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티모르(東티모르)

동티모르(東티모르) 민주공화국(民主共和國)
테툼어 : Republika Demokratika Timor-Leste
포르투갈어(語) : Republica Democratica de Timor-Leste

국기(國紀)

국장(國葬)
표어(標語) 포르투갈어(語) : Unidade, Accao, Progresso
(통일(統一), 행동(行動), 진보(進步))
국가(國家) 조국(曺國)
수도 딜리 남위(南緯) 8° 33′ 00″ 동경(東京) 125° 35′ 00″  /  남위(南緯) 8.5500° 동경(東京) 125.583333°  / -8.5500; 125.583333
동티모르(東티모르)(동티모르)
정치(政治)
정치체제(政治體制) 공화제(共和制) , 단일국가(單一國家) , 단원제(單院制) , 이원집정부제(二元執政府制)
대통령(大統領)
총리(總理)
주제(主題) 하(下)무스오르타
샤나나 구스망(網)
역사(歷史)
독립(獨立) 설립(設立) 1702년(年)
 ? 선언(宣言) 포르투갈 로부터
1975년(年) 11월(月) 28일(日)
 ? 승인(承認) 인도네시아 로부터
2002년(年) 5월(月) 20일(日)
지리
면적(面積) 14,609 km 2 ( 154 위(位) )
시간대(時間帶) UTC ( UTC +9)
인문(人文)
공용어(公用語) 테툼어 , 포르투갈어(語)
인구(人口)
2019년(年) 어림 1,352,360명(名) (155위(位))
인구(人口) 밀도(密度) 76명(名)/km 2 ( 129위(位) )
경제(經濟)
GDP ( PPP ) 2017년(年) 어림값
 ? 전체(全體) $29억(億) 5462만(萬) ( 156위(位) )
 ? 일인당(一人當) $3,380 ( 145위(位) )
GDP (명목(名目)) 2017년(年) 어림값
HDI 0.576 ( 134위(位) , 2012년(年) 조사(調査))
통화(通話) 센타부(部) , 미국(美國) 달러 ( USD )
종교(宗敎)
종교(宗敎) 기독교(基督敎) 99.8% [1]
이슬람교(이슬람敎) 0.2%
기타 0.2%
기타
ISO 3166-1 626 , TL , TLS
도메인 .tl
국제(國際) 전화(電話) +670

동티모르(東티모르) 민주공화국(民主共和國) ( 테툼어 : Republika Demokratika Timor-Lorosa'e 레푸블리카 데모크라티카 티모르로로사(輅路社)에 , 포르투갈어(語) : Republica Democratica de Timor-Leste 헤푸블리카 데모크라티카 지 티모를레스치 [ * ] , 영어(英語) : Democratic Republic of Timor-Leste ), 줄여서 동티모르(東티모르) ( 테툼어 : Timor Lorosa'e 티모르로로사(輅路社)에 , 포르투갈어(語) : Timor-Leste 티모르레스트 [ * ] , 문화어(文化語) : 동부(東部)띠모르, 영어(英語) : East Timor, Timor-Leste )는 동남아시아(東南아시아) 티모르섬 에 위치(位置)한 공화국(共和國) 이다. 지리적(地理的)으로는 오세아니아 아시아 간 경계(境界)인 티모르섬 의 동쪽(東쪽)과 서티모르 북쪽(北쪽)의 일부(一部), 그리고 인접(隣接) 도서지역(島嶼地域)으로 이루어져 있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자연(自然) 환경(環境) [ 편집(編輯) ]

지리 [ 편집(編輯) ]

인도네시아 발리섬으로부터 비행기편(飛行機便)으로 1시간(時間) 50분(分), 오스트레일리아 다윈 으로부터 1시간(時間) 거리(距離)에 위치(位置)하고 있다. 동티모르는 티모르섬 의 동부(東部)와 티모르섬 의 서부(西部) 일부(一部)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티모르섬은 오스트레일리아 , 인도네시아 가 통치(統治)하는 여러 섬에 둘러싸여 있다.

기후(氣候) [ 편집(編輯) ]

동티모르는 건기(乾期) 우기(右記) 로 나뉜다. 건기(乾期)는 4월(月)부터 10월(月)까지이고 우기는 10월(月)부터 이듬해 4월(月)까지이다. 한낮의 최고(最高) 기온(氣溫)은 섭씨(攝氏) 35도(度) 이상(以上)으로 무덥고 오후(午後)에 접어들면 간간히 소나기가 더운 대지(大地)를 식혀준다.

행정(行政) 구역(區域) [ 편집(編輯) ]

동티모르의 행정(行政) 구역(區域)

동티모르의 수도 딜리 이고, 행정(行政) 구역(區域) 은 13개(個)의 현(現) 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치(政治) [ 편집(編輯) ]

니콜라우(禹) 로바토(土) 대통령궁(大統領宮) (딜리)
동티모르(東티모르) 국회(國會) 내부(內部)
동티모르 정부청사(政府廳舍)

대통령제(大統領制) 를 택(擇)하고 있는 공화제(共和制)이다. 국민의회(國民議會) 의 구성(構成)은 단원제(單院制) 로 채택(採擇)되며, 국회의원(國會議員) 수(數)는 65명(名)이다. 주요(主要) 정당(政黨)은 동티모르 독립혁명전선(獨立革命戰線) (FRETILIN)과 티모르 재건국민회의(再建國民會議) (CNRT)등(等)이며, 대통령(大統領)은 직접(直接) 선거(選擧)로 선출(選出)되며 임기(任期)는 5년(年) 중임제(重任制)이며 1회(回) 중임(重任) 할 수 있고 최대(最大) 임기(任期)는 10년(年)이다. 현재(現在) 대통령(大統領) 주제(主題) 하(下)무스오르타 이며, 2022년(年)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에서 당선(當選)되었다. 현재(現在) 총리(總理) 는 前 대통령(大統領) 을 역임(歷任)했던 타우르 마탄 루악 이다.

인구(人口)와 주민(住民) [ 편집(編輯) ]

동티모르(東티모르) 원주민(原住民)

주민(住民)은 말레이인 이 대부분(大部分)이다. 그 외(外) 화교(化敎) , 인도인(印度人) , 하프카스트( 포르투갈인(人) 과 말레이인의 혼혈(混血)) 등(等)이 있다. 주요(主要) 민족(民族)은 말레이인, 포르투갈인(人), 테툼인 등(等)이며, 아랍인(人)과 파푸아인(人)의 후손(後孫)들도 있다. 인도네시아 지배(支配)의 영향(影響)으로 말레이인들이 많다.

역사적(歷史的) 인구(人口)
연도(鳶島) 인구(人口) ±%
1980 555,350 ?    
1990 747,557 +34.6%
2001 787,340 +5.3%
2004 923,198 +17.3%
2010 1,066,582 +15.5%
2015 1,183,643 +11.0%
출처(出處): 2015 census [3]

언어(言語) [ 편집(編輯) ]

테툼어 포르투갈어(語) 공용어(公用語) 이다. 포르투갈어(語)는 포르투갈의 지배(支配)로 인해 사용(使用)되는데, 실제로(實際로) 많은 사람들이 포르투갈어(語)를 사용(使用)한다. 동티모르의 국가(國家)도 포르투갈어(語) 가사(歌詞)만 있고, 테툼어 가사(歌詞)는 없다. 포르투갈어(語)는 테툼어에 상당(相當)한 영향(影響)을 미쳤는데, 이 테툼어는 한때 한글 도입(導入) 소동(騷動)을 빚기도 했다. 하지만 이 두 언어(言語)는 아직 업무어(業務語)로 사용(使用)하지 않고 있으며, 실질적(實質的)으로 공용어(公用語) 역할(役割)을 하는 언어(言語)는 현재(現在) 업무어(業務語)로 사용(使用)되고 있는 영어(英語)와 말레이어(말레이語)다. 동티모르(東티모르) 말레이어(말레이語)는 인도네시아 지배(支配)의 영향(影響)으로 인도네시아 말레이어(말레이語)를 사용(使用)한다. 인도네시아 지배(支配) 시절(時節) 인도네시아 정부(政府)는 동티모르(東티모르) 학교(學校)에 말레이어(말레이語)만 쓰도록 강요(强要)했다. 2002년(年) 독립(獨立) 이후(以後) 말레이어(말레이語)는 공용어(公用語) 지위(地位)를 박탈당했으나, 현재(現在)도 실질적(實質的)인 공용어(公用語)로 사용(使用)되고 있으며, 테툼어와 포르투갈어(語)가 업무(業務)어 및 완전(完全)한 공용어(公用語)로 자리잡기 전(前)까지는 이 언어(言語)가 영어(英語)와 함께 실질적(實質的)인 공용어(公用語) 역할(役割)을 하게 된다.

종교(宗敎) [ 편집(編輯) ]

종교(宗敎)는 천주교(天主敎) 가 97.79%, 개신교(改新敎) 가 1.01%, 이슬람교(이슬람敎) 가 0.44%, 힌두교(힌두敎) 가 0.06%, 불교(佛敎) 가 0.05%, 애니미즘 등(等)이 소수(少數) 존재(存在)한다. 가톨릭신자(信者)가 기독교인(基督敎人) 들의 대부분(大部分)인 이유(理由)는 포르투갈 의 영향(影響)을 받았기 때문이며, 초대(初代) 대통령(大統領)이었던 샤나나 구즈망(網) 예수회 에서 세운 고등학교(高等學校) 에서 공부(工夫)했다.

인도네시아 통치(統治) 시대(時代)의 1992년(年) 조사(調査)에서는 이슬람교도(이슬람敎徒)가 인구(人口)의 4%를 차지하고 있었다고 여겨지지만, 독립(獨立)에 의(依)해 인도네시아 정부(政府)의 공무원(公務員) 등(等)이 동티모르에서 퇴거(退去)하면서 이슬람교도(이슬람敎徒)의 비율(比率)은 큰 폭(幅)으로 줄어들었다.

한편(한便) 독립(獨立) 운동(運動) 등(等)의 정신적(精神的) 지주(支柱)가 되었던 로마 가톨릭교회 의 신뢰도(信賴度)는 높아졌으며, 아시아 기독교(基督敎) 협의회(協議會) (CCA), 세계(世界) 교회(敎會) 협의회(協議會) ( WCC )도 인도네시아 교회(敎會)의 반발(反撥)에도 불구(不拘)하고 [4] 동티모르 독립(獨立) 운동(運動)을 지원(支援)하였다.

문화(文化) [ 편집(編輯) ]

포르투갈 의 식민(植民) 지배(支配) 영향(影響)으로 포르투갈 문화적(文化的) 요소(要素)가 남아 있어 축구(蹴球)를 좋아하고 노래와 춤을 즐기는 편(便)이다. 또한 인도네시아 지배(支配)의 영향(影響)으로 인도네시아에서 고등교육(高等敎育)을 받은 인사(人士)들이 동티모르(東티모르) 엘리트층(層)을 구성(構成)하고 있으며, 대부분(大部分)의 생필품(生必品)이 인도네시아에서 유입(流入)되고 있어 경제적(經濟的)으로도 인도네시아 영향권(影響圈) 하(下)에 위치(位置)하며, 천주교(天主敎)의 영향(影響)으로 대부분(大部分)의 가정(家庭)이 일부일처제(一夫一妻制)이나, 지역(地域)에 따라 일부다처인(一部多妻人) 가정(家庭)이 1%에서 11%사이에 분포(分布)된다.

동티모르의 공영(公營) 방송(放送) 이자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국(放送局)인 라디오 텔레비전 동티모르(東티모르) (RTTL)가 존재(存在)한다.

교육(敎育) [ 편집(編輯) ]

기본적(基本的)으로 현지어인 테툼어 로 교육(敎育)이 진행(進行)되나, 포르투갈 의 지원(支援)으로 약간(若干)의 포르투갈어(語) 교육(敎育)도 진행(進行)된다. 교육제도(敎育制度)는 초등학교(初等學校) 6년(年), 중(中), 고교(高校) 3년(年), 대학(大學) 4년(年)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학교(大學校)로는 국립(國立) 대학(大學)인 동티모르(東티모르) 대학교(大學校)와 사립(私立) 대학(大學)인 딜리 대학교(大學校)가 있다.

경제(經濟) [ 편집(編輯) ]

동티모르 경제(經濟)의 85%가 농업(農業) 부분(部分)에 종사(從事)하며 국민총생산(國民總生産)에 차지하는 비율(比率)이 32%에 불과(不過)하다. 또한 자본(資本), 노동력(勞動力), 기술(技術), 인프라가 부족(不足)하다. 동티모르의 1인당(人當) 국민(國民) 소득(所得)은 2000달러 남짓이다. 1999년말(年末), 동티모르의 경제(經濟) 인프라의 약(約) 70%는 인도네시아 정부군(政府軍)과 독립(獨立)에 반대(反對)하는 민병대(民兵隊)에 의(依)하여 파괴(破壞)되어 경제력(經濟力)이 침체(沈滯)되었다가 2005년(年) 이후(以後) 석유(石油), 천연가스(天然가스) 사용료(使用料) 수입(輸入)이 본격적(本格的)으로 유입(誘入)하기 시작(始作)하면서 경제(經濟)가 회복세(回復勢)로 전환(轉換)되었으나, 2006년(年) 경제성장(經濟成長)이 -5.8%였다가 2007년(年)에는 제조업(製造業)과 서비스업(서비스業)이 활기(活氣)를 띄어 8.4%를 기록(記錄)하였고, 2008년(年) 12.8%, 2009년(年) 7.2% 성장(成長)을 하였다.

공식(公式) 통화(通話)는 US 달러이다. 특히(特히) 1센트에서 1달러 까지는 동티모르(東티모르) 최초(最初)의 동전(銅錢)이 존재(存在)한다.

농업(農業) [ 편집(編輯) ]

동티모르는 또한 대규모(大規模)의, 그리고 수익성(收益性)이 좋을 것으로 기대(期待)되는 커피 산업(産業)이 발달(發達)해 있으며, 수많은 공정(公正) 무역(貿易) 소매(小賣) 상인(商人)들 및 공개(公開) 시장(市場) 유기농(有機農) 커피를 판매(販賣)하고 있다.

대외(對外) 관계(關係) [ 편집(編輯) ]

대한민국(大韓民國) 과는 독립연도(獨立年度)인 2002년(年)에 외교관계(外交關係)를 맺었으며 1999년(年) 상록수부대(常綠樹部隊) 가 동티모르 현지(現地)에 파병(派兵)되어 치안(治安), 질서유지(秩序維持)와 구호품(救護品) 전달(傳達) 등(等)을 지원(支援)하였다. 2002년(年) 8월(月)에는 수도(首都) 딜리에 주동티모르(駐東티모르) 한국대사관(韓國大使館)이 설립(設立)되었다. 일본(日本) 은 동티모르에 자위대(自衛隊) 유엔 평화유지군(平和維持軍) 으로서 파견(派遣)하였다.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는 동티모르에 국제평화유지군으로 상록수부대가 파병(派兵)했다. 2003년(年) 상록수부대(常綠樹部隊)에서 5명(名)이 평화활동(平和活動)을 펼치는 도중(途中) 순직(殉職)하는 참변(慘變)이 발생(發生)하였다. 서티모르내(內) 동티모르(東티모르) 행적구역인(行跡區域人) 오에쿠시(Oecusse) 부대(部隊)쪽에 발전기(發電機) 고장(故障)이 발생(發生)하여 발전기(發電機) 수리(修理)를 위해 5명(名)이 지프차(지프車)를 타고 그곳으로 향(向)해 마른강(江)을 건너는 도중(途中) 갑자기 상류(上流)에서 급류(急流)가 밀려와 순식간(瞬息間)에 전원(電源) 순직(殉職)했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가톨릭 99.6%, 개신교(改新敎) 2%
  2. 리더스 다이제스트 에 따르면 인도네시아가 동티모르를 지배(支配)하던 시절(時節) 인도네시아 정부(政府)에서는 초등학교(初等學校) 학예회(學藝會)에서조차 인도네시아어(語) 만 쓰게 하였다.
  3. “East Timor: Administrative Division” . City population.  
  4. 신학(神學) 월간지(月刊誌)인 기독교(基督敎) 사상(思想) 기사(記事)에 의(依)하면 아시아 기독교(基督敎) 협의회(協議會)가 동티모르 독립(獨立) 운동(運動)을 지지(支持)하자 인도네시아 교회(敎會) 관계자(關係者)들이 아시아 교회(敎會) 협의회(協議會) 총회(總會)에서 집단(集團)으로 이탈(離脫)하는 등(等) 상당(相當)한 불쾌감(不快感)을 드러냈다.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