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토로라 코리아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모토로라 코리아
Motorola Korea, Inc
형태(形態) 주식회사(株式會社)
창립(創立) 1968년(年)
산업(産業) 분야(分野) 전문(專門) 전자산업(電子産業)( 무전기(無電機) )
서비스 모토로라의 한국법인(韓國法人)
본사(本社) 소재지(所在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서초구(瑞草區) 양재(良才)2동(棟) 215 하이브랜드 리빙관(館)
핵심(核心) 인물(人物)
대표(代表) 정철종
주요(主要) 주주(株主) (주(週))모토로라 코리아 100% (모토로라 본사(本社)에서 100% 출자(出資) [1] )
모기업(某企業) 모토로라 미국법인(美國法人) 겸(兼) 구글

모토로라 코리아 ( Motorola Korea )는 다국적(多國籍) 통신장비(通信裝備) 제조업체(製造業體)인 모토로라 인(人)코퍼레이티드 (구글의 본사(本社) 인수후(引受後)에는 모토로라 모빌리티 )의 한국(韓國) 법인(法人)이다. 현재(現在) 정철종 이(李) 대표이사(代表理事) 사장(社長)으로 재직(在職) 중(中)이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모토로라 코리아는 1968년(年) 설립(設立)되었다. [2] [3]

1970년대(年代) 모토로라는 일반적(一般的)인 한국인(韓國人)들에게 잘 알려진 기업(企業)이 아니었지만, 금성사(지금(只今)의 LG전자(電子))와 삼성전자(三星電子)에게는 잘 알려진 회사(會社)였다. 두 회사(會社)는 TV 생산(生産)에서 경쟁(競爭) 관계(關係)에 있었는데, 진공관(眞空管) TV에서, 트랜지스터 TV로 전환(轉換)하고 있었고 그 와중(渦中)에 소비자(消費者)에게 어필할 뭔가 더 필요(必要)한 것이 있었고, 그래서 내놓은 것이 "IC TV"였다. 자기(自己)들의 TV에 IC가 들어가 있다는 것이었는데, 그들이 국산(國産) TV에 채용(採用)한 최초(最初)의 IC는 모토로라의 "TV sound IF amplifier" 회로(回路)를 집적(集積)한 MC1358P였다. 이 IC는 RCA의 CA3065의 호환(互換)품이었는데, 모토로라의 부품(部品)이 당시(當時) 한국(韓國)을 대표(代表)하는 흔히 알려진 가전(家電)3사(社)(앞에 언급(言及)된 두 회사외(會社外)에 대한전선(大韓電線)이라고 하는 회사(會社)가 있었다. 이 회사(會社)는 나중에 대우전자가 된다) 중(中) 2개(個) 회사(會社)에 채택(採擇)된 것은, 모토로라가 한국(韓國)에 조립(組立)라인을 운영(運營)하는 현지법인(現地法人)이 있어서라는 설(說)이 있다.

모토로라는 알려진 것처럼 통신(通信) 장비회사(裝備會社)이기도 하지만, 통신(通信) 장비(裝備)를 만들기 위해서 반도체(半導體)를 생산(生産)하는 회사(會社)이기도 하였다. 모토로라 코리아는 원래(元來) 모토로라의 반도체(半導體)의 후공정(後工程), 즉(卽) 조립(組立)을 위해 만들어졌지만, 모토로라가 특허(特許)를 가지고 있는 기술(技術)이었던 셀룰러 통신(通信) 기술(技術) 덕택(德澤)에 한국시장(韓國市場)에서 독점적(獨占的)으로 이동통신(移動通信)을 공급(供給)하던 "한국이동통신"의 하드웨어를 독점(獨占)함으로써, 독점(獨占) 공급자(供給者)의 지위(地位)를 마음껏 누리게 되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말뚝 휴대폰(携帶폰)"의 유일(唯一)한 공급자(供給者)는 모토로라였다. 그뿐 아니다. 한국인(韓國人)에게 "삐삐"라고 알려진 무선호출기(無線呼出機)(wireless pager) 판매(販賣)도 모토로라의 독점적(獨占的) 판매영역(販賣領域)이었다.

이후(以後) 모토로라 코리아는 국내(國內)에 처음 진출(進出)한 이래(以來) 국내(國內) 반도체(半導體) 및 후가공업체(後加工業體)와의 활발(活潑)한 기술(技術) 교류(交流)를 통해 국내(國內) 반도체(半導體) 생산기술(生産技術) 확산(擴散)에 기여(寄與)해 왔고, 무선호출기(無線呼出機) 및 셀룰러시스템의 국내(國內) 최초(最初) 도입(導入)으로 이동통신(移動通信) 기술(技術)을 한국(韓國)에 소개(紹介)하는 등(等) 한국(韓國)의 전자산업기술(電子産業技術) 발전(發展)에 많은 기여(寄與)를 해왔다.

2000년대(年代) , 모토로라반도체통신(半導體通信)이 모토로라 코리아로 이름을 바꿨고, 반도체(半導體) 부분(部分)은 모토로라 한국법인(韓國法人)에서 따로 떨어짐에 따라 휴대전화(携帶電話)와 전문적(專門的) 사업(事業)만을 담당(擔當)하게 된다. [4] 그리고 2000년(年) 에는 패션 휴대폰(携帶폰) 모토로라 V.(브이닷)을 출시(出市)했다. V.(브이닷) 제품(製品) 중(中)에 대표적(代表的)인 모델은 한국통신프리텔 n016 기종(機種)인 V8261이다.

2011년(年) 1월(月) 4일(日) 모토로라 미국본사(美國本社)가 휴대(携帶)폰, 케이블셋톱박스 등(等) 소비자(消費者) 사업부문(事業部門)이 " 모토로라 모빌리티 "로 경찰(警察) 라디오, 정부(政府) 및 대기업(大企業) 바코드 스케너같은 전문가용(專門家用) 사업부문(事業部門)이 " 모토로라 솔루션스 "로 분할(分割)되면서 모토로라 코리아도 본사(本社) 지침(指針)에 따라 2개(個)로 나뉘게 된다.(회사의 분리(分離)가 아닌 모토로라 코리아 내부(內部)에 2개(個) 부서(部署)로 분리(分離)되는 형식(形式)을 취(取)하게 된다). 2011년(年) 8월(月) 15일(日) 미국(美國) 본사(本社)가 구글 에 125억(億) 달러 에 인수(引受)되었지만,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는 구글 코리아의 법인(法人)과 모토로라 코리아의 법인(法人)이 별도운영(別途運營)되었다. [5]

대한민국(大韓民國) 에서는 통신망중(通信網中) SK텔레콤 만이 모토로라 제품(製品)을 사용(使用)하도록 되어 있었지만, [6] 모토로라 아트릭스 제품(製品)은 KT 로도 출시가(出市價) 됐다. [7]

그러나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 휴대폰(携帶폰) 사업(事業)을 하던 모토로라 모빌리티 코리아는 2012년(年) 들어 한국(韓國) 사업(事業) 부진(不振)으로 인해 2013년(年) 2월(月) 28일(日) 부(部)로 한국(韓國) 사업(事業)을 철수(撤收)했다. [8] 일부(一部) 인원(人員)은 국내(國內) 업체(業體)의 공급(供給) 및 품질(品質)을 지원(支援)하기 위해 남아 있다.

2022년(年) 5월(月) LG헬로비전 을 통해 휴대폰(携帶폰) 사업(事業)이 철수(撤收)한 지 9년(年) 만에 한국(韓國) 시장(市場)에 진출(進出)했다.

구조(救助) [ 편집(編輯) ]

모토로라 코리아는 크게 3개(個)의 부서(部署)로 나뉜다. (모토로라 모빌리티코리아는 한국사업(韓國事業) 철수(撤收)했다가 9년(年) 후(後)에 부활(復活) [9] )

모토로라 모빌리티 코리아 [ 편집(編輯) ]

  • 홈사업부(事業部) (셋톱박스 제조분야(製造分野)로 구글이 모토로라 본사(本社) 셋톱박스 사업(事業)을 매각(賣却)함에 따라 사라짐.)
  • 연구(硏究) 및 개발(開發) 부서(部署)
  • 마케팅 조직(組織)
  • 아이덴 영업(營業) 조직(組織)

모토로라 솔루션 코리아 [ 편집(編輯) ]

  • 컨벤셔널 무전기(無電機), 모바일 컴퓨터, 바코드 스캐너, 자가망(自家網) 무선(無線) 시스템, 무선(無線) 광대역(廣帶域) 네트워크, RFID, 기타(其他) 기업(企業) 및 정부용(政府用) 제품(製品) 및 솔루션 담당(擔當)

품질(品質) 보증(保證) 지원(支援) 및 고객(顧客)서비스 [ 편집(編輯) ]

논란(論難) [ 편집(編輯) ]

모바일 사업(事業) 철수(撤收) [ 편집(編輯) ]

안정적(安定的) 수익(收益)을 보이는 솔루션 사업부(事業部)와는 달리 모바일에서는 국내(國內) 사용자(使用者)를 배려(配慮)하지 않고 본사(本社)에 무관심(無關心)한 자체적(自體的)인 기업(企業) 방침(方針)에만 의지(依支)하면서 소비자(消費者)의 외면(外面)을 받았으며, A/S와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비롯한 사후(事後) 지원(支援) 면(面)에서 본사(本社)와 많은 차이(差異)를 보여 많은 비판(批判)을 받은 것에 의(依)한 판매부진(販賣不振)으로 모바일 사업부(事業部)만 철수(撤收)했다는 것이 국내(國內) 여론(輿論)의 의견(意見)이다. [10]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황인혁 (2000년(年) 6월(月) 28일(日)). “[글로벌 CEO] 제임스 스틸슨 ASE코리아 사장(社長)” . 매일경제(每日經濟) . 2013년(年) 12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2. “「모터로라코리아」社竣工(사준공(社竣工))” . 매일경제(每日經濟). 1968년(年) 1월(月) 20일(日) . 2017년(年) 5월(月) 22일(日)에 확인(確認)함 .  
  3. “니드햄씨(氏) 「모토로라·코리아」代表理事(대표이사(代表理事))” . 매일경제(每日經濟). 1970년(年) 10월(月) 24일(日) . 2017년(年) 5월(月) 22일(日)에 확인(確認)함 .  
  4. 정종태 (2000년(年) 4월(月) 20일(日)). “모토로라반도체통신(半導體通信), 모토로라코리아로 사명변경(社名變更)” . 한국경제(韓國經濟) . 2013년(年) 12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5. 강도원 기자(記者) (2011년(年) 8월(月) 15일(日)). “구글,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수(引受)(종합(綜合))” . ChosunBiz.  
  6. 2002년(年) 까지는 모든 통신사(通信社)에서 사용(使用)이 가능(可能)했으며, 2003년(年) 이후(以後) 출시(出市)된 제품(製品)부터 SK텔레콤 에서만 사용(使用)이 가능(可能)했다.
  7. 강기택 (2011년(年) 3월(月) 2일(日)). “모토로라 '아트릭스' SKT-KT 4월(月) 동시판매(同時販賣)” . 머니투데이 . 2013년(年) 12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8. 모토로라, 24년(年) 만에 한국(韓國) 시장(市場) 떠난다 (2012년(年) 12월(月) 11일(日) 작성(作成))
  9. 윤대우 (2012년(年) 12월(月) 10일(日)). “모토로라코리아 한국시장(韓國市場) 철수(撤收)” . 경제(經濟)투데이. 2013년(年) 12월(月) 14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3년(年) 12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10. “보관(保管)된 사본(寫本)” . 2013년(年) 2월(月) 16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3년(年) 2월(月) 16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