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박종홍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박종홍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박종홍
朴鍾鴻
대한민국(大韓民國) 대통령(大統領) 비서실(祕書室) 교육문화담당(敎育文化擔當) 특별보좌관(特別補佐官)
임기(任期) 1969년(年) 11월(月) 30일(日) ~ 1972년(年) 1월(月) 31일(日)
대통령(大統領) 박정희(朴正熙) 대한민국(大韓民國) 대통령(大統領)
총리(總理) 정일권 대한민국(大韓民國) 국무총리(國務總理)
백두진 대한민국(大韓民國) 국무총리(國務總理)
김종필(金鍾泌) 대한민국(大韓民國) 국무총리(國務總理) 서리(署理)
김종필(金鍾泌) 대한민국(大韓民國) 국무총리(國務總理)
장관(長官) 김정렴 대한민국(大韓民國) 대통령(大統領) 비서실(祕書室) 실장(室長)

신상정보(身上情報)
출생일(出生日) 1903년(年) 7월(月) 1일(日) ( 1903-07-01 )
출생지(出生地) 대한제국(大韓帝國) 평안남도(平安南道) 평양(平壤)
사망일(死亡日) 1976년(年) 3월(月) 17일(日) ( 1976-03-17 ) (72세(歲))
사망지(死亡地) 대한민국(大韓民國)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국적(國籍) 대한민국(大韓民國)
경력(經歷)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명예교수(名譽敎授)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 석좌교수(碩座敎授)
한양대학교 석좌교수(碩座敎授)
정당(正當) 무소속(無所屬)
본관(本館) 평산 (平山)
종교(宗敎) 유교(儒敎) ( 성리학(性理學) ) → 개신교(改新敎) ( 침례회 )

박종홍 (朴鍾鴻, 1903년(年) 7월(月) 1일(日) ~ 1976년(年) 3월(月) 17일(日) )은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교육자(敎育者), 철학자(哲學者) , 사상가(思想家)이며, 호(號)(號)는 열암(冽巖)이다. 서울대학교 철학과(哲學科) 교수(敎授), 대통령(大統領) 교육문화담당(敎育文化擔當) 특별보좌관(特別補佐官) 등(等)을 역임(歷任)했다. 안호상 등(等)과 함께 국민교육헌장(國民敎育憲章) 을 기초하고 제정(制定)하는 데 참여(參與)하였다.

1920년(年) 평양고보(平壤高普) 졸업(卒業) 후(後) 교사(敎師)로 교단(敎壇)에 섰다. 광복(光復) 이후(以後)에는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문리과대학(文理科大學) 교수(敎授), 문학부장(文學副長), 문리과대학(文理科大學) 대학원장(大學院長) 등(等)을 역임(歷任)했으며 그밖에 독일(獨逸) 철학(哲學) 관념론(觀念論) 의 영향(影響)을 받아 실존주의(實存主義), 분석철학(分析哲學), 한국(韓國) 철학(哲學) 등(等) 다양(多樣)한 분야(分野)를 연구(硏究), 섭렵(涉獵)했다. 그밖에 철학(哲學) 관련(關聯) 저술(著述) 집필(執筆)을 하였다. 박정희(朴正熙) 집권(執權) 이후(以後) 교육문화담당(敎育文化擔當) 특별보좌관(特別補佐官)이 되었다. 그밖에 그는 조선(朝鮮) 시대(時代)의 성리학(性理學) 자(者)들의 정신세계관(精神世界觀)에 대(對)한 연구(硏究)도 하였다.

생애(生涯) [ 편집(編輯) ]

보통학교(普通學校), 고등학교(高等學校) 교사(敎師) 생활(生活) [ 편집(編輯) ]

광무(光武) 7년(年)( 서기(書記) 1903년(年) ) 평안남도(平安南道) 평양부 에서 태어났다.

1920년(年) 평양고등보통학교(平壤高等普通學校)를 졸업(卒業)하고 바로 교원(敎員) 임용시험(任用試驗)에 바로 합격(合格), 1921년(年) 18세(歲)에 전라남도(全羅南道) 교육청(敎育廳)에 발령(發令)되어 최연소(最年少) 교사(敎師)가 되었다. 1921년(年) 3월(月) 1학기(學期)부터 보성보통학교(寶城普通學校)에서 교사생활(敎師生活)을 시작(始作)하면서, 1922년(年) 잡지(雜誌) 《개벽(開闢) 開闢》지(誌)에 <한국미술사(韓國美術史)>를 연재(連載)하였다. 그 해에 대구(大邱) 수창보통학교(首唱普通學校) 교사(敎師)로 옮겼고, 1924년(年) 철학논문(哲學論文) '퇴계(退溪)의 교육사상(敎育思想)'을 발표(發表)하였다. 1926년(年) 고등보통학교(高等普通學校) 교사자격검정시험(敎師資格檢定試驗)에 합격(合格)하여 대구고등보통학교(大邱高等普通學校) 교사(敎師)로 봉직(奉職)하였으며, 1929년(年)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學部) 철학과(哲學科)에 진학(進學)하여 칸트 헤겔 철학(哲學) 공리주의(功利主義) 를 연구(硏究)하였다. 1932년(年) 경성제국대학 철학과(哲學科)를 졸업(卒業)하고, 경성제국대학 대학원(大學院) 철학과(哲學科)로 진학(進學)했다.

1933년(年) 잡지(雜誌) 《철학(哲學)》지(誌)에 '철학(哲學)하는 것의 출발점(出發點)에 관(關)한 일(一)의 문(問)'을 발표(發表)하고, 1934년(年) 경성제국대학 대학원(大學院)에서 철학(哲學) 석사(碩士) 학위(學位)를 받았다. 그해 경성제국대학 대학원(大學院) 졸업(卒業)과 동시(同時)에 모교(母校)인 경성제국대학 철학과(哲學科)의 조교(助敎)가 되었다.

대학(大學) 교수(敎授) 생활(生活)과 저술(著述) 활동(活動) [ 편집(編輯) ]

1935년(年) 이화여자전문학교(李花女子專門學校) 강사(講師)로 옮겼고 다시 경성제국대학 철학과(哲學科) 강사(講師)로도 출강(出講)하였다. 1937년(年) 이화여자전문학교(李花女子專門學校) 문과(文科) 철학교과(哲學敎科) 담당(擔當) 교수(敎授), 1939년(年) 이화여전 문과(文科) 과장(課長)을 역임(歷任)하였다.

1940년(年)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학무국(學務局)으로부터 창씨개명(創氏改名) 령(齡)이 떨어지고 유예기간(猶豫期間)을 거친 뒤 1941년(年) 창씨개명(創氏改名)이 단행(斷行)되자, 그는 자기(自己) 소신(所信)을 공개적(公開的)으로 밝혀 조선인(朝鮮人)에게는 조선인(朝鮮人)의 것이 최고(最高)라며 창씨개명(創氏改名)을 거부(拒否)하였다. 이후(以後) 일체(一切)의 정치적(政治的)인 활동(活動)을 삼가고 학문(學問) 연구(硏究)와 교육(敎育) 활동(活動), 독서(讀書) 장려(奬勵) 운동(運動), 문풍(文風) 진작에 진력(盡力)하였다.

1945년(年) 경성대학 교수(敎授)가 되고, 광복(光復) 후(後)부터는 본격적(本格的)인 저술활동(著述活動)을 시작(始作)하여, 그 동안 《일반논리학》(1948)·《인식논리학(認識論理學)》(1953)·《철학개론강의(哲學槪論講義)》(1953)·《철학개설(哲學開設)》(1954)·《지성(知性)의 방향(方向)》(1956)·《철학적(哲學的) 모색(摸索)》(1959)·《새날의 지성(知性)》(1962)·《현실(現實)과 구상(構想)》(1963)·《지성(知性)과 모색(摸索)》(1967)·《한국(韓國)의 사상적(思想的) 방향(方向)》(1968)·《한국사상사(韓國思想史)-불교사상편(佛敎思想便)-≫(1972)·《지각(知覺)과 의욕(意欲)》(1972) 등(等) 많은 저작(著作)을 남겼다.

서울대학교 교수(敎授) 활동(活動) [ 편집(編輯) ]

1946년(年) 경성대학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로 교명(校名)을 변경(變更)하면서 서울대학교(大學校) 문리과대학(文理科大學) 교수(敎授)가 되어 1968년(年) 까지 봉직(奉職)했다. 이후(以後) 1968년(年) 정년퇴직(停年退職) 때까지 그는 서울대학교(大學校) 문리과대학(文理科大學) 문학부장(文學副長), 대학원장(大學院長) 등(等)을 역임(歷任)하면서 인재양성(人材養成)에 힘썼다.

한국(韓國) 전쟁(戰爭) 으로 피난(避難)갔다가 1952년(年) 다시 서울 로 돌아와 칼럼, 강연(講演) 활동(活動)을 계속(繼續)하였으며 1953년(年) 학술원(學術院) 회원(會員)이 되고 그해 종신회원(終身會員)으로 피선(被選)되었으며 1954년(年) 한국철학회(韓國哲學會) 회장(會長)이 되었다. 서울대학교 교수(敎授)로 봉직(奉職)하면서 그는 한국철학회장(韓國哲學會長), 한국사상연구회장(韓國思想硏究會長), 학술원(學術院) 회원(會員), <국민교육헌장(國民敎育憲章)> 기초위원(基礎委員) 등(等)을 겸직(兼職)하였다.

1960년(年) <부정(不正)에 관(關)한 연구(硏究)>로 서울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哲學博士學位)를 받았다. 1964년(年) 한국사상연구회(韓國思想硏究會) 회장(會長)이 되었다.

퇴임(退任) 이후(以後) [ 편집(編輯) ]

1968년(年) 정년퇴직(停年退職) 후(後)에도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명예교수(名譽敎授)에 초빙(招聘)되었고 1968년(年)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留學大學) 학장(學長)과 1969년(年) 유학대학원장(遊學大學院長), 도산서원장(書院腸)(陶山書院長), 1970년(年) 한양대학교 문과대학(文科大學) 학장(學長) 등(等)을 두루 역임(歷任)하면서 학술활동(學術活動)과 언론(言論) 활동(活動), 강연(講演) 활동(活動), 사회(社會) 활동(活動)을 계속(繼續)하였다. 그는 직접(直接) 서울과 산골(山골) 오지(奧地)까지 손수 자기(自己) 차량(車輛)과 자비(自費)를 부담(負擔)하여 다니면서 인문학(人文學)의 필요성(必要性)과 철학(哲學)이 무엇인가를 직접(直接) 강연(講演)하여 인문학(人文學)의 중요성(重要性)과 독서(讀書)의 필요성(必要性)을 설파(說破)하고 다녔다. 1970년(年) 12월(月)에는 대통령(大統領) 교육문화담당(敎育文化擔當) 특별보좌관(特別補佐官)에 임명(任命)되었으며 문화훈장(文化勳章) 대통령장(大統領章)을 받았다.

초등학교(初等學校)에서 중학교(中學校)를 거쳐 대학교(大學校)에 이르기까지 일생(一生)을 오직 후진교육(後進敎育)에 바치면서, 또한 학자(學者)로서 저술활동(著述活動)을 통하여 철학(哲學)과 정치(政治) 분야(分野)에 대(對)해 업적(業績)을 남겼다. 또한 생활(生活)의 불편(不便)과 생계(生計)를 이유(理由)로 외면당하던 철학(哲學)에 대(對)한 관심(關心)을 다시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최후(最後) [ 편집(編輯) ]

76년(年)에는 병(病)으로 거동(擧動)이 불편(不便)하였으나 청와대(靑瓦臺)로 출근(出勤)하였다. 대통령(大統領) 박정희(朴正熙) 는 특별히(特別히) 그에게 자택(自宅)에서 구두와 유선(有線)으로 자신(自身), 혹은(或은) 청와대(靑瓦臺) 관료(官僚)들과 대담(大膽)하는 것을 허락(許諾)하였으나, 그는 관리(管理)된 도리(道理)로 자택(自宅)에 있을 수 없다며 출근(出勤)을 강행(强行)했다. 1976년(年) 3월(月) 17일(日) 대통령(大統領) 특별보좌관(特別補佐官) 재직(在職) 중(中) 노환(老患)과 과로(過勞) 로 병사(病死)하였다. 사후(事後) 국민훈장(國民勳章) 무궁화장(無窮花腸)이 추서(追敍)되었다.

학술(學術), 교육활동(敎育活動) [ 편집(編輯) ]

호(號)는 열암이고 평양(平壤) 출생(出生)이다. 평양고등보통학교(平壤高等普通學校)를 졸업(卒業)(8회(回)로, 함석헌 , 양주동 과(科) 동기(動機))하고 19세(歲)에 교사(敎師)에 임용(任用)되어 전남(全南) 보성보통학교(寶城普通學校)에서 교사생활(敎師生活)을 시작(始作)하였다. 이후(以後) 대구고등보통학교(大邱高等普通學校) 교사(敎師)를 거쳐 경성제대(京城帝大) 철학과(哲學科)에서 학사(學事), 석사학위(碩士學位)를 받고 이화여전 강사(講師)로 임용(任用)된 후(後) 서울대 철학과(哲學科) 교수(敎授)로 정년퇴임(停年退任)할 때까지 40여(餘) 년간(年間) 교육활동(敎育活動)을 하였으며 [1] 이화여전, 경성제대(京城帝大), 서울대(서울大) 교수(敎授), 학술원(學術院) 회원(會員) 등(等)을 역임(歷任)했다. [2] 1961년(年) 5ㆍ16 군사(軍士) 정변(政變) 후(後) 박정희(朴正熙) 국가재건최고회의(國家再建最高會議) 기획위원(企劃委員), 국민교육헌장(國民敎育憲章) 기초위원(基礎委員)으로 임명(任命)되어 일제(日帝)의 교육칙어(敎育勅語)를 본떠 만든 국민교육헌장(國民敎育憲章) 기초(基礎)에 일익(一翼)을 담당(擔當)하게 되었다. [1] 1922년(年) 개벽(開闢) ≫지(誌)에 〈한국미술사(韓國美術史)〉를 연재(連載)하였다. [3]

기타 [ 편집(編輯) ]

1970년(年) 애그뉴 미국(美國) 부통령(副統領) 방한(訪韓) 이후(以後) 김정렴 비서관(祕書官)은 박정희(朴正熙) 에게 국제정치담당(國際政治擔當) 특별보좌관(特別補佐官) 신설(新設)을 건의(建議)했다. 국제정치분야(國際政治分野) 뿐 아니라 국내(國內)의 정치(政治), 문화(文化)와 교육(敎育), 경제(經濟), 사회(社會) 등(等) 각(各) 분야(分野)의 실력(實力)있고 덕망(德望)있는 인사(人事)를 특별보좌관(特別補佐官)으로 기용(起用)하여 사회(社會) 각계(各界)의 아이디어와 여론(輿論)을 수렴(收斂)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하였다. [4] 박정희(朴正熙)는 특별보좌관(特別補佐官)에 가급적(可及的)이면 기성(旣成)의 대가(代價)보다는 한참 연구성과(硏究成果)를 올리는 젊은 교수(敎授)와, 병역해당자(兵役該當者)에 있어서는 병역(兵役)을 필(畢)한 인사(人士) 중(中)에서 대학별(大學別), 출신지별(出身地別) 안배(按排)도 고려(考慮)해서 기용(起用)하라고 하였고, 김정렴은 1968년(年) 12월(月) 5일(日) 국민교육헌장(國民敎育憲章)을 반포(頒布)하는 데 참여(參與)한 50여(餘) 명(名)의 학자(學者)를 수소문(搜所聞)하던 중(中) 박종홍을 특별보좌관(特別補佐官)으로 추천(推薦)하였다. [5]

1970년(年) 12월(月) 10일(日) 대통령(大統領) 교육(敎育) 문화담당(文化擔當) 특별보좌관(特別補佐官) 이 되었다. [2] [6] 김정렴 은 혜화동 박종홍(朴鍾鴻)의 자택(自宅)을 직접(直接) 찾아 특보제도(特報制度)의 목적(目的)과 박정희(朴正熙)의 뜻을 전(傳)하였으나 박종홍(朴鍾鴻)은 고령(高齡)이라는 이유(理由)와 밤새 연구(硏究)하고 새벽에 취침(就寢)하는 생활습관(生活習慣)을 들어 김정렴의 추천(推薦)을 사양(辭讓)하였다. 그러나 박정희(朴正熙) 가 박(朴) 선생(先生)에 한해서는 오후(午後)에 출근(出勤)해도 좋으니 꼭 모셔오라고 지시(指示)한 것을 김정렴에게 전달(傳達)받자 박종홍(朴鍾鴻)은 특별배려(特別配慮)를 전(傳)해듣고 보좌관직(補佐官職)을 승낙(承諾), 첫날부터 일반(一般) 공무원(公務員)과 같은 시간(時間)에 출근(出勤)하였다. [5] 대통령(大統領) 특별보좌관(特別補佐官)에 취임(就任)한 얼마 후(後) 박종홍(朴鍾鴻)은 박정희(朴正熙) 에게 국민(國民) 정신문화(精神文化)의 계도(啓導)와 연구(硏究), 진흥(振興)을 위한 목적(目的)의 국민정신연구원(國民精神硏究院) 설립계획서(設立計劃書)를 작성(作成)하여 김정렴에게 협조(協助)를 구(求)하고 박정희(朴正熙)에게 건의(建議)하였다. [7]

사상가(思想家)이자 민족운동(民族運動)으로는 한국(韓國) 사상(思想) 연구(硏究)가 전무(全無)하던 1972년(年) 여름에 박종홍(朴鍾鴻)은 한국사상(韓國思想)에 무관심(無關心)한 당대(當代)의 지식인(知識人)들을 질타(叱咤)하는 글을 <한국사상사(韓國思想史)>에 발표(發表)하였다. [1] 1968년(年) 안호상 등(等)과 함께 국민교육헌장(國民敎育憲章) 수립(樹立)에 참여(參與)하였다.

사후(事後) [ 편집(編輯) ]

교육문화담당(敎育文化擔當) 특별보좌관(特別補佐官)으로 국민정신연구원(國民精神硏究院) 설립(設立)은 반드시 성취(成就)하고자 하였으나 국가재정(國家才情) 상(上) 실현(實現)하지 못하였다. 그 후(後) 박정희(朴正熙)는 헬리콥터와 자동차편(自動車便)으로 후보지(候補地)를 물색(物色), 탐사(探査)한 뒤 1978년(年) 6월(月) 경기도(京畿道) 판교(板橋)와 안양(安養)으로 가는 길목인 국사봉 기슭 현(現) 위치(位置)에 박종홍(朴鍾鴻)의 유지(有志)대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을 창립개관(創立開館)하였다. [8] 사후(事後) 박정희(朴正熙)는 내각(內閣)에 특별(特別) 지시(指示)를 내려 국민훈장(國民勳章) 무궁화장(無窮花章)의 추서(追敍)를 손수 지시(指示)하였다 [9]

상훈(賞勳) 경력(經歷) [ 편집(編輯) ]

  • 한국학술원상(韓國學術院賞)
  • 1970년(年) 12월(月) 대한민국문화훈장(大韓民國文化勳章) 대통령장(大統領章)
  • 3·1문화상(文化相)
  • 국민훈장(國民勳章) 무궁화장(無窮花章)

평가(評價)와 비판(批判) [ 편집(編輯) ]

열암기념사업회(記念事業會)의 소광희 서울대 철학과(哲學科) 명예교수(名譽敎授)는 박종홍을 '한국철학(韓國哲學) 연구(硏究)의 개척자(開拓者)'로 평가(評價)하였다. [1] 일생(一生)을 학문(學問)에 바쳤던 경건(敬虔)한 삶과 독실(篤實)한 인품(人品)에 수많은 제자(弟子)가 존경(尊敬)했다고도 한다. [10] 한국(韓國) 실존주의(實存主義)의 효시(嚆矢)라는 평가(評價)도 있다. [11] 김정렴은 서양(西洋)의 철학사상(哲學思想)을 우리나라에 올바로 소개(紹介)했고 한국(韓國) 사상연구(思想硏究)를 본격적(本格的)으로 체계화(體系化)했으며 이퇴계(李退溪)와 이율곡(李栗谷)의 학문(學問)에 정통(精通)했고 실학(實學)을 깊이 수용(受容)했다고 하였다. [5]

박정희(朴正熙) 정부(政府)에 참여(參與)하였다 하여 반대편(反對便)으로부터 국민교육헌장(國民敎育憲章) 파시즘 적(敵) 문서(文書)라는 혹평(酷評)을 받기도 하였고, 박정희(朴正熙) 정부(政府)에서 활동(活動)한 경력(經歷)을 놓고 군부독재(軍部獨裁)에 협력(協力)한다, 박정희(朴正熙)의 푸들이라는 비판(批判)을 받기도 하였다. [2] 그러나 열암 박종홍(朴鍾鴻)의 초기(初期) 철학(哲學) 사상(思想)을 발표(發表)한 경남대 김재현 교수(敎授)는 우리의 전통(傳統) 철학(哲學)과 서양(西洋) 철학(哲學)을 종합(綜合)하려 시도(試圖)했던 박(朴) 교수(敎授)의 철학(哲學)에 대(對)한 연구(硏究)는 한국현대철학(韓國現代哲學)의 역사적(歷史的) 연구(硏究) 뿐만 아니라 한국(韓國) 지성사(知性史)의 이해(理解)를 위해서도 필수적(必須的)인 작업(作業)이라 하며 그에 대(對)한 비판(批判)은 신중해야 한다고 하였다. [2]

물질(物質)에 매진(邁進)했던 박정희(朴正熙)가 정신문화(精神文化) 연구원(硏究院)을 만들었다는 것 자체(自體)가 방향(方向)의 전환(轉換)이었다. 문제(問題)는 정신(精神) 문화(文化)가 거기에 모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박종홍(朴鍾鴻)의 또 하나의 실패(失敗)는 제자(弟子)를 키우지 못 했다는 것이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우리 시대(時代)의 명저(名著) 50)<44> 박종홍(朴鍾鴻)의 '한국사상사(韓國思想史)', 한국일보(韓國日報) 2007년(年) 11월(月) 7일(日) 기사(記事)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2. “동아(東亞) 문화(文化)” . 2004년(年) 12월(月) 14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8년(年) 7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3. 박종홍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김정렴 , 《아! 박정희(朴正熙)》( 중앙(中央)M&B , 1997) 29, 30쪽 참조(參照).
  5. 김정렴 , 《아! 박정희(朴正熙)》( 중앙(中央)M&B , 1997) 30쪽 참조(參照).
  6. 김정렴 , 《아! 박정희(朴正熙)》( 중앙(中央)M&B , 1997) 29,30쪽 참조(參照).
  7. 김정렴 , 《아! 박정희(朴正熙)》( 중앙(中央)M&B , 1997) 30,31쪽 참조(參照).
  8. 김정렴 , 《아! 박정희(朴正熙)》( 중앙(中央)M&B , 1997) 31,32쪽 참조(參照).
  9. 김정렴 , 《아! 박정희(朴正熙)》( 중앙(中央)M&B , 1997) 32쪽 참조(參照).
  10. 권력(權力) 참여(參與) 지식인(知識人)이 '실패(失敗)'하지 않으려면
  11. 우리들의 일그러진 실천철학(實踐哲學) : 책(冊) : 문화(文化) : 뉴스 : 한겨레

참고(參考) 문헌(文獻) [ 편집(編輯) ]

  • 박종홍, 지성(知性)의 방향(方向) (백영사(白靈沙), 1956)
  • 박종홍, 한국(韓國)의 사상적(思想的) 방향(方向) (박영사, 1968)
  • 일지사, 스승의 길(일지사, 1977)
  • 손인수, 한국교육사상가평전(韓國敎育思想加平展) Ⅱ(문음사, 1990)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