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몽골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몽골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몽골국
?????? ????
Монгол улс

국기(國紀)

국장(國葬)
표어(標語) Дaяp Moнгoл ?????? ??????
표어(標語) 설명(說明) 준비(準備)된 몽골
국가(國家) 몽골 국가(國家)
수도 울란바토르
정치(政治)
정치체제(政治體制) 공화제(共和制) , 단원제(單院制) , 이원집정부제(二元執政府制) , 단일(單一) 국가(國家)
대통령(大統領)
총리(總理)
오(誤)흐나깅 후렐수흐
롭상남스랭 어용(御用)에르덴
입법부(立法府) 국가대(國家大)후랄
집권여당(執權與黨) 몽골 인민당(人民黨)
역사(歷史)
독립(獨立) 북양정부(北洋政府) 으로부터 독립(獨立)
 ? 독립(獨立) 1924년(年) 11월(月) 24일(日)
 ? 현행(現行) 체제(體制) 수립(樹立) 1992년(年) 2월(月) 13일(日)
지리
면적(面積) 1,564,116 km 2 ( 19 위(位) )
내수면(內水面) 비율(比率) 0.6 %
시간대(時間帶) ( UTC +7 - +8)
DST +8 - +9
인문(人文)
공용어(公用語) 몽골어(語)
공용문자(公用文字) 몽골 문자(文字) , 키릴 문자(文字)
데모님 몽골인(人)
민족(民族)
인구(人口)
2016년(年) 어림 3,062,825명(名) (135위(位))
인구(人口) 밀도(密度) 1.92명(名)/km 2 ( 193위(位) )
경제(經濟)
GDP ( PPP ) 2012년(年) 어림값
 ? 전체(全體) $154억(億) ( 137위(位) )
 ? 일인당(一人當) $5,403 ( 121위(位) )
GDP (명목(名目)) 2012년(年) 어림값
HDI 0.675 ( 108위(位) , 2012년(年) 조사(調査))
통화(通話) 투그릭 ( MNT )
종교(宗敎)
종교(宗敎) 불교(佛敎) 51.7%
무종교(無宗敎) 40.6%
이슬람교(이슬람敎) 3.2%
샤머니즘 2.5%
기독교(基督敎) 1.3%
기타 0.7% [1]
기타
ISO 3166-1 496 , MN , MNG
도메인 .mn
국제(國際) 전화(電話) +976

몽골국 ( 몽골어(語) : Монгол Улс, ??????
????
멍걸 올스
이 소리의 정보듣기   , 음차(音叉) : 몽고(蒙古)(蒙古)), 약칭(略稱) 몽골 동아시아(東아시아) 내륙국(內陸國) 이다. [2] 가장 큰 도시(都市)는 수도(首都)인 울란바토르 이고, 정치(政治) 체제(體制)는 민주(民主) 공화국(共和國) 이다. 1991년(年)까지 공산주의(共産主義) 국가(國家)였다. 1,564,116km 2 의 면적(面積)이며, 인구(人口)는 약(約) 300만(萬) 명(名)으로 적다. 중세(中世)에 들어서 칭기즈 칸 몽골 제국(帝國) 을 건국(建國)했으며, 몽골 제국(帝國)의 제(第)5대(代) 칸인 쿠빌라이 칸 시절(時節)에는 국호(國號)를 원으로 개칭(改稱)하였다. 이후(以後) 명나라(明나라) 의 공격(攻擊)을 받고 몽골 지역(地域)으로 이동(移動)하여 국호(國號)를 북원(北元) 으로 하였다. 이후(以後) 1688년(年)부터 '외몽골'로 불렸다. 1911년(年) 제(第)1차(次) 혁명(革命)을 일으켰으나 1920년(年) 철폐(撤廢)되었고, 러시아의 10월(月) 혁명(革命) 에 영향(影響)을 받아 1921년(年) 제(第)2차(次) 혁명(革命)을 일으켜 현재(現在)의 형태(形態)로 독립(獨立)하였다. 북쪽(北쪽)으로 러시아 , 남쪽(南쪽)으로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에 접(接)하여 있다.

명칭(名稱) [ 편집(編輯) ]

몽골의 정식(正式) 명칭(名稱)은 몽골 올스 (Монгол Улс) 즉(卽), 몽골국이다. "몽골 올스"에서 "몽골"(Монгол)은 "용감(勇敢)한"이라는 뜻을 가진 부족(部族) 이름에서 유래(由來)된 명칭(名稱)으로 민족(民族) 이름을 뜻하고 "올스"(Улс)는 몽골어(語) 로 "나라" 또는 "국가(國家)"를 의미(意味)한다. 직역(直譯)하면 "몽골 민족(民族)의 나라"라는 뜻이 된다.

중국(中國)을 비롯한 한자(漢字) 문화권(文化圈) 에서는 간혹(間或) 몽골을 몽고(蒙古) (蒙古)라고 부르는 경우(境遇)가 많았다. 몽골 제국(帝國) 원나라(元나라) 의 승상(丞相) 메르키트 토크토(土)아 가 편찬(編纂)을 주도(主導)한 요사 에는 1차례(次例), 금사(金絲) 에는 36차례(次例), 송사(訟事) 에는 6차례(次例) 몽고(蒙古)(蒙古)의 용례(用例)가 확인(確認)된다. 같은 한자(漢字) 문화권(文化圈)인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도 1980년대(年代)까지 몽고(蒙古)라고 불렀다. 그러나 1990년(年)에 대한민국(大韓民國)과의 외교(外交) 관계(關係)를 수립(樹立)한 몽골 정부(政府)가 '몽고(蒙古)'라는 표현(表現)은 오랫동안 몽골족(族) 에게 시달려왔던 중국인(中國人)들이 우매(愚昧)할 몽(蒙)과 옛 고(故)(古)를 조합(組合)하여 몽골족(族)을 비하(卑下)하기 위(爲)해 만든 단어(單語)이기 때문에 대한민국(大韓民國) 정부(政府)에 한국어(韓國語) 국명(國名) 변경(變更)을 요청(要請)했다. [3] [4] 이에 국립국어원(國立國語院) 은 1991년(年) 9월(月) 11일(日)에 열린 제(第)1차(次) 정부(政府)·언론(言論) 외래어(外來語) 심의(審議) 공동위원회(共同委員會)를 통해 "'몽고(蒙古)'와 '몽골'이라는 단어(單語)를 함께 쓰되 장차(張差) '몽골'로 통일(統一)한다."고 결정(決定)했다. [5] [6]

역사(歷史) [ 편집(編輯) ]

고대(古代)로부터 몽골 지역(地域)은 몽골인(人)이 아닌 흉노(匈奴) , 돌궐(突厥) 등(等) 튀르크인(人)들이 지배(支配)하였다. 흉노(匈奴)와 돌궐(突厥) 같은 튀르크인(人) 정복자(征服者)들이 중앙아시아(中央아시아)에서 몽골로 건너가 동쪽(東쪽)의 몽골인(人)을 정복(征服)했기 때문에 몽골에서는 흉노(匈奴)와 돌궐(突厥)을 몽골의 역사(歷史)로 배운다. 몽골족(族) 의 직계(直系) 조상(祖上)은 몽골 동부(東部) 지역(地域)에 존재(存在)한 동호족 계통(系統)인 더더우위(優位), 몽올실위(室韋) 이며 약소국(弱小國)이였던 고대(古代) 몽골인(人)들은 사서(司書)의 문헌적(文獻的) 기록(記錄)에서도 몽올실위(室韋), 더더우위(優位)로서 가끔 기록(記錄)이 보일 뿐이다. 튀르크인(人)들이 중앙아시아(中央아시아)와 알타이 산맥(山脈) 지역(地域)에서 동쪽(東쪽)으로 이동(移動)하여 현(現) 몽골 동쪽(東쪽) 지역(地域)에 존재(存在)하던 몽골인(人)들은 정복(征服)하면서 원시(遠視) 몽골인(人)들은 튀르크인(人)들의 지배하(支配下)에 언어적(言語的)으로도 튀르크의 특징(特徵)이 나타나게 된다. [7] 몽골의 직계(直系) 조상(祖上)인 몽올실위(室韋)와 더더우위(優位)는 고구려(高句麗)와 돌궐(突厥)에 조공(朝貢)을 보냈다. 고구려(高句麗)가 만주(滿洲) 지역(地域)을 정복(征服)하면서 많은 몽골계통(系統) 민족(民族)들이 고구려(高句麗)의 지배하(支配下)에 들어갔으며 계통(系統)이 불분명(不分明)한 거란 또한 고구려(高句麗)의 지배(支配) 하(下)에 존재(存在)하였다. 최근(最近) 몽골 다리강가(江가)에 고구려(高句麗)의 성벽(城壁)과 고분(古墳)이 발견(發見)되어 고구려인(高句麗人)들이 몽골 동부(東部) 지역(地域)의 몽골인(人)들도(度) 지배(支配)했다는 것이 밝혀졌다. 고구려(高句麗)는 전성기(全盛期) 시절(時節) 아시아 동북부(東北部)를 전부(全部) 삼켰기 때문에 많은 몽골인(人)들은 고구려(高句麗)의 지배(支配)를 받았다. 많은 문헌(文獻)의 관점(觀點)에서도 몽골이라는 이름은 보이는 것은 원조비사(元朝祕史) 에 나오는 몽올실위(室韋) 와 연관성(聯關性)을 보이며, 몽골인(人) 더더우위(優位) 몽올실위(室韋) 에서 기원(祈願)한 후계(後繼) 민족(民族)이라고 볼 수 있겠다.

위구르 카간국이 키르기스에 의(依)해 멸망(滅亡)하면서 튀르크인(人)의 지배하(支配下)에 있던 몽올실위(室韋)는 독립(獨立)하였다. 1206년(年) 보르지긴 테무친 이 몽골 지역(地域)을 통일(統一)하고 쿠릴타이 에서 칭기즈 칸 으로 즉위(卽位)하면서 국명(國名)을 몽골 제국(帝國) 이라고 하였고 이후(以後) 대원(隊員) , 킵차크 칸국(國) 등(等)의 여러 나라들로 분열(分裂)되면서 14세기(世紀) 말(末)에 몽골인(人) 제국(帝國)은 북원(北元) 빼고는 전부(全部) 현지(現地) 세력(勢力)에 의(依)해 멸망(滅亡)하였고, 청나라(淸나라) 는 몽골의 세력(勢力)을 견제(牽制)하기 위해 몽골을 내몽골(內몽골) 외몽골 로 분리(分離)시켰다.

1924년(年) 국가대회(國家大會)의 헌법(憲法) 채택(採擇)

1911년(年) 중국(中國)에서 신해혁명(辛亥革命) 이 일어나 청나라(淸나라)가 멸망(滅亡)의 길로 들어서자 외몽골 은 기회(機會)를 잡고 그 해 12월(月)에 혁명(革命)(제(第)1차(次) 혁명(革命))을 일으켜 자치(自治)를 인정(認定)받았다. 1913년(年) 티베트 우르가(울란바토르) 에서 몽장(腸) 조약(條約) 을 체결(締結)하였고 러시아 에서 10월(月) 혁명(革命) 이 일어나자 1920년(年) 에 국민당(國民黨)이 외몽골 의 자치(自治)를 철폐(撤廢)시켰으나, 그 해에 반중국(反中國)·민족해방(民族解放)을 목표(目標)로 몽골 인민당(人民黨) 이 결성(結成)되었다. 1921년(年) 담딘 수흐바타르 가 혁명군(革命軍)을 조직(組織)하여 제(第)2차(次) 혁명(革命)을 일으켜 독립(獨立)하였다. 몽골은 1924년(年) 11월(月) 26일(日) 부터 현재(現在)까지 독립(獨立) 국가(國家) 체제(體制)를 유지(維持)하고 있다.

1924년(年) 11월(月) 26일(日) 에는 정부(政府) 형태(形態)를 군주제(君主制)에서 인민(人民) 공화제(共和制)로 고쳐 국호(國號)를 몽골 인민(人民) 공화국(共和國) 으로 정(定)하고, 세계(世界)에서 2번째(番째)로 공산주의(共産主義) 국가(國家)가 되었다. 그 후(後) 소련(蘇聯) 의 몽골과 중국(中國)에 대(對)한 영향력(影響力)이 강화(講和)되었으며, 몽골은 중소(中小) 국경(國境) 분쟁(紛爭) 발생시(發生時) 소련(蘇聯)을 지원(支援)하였다. [8] 1991년(年) 말(末)에 민주화(民主化) 혁명(革命)이 일어났으며, 1992년(年) 2월(月) 13일(日) 에 복수(複數) 정당제(政黨制)를 원칙(原則)으로 하는 헌법(憲法)을 채택(採擇)하였다. 또한 계획(計劃) 경제(經濟) 체제(體制)를 폐기(廢棄)하고 사회적(社會的) 시장경제(市場經濟) 정책(政策)을 도입(導入)하였다.

자연(自然) 환경(環境) [ 편집(編輯) ]

지리적(地理的)으로 동아시아(東아시아) 에 속(屬)한다. 국토(國土)는 4가지 성격(性格)의 지대(地帶)로 나뉜다. 서쪽(西쪽)은 알타이 , 항가이 라고 하는 큰 산맥(山脈), 남쪽(南쪽)은 바위와 모래가 전부인(前婦人) 고비 사막(沙漠) , 동쪽(東쪽)은 아무것도 없는 초원(草原) , 그리고 북쪽(北쪽)은 후브스굴호 와 사람이 뚫고 지나가기 불가능(不可能)한 시베리아 의 남쪽(南쪽) 산림(山林) (타이가)으로 이루어져 있다. 해발고도(海拔高度) 는 평균(平均) 1,500m 정도(程度)다.

기후(氣候) [ 편집(編輯) ]

고비사막(沙漠) 의 영향(影響)을 받아 매우 건조(乾燥)(건조기후(乾燥氣候))하다. 일년(一年) 평균(平均) 강수량(降水量) 이 388mm 정도(程度)다. 고비사막(沙漠) 에서 발생(發生)하는 황사(黃沙) 중국(中國) , 한국(韓國) 의 큰 문제(問題)로 작용(作用)하고 있다.

정치(政治) [ 편집(編輯) ]

1924년(年) 부터 1991년(年) 까지는 소련(蘇聯) 의 지원(支援)을 매우 많이 받은 공산주의(共産主義) 국가(國家)였으나 소련(蘇聯)이 해체(解體)된 후(後) 1992년(年) 의 선거(選擧)를 통해 공산주의(共産主義)를 사실상(事實上) 폐기(廢棄)하였고 대신(代身) 민주공화제(民主共和制) 를 채택(採擇), 총리(總理)와 대통령(大統領)의 권한(權限)을 나눈 정치제도(政治制度)로 확립(確立)된 이원집정부제(二元執政府制) 로 연임(連任)이 가능(可能)한 4년(年) 임기(任期)의 대통령(大統領) 을 국민(國民) 직접선거(直接選擧)를 통해 선출(選出)하는 헌법(憲法)을 채택(採擇)하였다. 나차긴 바가(街)반디 대통령(大統領)에 이어 2005년(年) 부터 남바린 엥흐바야르 대통령(大統領)이 정권(政權)을 이양(移讓)받았으나 2009년(年) 몽골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 에서는 빈곤층(貧困層)의 지지(支持)에 힘입어 민주당(民主黨) 차(車)히아긴 엘베그도르지 전(前) 총리(總理) 가 대통령(大統領)으로 당선(當選)되어 첫 정권(政權) 교체(交替)를 이룩했으며, 2017년(年) 대통령(大統領)을 선출(選出)하는 선거(選擧)에서 과거(過去) 삼보 선수(選手)로 활동(活動)한 경력(經歷)을 갖고 있던 할트마긴 바툴가 결선(決選) 투표(投票) 끝에 승리(勝利)하여 두번째(番째) 민주당(民主黨) 출신(出身) 대통령(大統領)이 당선(當選)되었고 2017년(年) 7월(月) 10일(日) 부터 취임(就任)함으로써 현재(現在)는 동거(同居) 정부(政府) 가 수립(樹立)되었다.

행정(行政) 구역(區域) [ 편집(編輯) ]

몽골의 행정(行政) 구역(區域)

몽골은 21개(個) 주로(主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군사(軍事) [ 편집(編輯) ]

18세(歲)~25세(歲)까지의 남자(男子)들은 1년간(年間) 복무(服務)해야 하지만 생업(生業)에 종사(從事)하거나 학생(學生), 질병(疾病)이 있는 자(者) 등(等)은 징병(徵兵) 이 면제(免除)되는데다가 현역복무(現役服務)와 병역세(兵役世) 납부(納付) 중(中) 양자택일(兩者擇一)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實際) 복무율(服務率)은 낮다.

몽골에서 병역세(兵役世)는 159만(萬) 투그릭(한화(韓貨) 70만(萬)원 상당(相當))이며 이 돈을 병역세(兵役世)로 납부(納付)하면 병역(兵役)의 의무(義務)가 사라진다.

몽골군(軍)은 몽골 국군(國軍) (육군(陸軍)과 육군항공대(陸軍航空隊)가 통합(統合))과 국경(國境) 수비대(守備隊), 전투경찰(戰鬪警察)(경찰소속(警察所屬))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륙국(內陸國) 이라 해군(海軍)이 없다.). 국방예산(國防豫算)은 약(約) 2.2%정도(程度)로 세계평균(世界平均)보다 약간(若干) 낮다.

  1. 몽골 국군(國軍)(통합군(統合軍)): 12,000여(餘) 명(名)
  2. 국경(國境) 수비대(守備隊): 8,500여(餘) 명(名)
  3. 전투경찰(戰鬪警察)(경찰(警察)): 20,000여(餘) 명(名)

과거(過去) 몽골군(軍)에는 해군(海軍)이 있었으며 해군(海軍) 사령관(司令官) 대위(大尉) 이하(以下) 총(總) 병력(兵力)이 7명(名)에 불과(不過)해서 폐지(廢止)되었다.

경제(經濟) [ 편집(編輯) ]

2012년(年) 기준(基準) 1인당(人當) 명목(名目) GDP 예측(豫測)값은 $3,627, PPP 는 $5,371이다.

몽골 상공회의소(商工會議所) 본회의장(本會議場)

인구(人口) [ 편집(編輯) ]

몽골의 인구(人口)는 2016년(年) 기준(基準) 3,080,000명(名) [9] 이다. 넓은 영토(領土)에 비해 적은 인구(人口)를 가지고 있어 전세계(全世界)의 공식(公式) 독립국(獨立國) 중(中) 가장 낮은 인구밀도(人口密度) 를 가지고 있다.

언어(言語) [ 편집(編輯) ]

몽골어(語) 공용어(公用語) 다. 러시아어(語) 공산주의(共産主義) 시절(時節)에 제2국어 수준(水準)으로 널리 가르쳤던 언어(言語)였다. 소련(蘇聯) 해체(解體) 이후(以後)에 러시아어(語)를 배우는 사람들이 줄었지만, 2007년(年) 블라디미르 푸틴 이 몽골을 방문(訪問)한 이후(以後), 다시 중요(重要)한 언어(言語)로 각광(脚光)받고 있다. 서쪽(西쪽)에는 소수(少數)의 카자흐족(族) 들이 카자흐어 를 사용(使用)하고 있다. 한국(韓國)과 일본(日本)과의 활발(活潑)한 외교관계(外交關係)의 영향(影響)으로 한국어(韓國語) , 일본어(日本語) 를 배우는 몽골인(人)들도(度) 존재(存在)해 있으나, 지리적(地理的)으로는 중국(中國)과 가까우므로 중국어(中國語) 도 필수(必須) 과목(科目)으로서 가르치기도 했다.

몽골어(語) 알타이제어 의 하나로 넓은 뜻으로는 몽골민족(民族) 이 과거(過去)에 사용(使用)했고 또 현재(現在) 사용(使用)하고 있는 몽골계(系) 언어(言語) 전반(全般)을 가리킨다. 좁은 뜻으로는 위구르계(系) 몽골문자(文字) 로 쓰인 몽골어(몽골語) 문어(文語)를 뜻한다.

현재(現在) 몽골어(語)는 키릴 문자(文字) 를 주로(主로) 사용(使用)한다.

사용(使用) 지역(地域) [ 편집(編輯) ]

사용지역(使用地域)은 몽골을 중심(中心)으로 중국(中國) 변경지구(邊境地球), 아프가니스탄, 볼가강(江)(江) 유역(流域) 등(等) 광대(廣大)한 지역(地域)에 미친다.

현대(現代) 몽골어(語) 는 동서(東西)의 대방언군(方言軍)(大方言群)으로 나뉘고 그 밖에 약간(若干) 고립(孤立)된 방언(方言)이 있으나, 지역적(地域的) 언어차(言語車)는 별로(別로) 심(甚)하지 않다. 그러나 2, 3개(個)의 고립(孤立)된 방언(方言)은 어형(語形)(語形) 변화(變化)가 심(甚)하여 다른 방언(方言)과의 차이(差異)가 크다.

몽골어(語)를 대표(代表)하는 방언(方言)은 동(東)(東)몽골방언군(方言軍)에 속(屬)하는 할하어(語) 계(界)(系)의 언어(言語)로 현재(現在) 몽골 전지역(全地域)의 공통어(共通語) 구실을 한다. 할하는 옛부터 몽골제국(帝國), 원나라(元나라)의 지배(支配) 계층(階層)이였다. 차하르는 몽골 제국(帝國)이 남하(南下)하여 중국(中國)을 정복(征服)할 때 내몽골(內몽골)에 살던 몽골계(系) 부족(不足)으로 하층(下層) 계급(階級)이다. 그래서 몽골어(語)를 대표(代表)하는 방언(方言)은 할하어(語)이며, 차하르어(語)는 거의 잘 사용(使用)하지 않는다.

역사적(歷史的) 관점(觀點)에서 볼 때 몽골어(語)는 13세기(世紀)부터 17세기(世紀)에 이르는 중세(中世) 몽골어(語) 시대(時代), 17세기(世紀)부터 현대(現代)까지의 근대(近代) 몽골어(語) 시대(時代) 등(等) 두 시기(時期)로 나뉜다.

문화(文化) [ 편집(編輯) ]

종교(宗敎) [ 편집(編輯) ]

몽골의 불상(佛像)

몽골인(人)의 주된 종교(宗敎)는 티베트 불교(佛敎) 로 역사적(歷史的)으로는 티베트 와의 관계(關係)가 깊다. 하지만 1992년(年) 선거(選擧)로 민주화(民主化)된 이후(以後) 개신교(改新敎) 가 선교사(宣敎師)들에 의(依)해 유입(流入)되고 있으며, 그 이전(以前)부터 러시아의 영향(影響)으로 러시아 정교회(正敎會) 신자(信者)들이 소수(少數) 있다. 신앙자(信仰者) 분포(分布)(비율(比率))는 불교(佛敎) 53%, 이슬람교(이슬람敎) 3%, 토속종교(土俗宗敎) 3%, 기독교(基督敎) 2%, 무종교(無宗敎) 39%이다.

스포츠 [ 편집(編輯) ]

몽골의 브흐 선수(選手)

몽골의 전통(傳統) 무술(武術) 브흐 는 몽골의 국기(國紀)(國技)로 정착(定着)되어 있다. 체구(體軀)가 건장(健壯)한 청년(靑年)들은 일본(日本) 에 가서 스모 선수(選手)로 등단(登壇)하기도 한다.

축구(蹴球)가 인기(人氣) 있으며 몽골 내셔널 프리미어리그 가 운영(運營)되고 있다.

음악(音樂) [ 편집(編輯) ]

대표적(代表的)인 몽골 전통(傳統) 음악(音樂)은 흐미 창법(唱法)이다.

교통(交通) [ 편집(編輯) ]

몽골 횡단(橫斷) 철도(鐵道) (The Trans-Mongolian Railway)가 시베리아의 울란우데 ( 시베리아 횡단(橫斷) 철도(鐵道) 와 연결(連結))에서 울란바토르 를 거쳐 중국(中國)의 얼롄(禮)하오터 시(時) 를 잇고 있다. 얼롄하(下)오터에서는 선로(線路)가 바뀌며 베이징까지 잇는다. 이 철도(鐵道)의 몽골 내 노선(路線)은 1,110 km다. [10] 그 지선(地選) 하나는 다르항(港) 에서 구리 광산(鑛山)이 있는 에르데네트 까지 잇고, 또 다른 지선(地選) 하나는 울란바토르 에서 구리 광산(鑛山)이 있는 바가(街)누르( 몽골어(語) : Багануур )를 잇는다. 그 외(外)에 처이발상(發想) 철도(鐵道) 시베리아 횡단(橫斷) 철도(鐵道) 와 접속(接續)되어 있다. 몽골정부(政府)는 이 두 철도(鐵道)를 연결(連結)하는 노선(路線)을 건설(建設)하려고 하고 있다. [11] 또한 초이발산(發散)과 중국(中國) 대륙(大陸)을 연결(連結)하는 노선(路線)도 추진(推進)되고 있다. [12] 몽골 철도(鐵道)의 총(總) 길이는 1,810 km이고, 철도(鐵道) 밀도(密度)는 11.5 km/10,000 km 2 로, 이웃한 중국(中國)에 비하여 0.12배(倍)에 불과(不過)하다. 자동차(自動車) 도로(道路)는 잘 발달(發達)되어 국내(國內) 항공로(航空路)와 마찬가지로 각(各) 주(州)에 통해 있다. 국내(國內) 항공로(航空路)는 중국(中國), 러시아와 연결(連結)되어 있다. [13] 몽골의 차량(車輛)은 약(約) 21만대(萬臺)다.

항공(航空) [ 편집(編輯) ]

수도 울란바토르 에 몽골 유일(唯一)의 국제공항(國際空港) 인(人) 칭기즈 칸 국제공항(國際空港) 이 있다.

대외(對外) 관계(關係) [ 편집(編輯) ]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2020
  2. 당신(當身)이 상상(想像)하는, 세상(世上)에서 가장 아름다운 초원(草原) . 프레시안. 2014년(年) 5월(月) 12일(日).
  3. “국내(國內) 첫 올란(欄)바타르大(대(大)) 유학(留學)길 오른 桂路二(계(界)로이)씨(氏)"우리와 가장닮은 몽골에 ?學(만학(晩學))도전(挑戰) " . 《경향신문(京鄕新聞)》. 1990년(年) 2월(月) 22일(日) . 2023년(年) 5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4. “「몽고(蒙古)」는「몽골」로 쓰는게 정확(正確)” . 《조선일보(朝鮮日報)》. 1990년(年) 2월(月) 22일(日) . 2023년(年) 5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5. “外來語(외래어(外來語)) 새표기(表記) 결정심의(決定審議)委(위(危))구성(構成) 첫회의(會議)” . 《동아일보(東亞日報)》. 1991년(年) 9월(月) 11일(日) . 2023년(年) 5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6. “정부언론외래어심의회(政府言論外來語審議回) 역대(歷代) 심의결정안(審議決定案)(실무소위원회(實務小委員會) 포함(包含))” . 《국립국어원(國立國語院)》 . 2023년(年) 5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7. 그러나 거의 대부분(大部分) 중국(中國)의 사료(史料)에 의존(依存)하던 흉노(匈奴)에 관(關)한 사실(事實)은 지난 수십(數十) 년(年) 간(間) 몽골의 노인(老人)울라(Noin-Ula) 및 미누신스크 문화(文化) 지대(地帶) 등(等)에서 발굴(發掘)된 흉노(匈奴) 관계(關係) 자료(資料)의 분석(分析)으로 더욱 명확(明確)해질 수 있었다. 따라서, 일부(一部) 제한(制限)된 자료(資料)에도 불구(不拘)하고 언어학(言語學), 민족학(民族學), 고고학(考古學), 경제사(經濟史), 체질(體質) 인류학(人類學) 등(等)을 동원(動員)한 흉노(匈奴)에 관(關)한 보다 체계적(體系的)인 연구(硏究)의 결과(結果) 많은 학자(學者)들이, 흉노(匈奴)가 알타이계(系) 언어(言語)를 사용(使用)하는 투르크족이었다는 견해(見解)에 동참(同參)하고 있다. 즉(卽), 흉노족의 구성(構成)이 몽골, 퉁구스, 아리아 및 기타(其他) 북방(北方) 민족(民族)들의 혼합(混合)으로 이루어졌다 해도 지배(支配) 계층(階層)과 민족(民族) 구성원(構成員)의 본체(本體)가 투르크족이었음은 의심(疑心)의 여지(餘地)가 없는 것 같다., 종족적(種族的) 기원(起源) (터키사(社), 2007. 9. 12., 이희수, 위키미디어 커먼즈)
  8. 그에 힘입어 코메콘 가맹(加盟) 국가(國家)도 몽골에게 경제적(經濟的) 지원(支援)을 해 주었다.
  9. http://en.nso.mn/
  10. Montsame News Agency. Mongolia . 2006, ISBN   9992906278 , p. 93
  11. “건설업계(建設業界), 몽골 철도시장(鐵道市場) 접수(接受)한다” . CNEWS. 2011년(年) 3월(月) 11일(日).  
  12. “New railway to connect Borzya-Choibalsan Line with China” . Mongolia-Web. 2007년(年) 11월(月) 12일(日). 2014년(年) 6월(月) 6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2년(年) 2월(月) 4일(日)에 확인(確認)함 .  
  13.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사전(大百科事典) 》〈 몽골의 교통(交通)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몽골 [ 편집(編輯) ]

대한민국(大韓民國) [ 편집(編輯) ]

해외(海外) [ 편집(編輯) ]

몽골의 역사(歷史)
이전(以前) 시대(時代) 몽골
1992년(年) 2월(月) 13일(日) ~
다음 시대(時代)
몽골 인민(人民) 공화국(共和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