에서 한국계(韓國系)가 가장 많이 사는 나라가 되었다.

아르헨티나의 유대인(유대人) 집단(集團)은 대개(大槪) 아슈케나짐 유대인(유대人)으로 15~20%는 스파라딤 으로 주로(主로) 시리아 유대인(유대人)이다. 아르헨티나의 유대인(유대人) 집단(集團)은 세계(世界)에서 다섯 번째(番째)로 크다.

파타고니아에는 1902년(年) 끝난 보어 전쟁(戰爭) 이후(以後) 이곳으로 이주(移住)한 남아프리카(南아메리카) 보어인의 집단(集團)이 있다. 이들은 100~120명(名)으로 추산(推算)되며, 훌리오 로카 장군(將軍)이 그들에게 할당(割當)한 땅에 아직도 살고 있다. 그들은 주로(主로) 농촌(農村)에 살고 있다.

아랍 출신(出身)의 집단(集團)도 많은데, 레바논 이나 시리아 에서 온 사람들이다. 대부분(大部分)은 동방(東方) 정교(精巧) 마론파 신도(信徒)로 유대인(유대人) 이나 무슬림 도 있다. 상당수(相當數)는 재계(財界)나 정계(政界)에서 주요(主要)한 위치(位置)를 차지하고 있는 사람들로, 가령(假令) 카를로스 메넴 전(前) 대통령(大統領)은 라리오하 주의(注意) 시리아 이민자(移民者)의 아들이다.

수적(數的)으로 적긴 하지만 영국(英國) 이주민(移住民)들도 현대(現代) 아르헨티나가 형성(形成)되는데 중요(重要)한 역할(役割)을 했다. 영국계(英國系) 아르헨티나인(人)들은 전통적(傳統的)으로 철도(鐵道), 공업(工業), 농업(農業) 분야(分野)에서 영향력(影響力)있는 위치(位置)에 올랐다. 1940년대(年代) 후안 페론 이 수많은 영국인(英國人) 소유(所有) 회사(會社)를 국유화(國有化)하고, 1982년(年) 포클랜드 전쟁(戰爭) (말비나스 전쟁(戰爭))이(李) 일어났음에도 불구(不拘)하고 영국계(英國系) 아르헨티나인(人)들이 이렇게 성공(成功)한 연유(緣由)는 복잡(複雜)하다.

2004~05년(年) "원주민(原住民) 보충(補充) 조사(調査)"에 따르면, 공식적(公式的)으로 인정(認定)되는 아르헨티나 원주민(原住民) 인구(人口)는 600,000여명(餘名)으로, 대다수(大多數)는 마푸체 인(人)들이다.

아르헨티나의 인구조사(人口調査)에 대(對)한 비판(批判)도 있는데, 이 자료(資料)는 역사적(歷史的)으로 인종(人種)보다는 국적(國籍) 기원(祈願)의 범주(範疇)로 조사(調査)를 해와서 아프리카계(系) 아르헨티나인(人)이나 메스티소 를 빠뜨렸다는 것이다. 1887년(年) 국가(國家) 인구조사(人口調査)에서 처음으로 흑인(黑人)을 독립(獨立) 범주(範疇)로 설정(設定)했는데, 이전(以前)에는 정부(政府)에서 무시(無視)한 것이었다.

불법(不法) 이민(移民) [ 원본(元本) 편집(編輯) ]

불법(不法) 이민(移民)은 아르헨티나 인구(人口) 현황(現況)에서 최근(最近)에 생긴 요소(要素)이다. 대부분(大部分)의 불법(不法) 이민(移民)은 아르헨티나 국경(國境) 북쪽(北쪽)의 볼리비아나 파라과이에서 오는 경우(境遇)이다. 페루나 에콰도르, 우루과이에서도 불법(不法) 이민자(移民者)가 들어온다. 심지어(甚至於)는 징병제(徵兵制) 에 크게 불만(不滿)을 갖고 있는 브라질 사람들이 불법(不法) 이민자(移民者)로 들어오는 경우(境遇)도 상당히(相當히) 많다. 실제로(實際로) 징병제(徵兵制)를 증오(憎惡)한 나머지 아르헨티나로 국적(國籍)을 변경(變更)한 브라질인도(印度) 상당수(相當數) 존재(存在)한다. 아르헨티나 정부(政府)에서는 750,000여명(餘名)이 공적(公的)인 등록(登錄) 기록(記錄)이 없는 것으로 추산(推算)했고, 그리하여 "위대(偉大)한 조국(祖國)"( Patria Grande ) 계획(計劃)을 시행(施行)하여 불법(不法) 이주민(移住民)을 공적(公的) 신분(身分)을 부여(附與)하여 670,000여명(餘名)의 신청자(申請者)가 이 사업(事業)으로 양성화(陽性化)되었다. [ 출처(出處) 필요(必要) ]

아르헨티나에서는 불법체류자(不法滯留者)에 대(對)한 처우(處遇)가 매우 관대(寬大)하며 아르헨티나로 여행(旅行)온 사람들이 아예 그 곳에 터를 잡고 죽을 때까지 사는 경우(境遇)도 빈번(頻繁)하다. 한국(韓國)의 경우(境遇) 상호(相互)비자면제(免除) 협정(協定)이 이루어져 있으며 비자없이 최장(最長) 90일(日)까지 아르헨티나에 체류(滯留)할 수 있으나 90일(日)이 지나도 관광(觀光)비자를 갱신(更新)하지 않을 경우(境遇) 벌금(罰金)이 한화(韓貨)로 약(約) 2만(萬)원에 해당(該當)되는데 이 마저도 실질적(實質的)으로는 흐지부지 상태(狀態)이다. 더군다나 대한민국(大韓民國)이나 일본(日本) 등(等) 상호(相互) 비자면제협정(免除協定)을 맺은 국가(國家)와 남미(南美) 대륙(大陸)의 타국(他國)가 국적(國籍)을 갖고 있을 경우(境遇) 불법체류자(不法滯留者)로서 2년(年)이 경과(經過)하면 아르헨티나 국적(國籍)이 자동(自動)으로 취득(取得)된다. [ 출처(出處) 필요(必要) ]

종교(宗敎) [ 원본(元本) 편집(編輯) ]

아르헨티나 국민(國民) 대다수(大多數)가 가톨릭 을 믿고 있다. 국교(國敎)인 가톨릭이 75%, 10%의 개신교(改新敎) 도 있다.

종교(宗敎)의 자유(自由)가 보장(保障)되어 있으나, 대통령(大統領)과 부통령(副統領)은 반드시 가톨릭 신자(信者)를 선출(選出)하도록 헌법(憲法)으로 정(定)해져 있다.

도시화(都市化) [ 원본(元本) 편집(編輯) ]

투쿠만의 주지사(州知事) 관저(官邸)
라 플라타의 연방(聯邦) 법원(法院)

아르헨티나는 대단히 도시화(都市化)된 나라이며, 국내(國內) 10개(個) 대도시(大都市) 지역(地域)에 인구(人口)의 절반(折半)이 살고 있으며, 시골 지역(地域)에 거주(居住)하는 사람은 인구(人口)의 1/10 이하(以下)이다. 약(約) 3백만명(百萬名)이 부에노스 아이레스 자치시(自治市)에 살고 있으며, 그란 부에노스아이레스 광역권(廣域圈)의 인구(人口)는 총(總) 1,280만명(萬名)이다.(2008년) 그리하여 이 지역(地域)은 세계(世界)에서 인구(人口)가 많은 대도시권(大都市圈) 중(中)에 한 곳이다. 아르헨티나의 코르도바 로사리오 광역시도(廣域市道) 인구(人口)가 각각(各各) 130만(萬), 120만(萬)에 이르며, 나머지 다섯 광역(廣域) 도시(都市)들도 각기(各其) 50만(萬) 정도(程度) 인구(人口)가 살고 있다.

대부분(大部分)의 유럽 이주민(移住民)들은 도시(都市)에 정착(定着)해서 직장(職場)을 얻고 교육(敎育) 등(等) 더 많은 기회(機會)를 얻어 중산층(中産層)에 편입(編入)될 수 있었다. 또 철도망(鐵道網)이 확대(擴大)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지방(地方) 소도시(小都市)에도 정착(定着)했으며, 1930년대(年代)부터 시골 노동자(勞動者)들이 대도시(大都市)로 이주(移住)했다.

1990년대(年代) 철도(鐵道)가 끊기고 지역(地域) 소규모(小規模) 제조업(製造業)이 대규모(大規模) 저가(低價) 수입품(輸入品)에 밀려 몰락(沒落)하면서 많은 시골 소읍(小邑)들이 유령도시(幽靈都市)가 되었다. 동시(同時)에 아르헨티나의 대도시(大都市) 외곽(外郭)에는 슬럼( villas miserias )이 확산(擴散)되어 슬럼 인구(人口)가 750,000 가구(家口)(약(藥) 4백만(百萬) 명(名))에 육박(肉薄)했다. 슬럼에는 도시(都市) 하류층(下流層) 빈민(貧民), 내륙(內陸)(특히(特히) 북부(北部))에서 올라온 시골 사람들, 1960~90년대(年代) 사이 이웃나라에서 건너온 이민자(移民者)들이었다. 2001~2년(年)에 경제(經濟) 위기(危機)로 상당수(相當數) 이민자(移民者)들이 떠나기도 했지만, 경제(經濟)가 회복(回復)되자 다시 돌아온 사람도 많았다.

여러 도시(都市) 지역(地域)들은 유럽 이민자(移民者)들의 영향(影響)으로 유럽 도시(都市)처럼 보인다. 대개(大槪) 도시(都市)는 스페인식(式)으로 플라사(社) plaza 라 하는 중앙(中央) 광장(廣場)을 중심(中心)으로 주변(周邊)에 성당(聖堂)과 정부(政府) 건물(建物)이 둘러싼 격자(格子) 모양(模樣)의 도시(都市) 구조(構造)이다. 이런 도시(都市)의 일반적(一般的)인 배치(配置)를 "체커판"( damero )이라고 하는데, 사각형(四角形) 블록 모양(模樣)으로 구성(構成)되어 있기 때문인데, 현대(現代)에는 이런 방식(方式)을 벗어나기도 한다. 19세기(世紀) 말(末)에 건설(建設)된 라 플라타 시(市)는 체커판 모양(模樣)에 일정한 간격(間隔)으로 대각선(對角線) 도로(道路)가 나있다. (이 도시(都市)는 남아메리카 최초(最初)로 전기(電氣) 가로등(街路燈)이 설치(設置)된 곳이기도 하다)

행정(行政) 구역(區域) [ 원본(元本) 편집(編輯) ]

아르헨티나의 행정구역(行政區域) 지도(地圖)
주(週) 주도(主導) 주(週) 주도(主導)
부에노스아이레스 자치시(自治市) 멘도사주 멘도사
부에노스아이레스주 라플라타 미시오네스주 포사(褒姒)다스
카타(打)마르카주(週) 산페르난도델바예데카타마르카 네우켄주(週) 네우켄
차코주 레시(視)스텐시아 리오네그로주(週) 비에드마
추부트주(週) 라우손 살타주 살타(薩埵)
코르도바주(株) 코르도바 산루이스주(週) 산루이스
코리엔테스주(週) 코리엔테스 산후안주 산후안
엔트레리오스주(週) 파라나 산타크루스주(週) 리오가예고스
포르모사주(使嗾) 포르모사(社) 산타페주(週) 산타페
후후이주(移住) 산살바도르데후후이 산티아고델에스테로주(老酒) 산티아고델에스테로
라팜파주(坡州) 산타로사 티에라델푸에고주(週) 우수(優秀)아이아(兒)
라리오하주(週) 라리오하 투쿠만주(州) 산미겔데투쿠만

정치(政治) [ 원본(元本) 편집(編輯) ]

정치(政治)는 공화제(共和制) 를 채용(採用)하고 삼권분립(三權分立) 이며, 국민(國民) 투표(投票) 에 의(依)한 4년(年) 임기(任期)의 대통령(大統領) 중심제(中心制)를 택(擇)하고 있다. 정(情)·부(部) 대통령(大統領)의 자격(資格)은 아르헨티나 태생(胎生)의 로마 가톨릭교회 신도(信徒)로 제한(制限)된다. 아르헨티나 의회(議會) 상원(上院) · 하원(下院) 으로 이루어진 양원제(兩院制) 로서, 1912년(年)부터 보통(普通) 선거(選擧) 제(制)가 실시(實施)되고 있다. 아르헨티나 총선(總選)은 후보(候補) 개인(個人)이 아닌 정당(政黨) 또는 정당연합(政黨聯合)에 투표하는 비례대표(比例代表) 선출제(選出制) 형식(形式)으로 실시(實施)된다. [9] 전국(全國)은 23개(個)의 주(州)와 1연방구로(聯邦九老) 이루어지는데, 각(各) 주는 주의회(州議會)를 가지며, 주지사(州知事)를 선거(選擧)한다.

총(總) 병력(兵力)은 약(約) 6만(萬) 7,300명(名)이며, 남아메리카(南아메리카) 여러 나라 중(中)에서 가장 근대화(近代化)한 군대(軍隊)를 가지고 있다. 1982년(年) 포클랜드 전쟁(戰爭) 이후(以後) 1995년(年) 징병제(徵兵制) 를 폐지(廢止)하고 모병제(募兵制) 를 택(擇)하고 있다. 또한 아르헨티나는 다른 나라와는 다르게 자국민(自國民)으로 하여금 국적포기(國籍抛棄)를 할 수 없도록 헌법(憲法)에 명시(明示)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아르헨티나 출신(出身)인 네덜란드 의 왕비(王妃) 막시마 조(兆)레귀에타 는 국왕(國王) 빌럼알렉산더르 와 결혼(結婚)한 뒤 네덜란드의 국적(國籍)을 취득(取得)하여 네덜란드에서 살고 있음에도 불구(不拘)하고, 아르헨티나 국적(國籍)을 계속(繼續) 유지(維持)하고 있다. 최초(最初)의 비(非)유럽국가(國家) 출신(出身) 교황(敎皇) 프란치스코 도 이러한 이유(理由)로 인해 국적포기(國籍抛棄)가 불가능(不可能)하다. 마찬가지로 배우(俳優) 마르코 는 2011년(年) 대한민국(大韓民國) 국적법(國籍法)이 개정(改正)되기 이전(以前)까지 대한민국(大韓民國) 귀화(歸化) 시도(試圖)를 계속(繼續) 실패(失敗)했다. 아르헨티나 정부(政府)에서 국적법(國籍法) 포기(抛棄)가 불가능(不可能)하게 국적법(國籍法)을 제정(制定)한 이유(理由)는 나치 독일(獨逸) 에서 자국(自國)으로 피난(避難) 온 유대인(유대人) 들을 보호(保護)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이 오늘날까지 이어져 온 것이다. 실제로(實際로)도 호세 페케르만 , 후안 파블로 소린 등(等) 유대계(系) 아르헨티나인(人) 유명인사(有名人士)들이 몇몇 있다.

경제(經濟) [ 원본(元本) 편집(編輯) ]

국내선(國內線) 뉴베리 활주로(滑走路)
로사리오의 철도(鐵道)

아르헨티나의 산업(産業)의 근간(根幹)(根幹)은 농업(農業) 목축업(牧畜業) 이며, 국가(國家)의 경제(經濟)는 이들 제(第)1차(次) 산업(産業) 위에 성립(成立)되어 있다. 농산물(農産物)과 축산물(畜産物)이 GNP 의 14%, 총수출(總輸出)의 50% 이상(以上)을 점(占)하고 있다.

신자유주의(新自由主義) 적(敵) 경제개혁(經濟改革)이 아르헨티나 경제(經濟)가 갖고 있던 저성장(低成長)의 문제(問題)를 해결(解決)하는 대안(代案)으로 도입(導入)되었으나 신자유주의적(新自由主義的) 경제개혁(經濟改革)은 아르헨티나 산업생산(産業生産)의 위축(萎縮)과 외채(外債)의 증가(增加)라는 결과(結果)를 초래(招來)했다. 1986년(年) ~ 2001년(年) 아르헨티나의 경제(經濟)는 연간(年間) 1.5%의 누적성장률(累積成長率)을 기록(記錄)하였으며 외채(外債)의 경우(境遇) 92억(億) 7,800만(萬) 달러에서 1397억(億) 8,300만(萬) 달러로 증가(增加)했다. 이 시기(時期) 아르헨티나에서 해외(海外)로 유출(流出)된 자본(資本)의 액수(額數)는 약(約) 1,300억(億) 달러에 달(達)하는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낮은 성장률(成長率)과 산업구조(産業構造)의 붕괴(崩壞), 외채(外債) 및 자본도피(資本逃避)의 증가(增加)는 고용률(雇傭率)의 감소(減少)로 이어졌다. 또한 실질임금(實質賃金)은 1970년대(年代)부터 2000년대(年代) 사이에 평균(平均) 25%가 감소(減少)하였다. 특히(特히) 1998년(年)부터 2002년(年) 중반(中盤)까지 아르헨티나 경제(經濟)는 가장 강력(强力)한 경기침체(景氣沈滯)를 경험(經驗)했고 실업률(失業率)은 18.3%, 빈곤율(貧困率)은 전체(全體) 인구(人口)의 60%에 달(達)했다. [10]

공업(工業) [ 원본(元本) 편집(編輯) ]

제(第)2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 이후(以後) 현재(現在)에 이르기까지 급속히(急速히) 공업화(工業化)를 추진(推進)하여 공업화(工業化)가 상당히(相當히) 진전(進展)되어 있는 반면(反面) 공업(工業)의 생산(生産) 경비(經費)가 높아 경쟁력(競爭力)은 낮은 편(便)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비스업(서비스業) 도 시장점유율(市場占有率)이 높으며, 그 밖에 운수(運數), 상(賞) 등(等)을 포함(包含)하면 아르헨티나는 제(第)3차(次) 산업(産業)이 발달(發達)돼 있다고 할 수 있다. 1900년대(年代)에 들어 농산물(農産物) 가공(加工)에서 출현(出現)한 아르헨티나의 공업(工業) 은 제(第)1차(次) 페론 정권시기인(政權時期人) 1940년대(年代)부터 막강(莫强)한 정부(政府)의 보호(保護) 아래 급속히(急速히) 발전(發展)을 이뤘다. 역대(歷代) 정부(政府)가 공업화(工業化) 정책(政策)을 계속(繼續) 추진(推進)한 결과(結果) 현재(現在)는 대부분(大部分)의 소비재(消費財), 내구소비재(耐久消費財)와 함께 중공업(重工業) 부문(部門)에서 철강(鐵鋼) , 선박(船舶) , 항공기(航空機) , 자동차(自動車) 를 국내(國內)에서 제조(製造)하고 있다.

목축업(牧畜業)과 농업(農業) [ 원본(元本) 편집(編輯) ]

목축업(牧畜業)은 극히(極히) 왕성(旺盛)하여, 국토(國土)의 40% 이상(以上)이 목장(牧場)과 방목지(放牧地)(放牧地), 10%가 사료(飼料) 작물(作物)과 목초(木草)의 농지(農地)로 되어 있다. · 돼지 · 양(量) 고기·원피(原皮)· 양모(養母) 등(等)이 산출(算出)되며, 육류(肉類) (肉類)가 풍부(豐富)하므로 국민(國民) 1인당(人當) 식육(食肉) 소비량(消費量)이 세계(世界) 제(第)1위(位)이다. 주요(主要) 농산물(農産物)은 · 옥수수 · 아마 (亞麻)· 면화(綿花) · 목초류(噍類) · 고구마 등(等)인데, 이곳의 곡물(穀物) 은 북반구(北半球)의 단경기(端境期)(端境期)에 출하(出荷)되는 이점(利點)을 가지고 있다. 주요(主要) 수출품목(輸出品目)은 · 육류(肉類) · 등(等)으로 미국(美國) · 영국(英國) · 네덜란드 · 이탈리아 · 러시아 · 브라질 · 일본(日本) · 독일(獨逸) 이 주요(主要) 수출(輸出) 대상국(對象國)이다. 이에 대(對)하여 기계(機械) 류(流)· 철강(鐵鋼) ·화학약품(化學藥品)· 원유(原油) 등(等)을 수입(輸入)하는데, 미국(美國) · 일본(日本) · 이탈리아 · 독일(獨逸) · 브라질 등(等)이 주요(主要) 수입(輸入) 대상국(對象國)이다.

광업(鑛業) [ 원본(元本) 편집(編輯) ]

광업(鑛業) 은 총생산(總生産)의 4%에 불과(不過)하며, 파타고니아 지방(地方)의 석유(石油) 자원(資源)이 주요(主要) 부분(部分)을 차지하고, 매장량(埋藏量)은 풍부(豐富)하나 개발(開發)이 뒤져 있다. 근대공업(近代工業)은 20세기(世紀)에 들어와서 일어났는데, 축산물(畜産物)의 가공업(加工業), 삼유(三由)·피혁(皮革) 공업(工業)이 중심(中心)이다. 제철업(製鐵業)은 소미자 제철소(製鐵所)가 산(山)니콜라스 에 선강(善綱)(銑鋼) 일관(一貫) 공장(工場)을 건설(建設)한 후(後)부터 비약적(飛躍的)으로 발전(發展)하고 있다.

사회(社會) [ 원본(元本) 편집(編輯) ]

아르헨티나는 탱고 목축(牧畜) 으로 유명(有名)하며 교육(敎育)과 문화(文化) 수준(水準)은 남아메리카(南아메리카) 에서 최고(最高)를 자랑한다. 따라서 박물관(博物館) , 미술관(美術館) , 극장(劇場) 등(等)의 문화(文化) 수준(水準)과 대학(大學) 을 비롯한 교육(敎育) 시설(施設)은 상당히(相當히) 충실(忠實)하다. 다만 문화(文化)는 이 지역(地域)의 원주민(原住民) 인디오 가 볼 만한 문화(文化)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모두 이식(移植)된 유럽 문화(文化)를 기초(基礎)로 하고 있다. 특히(特히) 프랑스 의 영향(影響)을 받아 상류(上流) 계층(階層)에서는 프랑스 풍(風)이 유행(流行)했다. 반면(反面) 중(中)·하류계(下流界) 층(層)에서는 국민(國民)의 최대수(最大數)를 차지하는 이탈리아 계(界) 이민(移民)과 그 자손(子孫)을 통해 전파(傳播)된 이탈리아 문화(文化)가 광범위(廣範圍)하게 뿌리를 내렸다. 또한 식민지시대(植民地時代) 이후(以後) 스페인 문화(文化)의 토대(土臺) 위에 생활양식(生活樣式), 관습(慣習), 특히(特히) 식생활(食生活), 언어(言語), 음악(音樂) 등(等) 다방면(多方面)에 걸쳐서 이탈리아 의 영향(影響)을 받았다. 최근(最近)에는 미국(美國) 과의 정치(政治), 경제관계(經濟關係)가 긴밀(緊密)해짐에 따라 미국(美國) 문명(文明)도 침투(浸透)되고 있으나 큰 영향(影響)은 받지 않았다. 아르헨티나는 중남미(中南美) 에서 가장 교육(敎育)이 진보(進步)한 나라이며 문맹률(文盲率)은 3%에 불과(不過)하다. 교육제도(敎育制度)는 7년제(年制)의 초등(初等) 교육(敎育), 5년제(年制)의 중등(中等) 교육(敎育)과 4∼6년제(年制)의 대학(大學) 교육(敎育)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초등(初等) 교육(敎育)은 의무(義務) 교육(敎育)으로 7년간(年間) 무료(無料)이며 중등(中等) 교육(敎育)(5년(年)), 대학(大學) 교육(敎育)(5∼6년(年))도 무료(無料)이다. 대학(大學) 의 경우(境遇) 입학(入學)은 쉽지만 졸업(卒業)이 어렵다.

교통(交通) [ 원본(元本) 편집(編輯) ]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도로(道路)(Av. General Paz)
로사리오-빅토리아 대교의 화물선(貨物船)

아르헨티나의 교통(交通) 인프라는 비교적(比較的) 우수(優秀)한 편(便)이다. 넓은 국토(國土)를 가진 아르헨티나는 교통(交通)도 필연적(必然的)으로 발달(發達)하고 있다. 23만(萬) km의 도로(道路) 중(中) 72,000km는 포장(鋪裝) 도로(道路)이며, 1,575km는 고속도로(高速道路)이다. 철도(鐵道) 는 연장(延長)거리 45,000km 에 달(達)하여 부에노스아이레스 를 중핵(中核)(中核)으로 하여 남아메리카(南아메리카) 에서는 가장 잘 정비(整備)되어 있으며 세계(世界)에서도 유수(有數)한 철도망(鐵道網)으로 손꼽힌다. 항공(航空) 또한 발달(發達)하여, 중요(重要)한 교통수단(交通手段)이 되고 있다. [11]

문화(文化) [ 원본(元本) 편집(編輯) ]

세계(世界) 3대(大) 오페라 하우스 중(中)의 하나인 떼아뜨로 꼴론(Teatro Colon)을 비롯, 오페라 , 발레 , 연극(演劇) , 영화(映畫) , 클래식 음악(音樂) , 미술(美術) 전시(展示) 등(等) 200여(餘) 개(個)가 넘는 중남미(中南美) 최대(最大)의 문화(文化) 공연(公演) 시설(施設)을 가지고 있다. 아르헨티나의 민속춤(民俗춤)은 '까르나발리또(carnavalito)' '삼바(zamba)' '가또(gato)' 등(等)이 있는데 특히(特히) '탱고(tango)'는 세계적(世界的)으로 유명(有名)하다.

스포츠 [ 원본(元本) 편집(編輯) ]

아르헨티나는 세계적(世界的)인 축구(蹴球) 강국(强國)이다. 아르헨티나는 FIFA 월드컵 이 처음 생길때부터 이미 세계적(世界的)인 축구강국(蹴球强國)이였으며 아르헨티나 축구(蹴球) 국가대표(國家代表)팀 은 첫 FIFA 월드컵인 1930년(年) 월드컵 에서는 이미 당대(當代) 최강(最强)인 우루과이 에 이어 준우승(準優勝)을 차지할 정도(程度)의 강호(强豪)였다. 하지만 극심(極甚)한 선수유출(選手流出) 속에서 1930년대(年代) 중반(中盤)부터 1970년대(年代) 후반(後半)까지 계속적(繼續的)인 쇠락(衰落)의 길을 걸어왔으나 FIFA에서 두 개(個) 이상(以上)의 국가대표(國家代表)팀에서 뛸 수 없도록 규정(規定)을 변경(變更)한 이후(以後)가 되어서야 1978년(年) FIFA 월드컵 에서 제 기량(技倆)을 다 발휘(發揮)할 수 있었다. 아르헨티나로부터 선수(選手)를 빼돌려서 자국(自國) 팀으로 주로(主로) 사용(使用)한 나라로는 이탈리아 스페인 등(等)이 있다. 특히(特히) 이탈리아는 아르헨티나로부터 루이스 몬티 , 엔리케 과이타(過利他) , 라이문도(度) 오르시 등(等)의 스타플레이어급(級) 선수(選手)들을 뭉텅이로 빼가서 1934년(年) FIFA 월드컵 에서 우승(優勝)을 차지한 바가 있다. 그래서 아르헨티나는 1978년(年) , 1986년(年) , 2022년(年) 월드컵 에서 우승(優勝)하였고, 1978년(年) 엔 자국(自國)에서 월드컵을 개최(開催)하기도 했다. 아르헨티나는 FIFA 월드컵 결승전(決勝戰) 에 6번(番) 진출(進出)해 3번(番) 우승(優勝)했는데 FIFA 월드컵에서 3번(番) 이상(以上) 우승(優勝)한 팀으로는 브라질 (7전(錢) 5승(勝) 2패(敗)), 독일(獨逸) (8전(錢) 4승(勝) 4패(敗)), 이탈리아 (6전(錢) 4승(勝) 2패(敗)), 아르헨티나(6전(錢) 3승(勝) 3패(敗)) 등(等) 4개국(個國)밖에 없다. 하계(夏季)올림픽 에서 역시(亦是) 발군(拔群)의 성적(成跡)을 보여줬는데 특히(特히) 2004년(年) 하계(夏季) 올림픽 2008년(年) 하계(夏季) 올림픽 에 연속(連續)으로 우승(優勝)한 점(點)은 주목(注目)할 만 하다. 또한 FIFA U-20 월드컵 은 역대(歷代) 최다(最多) 우승(優勝)인 6회(回) 우승(優勝)(1979년(年), 1995년(年), 1997년(年), 2001년(年), 2005년(年), 2007년(年))을 달성(達成)했다. 거기에 그냥 잘하는 수준(水準)이 아니라 축구(蹴球) 선수(選手)의 인적자원(人的資源) 수준(水準)이 세계최고(世界最高)이며 디에고 마라도나 , 리오넬 메시 등(等) 인류(人類) 역사상(歷史上) 더 이상(以上) 찾기 힘들 불세출(不世出)의 축구영웅(蹴球英雄)들을 많이 배출(輩出)했다.

아르헨티나 정부(政府)는 FIFA월드컵 개최(開催) 100주년(周年)을 기념(記念)하기 위해 2030년(年) FIFA 월드컵 을 초대(初代) 월드컵 개최국인 우루과이와 같이 공동개최(共同開催)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예술(藝術) [ 원본(元本) 편집(編輯) ]

문학(文學) [ 원본(元本) 편집(編輯) ]

이 나라의 본격적(本格的)인 문학(文學)은 독립(獨立) 후(後)의 혼란기(混亂期)에 낭만주의(浪漫主義) 가 대두(擡頭)함으로써 시작(始作)되었다. 탄압(彈壓) 하의(下衣) 부에노스아이레스 를 묘사(描寫)한 소설(小說) <아말리아>로 유명(有名)한 호세 마르몰 (1817-1871), 문화사(文化史)의 고전(古典) <파(派)쿤도, 문명(文明)이냐 야만(野蠻)이냐>의 저자(著者)인 도밍고 파(派)스티노 사르미엔토 (1811-1888)도 있으나, 이 시기(時期)의 문학(文學)을 대표(代表)하는 것은 누가 무어라 해도 가우초 (gaucho)의 시(時)(詩)로 초원(草原)에 사는 소치기(所致機)(飼牛)의 생활(生活)을 낭만적(浪漫的)으로 노래한 것이다. 에스타니슬라오 캄포 (1834-1880)는 소박(素朴)한 소치기의 상징(象徵)<파우스토(土)>를, 호세 에르난데스 (1834-1886)는 국민적(國民的) 서사시(敍事詩) <마르틴 피에로>를 남겼다. 현대시(現代詩)는 근대파(近代派)의 레오폴도 루고(漏鼓)네스 (1874-1938)에서 비롯되는데 보다 대담(大膽)한 전위시(前衛詩), 특히(特히) 초현실주의(超現實主義)로 이행(移行)되어갔다. 산문(散文)으로는 가우초에 대(對)한 향수(鄕愁)(鄕愁)를 선명(鮮明)한 이미지로 묘사(描寫)한 소설(小說) <돈 세군도 솜브라>의 저자(著者) 리카르도 구이랄데스 (1886-1927), 자연주의적(自然主義的) 소설(小說)로 이름이 난 마누엘갈베스 (1882-1962), 현대(現代) 세계(世界)에 있어서 인간(人間)의 고립(孤立)을 테마로 하는 에세이스트 에두아르도 마예아 (1903-1982), 환상적(幻想的) 단편소설(短篇小說)의 명수(名手)(名手)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1899-1986), 1976년(年) 발표(發表)한 <거미여인(女人)의 키스>가 대표작(代表作)인 마누엘 푸익 (1932-1990), 역사소설(歷史小說) <돈 마리오의 영광(靈光)>의 작자(作者) 엔리케 라레타 (1875-1961) 등(等)이 대표적(代表的) 작가(作家)들이다. [12]

관광(觀光) [ 원본(元本) 편집(編輯) ]

이구아수(異口我修) 폭포(瀑布)
살타주

아르헨티나를 찾는 관광객(觀光客)들은 자연(自然)스러운 경관(景觀)과 지리적(地理的) 특질(特質), 문화적(文化的) 특성(特性)에 대(對)해 크게 매료(魅了)된다. 더욱이 2001년(年) 아르헨티나 페소 화(化)의 약세(弱勢)로 환율(換率)이 외국인(外國人) 관광객(觀光客)들에 유리해지면서 남미(南美) 중(中)에 아르헨티나를 여행지(旅行地)로 찾는 사람들도 많다. 자국(自國)의 통계국(統計局)에 따르면 2005년도(年度)의 관광객(觀光客) 수(數)는 전년(前年) 대비(對比) 12% 성장(成長)하였으며 전체(全體) 서비스업(서비스業) 관련(關聯) 총액(總額)의 8.1%, 국가(國家) 전체(全體) 생산(生産) 중(中) 세 번째(番째)로 높은 산업(産業)을 관광(觀光)이 차지하였다. 당시(當時) 방문객(訪問客)은 370만(萬) 명(名) 정도(程度)로 추산(推算)되며 통계상(統計上) 최초(最初)로 외국인(外國人)들의 아르헨티나 방문객(訪問客)이 해외(海外)에 여행(旅行)을 떠난 아르헨티나 사람보다 많아졌다. 2006년(年) 1/4분기(分期)에는 전년(前年) 동일(同一) 분기(分期)에서 22%나 상승(上昇)한 560,265명(名)의 관광객(觀光客)이 찾았다. 31%는 유럽 , 19.2%가 미국(美國) 캐나다 , 14.2%는 브라질 , 9.1%는 칠레 , 14.1%가 이웃 국가(國家) 출신(出身)의 관광객(觀光客)이었다.

외교(外交) [ 원본(元本) 편집(編輯) ]

각주(各州) [ 원본(元本) 편집(編輯) ]

  1. 아르헨티나 헌법(憲法) 제(第)35조(條)에서는 역사적(歷史的) 국명(國名)인 리오데라플라타 연합주(聯合週) 아르헨티나 연방(聯邦) 이라는 국명(國名)에 '아르헨티나 공화국(共和國)'과 동등(同等)한 지위(地位)를 부여(附與)하고 있다. 또한 아르헨티나 헌법(憲法)은 법령(法令)에서 아르헨티나국(國) ( 스페인어(語) : Nacion Argentina 나시온(溫) 아르헨티나 [ * ] )이라는 국명(國名)을 사용(使用)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헌법상(憲法上) 공식(公式) 명칭(名稱)인 아르헨티나국(國)보다 아르헨티나 공화국(共和國)이라는 명칭(名稱)이 더 많이 쓰이고 있다.
  2. 이매뉴얼 월러스틴 <근대세계체제(近代世界體制) 3> 까치글방(글房) 2003.3.13, p378
  3. 이강혁 <스페인 역사(歷史) 100장면(場面)> 가람기획(嘉藍企劃) 2003.5.14 p247
  4. 아르헨티나의 눈물 '반복(反復)되는 위기(危機)' 《한국경제(韓國經濟)》2003년(年) 8월(月) 18일(日)
  5. “보관(保管)된 사본(寫本)” . 2008년(年) 4월(月) 2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8년(年) 4월(月) 29일(日)에 확인(確認)함 .  
  6. “Sentencia dictada por el Juez Jorge Ballesteros en el juicio penal Olmos, Alejandro c/ Martinez de Hoz y otros s/ Defraudacion, del 13 de junio de 2000 (Exte. 14467)” . 2013년(年) 9월(月) 27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3년(年) 9월(月) 27일(日)에 확인(確認)함 .  
  7. IPI, 아르헨티나 미디어 개편법안(改編法案) 비난(非難)
  8. INDEC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9. 아르헨티나총선(總選) `부동층(浮動層) 표심(票心) 野로'
  10.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라틴아메리카 연구소(硏究所) (2013년(年) 6월(月) 20일(日)). 《아르헨티나, 칠레, 우루과이》. 한울 아카데미. 74쪽.  
  11.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사전(大百科事典) 》〈 아르헨티나의 교통(交通)·도시(都市)
  12.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외부(外部) 링크 [ 원본(元本) 편집(編輯) ]


이 문서(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현(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配布)한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의 내용(內容)을 기초(基礎)로 작성(作成)된 글이 포함(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