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미녀(美女)들의 수다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미녀(美女)들의 수다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미녀(美女)들의 수다
장르 예능(藝能)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KBS 2TV
방송(放送) 기간(期間) 2006년(年) 11월(月) 26일(日) ~ 2010년(年) 5월(月) 3일(日)
방송(放送) 시간(時間) 역대(歷代) 방송시간(放送時間) 참조(參照)
방송(放送) 시즌 2
방송(放送) 횟수(回數) 172부작(部作)
기획(企劃) 권용택 (총괄(總括)프로듀서)
책임(責任)프로듀서 이기원
(KBS 예능운영(藝能運營)팀)
제작(製作) KBS 예능본부(藝能本部)
연출(演出) 유웅식
김필준
하태석
고민구
정희섭
전진학
각본(脚本) 오경석
이현숙
백윤정
채우리
구성(構成) 배상옥
김아름
진행자(進行者) 남희석(南希奭)
엄지인
여는 곡(曲) S Club 7 - Bring It All Back
(1회(回) ~ 64회(回), 87회(回) ~ 158회(回))
모노토닉 - Krazy
(65회(回) ~ 86회(回))
다비나 - Fly Like an Angel
(159회(回) ~ 172회(回))
닫는 곡(曲) Charlotte Perrelli - Take Me To Your Heaven
음성(陰性) 수도권(首都圈)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
( 아날로그 )
2채널 돌비(돌碑) 디지털
( 디지털 )
비 수도권(首都圈)
1채널 모노 사운드
( 아날로그 )
2채널 돌비(돌碑) 디지털
( 디지털 )
자막(字幕) 청각(聽覺) 장애인(障礙人)을 위한 자막(字幕) 방송(放送)
HD 방송(放送) 여부(與否) HD 제작(製作)·방송(放送)
후편(後篇) 쾌적한국(快適韓國) 미수다

미녀(美女)들의 수다 》는 2006년(年) 11월(月) 26일(日) 부터 2010년(年) 5월(月) 3일(日) 까지 방송(放送)된 예능(藝能) 프로그램 이다.

진행(進行) 방식(方式) [ 편집(編輯) ]

프로그램 기본(基本) 구성(構成) [ 편집(編輯) ]

외국인(外國人) 여성(女性) 16명(名)과 진행자(進行者)인 남희석(南希奭) , 그리고 남자(男子) 패널 다섯 명(名)이 출연(出演)하여 방송(放送)이 진행(進行)되었으며, 2008년(年) 100회(回) 특집(特輯)부터 남자(男子) 패널에서 여자(女子) 패널 6명(名)으로 변경(變更)되었다. [1]

방송(放送) 초기(初期)(첫 방송(放送)~51회(回) 방송(放送))에는 정(定)해진 주제(主題)에 따라 앙케트를 통(通)한 토크 형식(形式)으로 진행(進行)되었다.

42회(回) 방송(放送)( 2007년(年) 9월(月) 3일(日) 방송(放送))부터는 릴레이 토크, "줄줄이 말해요"라는 제목(題目) 아래 출연자(出演者) 전원(全員)이 주제(主題)에 맞춰 빈 칸에 자신(自身)의 체험(體驗)이나 생각을 말하면서 발언(發言)에 따른 대화(對話) 방법(方法)이 도입(導入)되었고, 52회(回) 방송(放送)( 2007년(年) 11월(月) 19일(日) 방송(放送))부터는 처음부터 이 방법(方法)에 따라 대화(對話)가 진행(進行)되었다.

74회(回) 방송(放送)( 2008년(年) 4월(月) 28일(日) 방송(放送))부터는 "공통분모(共通分母) 토크 - 순위(順位) 대(臺) 순위(順位)"라는 제목(題目) 아래 출연자(出演者) 40명(名)과 서울의 각(各) 대학(大學) 어학당(語學堂) 학생(學生) 100명(名)이 16명(名) 토크 중(中) 가장 공감(共感)하는 패널들의 토크를 선정(選定)해 1위(位)부터 10위(位)까지의 순위(順位)를 매기는 방식(方式)으로 진행(進行)된다. 다만 진행(進行) 순서(順序)는 10위(位)부터 1위(位)까지이다.

137회(回) 방송(放送)( 2009년(年) 7월(月) 27일(日) 방송(放送))부터는 "글로벌 찬반(贊反) 논쟁(論爭) 쇼 - 뜨거운 감자 [2] Yes No"라는 제목(題目) 아래 지구촌(地球村)에 존재(存在)하는 다양한 문화(文化) 중(中) 대립(對立)이 심(甚)한 주제(主題)로 논쟁(論爭)을 해보는 쇼다. 미녀(美女)들 각자(各自)의 앞에 있는 버튼 [3] 으로 Yes나 No로 입장(立場)을 표현(表現)하고 그에 뒷받침 할 수 있는 의견(意見)을 토로(吐露)한다. "라이벌 열전(列傳)! 세계(世界) 각국(各國)의 자랑거리는?" 코너에서는 자랑거리와 그 자랑거리에 해당(該當)하는 라이벌 되는 국가(國家)를 주제(主題)로 해서 수다를 한다.

138회(回) 방송(放送)( 2009년(年) 8월(月) 3일(日) 방송(放送))부터는 "미녀(美女)詩대(大)"라는 제목(題目) 아래 미녀(美女)들의 한국어(韓國語) 실력(實力)으로 시(時) 를 지어본다.

그 외(外)에도 한 회분(回分)의 방송(放送)을 재치(才致)있는 입담을 과시(誇示)한 외국인(外國人) 패널 한 명(名)을 선정(選定)하기도 한다. 중간중간(中間中間) 쉬어가기 코너로는 60초(秒) 발언대(發言臺), 장기(長技)자랑(개인기(個人技)), 음식문화체험(飮食文化體驗), 문화유물(文化遺物)퀴즈 등(等)이 있으며, 이 부분(部分)은 비정규적(非正規的)으로 방송(放送)했다. 2010년(年) 1월(月) 4일(日) 이후(以後) 공동(共同) MC는 엄지인 아나운서다.

토크 주제(主題) [ 편집(編輯) ]

글로벌 퀴즈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특별(特別)한 냄새, 냄새가 나는 음식(飮食)
    • 핀란드에서 보드카
    • 이탈리아에서 고르곤졸라 치즈
    • 일본(日本)에서 시소 깻잎
    • 중국(中國)에서 샹차이(差異)(香菜-멕시코에서 실란드로)(영국, 프랑스,캐나다에서 커리엔더(Coriander))
  • 동화(童話)와 캐릭터
    • 이탈리아에서 〈피노키오〉의 결말(結末)
    • 독일(獨逸)에서 그림형제(兄弟)가 쓴 동화(童話)
    • 영국(英國)에서 〈로빈후드〉, 〈세인트조지와 공주(公州)〉
    • 일본(日本)에서 도라에몽 캐릭터
    • 핀란드에서 무민 캐릭터
    • 케냐에서 〈사자(獅子)와 토끼〉
  • 시험(試驗) 전날(前날) 먹는 음식(飮食)
    • 일본(日本)에서 돈가스
    • 콜롬비아에서 생선국(生鮮국)
    • 중국(中國)에서 소시지 1개(個)와 계란(鷄卵) 2개(個)
    • 몽골에서 수타차(手打車)
  • 알레르기 유발(誘發) 음식(飮食)
    • 캐나다에서 땅콩(견과류(堅果類))와 향수(鄕愁)
    • 일본(日本)에서 메밀(소바) 국수
    • 독일(獨逸)에서 유제품(乳製品)
    • 태국(泰國)에서 해산물(海産物)
  • 운동경기(運動競技)와 응원(應援)
    • 미국(美國)의 야구찬가(野球讚歌) 《 Take Me Out to the Ball Game
    • 케냐에서 타악기(打樂器)
    • 멕시코에서 올레 올레 올레~ 로 시작(始作)하는 응원가(應援歌)
    • 이탈리아에서 축구(蹴球) 응원가(應援歌)
    • 캐나다에서 아이스하키 응원가(應援歌) "Let's go...Let's go..."
    • 영국(英國)에서 "윔블던 테니스"
    • 콜롬비아 팀전용(專用) 응원석(應援席)과 응원복(應援服)
    • 독일(獨逸)에서 축구경기(蹴球競技)날 맥주(麥酒)가 매진(邁進)
    • 일본(日本)에서 마라톤 중계방송(中繼放送), 일본(日本) 오사카에서 야구(野球) 경기(競技)
    • 프랑스에서 "투르 드 프랑스" 자전거(自轉車) 경기(競技)
    • 이탈리아에서 "투르 드 이탈리아" 자전거(自轉車) 경기(競技)
  • 곁들이는 음식(飮食)
    • 멕시코에서 과일에 고춧가루(피킨 고추)와 소금과 레몬을 맥주(麥酒)에 고춧가루와 얼음과 소금을 즐겨 뿌려 먹는다.
    • 일본(日本)에서 수박에 소금을 뿌려 먹는다. 푸딩에 간장(간醬)을 뿌려 먹으면 성게의 맛과 비슷하다.
    • 핀란드에서 식사(食事)의 처음부터 끝까지 우유(牛乳)를 마신다. 무지방(無地方)을 선호(選好)한다.
    • 캐나다에서 훈제(燻製) 연어(鰱魚),오믈렛, 소시지, 햄에 메이플 시럽을 발라 먹는다.
    • 대만(臺灣)에서 토마토에 간장(간醬)소스(간장(肝腸), 설탕(雪糖), 생강(生薑))을 넣어 먹는다.
    • 태국(泰國)에서 밥에 과일을 섞어 먹는다.(파인애플 볶은밥) 사위가 술 먹은 다음날 장모(丈母)는 해장술(解酲술)과 삶은 달걀 튀김을 해주는 전통(傳統)이 있다. 똠양(量)꿍이라는 수프가 유명(有名)하다.
    • 케냐에서 장모(丈母)가 사위에게 염소고기를 준다.(평소에 쇠고기를 먹고 중요(重要)한 날에는 염소고기를 먹는다.)
  • 결혼식(結婚式) 관습(慣習)
    • 대만(臺灣)에서 신부(新婦)가 부채(負債)를 던진다. 안좋은 습관(習慣)을 버린다는 의미(意味)가 있다.
    • 독일(獨逸)에서 결혼식(結婚式) 전날(前날) 파티에서 도자기(陶瓷器)를 깨뜨린다. 도자기(陶瓷器) 조각이 행운(幸運)을 부른다는 의미(意味)가 있다. 주로(主로) 시청(市廳)에서 결혼식(結婚式)을 하고 혼인신고(婚姻申告)를 바로 한다. 피로연(披露宴) 전(前)에 신부(新婦)의 면사포(面紗布)를 찢어 나눠준다. 면사포(面紗布) 조각을 매단 차량(車輛)들이 경적(警笛)을 울리며 동네(洞네)를 다닌다.
    • 중국(中國)에서 하객(賀客)들에게 담배를 나눠준다. 복(福)과 재물운(財物運)을 가져다 준다는 의미(意味)가 있다.
    • 이탈리아에서 결혼식(結婚式) 전날(前날) 쌀을 던진다. 재물운(財物運)과 다산(多産)을 가져다 준다는 의미(意味)가 있다. 결혼(結婚) 전(前)에 신랑(新郞)이 신부(新婦)의 웨딩드레스를 입은 모습을 보면 결혼(結婚)하지 못한다. 피로연(披露宴)에서 신부(神父)의 눈을 가리고 신랑(新郞)을 찾아내는 놀이를 한다.
    • 영국(英國)에서 결혼(結婚) 전(前)에 신랑(新郞)이 신부(新婦)의 웨딩드레스를 입은 모습을 보면 불운(不運)이 생긴다는 믿음이 있다. 그래서 결혼(結婚) 전(前)에 신랑(新郞)과 신부(新婦)의 결혼식(結婚式) 전의(全義) 웨딩찰영(刹靈)을 하지 않는다.(사진을 찍지 않는다.) 부케를 잡기 위해 신부(新婦)의 미혼(未婚) 친구(親舊)들이 경쟁(競爭)한다. 부케를 잡으면 6개월(個月) 후(後) 결혼(結婚) 할 수 있다는 믿음이 있다.
    • 일본(日本)에서 결혼(結婚) 전(前)에 웨딩드레스를 입으면 노처녀(老處女)가 된다는 믿음이 있다. 태국(泰國)에도 있다.
    • 태국(泰國)에서 아침결혼(結婚)과 저녁결혼(結婚)으로 결혼식(結婚式)이 2회(回)로 나뉘어 있다. 아침에는 신부(新婦)집에서 식(式)을 하고 저녁에는 호텔에서 식(式)을 한다.(서민은 저녁결혼(結婚)을 학교(學校)에서 한다.)
    • 콜롬비아에서 신부(新婦)의 웨딩드레스 속 스타킹 끈을 신랑(新郞)의 친구(親舊) 한 명(名)이 입에 물고 벗기는 관습(慣習)이 있다.
  • 동물(動物)
    • 케냐에 기린(麒麟) 호텔이 있다. 사람과 기린(麒麟)이 함께 호텔을 이용(利用)한다.
    • 중국(中國)의 상징(象徵) 동물(動物)은 판다로 베이징 올림픽 때 마스코트였다.
    • 일본(日本)의 상징(象徵) 동물(動物)은 까마귀로 길조(吉兆)로 행운(幸運)을 가져다 준다고 믿는다.
    • 태국(泰國)의 상징(象徵) 동물(動物)은 코끼리로 신성(神聖)한 동물(動物)로 숭배(崇拜)되며 친밀(親密)하고 사람의 일을 도와준다.
    • 영국(英國)의 상징(象徵) 동물(動物)은 사자(獅子)로 스포츠 클럽이나 정부(政府)의 사자문양(獅子文樣)이 있다.
    • 독일(獨逸)의 상징(象徵) 동물(動物)은 독수리(禿수리)로 지폐(紙幣), 공문서(公文書)에 그림이 있다.
    • 프랑스의 상징(象徵) 동물(動物)은 수닭으로 월드컵 때 수닭인형(人形)으로 응원(應援)했다.
    • 캐나다의 상징(象徵) 동물(動物)은 비버다.
  • 아기(어린이)의 이름
    • 영국(英國)(독일(獨逸), 몽골, 미국(美國), 이탈리아, 캐나다, 프랑스 포함(包含))에서 아기 이름 사전(辭典)을 보고 고른다.
    • 독일(獨逸)에서 소설(小說)이나 영화(映畫)에서 나오는 이름으로 아이의 이름을 짓는다.
    • 태국(泰國)에서 스님이 무료(無料)로 작명(作名)을 해 준다.
    • 영국(英國), 일본(日本)에서 집안에서 부르는 아이의 이름이 별도(別途)로 있었다.
    • 미국(美國), 이탈리아에서 부모(父母)의 이름을 ~ 2세(歲), ~ 주니어를 붙여 물려준다.
    • 케냐에서 사촌간(四寸間)의 이름이 같은 경우(境遇)가 많고 행동(行動), 날씨, 길 이름으로 아이의 이름을 짓는다.
  • "화장실(化粧室) 간다"는 말을 은유적으로 표현(表現)하는 방법(方法)
    • 몽골에서 "말 보러 간다." 라고 한다.
    • 케냐에서 "자연(自然)따라 간다.", "큰집 간다.", "침 뱉으러 간다." 라고 한다.
    • 프랑스에서 "케이크 만들러 간다." 라고 한다.
    • 미국(美國)에서 "쓰레기 버리러 간다.", "폭탄(爆彈) 투하(投下) 하러 간다." 라고 한다.
    • 영국(英國)에서 소변(小便)을 넘버 원, 대변(大便)을 넘버 투 속어(俗語)로 표현(表現)한다.
    • 핀란드에서 "물 뿌리러 간다.", "릴리스 호텔 간다." 라고 한다.
    • 독일(獨逸)에서 "초콜릿 쿠키한테 수영(水泳)을 가르치러 간다." 라고 한다.
    • 이탈리아에서 "팩스 보내러 간다." 라고 한다.
    • 태국(泰國)에서 "팩스 보내러 간다."(대변), "이메일(전자(電子) 우편(郵便)) 보내러 간다."(소변) 라고 한다.
  • 화장실(化粧室) 예절(禮節)
    • 독일(獨逸)에서 사용(使用) 후(後) 문(門)을 열어놔야 한다. 닫아 놓으면 사람이 사용(使用) 중(中)인 줄 알고 문(門) 앞에서 대기(待機)한다. (독일(獨逸), 영국(英國), 유럽, 남미(南美)에서는 노크는 예의(禮儀)가 없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미국(美國)에서는 노크 문화(文化)가 있다.)
    • 태국(泰國)에서 양변기(洋便器) 뚜껑을 열어놔야 한다. 닫혀 있으면 물을 안내렸다는 의미(意味)다.
    • 일본(日本)에서 사용(使用) 후(後) 휴지(休紙)를 삼각형(三角形)으로 접어 놓아야 한다. 다음에 사용(使用)하는 사람이 쉽게 뽑으라는 배려(配慮)다. (최근(最近)에는 위생(衛生) 문제(問題)로 하지 않는다.)
    • 이탈리아, 캐나다에서 대변(大便)이 급(急)할 때 식당(食堂)에서 음료(飮料)를 한잔(盞) 사 먹고 화장실(化粧室)을 이용(利用)할 수 있다.
  • 재활용(再活用)
    • 핀란드, 콜롬비아에서 다른 집이나 가게의 쓰레기통(쓰레기桶)을 뒤져 식품(食品), 의류(衣類), 가정용품(家庭用品) 등(等) 재사용(再使用) 가능(可能)한 물품(物品)을 골라 가져가는 쇼핑이 유행(流行)이다.
    • 중국(中國)에서 빈 병(甁) 수거(收去) 자판기(自販機)가 있고 빈 병(甁)을 넣으면 돈이 나온다.
  • 바람둥이를 의미(意味)하는 동물(動物)
    • 캐나다에서 개,
    • 미국(美國)에서 말로 유혹(誘惑)하면 뱀
    • 이탈리아에서 큰 나비
    • 중국(中國)에서 나비, 수준(水準) 낮은 바람둥이는 토끼, 수준(水準) 높은 바람둥이는 공작새(孔雀새)
    • 케냐에서 카멜레온
  • 국가별(國家別) 유명(有名)한 관광지(觀光地)
    • 이탈리 로마의 "진실(眞實)의 입"은 원래(元來) 하수구(下水溝) 뚜껑이였다.
    • 벨기에의 "오줌싸개 동상(銅像)"
    • 중국(中國)의 진시황(秦始皇) " 병마용(兵馬用) "
    • 콜롬비아의 "소금 성당(聖堂)"
  • 결혼(結婚)
    • 일본(日本)의 연예인(演藝人)의 다수(多數)가 결혼식(結婚式)을 하지 않고 혼인신고(婚姻申告)만 하는 사람이 많다.
    • 대만(臺灣)의 연예인(演藝人)의 다수(多數)가 결혼식(結婚式) 여부(與否)를 알리지 않는다.
    • 중국(中國)에서 혼인신고(婚姻申告)를 먼저하고 결혼식(結婚式)을 한다.
    • 이탈리아에서 성당(聖堂)에서 결혼식(結婚式) 직후(直後) 그자리에서 바로 혼인서약(婚姻誓約)을 한다. 관공서(官公署)에 혼인신고할 필요(必要)가 없다.
    • 태국(泰國)에서 결혼식(結婚式)에 공무원(公務員)이 출장(出張)을 나와 혼인신고(婚姻申告)를 받는다.
  • 자판기(自販機)
    • 영국(英國)에 날씨 자판기(自販機)가 있다. 우비(雨備), 우산(雨傘), 선크림을 자동(自動)으로 판매(販賣)하는 기계(機械)다.
    • 일본(日本)에 곤충(昆蟲), 오뎅, 튀김, 우동, 라면, 쌀, 생계란(生鷄卵), 아이스크림, 맥주(麥酒), 네일아트, 치킨 자판기(自販機)가 있다.
    • 태국(泰國)에 쏨땀(매운 샐러드) 자판기(自販機)가 있다.
    • 프랑스에 꽃다발 자판기(自販機)가 있다.
    • 우크라이나에 사이다 자판기(自販機)가 있다. 유리컵에 사이다가 담겨 나오고 사이다를 먹은 사람은 빈 유리컵을 세척기(洗滌器)에 넣어야 한다.
    • 독일(獨逸)에 자전거(自轉車) 튜브 자판기(自販機)가 있다.
  • 혼날때
    • 태국(泰國)에서 귀엽게 웃는다.
    • 중국(中國)에서 고개를 숙이고 불쌍한 척해야 한다.
    • 독일(獨逸)에서 내색(내色)하지 않고 강(江)한척(隻) 한다.
  • 장례식장(葬禮式場)에 들고 가는 꽃
    • 프랑스에서 카네이션
    • 미국(美國)에서 백합(白蛤)
    • 콜롬비아에서 수선화(水仙花), 붓꽃, 백합(百合)
    • 핀란드에서 카라, 아이비, 카네이션
  • 택시 요금(料金)
    • 에티오피아에서 택시기사(技士)가 정(定)한다.
    • 케냐에서 택시기사(技士)가 정(定)하고 손님과 흥정이 가능(可能)하다. 차(車)가 있으면 누구나 택시영업(營業)을 할 수 있다.
    • 태국(泰國)에서 기본요금(基本料金)이 1천(千)원이고 심야(深夜) 할증요금제(割增料金制)가 없어 저렴(低廉)하다. 한류(韓流)스타를 쫓는 택시가 별도(別途)로 존재(存在)한다.
    • 영국(英國)에서 기본요금(基本料金)이 5천(千)원이고 요금(料金)이 빠르게 증가(增加)한다.
    • 독일(獨逸)에서 기본요금(基本料金)이 8천(千)원정도고(程度高) 요금(料金)이 빠르게 증가(增加)한다. 10배(倍) 정도(程度) 비싸서 대중교통(大衆交通)(버스, 지하철(地下鐵))을 이용(利用)한다.
    • 일본(日本)에서 기본요금(基本料金)이 5천(千) 5백(百)원(후쿠오카), 9천(千)원(도쿄)정도(程度)고 요금(料金)이 빠르게 증가(增加)한다.
    • 프랑스에서 기본요금(基本料金)이 4천(千)원 정도(程度)다.
  • 응급(應急) 전화번호(電話番號)
    • 우크라이나에서 03번(番)이다.
    • 에티오피아에서 99번(番)이다. 범죄신고(犯罪申告)는 92번(番)이다.
    • 프랑스에서 15번(番)이다. 범죄신고(犯罪申告)는 17번(番)이다. 화재신고(火災申告)는 18번(番)이다.
    • 일본(日本)에서 119번(番)이다.
    • 이탈리아에서 전화번호(電話番號) 안내번호(案內番號)가 892480번(番)이다.
  • 스트레스 해소(解消)
    • 중국(中國)에 눈물방(房)이 있다. 7천(千)원정도(程度) 요금(料金)을 부담(負擔)하면 1시간(時間) 동안 마음껏 눈물을 흘릴 수 있다. 눈물방(房)에 고춧가루, 양파(洋파), 유리컵, 인형(人形) 등(等)이 준비(準備)되어 있다.
    • 태국(泰國)에 "LOVE SICK"이라고 쓰여진 방(房)이 있다. 연인(戀人)과 이별(離別)했을 때 헤어진 사람의 사진(寫眞)을 벽(壁)에 붙여놓고 유리컵, 술병(술甁)을 던질 수 있다.
    • 일본(日本)에 길거리에서 돈을 받고 무조건(無條件) 사과(謝過)를 하는 직업(職業)이 있다. 상황(狀況)을 설정(設定)하고 관계자(關係者) 대신(代身)에 욕(辱)을 먹는 사람이다.
  • 집에 있는 특이(特異)한 조형물(造形物)
    • 콜롬비아 집 지붕에는 동상(銅像)이 있다.
    • 독일(獨逸) 집 지붕에는 수탉모양(模樣)의 형상(形象)이 있다.
  • 빈말
    • 일본(日本)에서 "밥 먹고 가라"는 말은 "빨리 집에 가라"는 뜻이다.

방송(放送) 시간(時間) [ 편집(編輯) ]

방송(放送) 채널 방송(放送) 기간(期間) 방송(放送) 시간(時間)
KBS 2TV 2006년(年) 11월(月) 26일(日) ~ 2007년(年) 4월(月) 29일(日) 매주(每週) 일요일(日曜日) 오전(午前) 10시(時) 35분(分)
2007년(年) 4월(月) 30일(日) ~ 2010년(年) 5월(月) 3일(日) 매주(每週) 월요일(月曜日) 밤 11시(時) 5분(分)

패널 [ 편집(編輯) ]

패널 섭외(涉外) 방법(方法) [ 편집(編輯) ]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韓國語學堂) 등(等) 각(各) 대학(大學)의 한국어(韓國語) 교육기관(敎育機關)이나 대학(大學), 외국인(外國人) 모델 에이전시등(等)에서 섭외(涉外)하기도 하며, 시청자(視聽者)들이 외국인(外國人) 여성(女性) 패널을 추천(推薦) [4] 하는 경우(境遇)도 있으며, 외국인(外國人) 여성(女性)이 자진(自進)하여 출연(出演)을 희망(希望)한다고 제작진(製作陣)에게 밝혀오는 경우(境遇)도 있다.

모든 패널은 대한민국(大韓民國) 정부(政府)에 합법적(合法的)인 외국인(外國人) 등록(登錄)이나 대한민국(大韓民國) 국적취득(國籍取得)을 해야만 출연(出演)할 수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大韓民國) 국적(國籍)을 보유(保有)하지 않았을 경우(境遇), 텔레비전 방송(放送) 출연(出演)을 위한 별도(別途)의 비자를 발급(發給)받은 상태(狀態)에서 출연(出演)했다.

출연(出演) 패널 결정(決定) 방법(方法) [ 편집(編輯) ]

출연(出演) 패널 명단(名單) [ 편집(編輯) ]

2009 아시아모델상(上) 시상식(施賞式)에 참석(參席)한 도미니크 노엘, 크리스티나 콘팔로니에리, 베라 나탈리 홀라이터

다음은 방송(放送)에 출연(出演)한 국적별(國籍別) 외국인(外國人) 패널의 명단(名單)이다. 같은 국적(國籍)일 경우(境遇) 첫 출연(出演)일 순서(順序)로 배열(配列)되었으며, 지명도(知名度)나 출연횟수(出演回數)가 다른 패널에 비(比)해 상대적(相對的)으로 낮은 패널의 이름은 회색(灰色)으로 표시(標示)되었다. 이름의 굵은 글씨는 방송(放送)에서 공식적(公式的)으로 부르는 통칭(通稱)이며, 전체(全體) 이름이 알려진 경우(境遇)에는 방송(放送)에서 이름을 줄여쓴다 하더라도 전체(全體) 이름으로 표기(表記)한다. 방송(放送) 진행(進行) 도중(途中) 귀국(歸國)한 것으로 알려진 패널의 경우(境遇)는 이름 옆에 "귀국(歸國)" 문구(文句)가 표시(標示)된다. 또한 직위(職位)는 학생(學生)·회사원등(會社員等)이 아닌 종영당시(終映當時) 공직(公職)에 종사(從事)하는 패널만 수록(收錄)하였다.

아시아 [ 편집(編輯) ]

아프리카 [ 편집(編輯) ]

유럽 [ 편집(編輯) ]

아메리카 [ 편집(編輯) ]

  • 캐나다의 기 캐나다
    • 도미니크 노엘 (Dominique Noel) → 퀘벡주(퀘벡州) 출신(出身), 귀국(歸國)("학업(學業)")
    • 루베이다 던포드(Lu-vada Dunford) <리포터, 방송(放送) 연예인(演藝人) 활동(活動)> 토론토 대학(大學) 철학과(哲學科) 교수(敎授)
    • 다라 맥켄지(Dara McKenzie)
    • 알리샤 위지(魏志)즈(Alecia Widgiz)
    • 제니퍼 맥캔(Jennifer McCann)
    • 제니스 패트리샤 디영(英)(Janiece Patricia de Jong)
  • 미국의 기 미국(美國)
    • 레슬리 벤필드(Leslie Benfield) →미녀(美女)들의 수다 출연(出演) 패널 중(中) 최연장자(最年長者). 귀국(歸國)( 개인사정(個人事情) )
    • 클라라 허츨러(Clara Hutzler)
    • 제인 터너(Jane Turner)
    • 윈터 린 레이먼드(Winter Lynn Raymond)
    • 에리카 시웰(Erika Sewell)
    • 비앙카 모블리 (Bianca Mobley) →어머니가 한국인(韓國人), 한국명(韓國名) 허슬기.
    • 마가렛 호건(Margaret Hogan)
    • 제시카 애브리고(高)(Jessica Abrego) →귀국(歸國)( 학업(學業) )
    • 빅토리아 아이젠스타인(Victoria Eisenstein) → 방송(放送)에서는 비키 로 통칭(通稱).
    • 소냐 헨슬리(Sonia Hensley)
  • 멕시코의 기 멕시코
    • 멜리사 알론소(Melisa Alonzo) →미녀(美女)들의 수다 출연(出演) 경력(經歷)이 없으나 공식(公式) 홈페이지에는 출연자(出演者)로 소개(紹介)되었음.
    • 라우라 크루스(Laura Cruz)
  • 콜롬비아의 기 콜롬비아
    • 탄(彈)티아나 고(高)예스(Tantiana Goyez) →2006년(年) 추석특집(秋夕特輯)에만 출연(出演)하였음.
    • 마르가리타 마르티네스 아라우호(友好) 레스트레포(Margarita Martinez Araujo Restrepo) →안젤라와 이란성(二卵性) 쌍둥이(雙둥이) 자매(姊妹)(언니)
    • 안젤라 마리아 아라우호(友好) 레스트레포(Angela Maria Araujo Restrepo) →마르가리타와 이란성(二卵性) 쌍둥이(雙둥이) 자매(姊妹)(동생)
    • 나탈리아 산체스(Natalia Sanchez)
  • 에콰도르의 기 에콰도르 : 디아나 권(卷)(Diana Kwon, 한국명(韓國名):권다희(權多姬)) →아버지가 한국인(韓國人)
  • 파라과이의 기 파라과이 : 아비가일 아이노암(露巖) 알데레테 칸시안 (Abigail Ahinoam Alderete Cancian)
  • 브라질의 기 브라질
    • 지젤 루나 아라우주(宇宙) 에 실바(Gisele Luna Araujo E Silva)
    • 프란시니 루이지 다 실바(Francini Louizi da Silva)

오세아니아 [ 편집(編輯) ]

미남(美男)들의 수다 [ 편집(編輯) ]

미남(美男)들의 수다는 기존(旣存)의 여성(女性) 패널들을 남성(男性) 패널로 바꾸어 특집(特輯)으로 편성(編成)한 프로그램이다.

미남(美男)들의 수다(2007년(年) 추석특집(秋夕特輯)) 출연(出演) 패널
미남(美男)들의 수다(2008년(年) 설날특집(特輯)) 출연(出演) 패널(추석특집(秋夕特輯) 출연자(出演者) 제외(除外))
2009년(年) 썸머 스페셜 2탄(彈) - 미녀(美女), 미남(美男)을 만나다(과거 출연자(出演者) 제외(除外))

140회(回)(2009년(年) 8월(月) 17일(日)) 방송(放送)에만 외국인(外國人) 남성(男性)을 패널로 출연(出演)해 여름 특집(特輯)으로 편성(編成)한 프로그램이다.

  •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 알베르토 루사(陋舍)나 (Alberto Lussana)
  • 프랑스의 기 프랑스
    • 아드리안 리(리)(Adrien Lee) →아버지가 한국인(韓國人), 한국명(韓國名)은 이준(李儁).
    • 제시(提示) 코르뉘(Jessy Cornu)
  • 미국의 기 미국(美國) : 벤자민 크루거(Benjamin Krueger)
  •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 레날드 카거(Lennard Kager)
  • 일본의 기 일본(日本) :나가타 유키 (永田 勇?)
미남(美男)을 찾아라(과거 출연자(出演者) 제외(除外))

155회(回)(2009년(年) 11월(月) 30일(日))

  • 독일의 기 독일(獨逸) : 파스칼 디오르(Pascal Dior) → 이효리(李孝利) U Go Girl 뮤직비디오 출연(出演), 어머니가 한국인(韓國人).
  • 미국의 기 미국(美國)
    • 데빈 와이팅 크리스토퍼(Devin Whiting Christopher)
    • 저스틴 폴 이스라엘슨 (Justin Paul Israelson)
  • 우크라이나의 기 우크라이나 : 글립 코제먀낀
  • 프랑스의 기 프랑스 : 티보 알방로(房勞) 빌라드
  • 영국의 기 영국(英國) : 안드류 스탄리(리) 밀라드(Andrew Stanley Millard) → 1박(泊) 2일(日) 외국인(外國人) 친구편(親舊便) 출연(出演), 한국인(韓國人)과 결혼(結婚)하여 딸을 두고 있음.
  • 튀르키예의 기 튀르키예 : 엘탄(彈) 페지 타판(妥辦)이잇

관련(關聯) 논쟁(論爭)과 비판(批判) [ 편집(編輯) ]

방송(放送)이 진행(進行)되면서, 제작행태(製作行態)와 방송(放送) 도중(途中) 언급(言及)된 발언(發言) 등(等)이 비판(批判)이나 논쟁(論爭)의 소재(素材)가 되고 있다.

윈터 레이먼드의 의료비(醫療費) 발언(發言) [ 편집(編輯) ]

52회(回) 방송(放送)( 2007년(年) 11월(月) 12일(日) 방송(放送))에서 미국인(美國人) 패널 윈터 레이먼드는 자신(自身)의 경험(經驗)을 이야기하면서 "내가 독감(毒感)으로 보름간(間) 병원(病院)에 입원(入院)했는데 병원비(病院費)가 5만(萬) 달러 (약(約) 4,500만(萬) )가 청구되었다"라고 발언(發言)하였다. 그 이후(以後) 18대(代) 총선(總選) 당시(當時) 통합(統合)민주당 진영(陣營)은 자신(自身)들의 공약(公約)집에서 이 발언(發言)을 인용(引用)하면서 건강보험(健康保險) 당연지정제(當然指定第) 유지(維持)의 필요성(必要性)을 주장(主張)하기도 하였다. [8] [9]

채리나 관련(關聯) 의혹(疑惑) 논쟁(論爭) [ 편집(編輯) ]

중국인(中國人) 출연자(出演者) 채리나(가수(歌手) 채리나 와는 동명이인(同名異人))가 조선족(朝鮮族) 이었다는 사실(事實)이 알려졌을 때 채리나가 조선족(朝鮮族)인 것을 속이고 출연(出演)했는 지가 쟁점(爭點)이었다.

캐서린 출연(出演) 제한(制限) 논쟁(論爭) [ 편집(編輯) ]

거의 매회(每回) 출연(出演)하던 캐서린이 2009년(年) 4월(月) 3일(日) 자(者) 한겨레 와의 인터뷰 기사중(記事中) 한국(韓國) 사회(社會)와 해당(該當) 프로그램 제작(製作) 행태(行態)를 비판(批判)한 발언(發言)이 [10] 나온 이후(以後) 5주(週) 이상(以上) 녹화(綠化)에 참석(參席)하지 못하자 5월(月) 10일(日) 한겨레의 독자(讀者) 투고(投稿) 코너인 《 왜냐면 》에 캐서린 출연(出演) 제한(制限)에 관(關)한 의혹(疑惑)의 글이 올라왔다. [11] 이에 대(對)하여 제작진(製作陣)은 "매주(每週) 미녀(美女)들에게 설문(設問)을 보내 회신(回信)하는 사람 위주(爲主)로 출연진(出演陣) 16명(名)을 섭외(涉外)하는 시스템"이라면서 "캐서린은 2009년(年) 4월(月) 20일(日) 이후(以後)로 설문(設問) 주제(主題)에 답변(答辯)하지 않아 출연(出演)하지 않았다. 앞으로 출연(出演)할 가능성(可能性)은 얼마든지 있다"고 반론(反論)하였다. [12]

여대생(女大生) 루저 발언(發言) [ 편집(編輯) ]

2009년(年) 11월(月) 9일(日)에 방송(放送)된 가을 특집(特輯) 방송(放送) 《미녀(美女), 여대생(女大生)을 만나다》 편(便)에서 패널로 나온 홍익대학교(弘益大學校) 출신(出身) 여대생(女大生)이 "키 작은 남자(男子)가 싫다"고 하면서 "외모(外貌)가 중요(重要)하다고 생각되는 시대(時代)가 된 오늘날 키는 경쟁력(競爭力)이라고 생각한다. 키 작은 남자(男子)는 "루저"(Loser, 영어(英語)로 "패배자(敗北者)"라는 뜻)라고 생각한다."고 발언(發言)해 논란(論難)이 되어 이에 이 발언(發言)을 풍자(諷刺)한 누리꾼들의 패러디물(物)이 봇물(洑물)이 터졌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放送通信審議委員會) 는 12월(月) 9일(日)에 미녀(美女)들의 수다 제작관계자(製作關係者)에게 징계(懲戒) 조치(措置)를 하였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放送通信審議委員會)는 해당(該當) 회차(回次)에서 "키 작은 남자(男子)는 루저(loser)"등(等) 신체적(身體的) 차이(差異)를 조롱(嘲弄)하고 열등(劣等)한 대상(對象)으로 묘사(描寫)한 내용(內容)과 성별역할(性別役割)에 대(對)한 차별적(差別的)인 발언(發言) 내용(內容)을 '방송심의(放送審議)에 관(關)한 규정(規定)' 제(第) 21조(兆)(인권침해(人權侵害)의 제한(制限)) 제(第)3항(項), 제(第)30조(條)(양성평등(兩性平等)) 제(第)2항(項), 제(第)3항(項)을 위반(違反)한 [13] 하였다고 밝혔다. 자세(仔細)한 사항(事項)은 루저의 난 문서(文書) 참조(參照).

법무부(法務部) 후원(後援) 논란(論難) [ 편집(編輯) ]

159회(回)( 2010년(年) 1월(月) 4일(日) ) 방송(放送)에서 법무부(法務部) 의 후원(後援)이 있었으며 여기에는 이귀남 장관(長官)의 발언(發言)이 방송(放送)되어 논란(論難)을 빚었다.

기타 논쟁(論爭) [ 편집(編輯) ]

  • 100회(回) 특집(特輯) 방송(放送)에서 과거(過去) 방송내용중(放送內容中) 사회(社會)의 반향(反響)을 끼친 발언(發言)으로 흐엉(베트남)의 "'베트남 신부(新婦), 처녀(處女)가 아니면 교환(交換) 가능(可能)'이라는 현수막(懸垂幕)을 보았다.", 준코(일본(日本))의 "담당(擔當) 교수(敎授)에게 '같이 자면 출석처리(出席處理) 해주겠다.'라는 말을 들었다.", 윈터(미국(美國))의 "강도상해(强盜傷害)를 당(當)했는데 병원(病院)에서 치료(治療)를 거부(拒否)하였다.", 메자(에티오피아)의 "취업(就業) 면접시(面接視) '흑인(黑人)은 무조건(無條件) 안된다.'라는 말을 들었다." 등(等)을 선정(選定)하여 요약(要約)하여 방송(放送)하였다.
  • 129회(回)(2009년(年) 6월(月) 1일(日)) 방송(放送)에서 '술(주류(主流))에 관련(關聯)된 이야기'를 자주 말하게 되고 '미녀(美女)에 대(對)한 기준(基準)이 국가별(國家別), 성별(性別)에 따라 다르다'는 말을 미녀(美女)들(출연(出演) 패널)이 직접(直接) 직설적(直說的)으로 거론(擧論)하였다.

관련(關聯) 미디어 [ 편집(編輯) ]

책(冊) [ 편집(編輯) ]

제작진(製作陣)이 공식적(公式的)으로 발간(發刊)한 단행본(單行本)은 다음과 같다.

  • 《미녀(美女)들의 수다》( ISBN   9788931572704 )

출연(出演) 패널들도 자체적(自體的)으로 책(冊)을 내거나 자국(自國)의 책(冊)을 번역(飜譯)한 경우(境遇)도 있다.

  • 손요
  • 후지타 사유리
    • 《도키나와 코코로》- 후지타 사유리 저, 신용현·김지영 공역(共譯) ( ISBN   9788962590296 )
    • 《일본어(日本語) 리얼토크》- 후지타 사유리 저, 김지영 역(驛) ( ISBN   9788960006706 )
  • 베라 홀라이터
    • 《Schlaflos in Seoul: Korea fur ein Jahr》(서울의 잠 못 이루는 밤 [14] )- 베라 홀라이터 저, 독일어(獨逸語)로 출간(出刊)되었음. ( ISBN   9783423211536 )
    • 《서울의 잠 못 이루는 밤 : 한국(韓國)에서의 일(一) 년(年)》- 베라 홀라이터 저, 김진아 역(驛). 한국어(韓國語)로 번역(飜譯)되어 출간(出刊)되었음. ( ISBN   9788970754758 )
  • 미르야(野) 말레츠키
    • 미르야(野) 말레츠키가 한국어(韓國語) 서적(書籍)을 독일어(獨逸語)로 번역(飜譯)한 서적(書籍)은 매우 많고 확인(確認)이 되지 않아 위키백과(百科)에서 처리(處理)하기 어려우므로 여기서는 서술(敍述)하지 않겠습니다.
    • 《NEW 후다닥 여행(旅行) 독일어(獨逸語)》- 미르야(野) 말레츠키 저, 김미선 감수(監修) ( ISBN   9788983006059 )
  • 크리스티나 콘팔로니에리
    • 《so Hot! so Cool! 크리스티나처럼》- 크리스티나 콘팔로니에리·윤종환 공저(共著) ( ISBN   9788993418033 )
  • 따루 살미넨
    • 따루 살미넨이 번역(飜譯)한 서적(書籍)에 대(對)한 목록(目錄)은 따루 살미넨 문서(文書)를 참조(參照)하십시오.
  • 아키바 리에
    • 《도쿄 레인보우: 리에's 패션 다이어리》- 아키바 리에 저 ( ISBN   9788962450477 ) - 종영(終映) 후(後) 출간(出刊)

모바일 게임 [ 편집(編輯) ]

미녀(美女)들의 수다의 인기(人氣)를 바탕으로 두건(件)의 모바일 게임이 출시(出市)되었다. 2007년(年) 10월(月)에는 연애(戀愛)시물레이션의 형태(形態)로 〈미녀(美女)들의 수다〉가 출시(出市)되었고 [15] , 2009년(年)에는 미니게임의 모음집 형태(形態)로 〈미녀(美女)들의 수다 2〉가 출시(出市)되었다. [16]

〈미녀(美女)들의 수다〉는 제작진(製作陣)의 라이센스를 얻고 제작(製作)되었다.

수상(受賞) 경력(經歷) [ 편집(編輯) ]

미녀(美女)들의 수다 종영(終映) 이후(以後)의 패널들의 알려진 행적(行跡) [ 편집(編輯) ]

《미녀(美女)들의 수다》 출연(出演)을 계기(契機)로 방송계(放送界)에 진입(進入)하거나, 한국인(韓國人) 남성(男性)과 결혼(結婚)하여 한국(韓國)에 완전히(完全히) 정착(定着)하거나, 본국(本國)이나 제(第)3국(國)으로 이주(移住)하여 새로운 삶을 시작(始作)하는 경우(境遇), 완전히(完全히) 새로운 경력(經歷)을 시작(始作)하는 경우(境遇)가 있으며, 그러한 행적(行跡)을 보인 패널을 빼면 대부분(大部分)의 패널은 방송(放送) 이전(以前)의 삶으로 돌아갔다.

시청률(視聽率) [ 편집(編輯) ]

2010년(年)(시즌 2) [ 편집(編輯) ]

  •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회차(廻車) 방송(放送) 일자 전국(全國) 시청률(視聽率)(증감(增減)치)
1회(回) 2010년(年) 1월(月) 4일(日) 6.8%
2회(回) 2010년(年) 1월(月) 11일(日) 8.6%
3회(回) 2010년(年) 1월(月) 18일(日) 8.3%
4회(回) 2010년(年) 1월(月) 25일(日) 7.0%
5회(回) 2010년(年) 2월(月) 1일(日) 8.2%
6회(回) 2010년(年) 2월(月) 8일(日) 7.7%
7회(回) 2010년(年) 2월(月) 22일(日) 12.9%
8회(回) 2010년(年) 3월(月) 8일(日) 6.2%
9회(回) 2010년(年) 3월(月) 15일(日) 8.0%
10회(回) 2010년(年) 3월(月) 22일(日) 6.7%
11회(回) 2010년(年) 4월(月) 5일(日) 7.3%
12회(回) 2010년(年) 4월(月) 12일(日) 6.4%
13회(回) 2010년(年) 4월(月) 19일(日) 8.1%
14회(回) 2010년(年) 5월(月) 3일(日) 7.0%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70회(回) 방송(放送)( 2008년(年) 3월(月) 31일(日) 방송(放送))에서는 일시적(一時的)으로 20명(名)이 출연(出演)하였으며, 100·101회(回) 특별(特別) 방송(放送)( 2008년(年) 11월(月) 3일(日) · 11월(月) 10일(日) 방송(放送))에서는 모두 합쳐 40여(餘) 명(名) 이상(以上)이 출연(出演)하였다.
  2. 뜨거운 감자는 영어(英語)로 'Hot Potato'에서 온 말로 먹고는 싶으나 뜨거워 먹을 수 없는 상태(狀態)를 가리킨다. 사회적(社會的)으로는 이러지도 저러지고 못하는 상황(狀況)이나 다루기 어려운 문제(問題)를 일컫는 말이다. 뉴스(News), 화제(話題)거리, 핫(핫) 이슈(Hot Issue) 등(等)라고도 분류(分類)한다.
  3. 138회(回)(2009년(年) 8월(月) 3일(日) 방송(放送))부터 뜨거운 감자 코너에서 입장(立場) 표현(表現) 방식(方式)을 가슴 부착(附着) 방식(方式)에서 버튼 누름 방식(方式)으로 변경(變更)했다. 게스트에게 투표권(投票權)을 주지 않았다. 발언권(發言權)은 존치(存置)한다.
  4. 이러한 방법(方法)을 위하여 방송(放送)이 끝나고 나서 출연(出演)할만한 사람을 찾는다는 메시지가 방송(放送)되기도 하였다.
  5. '미수다' 크리스티나, 오늘(1일(日)) 한국인(韓國人) 애인(愛人)과 결혼(結婚) 《마이데일리》, 2007년(年) 12월(月) 1일(日) , 2008년(年) 4월(月) 5일(日) 확인(確認).
  6. (핀란드어) 엘리마끼(Elimaki)의 소녀(少女)에서 한국(韓國)의 유명인사(有名人士)가 되기까지(Elimaelta kuuluisuudeksi Etela-Koreaan) , 《헬싱인(人) 사노(私奴)맛(Helsingin Sanomat)》, 2008년(年) 4월(月) 22일(日) . 4월(月) 27일(日) 확인(確認)했음. ( 이 기사(記事)의 한국어(韓國語) 번역(飜譯) )
  7. '미수다' 이나, 출연자(出演者) 중(中) 3번째(番째)로 한국인(韓國人)과 결혼(結婚)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 〈스포츠조선〉, 2008년(年) 4월(月) 11일(日)
  8. 하어영(下御影), 한국사회(韓國社會) 모순(矛盾) 아슬아슬 수다 킥 , 《 한겨레 》, 2008년(年) 10월(月) 27일(日) 작성(作成) 및 확인(確認)
  9. 통합(統合)민주당 /이정우, 《복지야(福祉野) 어디 있니 - 통합(統合)민주당 매니페스토자료집(資料集)》( ISBN   8981203776 ), 새로운사람들, 2008년(年), 17쪽
  10. 권은중, 솔직히(率直히) 말하면, 한국(韓國)사람 솔직(率直)하지 않더라 한겨레 》, 2009년(年) 4월(月) 3일(日) 작성(作成) 및 확인(確認)
  11. 박승범, '미수다' 캐서린이 출연(出演) 못하는 이유(理由)가 뭔가 / 박승범 한겨레 》, 2009년(年) 5월(月) 10일(日) 작성(作成) 및 확인(確認)
  12. 김도영, ‘미수다’ 캐서린은 요즘 왜 안 나오죠?/“제작진·한국사회 비판(批判) 인터뷰 때문 아니냐” 의혹(疑惑) 제기(提起) … 담당(擔當)PD "섭외방식(涉外方式) 탓" , <PD저널>, 2009년(年) 5월(月) 12일(日) 작성(作成), 6월(月) 15일(日) 확인(確認)
  13. 「미녀(美女)들의 수다」에 ‘해당방송(該當放送)프로그램의 관계자(關係者)에 대(對)한 징계(懲戒)’
  14. "Schlaflos in Seoul: Korea fur ein Jahr" 책(冊) 제목(題目)을 위키백과(百科) 사용자(使用者)가 "서울의 잠 못 이루는 밤"으로 번역(飜譯) 했으므로 오역(誤譯)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15. `미녀(美女)들의 수다` 게임으로 출시(出市) , 《 한국경제(韓國經濟) 》, 2007년(年) 10월(月) 26일(日) 작성(作成), 2012년(年) 3월(月) 25일(日) 확인(確認).
  16. 조학동의 모바일게임 따라잡기 - 미녀(美女)들의 수다2 ,《디지털 타임스》, 2009년(年) 6월(月) 4일(日) 작성(作成), 2012년(年) 3월(月) 25일(日) 확인(確認).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KBS 2TV 일요일(日曜日) 오전(午前) 10시(時) 40분대(分臺) 프로그램
이전(以前) 작품(作品) 작품명(作品名) 다음 작품(作品)
좋은사람 소개시켜줘
(2005년(年) 11월(月) 6일(日) ~ 2006년(年) 11월(月) 19일(日))
미녀(美女)들의 수다
(2006년(年) 11월(月) 26일(日) ~ 2007년(年) 4월(月) 29일(日))
빅마마
(2007년(年) 5월(月) 6일(日) ~ 2007년(年) 11월(月) 4일(日))
KBS 2TV 월요일(月曜日) 밤 11시(時) 프로그램
그랑프리쇼 여러분
(2006년(年) 3월(月) 13일(日) ~ 2007년(年) 4월(月) 23일(日))
미녀(美女)들의 수다
(2007년(年) 4월(月) 30일(日) ~ 2010년(年) 5월(月) 3일(日))
해피버스데이
(2010년(年) 5월(月) 10일(日) ~ 2010년(年) 11월(月) 15일(日))
백상예술대상(藝術大賞) 《TV부문(部門) 예능작품상(藝能作品上)》
2006년(年) 2007년(年)
미녀(美女)들의 수다
2008년(年)
상상(想像)더하기 (상상(想像)플러스 전신(前身)인) 무한도전(無限挑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