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아르메니아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아르메니아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아르메니아 공화국(共和國)
????????? ???????????????

국기(國紀)

국장(國葬)
국가(國家) 우리의 조국(祖國)
수도 예레반 북위(北緯) 40° 11′ 00″ 동경(東京) 44° 31′ 00″  /  북위(北緯) 40.183333° 동경(東京) 44.516667°  / 40.183333; 44.516667
아르메니아(아르메니아)
정치(政治)
정치체제(政治體制) 공화제(共和制) , 단일제(單一制) , 의원내각제(議員內閣制)
대통령(大統領)
총리(總理)
바하근(下根) 하차투랸
니콜 파시(波市)냔
역사(歷史)
독립(獨立) 소비에트 연방(聯邦) 에서 분리(分離) 독립(獨立)
 ? 독립(獨立) 선언(宣言) 1990년(年) 8월(月) 23일(日)
지리
면적(面積) 29,743 1 ( 138 위(位) )
내수면(內水面) 비율(比率) 4.71 %
시간대(時間帶) UTC ( UTC +4)
인문(人文)
공용어(公用語) 아르메니아어(語)
데모님 아르메니아인
인구(人口)
2021년(年) 어림 2,963,900명(名) (137위(位))
인구(人口) 밀도(密度) 101.5명(名)/km 2 ( 99위(位) )
경제(經濟)
GDP ( PPP ) 2019년(年) 어림값
 ? 전체(全體) $328억(億)
 ? 일인당(一人當) $10,995
GDP (명목(名目)) 2019년(年) 어림값
HDI 0.776 ( 81위(位) , 2019년(年) 조사(調査))
통화(通話) 드람 ( AMD )
종교(宗敎)
최대종교(最大宗敎) 아르메니아 사도교회(使徒敎會)
기타
ISO 3166-1 051 , AM , ARM
도메인 .am
국제(國際) 전화(電話) +374
1 나고르노카라바흐 는 포함(包含)되지 않음.

아르메니아 공화국(共和國) ( 아르메니아어(語) : ????????? ??????????????? 하야(下野)스타니 한라페투튠 ), 약칭(略稱) 아르메니아 ( 아르메니아어(語) : ???????? 하야(下野)스탄 , 문화어(文化語) : 아르메니야)는 서아시아(西아시아) 아르메니아고원(高原) 에 있는 내륙국(內陸國) 이며, 수도 예레반 이고, 공용어(公用語) 아르메니아어(語) 이다. 조지아 , 아제르바이잔 , 튀르키예 , 이란 , 아르차(車)흐 공화국(共和國) 과 국경(國境)을 접(接)한다. 1921년(年) 예레반을 수도(首都)로 하는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社會主義) 공화국(共和國) 이 수립(樹立)되고, 이듬해 소련(蘇聯) 에 가입(加入)했다. 1990년(年) 8월(月) 주권(主權)을 선언(宣言)하고 1991년(年) 12월(月) 독립국가연합(獨立國家聯合)에 가입(加入)하였다. 남캅카스의 산국(山菊)(a hill country)으로, 강수량(降水量)이 적고 기후(氣候)는 건조(乾燥)하다. 산업(産業)의 기초(基礎)는 세반호 (해발(海拔) 1,900m)의 물에 의(依)한 수력전기(水力電氣)로서, 화학(化學)·야금공업(冶金工業)(인조(人造)고무, 질소(窒素), 과린산(過燐酸) 비료(肥料), 플라스틱, 도료(塗料), 동(洞), 알루미늄)이(李) 발달(發達)해 있다. [1]

역사(歷史) [ 편집(編輯) ]

원래(元來) 아르메니아는 기원전(紀元前) 13세기(世紀) 무렵, 활동(活動)했던 우라르투 ( 아르메니아어(語) : ???????? )의 후손(後孫)이다. 우라르투 왕국(王國)은 한 때 중동(中東)을 통일(統一)했던 아시리아 와 맞설 정도(程度)로 강대국(强大國)이었으나, 기원전(紀元前) 9세기(世紀)에 메디아 왕국(王國) 에 멸망(滅亡)당했다. 메디아 치하(治下)에서 저항(抵抗)하던 우라르투인(人)들은 기원전(紀元前) 6세기(世紀)에 다시 아케메네스 왕조(王朝) 페르시아 제국(帝國) 에 지배당한다. 그로부터 우라르투 대신(代身) 아르메니아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이후(以後) 대(臺)아르메니아 왕국(王國) 을 형성(形成)하였다. 중세(中世)에는 지금(只今)의 터키 남동부(南東部)를 중심(中心)으로 킬리키아의 아르메니아 왕국(王國) 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후(以後) 이슬람 세력(勢力)의 영향권(影響圈)에 들었다가, 근대(近代) 들어 러시아 제국(帝國) 령(令)과 오스만 제국(帝國) 령(嶺)으로 분할(分轄)되었고, 오스만 제국(帝國) 의 말기(末期) (1915년(年) ~ 1923년(年))에 오스만 제국령(帝國領) 동부(東部) 아나톨리아 지역(地域)의 아르메니아인 150만(萬) 명(名)이 살해(殺害)되었다 . 이후(以後) 이곳에 살던 많은 사람들이 해외(海外)로 빠져나가 아르메니아인 디아스포라가 본격화(本格化)되었다.

1918년(年) 러시아령(領) 아르메니아는 아르메니아 민주 공화국(共和國) 으로 독립(獨立)하였으나, 2년(年) 만에 붉은 군대(軍隊) 에 의(依)해 사라지고 일부(一部) 세력(勢力)이 남부(南部) 산지(山地)를 중심(中心)으로 아르메니아 산악(山岳) 공화국(共和國) 을 만들어 저항(抵抗)했으나 이것도 1년(年) 만에 제압(制壓)된다. 이후(以後) 조지아 , 아제르바이잔 과 함께 자(者)캅카스 소비에트 연방(聯邦) 사회주의(社會主義) 공화국(共和國) 을 구성(構成)했다가, 1936년(年)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社會主義) 공화국(共和國) 이 되었다.

1988년(年)부터 아제르바이잔과 나고르노카라바흐 를 둘러싸고 긴장(緊張)이 고조(高調)되었고, 이는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戰爭)이 끝나는 1994년(年)까지 무력(武力) 충돌(衝突)로 나타났다. 1991년(年) 소련(蘇聯) 붕괴(崩壞) 후(後) 독립(獨立)하였다. 2014년(年) 10월(月) 유라시아 경제(經濟) 연합(聯合) (EEU)에 가입(加入)하였다.

지리 [ 편집(編輯) ]

동쪽(東쪽)으로는 아제르바이잔 , 서쪽(西쪽)으로는 터키 , 아제르바이잔의 월경지 인(人) 나히체반 자치(自治) 공화국(共和國) , 북쪽(北쪽)으로는 조지아 , 남쪽(南쪽)은 이란 과 맞닿아 있다. 내륙(內陸)의 바다라는 세반호 를 끼고 있으나, 내륙국(內陸國)이다. 또한 산악지형(山岳地形)이 우세(優勢)하다.

행정(行政) 구역(區域) [ 편집(編輯) ]

수도 예레반 이다. 10개(個)의 ' 주(週) ( 아르메니아어(語) : ?????? 마르제르 )'가 존재(存在)한다.

기후(氣候) [ 편집(編輯) ]

사실상(事實上), 대륙성기후(大陸性氣候)에 속(屬)한다. 아르메니아는 산(山)이 많은 나라이기 때문에 겨울에 눈이 많이 온다. 1월(月) 평균기온(平均氣溫)은 -10~0도(度), 7월(月) 평균기온(平均氣溫)은 20~30도(度)다. 예레반의 경우(境遇) 여름 평균기온(平均氣溫)은 25도(度)를 상회(上廻)하며, 겨울 평균기온(平均氣溫)은 -6도(度)다. 연간(年間) 강우량(降雨量)은 수도(首都) 예레반이 330mm 정도(程度)이며, 산악지대(山岳地帶)는 700~900mm로 강우량(降雨量)이 더 많다.

정치(政治) [ 편집(編輯) ]

現 아르메니아 대통령(大統領) 바하근(下根) 하차투랸
現 아르메니아 총리(總理) 니콜 파시(波市)냔

의원내각제(議員內閣制) 를 실시(實施)한다. 의회(議會)는 단원제(單院制) 이며 107석(席) 규모(規模)이다.

아르메니아는 2013년(年) 2월(月) 18일(日)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에서 유산당(遺産當)(遺産黨: Heritage)이(李) 2위(位)에 머물자 유산당(遺産當) 당원(黨員)들과 야당지지자(野黨支持者)들이 대선결과(大選結果)에 불복(不服)하면서 대규모(大規模) 시위(示威)를 벌였다. [2] 2015년(年) 12월(月) 6일(日) 의원내각제(議員內閣制) 로의 개헌안(改憲案)이 통과(通過)되었다. [3]

인구(人口) 및 주민(住民) [ 편집(編輯) ]

2005년(年) UN 컵 체스 토너먼트에서의 아르메니아 어린이들

아르메니아인 이 인구(人口)의 97.9%를 차지하고, 야지디 인(人)이 1.3%, 러시아인(人) 이 0.5%이다. 그 외(外) 아시리아인(人) , 우크라이나인(人) , 그리스인(人) , 쿠르드인(人) , 조지아인(人) , 벨라루스인(人) 등(等)이 소수(少數) 거주(居住)한다.

소비에트 연방(聯邦) 시대(時代)에는 아제리인 이 제(第)2의 민족(民族)이었으나 ( 1989년(年) 2.5%) [4]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戰爭) 에 따른 긴장(緊張)으로 이들은 모두 아제르바이잔으로 이주(移住)하였다. 그 반대(反對)로 아르메니아는 아제르바이잔에서 넘어온 아르메니아인 피난민(避難民)들을 받아들였고, 이는 아르메니아의 단일적(單一的) 특성(特性)을 가져왔다.

언어(言語) [ 편집(編輯) ]

아르메니아 문자(文字) 를 쓰는 아르메니아어(語) 가 유일(唯一)한 공용어(公用語) 이다.

러시아 제국(帝國) 소비에트 연방(聯邦) 의 통치(統治)를 200여년간(餘年間) 받은 영향(影響)으로 러시아어(語) 가 널리 쓰이며 사실상(事實上) 제(第)2언어(言語)로 간주(看做)된다. 2013년(年) 조사(調査)에 따르면, 아르메니아인의 95%가 러시아어(語) 지식(知識)이 있다고 말했다. (24%는 상급(上級), 59%는 중급지식(中級知識)) 영어(英語) 지식(知識)이 있다고 말한 사람은 40%였다. (4%는 상급(上級), 16%는 중급(中級), 20%는 기초지식(基礎知識)) 그러나 성인(成人)의 50%는 영어(英語)를 공립중등학교(公立中等學校)에서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하며, 러시아어(語)를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44%였다.). [5] 옆나라 아제르바이잔과 마찬가지로 실제로(實際로)는 아르메니아에서 러시아어(語)도 흔하게 사용(使用)되며 홈페이지에서는 주로(主로) 영어(英語), 아르메니아어(語)와 함께 나온다. 한편(한便) 아르메니아는 프랑코포니 의 참관국(參觀局)이다.

종교(宗敎) [ 편집(編輯) ]

종교(宗敎) 구성(構成) (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 정교회(正敎會)
  
92.5%
그 외(外) 기독교(基督敎)
  
2.3%
야지디교(校)
  
0.8%
기타
  
0.4%
무종교(無宗敎)
  
4.0%
아르메니아인의 성산(城山)(聖山)인 아라라트산 은, 성서(聖書) 에 따르면 대홍수(大洪水)가 끝났을 때 노아의 방주(方舟) (方舟)가 표착(漂着)(漂着)한 곳이라고 한다. 이 산(山)을 바라보는 코르 비랍(非臘) 수도원(修道院)은 7세기(世紀)에 세워졌다.

인구(人口)의 92.5%가 기독교(基督敎) 의 일파(一派)인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敎會) (司徒敎會: Armenian Apostolic Church)를 믿는다. 시리아 정교회(正敎會) , 콥트 정교회(正敎會) 에 비해 의례적(儀禮的)이고 보수적(保守的)인 면(面)이 강(强)하다. [6] 아르메니아는 이슬람교(이슬람敎) 국가(國家)의 침입(侵入)을 받았으면서도 그 영향력(影響力)이 오히려 역(逆)으로 되었기에 정교회(正敎會) 문화(文化)를 지킬 수 있었던 것이다.

그 외(外) 종교(宗敎)는 기타 기독교(基督敎) 종파(宗派)(아르메니아 복음교회(福音敎會), 아르메니아 가톨릭교회 등(等)) 2%, 야지디교(校) 0.8%이다.

문화(文化) [ 편집(編輯) ]

문헌화(文獻化)된 아르메니아 문학(文學)의 역사(歷史)는 AD 5세기(世紀)부터 시작(始作)된다. 사(社)야트 노바 (1712∼1795)의 연가(戀歌)(戀歌)가 아직도 애송(愛誦)되고 있다. 오늘날에는 작곡가(作曲家) 아람 하차투리안 의 작품(作品)이 세계적(世界的)으로 명성(名聲)을 얻고 있고 아르메니아 태생(胎生)의 화가(畫家) 아르실레 고르키 의 그림 또한 세계적(世界的)으로 유명(有名)하다. 문화(文化) 기관(機關)으로는 국립(國立) 오페라·발레 학술극장(學術劇場)과 몇 개(個)의 연극(演劇) 공연장(公演場), 어린이와 교향악단(交響樂團) 전용극장(專用劇場), 예레반영화사(映畫社) 등(等)이 있다. 양탄자(洋탄자) 제조(製造)와 전통(傳統) 민속공예도(民俗工藝度) 활발(活潑)하다.

스포츠 [ 편집(編輯) ]

현재(現在) 인테르 밀란 소속(所屬)의 헨리크 미키타리안 이 이 나라 출신(出身)이다.

국민투표(國民投票)를 통한 개헌(改憲) 추진(推進)과 선거(選擧) 부정(不正) [ 편집(編輯) ]

2015년(年) 12월(月) 6일(日) 아르메니아에서는 내각총리(內閣總理) 권한(權限)을 확대(擴大)하는 대신(代身) 대통령(大統領) 직무(職務)를 의례적(儀禮的)인 역할(役割)에 한정(限定)하는 것을 골자(骨子)로 하는 국민(國民) 투표(投票)가 개최(開催)되었다. 이 개헌(改憲) 투표(投票)에서 63.5%가 찬성(贊成)하여 아르메니아는 대통령(大統領)이 아닌 총리(總理)가 이끄는 정부(政府) 체제(體制)가 된다. 의회(議會)가 선출(選出)하는 대통령(大統領)은 현행(現行) 5년(年)에서 7년(年) 단임(單任) 전환(轉換), 국내외(國內外) 행사(行事)에서만 주재(主宰)한다. 결국(結局) 세르지 사르키샨 (Serz Sargsyan) 대통령(大統領)에게 날개를 달아주는 개헌(改憲) 추진(推進)으로 그는 2018년(年)에 내각총리(內閣總理)가 될 수 있었다. 하지만 과거(過去) 진행(進行)되었던 선거(選擧)와 마찬가지로 이번(이番) 국민(國民) 투표(投票)에서도 투표(投票) 매수(買收)나 부정확(不正確)한 투표자(投票者) 명부(名簿), 감시자(監視者)와 언론(言論)에 대(對)한 물리적(物理的) 폭력(暴力)을 포함(包含)한 부정행위(不貞行爲)가 만연(蔓延)했다. 야당의원(野黨議員)들과 시민활동가(市民活動家)를 중심(中心)으로 이런 문제점(問題點)을 지적(指摘)하는 시위(示威)가 확산(擴散)되고 있다 [7] . 결국(結局) 사르키샨은 얼마 안가 총리직(總理職)에서 자진(自進) 사퇴(辭退)하였다. 이후(以後) 야권(野圈) 운동가(運動家) 출신(出身) 니콜 파시냔이 후임(後任) 총리(總理)로 취임(就任)했다.

대외(對外) 관계(關係) [ 편집(編輯) ]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사전(大百科事典) 》〈 아르메니아
  2. 아르메니아 야권(野圈), 대선결과(大選結果) 불복(不服) 대규모(大規模) 시위(示威)
  3. 아르메니아 국민투표(國民投票), 63% '총리(總理) 중심(中心) 개헌(改憲) 찬성(贊成)' Archived 2015년(年) 12월(月) 11일(日) - 웨이백 머신 , 뉴시스 2015.12.7.
  4. (러시아어(語)) The All-Union Population Census of 1989 . Demoscope.ru
  5. “The South Caucasus Between The EU And The Eurasian Union” (PDF) . 《Caucasus Analytical Digest #51-52》. Forschungsstelle Osteuropa, Bremen and Center for Security Studies, Zurich. 2013년(年) 6월(月) 17일(日). 22?23쪽. ISSN   1867-9323 . 2013년(年) 10월(月) 2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PDF)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3년(年) 7월(月) 3일(日)에 확인(確認)함 .  
  6. “The Armenian Apostolic Church (World Council of Churches)” .  
  7. ASIA-PACIFIC CENTER FOR SECURITY STUDIES (2008년(年) 1월(月) 1일(日)). “Asia-Pacific Center for Security Studies Annual Report 2008” . Fort Belvoir, VA.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