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네덜란드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네덜란드

네덜란드
Nederland

국기(國紀)

국장(國葬)
표어(標語) 프랑스어(프랑스語) : Je maintiendrai [1]
표어(標語) 설명(說明) 나는 유지(維持)할 것이다
국가(國家) 빌헬뮈스
수도 암스테르담 [2] 북위(北緯) 52° 22′ 23″ 동경(東京) 4° 53′ 32″  /  북위(北緯) 52.373056° 동경(東京) 4.892222°  / 52.373056; 4.892222
네덜란드(네덜란드)
정치(政治)
정치체제(政治體制) 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 , 의원내각제(議員內閣制)
국왕(國王)
총리(總理)
빌럼알렉산더르
마르크 뤼터
역사(歷史)
독립(獨立) 스페인 으로부터
 ?  공화국(共和國) 1581년(年)
 ? 왕국(王國) 1815년(年)
지리
면적(面積) 41,865 km 2 ( 131 위(位) )
내수면(內水面) 비율(比率) 18.41 %
시간대(時間帶) CET ( UTC +1)
DST CEST (UTC+2)
인문(人文)
공용어(公用語) 네덜란드어(語)
프리슬란트어
지역어(地域語) 파피아멘토어(土語)
인구(人口)
2020년(年) 어림 17,469,635명(名) (67위(位))
인구(人口) 밀도(密度) 423명(名)/km 2 ( 16위(位) )
경제(經濟)
GDP ( PPP ) 2021년(年) 어림값
 ? 전체(全體) $1.055조(兆) ( 27위(位) )
 ? 일인당(一人當) $60,461 ( 11위(位) )
GDP (명목(名目)) 2021년(年) 어림값
HDI 0.944 ( 8위(位) , 2019년(年) 조사(調査))
통화(通話) 유로 1 ( EUR )
종교(宗敎)
종교(宗敎) 무종교(無宗敎) 55.4%
기독교(基督敎) 37.5% [3]
이슬람교(이슬람敎) 5.2%
힌두교(힌두敎) 1.1%
기타 0.8%
기타
ISO 3166-1 528 , NL , NLD
도메인 .nl
국제(國際) 전화(電話) +31
1 2002년(年) 이전(以前)까지는 네덜란드 휠던 .

네덜란드 ( 네덜란드어(語) : Nederlands [?neːd?r?l?nt] 네데를란트 [ * ] 이 소리의 정보듣기   , 서(鉏)프리슬란트어 : Nederlan , 파피아멘토어(土語) : Hulanda )는 서유럽(西유럽) 에 위치(位置)한 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 국가(國家)이다. 동쪽(東쪽)으로는 독일(獨逸) , 남쪽(南쪽)으로는 벨기에 와 국경(國境)을 접(接)하며 북쪽(北쪽)으로는 영국(英國) 을 마주보고 북해(北海) 에 면한다. 벨기에, 룩셈부르크 와 합(合)해서 베네룩스 라고 부른다. 헌법상(憲法上)의 수도 암스테르담 이다(사실상의 수도(首都)는 헤이그 ).

카리브 해(海) 아루바 , 퀴라소 , 신(神)트마르턴 과 함께 네덜란드 왕국(王國) 을 구성(構成)한다. 이외(以外)에도 해외(海外) 특별자치령(特別自治領)으로 BES제도(制度) 라 하는 보(步)네르섬 , 신트외스타티위스섬 , 사바섬 이 있다.

네덜란드는 세계(世界)에서 언론(言論)의 자유(自由) , 경제적(經濟的) 자유(自由) , 인간(人間) 개발(開發) 지수(指數) , 삶의 질(質) 의 최상위(最上位) 국가(國家) 중(中) 하나이다. 2019년(年) 세계행복지수(世界幸福指數) 세계(世界) 5위(位), 1인당(人當) GDP는 세계(世界) 7위(位), 인간(人間) 개발(開發) 지수(指數) 는 10위(位)였다. 2022년(年) 적극적(積極的) 평화(平和) 지수(指數) 는 세계(世界) 6위(位)였다.

역대(歷代) 군주(君主) [ 편집(編輯) ]

보나파르트 왕가(王家) [ 편집(編輯) ]

오라녜 나사우 왕가(王家) [ 편집(編輯) ]

개요(槪要) [ 편집(編輯) ]

네덜란드는 예로부터 다른 나라에서 사상(死傷)·신조(信條)를 이유(理由)로 박해(迫害) 받은 사람들을 받아들여 번영(繁榮)해 왔다는 자부심(自負心)이 있기 때문에 매사(每事)에 관용적(慣用的)인 것이 가장 큰 특징(特徵)이다. 실제로(實際로) 2019년(年) 5월(月) 유럽연합(聯合) 인종차별보고서(人種差別報告書)에 따르면 네덜란드는 스웨덴과 함께 유럽연합(聯合) 중(中) 아시아인(人)에 대(對)한 차별(差別)이 가장 적은 나라로 나타났다. 특히(特히) 일본(日本) 에는 도쿠가와 막부(幕府) 에 의(依)한 쇄국(鎖國) 정책(政策) 당시(當時) 기독교(基督敎) 포교(布敎) 금지(禁止) 조건(條件)에 유럽 국가(國家) 중(中) 유일(唯一)하게 응(應)했고 나가사키의 데지마를 통한 무역(貿易)을 통해 유럽의 근대(近代) 문명(文明)을 ' 난학(蘭學) '이라는 형태(形態)로 일본(日本)에 가져와 메이지 유신(維新) 이후(以後) 급속(急速)한 근대화(近代化)를 추진(推進)하는 초석(礎石)이 되었다.

또한 가톨릭 국가(國家)로서 최근(最近) 인도네시아 에서 독립(獨立)한 동티모르(東티모르) 와는 달리 동인도(東印度) 회사(會社) 에 의(依)한 인도네시아 통치(統治) 당시(當時)에도 기독교(基督敎)가 아닌 이슬람교(이슬람敎) 의 보급(普及)을 오히려 영토(領土) 확대(擴大)의 지렛대로 이용(利用)했을 정도(程度)이다. 오늘날에도 다른 유럽 국가(國家)들에 비하여 실로(實로) 많은 이민(移民) 자(者)들이 그 삶의 편리성(便利性)으로 인(因)해 합법(合法)·비합법(非合法)을 가리지 않고 거주(居住)하고 있다. 합법적(合法的)으로 입국(入國)한 EU 역외(域外)에서의 이민(移民)에 대(對)해서는 네덜란드어(語) 강습(講習), 사회화(社會化) 강습(講習), 취직(就職) 상담(相談)을 세트로 한 이른바 '시민화(市民化) 강습(講習)'의 실시(實施)를 다른 유럽 국가(國家)들에 앞서 하는 등(等) 일정(一定)한 이민(移民) 대책(對策)도 강구(講究)하고 있다.

그러나 이슬람계(系) 주민(住民) 중(中)에서는 이슬람 극단주의(極端主義) 가 힘을 얻으면서 저명(著名)한 영화감독(映畫監督) 테오 반 고흐 등(等)의 암살(暗殺) 사건(事件)과 개신교(改新敎) 교회(敎會) 화공(化工)(火攻) 사건(事件) 등(等)이 빈번(頻繁)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슬람계(系) 주민(住民)에 대(對)한 반감(反感)이 커지면서 이슬람 이민자(移民者) 배척(排斥)을 내세우는 극우(極右) 정당(正當) 자유당(自由黨) 이 세력(勢力)을 얻었고 자유당(自由黨)이 신임(新任) 공급(供給) 하는 현(現) 정부(政府)도 이슬람계(系) 이민(移民) 규제(規制)와 이슬람교(이슬람敎) 의상(衣裳)인 부르카 금지(禁止) 등(等)의 정책(政策)을 채택(採擇)하게 되었다. 유럽 헌법(憲法) 국민투표(國民投票) 부결(否決)에도 이런 감정(感情)이 반영(反映)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한便) 대마(大麻) 등(等) 소프트 드러그 의 판매(販賣)·소지(所持)·사용(使用), 적극적(積極的) 안락사(安樂死) 가 허용(許容)되어 있으며, 몇몇 유럽 국가(國家)들과 함께 합법화(合法化)되어 있다. 무엇보다 소프트 드러그에 관(關)해서는 당국(當局)이 마련한 규칙(規則)에 따라 엄격(嚴格)한 관리(管理)·감시(監視)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커피숍 이라는 가게에서만 인정(認定)된다), 발케넨더 정권(政權) 때는 일부(一部) 재검토(再檢討)도 검토(檢討)하고 있었다. 또 안락사(安樂死)에 대(對)해서도 여전히(如前히) 재검토(再檢討) 논의(論議)가 계속(繼續)되고 있다.

1991년(年)에는 형법(刑法)이 개정(改正)돼 16세(歲) 이상(以上)은 포르노 출연(出演), 성행위(性行爲)가 적법(適法)하다. 이를 토대(土臺)로 국가(國家)의 허가(許可)를 받으면 관리(管理) 성매매(性賣買) 도 합법(合法)이다(사실은 성매매(性賣買)를 국가(國家) 관리하(管理下)에 합법화(合法化)하여 위생상태(衛生狀態)의 향상(向上)을 꾀하였고 성병(性病) 감염률(感染率)이 저하(低下)되는 결과(結果)를 얻었다). 또한 세수(稅收) 증가(增加), 성매매(性賣買)에 종사자(從事者)의 보호(保護) 강화(强化) 등(等)이 실현(實現)되었다고도 한다.

이런 점(點)에서 세계(世界) 유수(有數)의 '성(性)(性) 해방구(解放區)'로 알려져 있지만 성범죄(性犯罪) 를 저지르면 가차(假借)없이 체포(逮捕) 되는 것은 다른 나라와 하등(何等) 다르지 않다. 또한 이러한 행위(行爲)에 관여(關與)하는 것은 나름대로 리스크도 크므로 자유로운 한편(한便) 자기책임(自己責任)을 지고 행동(行動)해야 하는 나라라고도 할 수 있다.

국명(國名) [ 편집(編輯) ]

국명(國名) 및 통칭(統稱)은 네덜란드어(語)로 Nederland (네덜란드 왕국(王國))이다. 이는 ' 저지대(低地帶) 국가(國家) ', '저지대 지방(地方)'을 뜻하는 보통명사(普通名詞) 에서 유래(由來)되었기 때문에 기본적(基本的)으로 정관사(定冠詞) 를 붙일 필요(必要)가 있다. 통칭(通稱) 'Nederland'는 네덜란드 왕국(王國)의 유럽 국토(國土)를 의미하기 때문에 단수형(斷水型) 이고, 정식(正式) 명칭(名稱)에 사용(使用)되는 'de Nederlanden'은 해외(海外) 영토(領土)를 포함(包含)한 개념(槪念)이기 때문에 복수형(複數型) 이다. 게르만계(系) 언어(言語) 로는 독일어(獨逸語) 로 die Niederlande, 라틴계(系) 언어(言語) 로는 프랑스어(프랑스語) 로 les Pays-Bas, 스페인어(語) 로 los Paises Bajos, 이탈리아어(語) 로 i Paesi Bassi(모두 의미(意味)는 같다). 모두 복수형(複數型)인 것은 전통적(傳統的)으로 현재(現在)의 베네룩스 3국(國)이 있는 저지대(沮止隊) 지역(地域) 일대(一帶)의 영방군(領邦群) [주(週) 1] 의 역사적(歷史的) 총칭(總稱)을 계승(繼承)하고 있기 때문이다. 덧붙여 복수형(複數型)이기는 하지만, 영어(英語)나 스페인어(語) 등(等) 언어(言語)에 따라서는, 종종(種種) 집합명사(集合名詞) 혹은(或은) '왕국(王國)'을 생략(省略)한 것으로 단수(斷水) 취급(取扱)된다.

속칭(俗稱)인 Holland (홀란트)도 자주 쓰이는데, 이는 스페인 지배(支配)에 맞서 일으킨 80년(年) 전쟁(戰爭) 에서 중요(重要)한 역할(役割)을 한 홀란트 주(州) (현재(現在)는 남북(南北) 2개(個) 주(州)로 나뉘었다)의 이름에서 유래(由來)했으며 고유명사(固有名詞) 이므로 관사(官舍) 가 붙지 않는다.

공식적(公式的)인 영어(英語) 표기(表記)는 the Netherlands (더 네덜런즈). 형용사(形容詞) 및 명사형(名詞形)인 Dutch(더치)는 원래(元來) 독일(獨逸) (Duitsch)을 가리키며 같은 나라의 지배(支配)에서 벗어난 17세기(世紀) 이후(以後) 네덜란드(사람, 말)를 뜻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다만 역사적(歷史的)으로 영란(英蘭) 간(間)에 무역(貿易)이나 해외(海外) 진출(進出)을 둘러싸고 치열(熾烈)한 경쟁(競爭)과 대립(對立)이 발생(發生)했기 때문에 경멸(輕蔑)의 뉘앙스가 강(强)해 'Netherlander'나 'Hollander'가 이용(利用)되기도 한다.

일본어(日本語) 표기(表記)는 오란다( オランダ ). 한자(漢字) 표기(表記) 화란(和蘭) (和蘭), 화란타(和蘭打)(阿蘭陀), 아란타(荷蘭陀), 하란타(荷蘭陀), 하란(荷蘭), 니덕(德)란(尼?蘭, 네데를란트의 음역(音域))으로 표기(表記)되며 ( )으로 약칭(略稱)된다. 유래(由來)는 포르투갈어(語) 로 '홀란트'를 의미(意味)하는 'Holanda [??l??d?]'가 센고쿠 시대(時代) 에 내항(來降)한 포르투갈인(人) 선교사(宣敎師) 에 의(依)하여 전(傳)해진 데서 비롯되었다.

네덜란드 정부(政府)는 2020년(年) 1월(月) 1일(日) 로써 국명(國名)으로 '홀란트'를 사용(使用)하지 않고 네덜란드 외무부(外務部)도 여러 나라에 이 통칭(統稱)을 변경(變更)하도록 호소(呼訴)하고 있다. 또한 일본(日本)의 '오란다'라는 호칭(呼稱)에 대(對)해서는 일본어(日本語) 단어(單語)로 정착(定着)했기 때문에 변경(變更)은 요구(要求)하지 않는다고 하고 있다.

지리 [ 편집(編輯) ]

총(總) 면적(面積)은 4만(萬) 1000km 2 이다. 북해(北海) 에 면해 있는 국토(國土)는 레인 강(江)(Rijn; 독일어(獨逸語)로는 라인강(라인江) )), 마스강 (Maas), 스헬더강 (Schelde) 등(等)이 만드는 삼각주(三角洲)를 중심(中心)으로 저지대(低地帶)가 펼쳐져 있다. 남서쪽(南西쪽)은 구릉지대(丘陵地帶)로 되어 있으나 림뷔르흐 주(州)에 있는 이 나라 최고(最高) 지점(地點)조차도 321m에 지나지 않는, 전체적(全體的)으로 평탄(平坦)한 국토(國土)를 가지고 있다.

과거(過去)에는 '네덜란드령(領) 기아나(기아나)'라는 이름을 가진 수리남 은 물론(勿論) 본국(本國)의 50여(餘) 배(倍)도 넘는 땅인 인도네시아 도 ' 네덜란드령(領) 동인도(東印度) '라는 이름으로 식민지(植民地)에 포함(包含)되었다.

네덜란드 왕국(王國) 의 대부분(大部分)(98.5%)을 차지한다. 인구(人口) 밀도(密度) 가 높은 나라로 국토(國土)의 25%가 해수면(海水面)보다 낮은 지역(地域)이다.

네덜란드의 기후(氣候) [ 편집(編輯) ]

네덜란드는 위도(緯度)가 높은 곳에 있지만, 북부(北部) 지역(地域)은 북해(北海)의 난류(暖流) 편서풍(偏西風) 의 영향(影響)을 받는 해양성(海洋性) 기후(氣候) 로 1년(年) 내내 온화(溫和)한 편(便)이다.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氣溫差)는 작지만, 날씨는 변(變)하기 쉽다. 그러나 남동부(南東部) 지역(地域)은 대륙성(大陸性) 기후(氣候) 의 영향(影響)을 받아 기후(氣候)가 거칠고 기온차(氣溫差)도 심(甚)하다.

네덜란드의 겨울
왼쪽에 있는 Carambei 역사(歷史) 공원(公園) 공원(公園)과 네덜란드 건축물(建築物)
De Bilt (1981?2010 averages), all KNMI locations (1901?2011 extremes), snowy days: (1971?2000 averages).의 기후(氣候)
월(月) 1월(月) 2월(月) 3월(月) 4월(月) 5월(月) 6월(月) 7월(月) 8월(月) 9월(月) 10월(月) 11월(月) 12월(月) 연간(年間)
최고(最高) 기온(氣溫) 기록(記錄) °C (°F) 17.2
(63.0)
20.4
(68.7)
25.6
(78.1)
32.2
(90.0)
35.6
(96.1)
37.2
(99.0)
38.2
(100.8)
38.6
(101.5)
35.2
(95.4)
30.1
(86.2)
22.0
(71.6)
17.8
(64.0)
38.6
(101.5)
평균(平均) 일(日) 최고(最高) 기온(氣溫) °C (°F) 5.6
(42.1)
6.4
(43.5)
10.0
(50.0)
14.0
(57.2)
18.0
(64.4)
20.4
(68.7)
22.8
(73.0)
22.6
(72.7)
19.1
(66.4)
14.6
(58.3)
9.6
(49.3)
6.1
(43.0)
14.1
(57.4)
일(日) 평균(平均) 기온(氣溫) °C (°F) 3.1
(37.6)
3.3
(37.9)
6.2
(43.2)
9.2
(48.6)
13.1
(55.6)
15.6
(60.1)
17.9
(64.2)
17.5
(63.5)
14.5
(58.1)
10.7
(51.3)
6.7
(44.1)
3.7
(38.7)
10.1
(50.2)
평균(平均) 일(日) 최저(最低) 기온(氣溫) °C (°F) 0.3
(32.5)
0.2
(32.4)
2.3
(36.1)
4.1
(39.4)
7.8
(46.0)
10.5
(50.9)
12.8
(55.0)
12.3
(54.1)
9.9
(49.8)
6.9
(44.4)
3.6
(38.5)
1.0
(33.8)
6.0
(42.8)
최저(最低) 기온(氣溫) 기록(記錄) °C (°F) ?27.4
(?17.3)
?26.8
(?16.2)
?20.7
(?5.3)
?9.4
(15.1)
?5.4
(22.3)
?1.2
(29.8)
0.7
(33.3)
1.3
(34.3)
?3.7
(25.3)
?8.5
(16.7)
?14.4
(6.1)
?22.3
(?8.1)
?27.4
(?17.3)
평균(平均) 강수량(降水量) mm (인치) 69.6
(2.74)
55.8
(2.20)
66.8
(2.63)
42.3
(1.67)
61.9
(2.44)
65.6
(2.58)
81.1
(3.19)
72.9
(2.87)
78.1
(3.07)
82.8
(3.26)
79.8
(3.14)
75.8
(2.98)
832.5
(32.78)
평균(平均) 강수일수(降水日數) (≥ 0.1 mm) 17 14 17 12 14 14 14 14 15 16 18 17 184
평균(平均) 강설일수 (≥ 0 cm) 6 6 4 2 0 ? ? ? ? 0 2 5 25
평균(平均) 상대(相對) 습도(濕度) (%) 87 84 81 75 75 76 77 79 84 86 89 89 82
평균(平均) 월간(月間) 일조시간(日照時間) 62.3 85.7 121.6 173.6 207.2 193.9 206.0 187.7 138.3 112.9 63.0 49.3 1,601.5
출처(出處): KNMI.nl [4]

역사(歷史) [ 편집(編輯) ]

고대(古代)와 중세(中世) [ 편집(編輯) ]

켈트와 게르만인(人) 이 자리잡고 살던 네덜란드에 로마인이 들어와 외국(外國) 지배(支配)의 역사(歷史)가 시작(始作)된 것은 BC 50년(年) 경(頃)이다. 남부(南部)의 마스트리흐트 에 로마 시대(時代)의 요새(要塞) 유적(遺跡) 이 남아 있다. 로마 지배(支配)의 말기(末期)에는 프랑크와 색슨-프리스인(人)들이 들어와 정착(定着)하기 시작(始作)했고 이 무렵 네덜란드에 기독교(基督敎) 가 자리잡기 시작(始作)했다. 이슬람을 막은 카롤루스 대제(大帝) 교황(敎皇) 레오 3세(歲) 로부터 신성(神聖)로마제국(帝國) 황제(皇帝)의 관(棺)을 받았다.(800년) 그가 사망(死亡)(816년(年))한 이후(以後), 유럽은 베르됭 조약(條約) (843년(年))으로 서  · 중(中)  · 동(桐) 프랑크로 나뉘게 되는데, 이 때 저지대(低地帶) 국가(國家) 스헬더강 을 중심(中心)으로 서쪽(西쪽)(현재(現在)의 벨기에 )은 서프랑크 왕국(王國) 에, 동쪽(東쪽)은 동(東)프랑크 왕국(王國) 에 속(屬)하게 된다. [5] 10~13세기(世紀)에는 상업(商業)을 중심(中心)으로 하는 도시(都市)가 건설(建設)되기 시작(始作)하였으며, 홀란트 백작(伯爵)이 북부(北部)를 중심(中心)으로 세력(勢力)을 강화(强化)하였다.

독립(獨立) 전쟁(戰爭) [ 편집(編輯) ]

14세기(世紀)에 접어들어서는 부르고뉴(부르군트) 공작(工作) 지배하(支配下)에 들어가고, 15세기(世紀)에는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가문(家門)의 지배(支配)를 받게 되었다. 16세기(世紀)에 들어와 에스파냐 의 지배(支配)를 받게 되었을 때에는 근대(近代) 자본주의(資本主義) 에 눈을 뜨게 된 시민(市民)들이 우상파괴(偶像破壞) 폭동(暴動) [6] 과 네덜란드 종교개혁(宗敎改革) 등(等)의 끈질긴 저항(抵抗)으로 에스파냐 세력(勢力)을 몰아내고, 1588년(年) 공화국(共和國) (국호(國號)는 네덜란드 연방(聯邦) 공화국(共和國) )으로 독립(獨立)을 쟁취(爭取)하기에 이른다. 공화국(共和國)은 1815년(年)에 폐지(廢止)되고 네덜란드는 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 [7] 로 바뀐다.

황금시대(黃金時代) [ 편집(編輯) ]

무역국(貿易國)으로 발돋움하면서 문화적(文化的)으로도 황금기(黃金期)에 접어든다.

1588년(年) 에 네덜란드 연방(聯邦) 공화국(共和國)이 성립(成立)되자 정치적(政治的)으로 안정(安定)을 되찾은 네덜란드는 해외(海外) 진출(進出)의 황금시대(黃金時代)를 맞이하였다(당시에는 총독(總督)이 통치(統治)했다). 17세기(世紀)에는 주식회사(株式會社) 인(人) 연합(聯合) 동인도(東印度) 회사(會社) (VOC)를 설립(設立)하여 세계(世界) 제일(第一)의 무역(貿易) 국(局)으로 발돋움하였다. 네덜란드 동인도(東印度) 회사(會社)는 주주(株主)들의 투자(投資)를 받아서 설립(設立)된 주식회사(株式會社)였다. 네덜란드 상인(商人)들은 남아프리카(南아메리카) 동남아시아(東南아시아) 등지(等地)에 인도네시아 등(等)의 방대(厖大)한 식민지(植民地) 를 건설(建設)하였으며, 북미(北美) 대륙(大陸)에도 뉴암스테르담(지금(只今)의 뉴욕 )을 건설(建設)하기까지 하였다. 오세아니아 에도 간 상인(商人)들은 뉴질랜드 를 발견(發見)하기도 하였다. 네덜란드 상인(商人)들은 일본(日本) 에도 진출(進出)하였는데, 일본(日本) 에서는 나가사키 에 활동(活動) 공간(空間)을 마련해주었으며, '난학(蘭學)'(蘭學)이라고 불리는 네덜란드 문화(文化)를 배워가기도 했다. 이는 막부(幕府) 시대(時代) 일본(日本) 에서 금지(禁止)한 종교(宗敎) 인(人) 기독교(基督敎) 의 선교(宣敎)를 하지 않고 무역(貿易)에만 관심(關心)을 가졌기 때문이다. 한편(한便), 이 시기(時期)에 문화적(文化的)으로도 황금기(黃金期)를 맞이하여, 렘브란트 판 레인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등(等)의 화가(畫家)와 에라스무스 , 스피노자 와 같은 철학자(哲學者)도 배출(輩出)하였다. 특히(特히) 에라스무스는 그 자신(自身)은 로마 가톨릭 사제(私製) 였지만, 《우신예찬(愚神禮讚)》으로 로마 가톨릭 교회(敎會)를 비판(批判)한 종교(宗敎) 개혁자(改革者)였으며, 개신교(改新敎) 종교개혁자(宗敎改革者)들인 루터 , 츠빙글리 의 사상형성(思想形成)과 성공회(聖公會) 가 로마 가톨릭 교회(敎會)에서 분리(分離)된 영국(英國) 종교개혁(宗敎改革)에 영향(影響)을 주었다. 네덜란드는 미국(美國) 뉴욕주(뉴욕州) , 뉴저지주(뉴저지州) 등(等)을 식민지(植民地)로 삼고 인도네시아 를 식민화(植民化)하였다.

쇠퇴기(衰退期) [ 편집(編輯) ]

그러나 네덜란드를 견제(牽制)하려는 영국(英國) 과의 계속(繼續)되는 전쟁(戰爭)에서 밀려나 세계(世界)의 상권(商圈)을 영국(英國)에 빼앗기게 되었으며, 1793년(年) 2월(月) 1일(日), 프랑스는 네덜란드에 선전(宣戰) 포고(布告)하였다. [8] 1810년(年) 에는 프랑스 혁명(革命) 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프랑스 영토(領土)가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1815년(年) 빈 회의(會議) 의 결과(結果) 네덜란드 왕국(王國) 이 새로이 탄생(誕生)하였다. 하지만 로마 가톨릭 국가(國家)인 벨기에 개신교(改新敎) 국가(國家)인 네덜란드가 합병(合倂)된 왕국(王國)이었기 때문에, 1831년(年) 벨기에 가 네덜란드로부터 독립(獨立)하여 벨기에 왕국(王國) 을 건국(建國)했다.

현대사(現代史) [ 편집(編輯) ]

제(第)2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 에서는 중립(中立)을 지키지 못하고 나치 독일(獨逸) 의 지배하(支配下)에 들어갔다. 《 안네의 일기(日記) 》로 유명(有名)한 안네 프랑크 도 나치 독일(獨逸)의 네덜란드 점령기(占領期)의 인물(人物) 중(中) 하나이다. 전후(前後) 네덜란드는 안정(安定)된 정치(政治)와 높은 경제(經濟) 발전(發展)을 이루었다. 그러나 일본(日本) 의 지배하(支配下)에 있던 식민지(植民地) 인도네시아 가 종전(從前)과 동시(同時)에 독립(獨立)을 선언(宣言)하자, 네덜란드군(群)이 이를 탄압(彈壓)하여 인도네시아 독립전쟁(獨立戰爭) 으로 이어졌으며, 많은 비난(非難) 끝에 유엔 의 중재(仲裁)로 독립(獨立)을 승인(承認)하였다. 이후(以後) 네덜란드령(領) 안틸레스 아루바 등(等)의 식민지(植民地)가 남아있었다. 1971년(年) 에는 맥도날드 햄버거집이 네덜란드 잔담(盞談) 에 상륙(上陸)하였다.이후 2010년(年) 네덜란드령(領) 안틸레스를 해체(解體)하고 퀴라소와 신(神)트마르턴은 네덜란드의 구성국(構成國)이 되었고 나머지 영토(領土)는 카리브 네덜란드 직헐령이 되었다.

정치(政治) [ 편집(編輯) ]

네덜란드는 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 국가(國家)로서 현재(現在)의 군주(君主)는 빌럼알렉산더르 국왕(國王) 이다. 대의(代議) 민주주의(民主主義) 를 채택(採擇)하고 있다. 네덜란드 의회(議會) 는 상원(上院)과 하원(下院)이 있는 양원제(兩院制)로 임기(任期)는 각각(各各) 4년(年)이다. 행정부(行政府) 장관(長官)은 총리(總理)에 의(依)해 지명(指名)되며 14개(個)의 행정부서(行政部署)가 있다. 현재(現在)의 총리(總理)는 마르크 뤼터 이다. 최고법원(最高法院)과 5개(個)의 고등법원(高等法院)에 각(各) 지방법원(地方法院)과 간이법원(簡易法院)이 속해(俗解)해 사법권(司法權)을 행사(行使)한다. 법관(法官)은 최고법원(最高法院)과 법무장관(法務長官)의 추천(推薦)으로 국왕(國王)이 임명한다. 헌법재판소(憲法裁判所)는 없으며 법률(法律)의 합헌(合憲) 여부(與否)는 특별(特別) 법정(法廷)에서 가린다.

경제(經濟) [ 편집(編輯) ]

상업(商業)과 교통(交通)의 발달(發達)로 네덜란드는 17세기(世紀)에 부유(富裕)한 나라로 성장(成長)했다. 오늘날에도 여전히(如前히) 상업(商業)과 교통(交通)은 네덜란드 경제(經濟)를 주도(主導)하는 핵심(核心) 부문(部門)이다. 19세기(世紀)에 북해(北海)와 라인 강(江)을 직접(直接) 연결(連結)하는 수로(水路)가 완공(完工)된 이후(以後), 로테르담 항구(港口)는 독일(獨逸)의 루르 공업(工業) 지대(地帶)와 수로(水路)로 연결(連結)되어 크게 성장(成長)했다. 오늘날 로테르담 항구(港口)에는 하루 평균(平均) 100만(萬) 톤의 물자(物資)가 이동(移動)하고 있다. 20세기(世紀)에 네덜란드는 경제(經濟)에 중요(重要)한 영향(影響)을 주었던 식민지(植民地) 들을 잃었지만 여전히(如前히) 경제(經濟) 선진국(先進國)으로 1인당(人當) 국내(國內) 총생산(總生産)이 유럽 연합(聯合) 회원국(會員國)의 평균(平均)보다 높다. 또한 첨단(尖端) 기계(機械)와 영농(營農) 기술(技術) 도입(導入)으로 농업(農業) 부문(部門)에서도 높은 생산성(生産性)을 보인다. 한편(한便) 네덜란드는 복지정책(福祉政策)에 많은 노력(努力)을 기울이고 있다.

1980년대(年代) 전체(全體) 경제활동인구(經濟活動人口) 중(中) 14%인 80만(萬) 명(名)이 실업자(失業者)였고 장해연금(障害年金)과 조기퇴직(早期退職) 프로그램에 의(依)해 노동(勞動) 시장(市場)에서 제외(除外)된 근로자(勤勞者) 수(數)도 이와 같은 규모(規模)였다. 1986년(年) 스웨덴의 사회학자(社會學者) 예(禮)란 테르보른 은 《왜 어떤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실업상태(失業狀態)를 더 오래 지속(持續)하는가?》를 통해 네덜란드의 고용(雇傭) 실패(失敗)를 지적(指摘)했다. [9] 제(第)2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 종전(終戰) 이후(以後) 1981년(年) 부터 1983년(年) 까지 네덜란드의 경기침체(景氣沈滯)는 유난히 심각(深刻)했다. [10] 많은 경제(經濟) 부분(部分)이 과잉(過剩) 생산(生産)의 부작용(副作用)을 겪었고 25개(個) 제조업체(製造業體) 중(中) 1개(個)꼴로 파산상태(破産狀態)에 이르렀다. 이 시기(時期)에만 30만(萬) 개(個)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없어진 일자리의 대부분(大部分)이 제조업(製造業)의 정규직(正規職) 근로(勤勞)에서 발생(發生)했다. 실업자(失業者)는 매달(每달) 1만(萬) 명(名)씩 증가(增加)하여 1984년(年) 에는 80만(萬) 명(名)까지 증가(增加)했고 노동조합(勞動組合) 들은 전체(全體) 노조원(勞組員)의 17%를 잃었으며 남은 노조원(勞組員)들 중(中) 4분(分)의 1이 복지(福祉) 혜택(惠澤)의 수혜자(受惠者)가 되면서 노동(勞動)없는 복지(福祉) 상태(狀態)에 이르렀다. 미취업자(未就業者)들에 대(對)한 사회보장(社會保障) 혜택(惠澤)은 더 크게 감소(減少)했다. 광범위(廣範圍)한 실업(失業) 상태(狀態)에서 얻은 결론(結論)은 수익성(收益性)을 높여야 한다는 범국가적(汎國家的) 인식(認識)의 확산(擴散)이었다. [11]

우선(于先) 1982년(年) 11월(月) 24일(日) 바세나르 에서 세계시장(世界市場)의 변화(變化)에 대응(對應)하려는 전략(戰略)의 일환(一環)으로 바세나르 협약(協約) 이란 이름의 임금인상(賃金引上) 억제(抑制) 정책(政策)이 실시(實施)되었다. 빔 코크 의 노동조합연맹(勞動組合聯盟)과 크리스 판 베인 의 경영자단체연합(經營者團體聯合) 사이에서 이뤄진 중앙협약(中央協約)에 의(依)한 임금인상(賃金引上) 억제(抑制) 정책(政策)은 변화(變化)하는 해외(海外) 및 네덜란드 내(內) 시장(市場)에서 심화(深化)되는 국제경쟁(國際競爭)에서 네덜란드 경제(經濟)를 적응시키는 데 큰 역할(役割)을 했으며 이후(以後) 조합주의(組合主義) 가 되살아나게 되는 계기(契機)가 되었다. 1990년대(年代) 초(初)에는 사회보장체제(社會保障體制)의 전반적(全般的)인 재정비(再整備)가 이뤄졌으며 1990년대(年代) 중반(中盤)에는 사회(社會) 전체(全體)의 효율성(效率性)을 증대(增大)시키고 임금수준(賃金水準)과 복지혜택(福祉惠澤) 사이의 균형(均衡)을 이루기 위한 능동적(能動的)인 노동시장(勞動市場) 정책(政策)이 채택(採擇)되었으며 이러한 정책(政策) 변화(變化)는 정치적(政治的) 지지(支持)를 얻었다. [12]

1990년대(年代) 들어서 네덜란드는 1980년대(年代) 일관적(一貫的)인 임금인상(賃金引上) 억제(抑制) 정책(政策), 사회(社會)의 안정화(安定化), 개혁정책(改革政策)에 대(對)한 사회적(社會的)인 합의(合意)를 통해 성공적(成功的)으로 실업률(失業率)을 반감(半減)시켰다고 평가(評價)받는다. 1983년(年) 14%의 실업률(失業率)을 1997년(年)에는 6% 수준(水準)으로 내렸는데 이는 유럽 연합(聯合) 평균(平均)인 11%의 실업률(失業率)보다 낮은 수준(水準)이다. [13] 미국(美國)과 같은 수준(水準)의 고용증가(雇傭增加)를 겪기도 했으나 미국(美國)처럼 급격(急激)한 빈부격차(貧富隔差)의 증가(增加)를 경험(經驗)하진 않았다. 다만 이는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보다는 높은 수준(水準)이다. 또한 새롭게 만들어진 일자리 중(中) 다수(多數)가 비정규직(非正規職)이거나 시간제(時間制) 근로(勤勞)였고 안정적(安定的)이지 못하다는 문제점(問題點)을 갖고 있었다. 여성(女性)의 경제활동참가율(經濟活動參加率)은 증가(增加)했으나 55세(歲)에서 64세(歲) 중장년층(中壯年層) 남성(男性) 취업률(就業率)은 유럽에서 가장 낮은 수준(水準)으로 감소(減少)했다. 능력(能力) 위주(爲主)의 직원(職員) 선발(選拔)이 이뤄지면서 발생(發生)한 외국인(外國人)과 미숙련근로자(未熟練勤勞者)의 낮은 취업기회도(就業機會度) 문제점(問題點)으로 지적(指摘)되었다.15 청년(靑年) 실업률(失業率)은 가장 낮은 수준(水準)인 5.5%로 떨어졌으나 완전고용(完全雇用)은 이뤄지지 않았으며 시간제(時間制) 근로(勤勞)에 의존(依存)하는 것으로 평가(評價)할 수도 있다. [14]

네덜란드에서 경제성장(經濟成長)의 가장 큰 원천(源泉)은 해외시장(海外市場)이다. 네덜란드의 재화(財貨), 용역(用役)의 수출입(輸出入) 규모(規模)는 1950년(年) 국내총생산(國內總生産)의 70.9%, 1970년(年) 74.8%, 1994년(年) 89.2%에 달(達)했는데 영국(英國) 의 41.8%, 독일(獨逸) 의 39.3%, 프랑스 의 34.2% 미국(美國) 의 17.8%, 일본(日本) 의 14.6%와 비교(比較)하면 높은 수치(數値)이다. [15]

네덜란드에서 중공업(重工業) 분야(分野)는 무역업(貿易業)과 제조업(製造業)에 비해 다소(多少) 늦게 발달(發達)했다. 북해(北海)와 암스테르담을 연결(連結)해 주는 북해(北海) 운하(運河) 의 입구(入口)에는 에이마위던 (IJmuiden)이 있는데, 이곳에는 코크스 제조(製造) 공장(工場)과 네덜란드 최대(最大)의 제철(製鐵), 제강(製鋼) 공장(工場)이 있다.

네덜란드는 천연자원(天然資源)이 풍족(豐足)하지 않은 편(便)이다. 림뷔르흐 주의(注意) 탄전(炭田)은 1970년대(年代)에 이미 문(門)을 닫았으나 북해(北海) 연안(沿岸)의 그로닝겐 지역(地域)에서 대규모(大規模) 가스전(가스田)이 발견(發見)되었다. 그런데 여기에는 세계(世界) 최대(最大) 규모(規模)의 천연(天然) 가스가 매장(埋藏)되어 있었다. 이곳에서 생산(生産)되는 천연가스(天然가스)의 상당(相當) 부분(部分)은 수출(輸出)된다. 석유(石油)도 생산(生産)되지만 천연가스(天然가스)에 비해 양(量)이 적어 네덜란드 경제(經濟)에 큰 기여(寄與)는 하지 못한다. 헹겔로와 델프제일(第一) 근처(近處)에는 엄청난 양(量)의 암염(巖鹽)이 매장(埋藏)되어 있는데, 일부(一部)는 산업용(産業用)으로 국내(國內)에서 사용(使用)하고 나머지는 수출(輸出)된다.

네덜란드의 농업(農業)은 최첨단(最尖端) 기술(技術)과 높은 생산성(生産性)을 자랑하고 있다. 유럽의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농업(農業) 인구(人口)는 감소(減少)하고 있으나, 경영(經營) 규모(規模)가 커져서 생산성(生産性)이 점점(漸漸) 높아지고 있다. 국토(國土)의 4분(分)의 1정도(程度)가 농지(農地)로 이용(利用)되는데, 이중(中) 약(約) 30%가 목초지(牧草地)이다. 네덜란드에서 생산(生産)되는 농산물(農産物)의 약(約) 3분(分)의 2는 세계(世界) 각국(各國)으로 수출(輸出)된다. 또한 겨울철 날씨가 온화(溫和)하고 토양(土壤)이 기름진 네덜란드는 원예(園藝) 농업(農業)이 발달(發達)했다. 수천(數千) 개(個)의 온실(溫室)에서는 토마토, 오이, 피망 같은 채소(菜蔬)가 첨단(尖端) 시설(施設)로 재배(栽培)되고 있다. 헤이그와 뫼즈 강(江) 하구(河口) 사이, 델프트 주변(周邊)과 로테르담 북부(北部)에는 유리(琉璃) 온실(溫室)이 줄지어 있다.

축산업(畜産業)도 네덜란드 경제(經濟)에 큰 역할(役割)을 한다. 자동화(自動化)된 대규모(大規模) 농장(農場)에서 젖소, 돼지, 닭, 오리 등(等)을 대량(大量) 사육(飼育)하고 있고 유제품(乳製品) 관련(關聯) 산업(産業)도 잘 발달(發達)했다. 하우다, 에담, 레르담과 같은 도시(都市)는 치즈 생산지(生産地)로 유명(有名)하며, 이 지역(地域)에서 생산(生産)된 치즈는 도시(都市)의 이름을 따서 불린다. 4월(月)에서 9월(月)까지 알크마르에서는 금요일(金曜日) 아침마다 전통(傳統) 치즈 시장(市場)이 열린다. 전통(傳統) 치즈 시장(市場)에서는 커다란 치즈 경매(競賣)가 진행(進行)되고 관광객(觀光客)들은 이 광경(光景)을 보기 위(爲)해 알크마르를 찾는다.

2009년(年) 5월(月) 10일(日) 유로스타트는 네덜란드가 유럽에서 근로시간(勤勞時間)이 가장 짧은 나라라고 발표(發表)했다. [16]

무역(貿易) [ 편집(編輯) ]

2017년(年) 기준(基準)으로 네덜란드의 주요(主要) 수출(輸出) 상대국(相對國)은 독일(獨逸)(21.91%), 벨기에(10.25%), 영국(英國)(8.58%), 프랑스(8.03%), 미국(美國)(4.36%)이며, 주요(主要) 수입(輸入) 상대국(相對國)은 독일(獨逸)(18.47%), 벨기에(10.70%), 중국(中國)(9.02%), 미국(美國)(7.65%), 영국(英國)(5.33%)이다.

2017년(年) 기준(基準)으로 총수출액(總輸出額)은 505,941백만(百萬) 달러, 총수입액(總輸入額)은 450,076백만(百萬) 달러이다. 주요(主要) 수출(輸出) 품목(品目)은 석유(石油) 제품(製品)(44,034백만(百萬) 달러), 전자(電子) 부품(部品)(15,565백만(百萬) 달러), 무선(無線) 통신(通信) 기기(機器)(15,492백만(百萬) 달러), 기타(其他) 의약품(醫藥品)(15,492백만(百萬) 달러), 독극물(毒劇物)(7,256백만(百萬) 달러)이다. 주요(主要) 수입(輸入) 품목(品目)은 석유(石油) 제품(製品)(28,408백만(百萬) 달러), 원유(原油)(28,328백만(百萬) 달러), 무선(無線) 전신(電信) 장치(裝置) 용(龍) 송신(送信) 장치(裝置)(18,261백만(百萬) 달러), 전자(電子) 부품(部品)(16,071백만(百萬) 달러), 기타(其他) 의약품(醫藥品)(7,317백만(百萬) 달러)이다. [17]

인구(人口) [ 편집(編輯) ]

다른 구성국(構成國) [ 편집(編輯) ]

사회(社會), 문화(文化) [ 편집(編輯) ]

문화(文化) [ 편집(編輯) ]

회화(繪畫)로는 17세기(世紀) 황금시대(黃金時代)와 19세기(世紀)에 네덜란드를 대표(代表)하는 뛰어난 화가(畫家)들이 많이 배출(輩出)되었다. 17세기(世紀) 초(初)에는 유화(油畫) 기법(技法)의 선구자(先驅者) 프란스 할스 가 활약(活躍)하였고, 중엽(中葉)에는 유화(油畫) 기법(技法)의 완성자(完成者)로 일컬어지는 렘브란트 판 레인 이 나타났다. 중산(中産) 계급(階級)이나 농민(農民)의 생활(生活)을 주로(主로) 그린 얀 스테인 , 풍경화(風景畫)가 로이스달 등(等)도 활약(活躍)했다. 실내화(室內靴)에서는 우아(優雅)한 광선(光線)을 살린 그림으로 유명(有名)한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를 들 수 있으며, 19세기(世紀)에는 강렬(强烈)한 개성(個性)을 가진 화가(畫家) 빈센트 반 고흐 가 등장(登場)한다.

네덜란드의 공예품(工藝品)으로는 델프트 (Delft) 도자기(陶瓷器)와 붉은 색(色)의 아름다운 마쿰 (Makkum) 도자기(陶瓷器)를 들 수 있다. 도자기(陶瓷器)는 16세기(世紀) 말(末)에 이탈리아의 기술(技術)을 받아들임으로써 시작(始作)하였고, 17세기(世紀)부터 중국(中國) 등(等)의 영향(影響)을 받아 18세기(世紀)에 전성기(全盛期)를 맞았다.

스포츠 [ 편집(編輯) ]

세계적(世界的)인 축구강국(蹴球强國)으로 명성(名聲)이 높다. FIFA 월드컵 에서 준우승(準優勝)을 3번(番) 달성(達成)한 축구강국(蹴球强國)이지만 아직 우승(優勝) 경력(經歷)은 없다.

동성(同姓) 결혼(結婚) 합법화(合法化) [ 편집(編輯) ]

네덜란드는 개방적(開放的)이고 진보(進步) 적(敵)인 국가(國家)로 알려져 있다. [18] 대표적(代表的)인 경우(境遇)로 네덜란드는 유럽 국가(國家) 최초(最初)로 1993년(年) 동성(同姓) 결혼(結婚) 을 합법(合法)으로 인정(認定)하였으며 [19] 2001년(年) 4월(月) 1일(日) 을 시작(始作)으로 동성애자(同性愛者) 커플의 결혼(結婚) 이혼(離婚) 을 허용(許容)하는 법(法)이 시행(施行)되었다.

마약(痲藥) 합법화(合法化) 논쟁(論爭) [ 편집(編輯) ]

네덜란드의 마약(痲藥) 정책(政策)은 마약(痲藥) 사범(事犯)을 처벌(處罰)하는 처벌(處罰) 위주(爲主) 정책(政策)이 아닌 중독성(中毒性)이 낮다고 판단(判斷)되는 마약(痲藥) 을 합법적(合法的)으로 관리(管理)하는 정책(政策)이다. 네덜란드 정부(政府)는 1976년(年) , 상대적(相對的)으로 중독성(中毒性)이 낮으며 인체(人體)에 피해(被害)가 적은 대마(大麻) , 환각(幻覺) 버섯 등(等)을 연성(軟性) 마약(痲藥)(Soft Drug)으로 규정(規定)하여 5g 이하(以下)의 대마(大麻)를 피우거나 소지(所持)하는 것을 허용(許容)하였으며 커피숍이라는 곳에서 대마(大麻)를 피는 것을 허용(許容)하되 500g 이하(以下)만 판매(販賣)하도록 규제(規制)하고 있다. 이는 연성마약(軟性痲藥)을 허용(許容)함으로써 헤로인 코카인 등(等) 이른바 중독성(中毒性) 마약(痲藥)을 가까이하는 것을 막기 위(爲)한 정책(政策)이지만, 이로 인한 폐해(弊害)도 있다. 바로 대마중독자(大麻中毒子) 문제(問題)이다. 2008년(年) , 네덜란드에서는 마약(痲藥) 중독자(中毒者)가 줄어든 대신(代身) 대마(大麻)가 주는 편안(便安)함 때문에 복용(服用)을 끊지 못하는 대마중독자(大麻中毒者)가 늘어나고 있다.

종교(宗敎) [ 편집(編輯) ]

종교(宗敎) 구성(構成) (네덜란드) [20]
무종교(無宗敎)
  
50.1%
로마 가톨릭
  
23.7%
개신교(改新敎)
  
15.5%
그 외(外) 기독교(基督敎)
  
4.5%
이슬람교(이슬람敎)
  
4.9%
기타(其他) 종교(宗敎)
  
1.1%

네덜란드는 종교개혁(宗敎改革) 의 전통(傳統)을 갖고 있는 개혁교회(改革敎會) (Reformed Church)국가(國家)였기 때문에, 메노나이트 교회(敎會) 신자(信者)들이 박해(迫害)를 피(避)해 망명(亡命)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현재(現在)에는 세속화(世俗化)로 인(因)해 개혁교회(改革敎會) 신자(信者)가 크게 감소(減少)하였다. 로마 가톨릭 교회(敎會) 는 남부지역(南部地域)에서 영향력(影響力)이 있다. 이외(以外)에도 옛 동인도(東印度) 식민지(植民地)에서 온 이민자(移民者)들에 의(依)해 힌두교(힌두敎) 도(度)들도 있고, 소수(少數)이지만 유대교(유대敎) 신자(信者)도 존재(存在)한다. 이슬람교(이슬람敎) 신자(信者)도 있으나 박해(迫害)의 대상(對象)이 된다. [21]

행정(行政) 구역(區域) [ 편집(編輯) ]

네덜란드 행정구역(行政區域)

네덜란드는 12개(個)의 주(株)(provincie)와 카리브해(카리브海)에 있는 정부(政府)직할령인(人) 카리브네덜란드로 나뉜다.

프리슬란트 주의(注意) 프리지아인(人)은 프리지아어(語)를 사용(使用)하여 독자적(獨自的)인 정체성(正體性)을 갖고 있다.

대외(對外) 관계(關係) [ 편집(編輯) ]

한국(韓國) [ 편집(編輯) ]

네덜란드는 조선(朝鮮) 시대(時代)에 벨테브레 가 풍랑(風浪)을 만나 제주도(濟州道) 에 들어온 일, 헨드릭 하멜 도 풍랑(風浪)을 만나 제주도(濟州道) 에 도착(到着)한 일 등(等)으로 한국(韓國) 과 처음으로 만나게 된 유럽 국가(國家)이다. 또한 대(對)한 제국(帝國)이 헤이그에 헤이그 특사(特使) 파견(派遣)을 한적도 있다. 네덜란드는 1949년(年) 7월(月) 25일(日) , 한국(韓國) 한반도(韓半島) 의 유일(唯一)한 합법(合法) 정부(政府)로 승인(承認)하였으며 [22] , 한국(韓國) 전쟁(戰爭) 때에는 유엔군(유엔軍)의 일원(一員)으로 참전(參戰)해 한국(韓國) 을 지원(支援)하였다. ( 보병(步兵) 1개(個) 대대(大隊), 군함(軍艦) 1척(隻)) 헤이그에 한국(韓國) 대사관(大使館)(주(週) 헤이그 국제기구(國際機構) 대표부(代表部) 겸임(兼任))이(李) 개설(開設)되어 있다. 서울 에 주한(駐韓) 대사관(大使館)이 개설(開設)되어 있다. 한국(韓國)의 대(臺)(對)네덜란드 수출(輸出)은 46억(億)2698만(萬)USD, 네덜란드의 대(臺)(對)한국(韓國) 수출(輸出)은 44억(億)2550만(萬)USD(각(各) 2011년(年))에 달(達)하여, 네덜란드는 한국(韓國)에 있어서 제27위의 수출국(輸出國)이자 제(第)25위(位)의 수입국(輸入國)이다. [23] 모두 1,771 명(名)(재외국민(在外國民) 1,663명(名), 시민권자(市民權者) 108 명(名))의 한민족(韓民族)들이 네덜란드에 거주(居住)(2010년(年) 12월(月) 기준(基準))하고 있다. [24] 한국(韓國)과 네덜란드는 KLM 대한항공(大韓航空) 의 노선(路線)으로 운항(運航)하고 있다. 중등(中等) 교육(敎育)의 경우(境遇) 한국(韓國)에서는 네덜란드어(語) 가, 네덜란드에서는 한국어(韓國語) 가 개설(開設)되지 않았다.

영국(英國) [ 편집(編輯) ]

당시(當時) 네덜란드가 에스파냐 왕국(王國)의 지배(支配)를 받고 있을 무렵, 독립(獨立) 운동(運動)을 하기 위해서 지원(支援)을 받고자 잉글랜드 왕국(王國)과 동맹(同盟)을 맺었다. 그리고 해군력(海軍力)을 강력히(强力히) 키워나가 잉글랜드 왕국(王國)과 연합(聯合)하여 마침내 에스파냐 왕국(王國)의 군대(軍隊)를 몰아내어 독립(獨立)을 쟁취(爭取)하는 데 성공(成功)한다. 여기까지는 영국(英國)과의 사이가 굉장히(宏壯히) 좋았으나, 올리버 크롬웰 이 기존(旣存)의 왕정(王政)을 폐지(廢止)하고 공화정(共和政)을 설립(設立)한 때부터 사이가 급격히(急激히) 나빠졌다. 올리버 크롬웰은 식민지(植民地)를 더 많이 차지하고 국력(國力)을 더욱 강화(强化)하기 위해서 트집을 잡아 네덜란드와의 동맹(同盟)을 해제(解除)하였고 네덜란드와의 무역(貿易)을 방해(妨害)하였다. 네덜란드는 결국(結局) 잉글랜드 공화국(共和國)에 선전포고(宣戰布告)를 하고, 마침내 전쟁(戰爭)이 벌어졌다. 그러나 잉글랜드 왕국(王國)의 군대(軍隊)가 더욱 우세(優勢)했고, 끝내 네덜란드는 잉글랜드 왕국(王國)으로부터 많은 식민지(植民地)를 빼앗기게 된다. 이후(以後) 영국(英國)과의 관계(關係)는 매우 험악(險惡)해졌지만, 프랑스 왕국(王國)이 강대(强大)해지기 시작(始作)하자 위협(威脅)을 느낀 잉글랜드 왕국(王國)은 다시 네덜란드와 동맹(同盟)을 요청(要請)했고, 네덜란드가 요청(要請)을 받아들여 다시 양국간(兩國間)의 관계(關係)는 좋아진다.

프랑스 [ 편집(編輯) ]

네덜란드가 잉글랜드 왕국(王國)과의 전투(戰鬪)에서 크게 패배(敗北)하고 식민지(植民地)마저 대부분(大部分) 빼앗기자, 이를 노리고 있었던 프랑스 왕국(王國)은 네덜란드를 멸망시키고자 대대로(代代로) 침입(侵入)을 자행(恣行)하였다. 결국(結局) 네덜란드는 국력(國力)이 매우 쇠약(衰弱)해져 있었던 탓에 한동안 프랑스 왕국(王國)으로부터 지배(支配)를 받았다. 더구나 11월(月) 유럽의 현존(現存)하는 정부(政府)들을 전복(顚覆)하려는 모든 국민(國民)들에게 원조(援助)를 제공(提供)하겠다는 폭탄선언(爆彈宣言)을 하였고 1793년(年) 1월(月)에 드디어 루이 16세(世)를 처형(處刑)하였다. 1793년(年) 2월(月) 1일(日), 프랑스 왕국(王國)은 네덜란드 공화국(共和國) 에 선전(宣戰) 포고(布告)하였다. [25] 네덜란드 공화국(共和國)은 잉글랜드 왕국(王國)과 오스트리아 왕국(王國) 등(等)과 함께 제(第)1차(次) 대(大)프랑스 동맹(同盟) 을 맺고 대항(對抗)하였다. 1795년(年) 에, 하천(河川)의 결빙(結氷)으로 네덜란드의 요새(要塞)의 방어력(防禦力)이 떨어지는 겨울철을 노려 피슈그류가 이끄는 프랑스군(軍)은 네덜란드에 대규모(大規模) 공세(攻勢)를 펼쳤다. 네덜란드는 프랑스 혁명(革命)에 동참(同參)하고 협력(協力)하는 사람들도 많았기 때문에 프랑스 왕국(王國)이 네덜란드를 좋게 볼 리(理)가 없었다. 마침내 하천(河川)이 결빙(結氷)되어 프랑스군(軍)이 네덜란드를 침공(侵攻)하자, 도시(都市)는 차례(次例)로 함락(陷落)되어 네덜란드 총독(總督) 빌렘 5세(歲) 가 잉글랜드 왕국(王國)으로 도망가고, 네덜란드 함대(艦隊)는 접수(接受)되었다. 그리하여 프랑스 왕국(王國)의 주도(主導)로 네덜란드에 바타비아 공화국(共和國) 이 세워졌고(1795년 1월(月) 19일(日)), 브라반트 공국(公國) 마스트리히트 가 프랑스 왕국(王國)에 할양(割讓)되었다. 브뤼메르 18일(日) 쿠데타 (1799)로 권력(權力)을 잡고 황제(皇帝)의 자리에 오른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는 자신(自身)의 동생 루이 를 네덜란드 국왕(國王)(로데베이크 1세(歲))에 즉위(卽位)시켰다.(1806) 1810년(年) 에는 프랑스 혁명(革命) 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프랑스 왕국(王國)의 영토(領土)가 되기도 하였다.

아르헨티나 [ 편집(編輯) ]

아르헨티나 출신(出身)의 막시마 소레기에타 가 네덜란드로 이민(移民)와 국후(國後)가 된다. 이 때문에 양국간(兩國間) 우호(友好)가 상당히(相當히) 돈독(敦篤)해졌다. 또한 양쪽(兩쪽) 모두 세계적(世界的)인 축구강국(蹴球强國)으로 명성(名聲)이 자자(藉藉)하며 관련(關聯) 분야(分野)의 교류(交流)가 활발(活潑)하다.

일본(日本) [ 편집(編輯) ]

식민지(植民地)를 개척(開拓)하고 다녔던 시절(時節)의 네덜란드는 중국(中國)을 통해서 일본(日本)을 알게 되었다. 네덜란드는 종교개혁(宗敎改革) 의 전통(傳統)을 가진 개신교(改新敎) 국가(國家)였지만 장사 가 중요(重要)하지 선교(宣敎) 활동(活動)은 관심(關心)이 없었으며 [26] , 일본(日本)은 가톨릭 을 탄압(彈壓)하고 있었다. 따라서 네덜란드는 서양(西洋)나라 중(中)에서 유일(唯一)하게 일본(日本)과의 교역(交易) 상대(相對)가 될 수 있었으며, 일본(日本) 국왕(國王)도 서양(西洋) 제국(帝國)들 중(中)에서 유일(唯一)하게 교역(交易)을 허용(許容)할 정도(程度)로 돈독(敦篤)해졌다. 그러나 제(第) 2차(次) 세계대전(世界大戰) 에서 일본(日本)이 네덜란드의 식민지(植民地)를 무차별(無差別) 공격(攻擊)하였고, 끝내 네덜란드가 미국(美國)과 영국(英國)과 중국(中國)과 연합(聯合)하여 일본(日本)에 선전포고함으로써 전쟁(戰爭)에 돌입(突入)하고 말았다. 마침내 일본(日本)이 완벽(完璧)히 패배(敗北)하였고, 한동안 일본(日本)과의 관계(關係)는 잠잠(潛潛)해졌다. 그러나 네덜란드의 반일(反日) 세력(勢力)이 일본(日本) 국왕(國王)인 히로히토 가 네덜란드를 방문(訪問)했을 때, 히로히토에게 총격(銃擊)을 가(加)하고 쓰레기 까지 내던지는 사건(事件)이 있었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내용주(內容主) [ 편집(編輯) ]

  1. 중세(中世) 신성(神聖) 로마 제국(帝國)의 제후국(諸侯國)들

참조주(參照週) [ 편집(編輯) ]

  1. 네덜란드어(語)로는 Je가 2인칭(人稱)이지만 표어(標語)는 프랑스어(프랑스語)로 쓰였다.
  2. 정부(政府) 소재지(所在地)는 헤이그 이다.
  3. 로마 가톨릭 19.8%
    개신교(改新敎) 14.4%
    기타 기독교(基督敎) 3.3%
  4. “Knmi.nl” (네덜란드어(語)) . 2011년(年) 12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  
  5. 이병헌, 〈16~17세기(世紀) 네델란드의 대항(對抗)해 시대(時代) 연구(硏究) : '칼빈주의(主義) 네데란드'의 역사발전(歷史發展)과 일본진출(日本進出)을 중심(中心)으로〉 총신대학교(學校) 신학대학원(神學大學院) 석사학위논문(碩士學位論文)(2010.2.) 8쪽. “이슬람을 막은 칼대제(大帝)(샤를르마(魔)뉴)가 800년(年) 교황(敎皇) 레오3세(世)로부터 신성(神聖)로마제국(帝國) 황제(皇帝)의 관(棺)을 받는다. 그가 816년(年) 사망(死亡)한 이후(以後), 유럽은 서, 중(中), 동(東) 프랑크로 나뉘게 된다. 네덜란드 즉(卽) 저지대(低地帶) 지역(地域)만 생각해보면, 셀데강(講)을 중심(中心)으로 서쪽(西쪽)은 18) 프랑스에, 동쪽(東쪽)은 독일(獨逸)에 속(屬)하게 된다. ...18) 현재(現在) 벨기에 땅이다.”
  6. 네덜란드 개신교도(改新敎徒)들이 로마 가톨릭교회 에 침입(侵入)하여, 성상(聖像) 을 파괴(破壞)한 폭동(暴動)
  7. 왕(王)이 있는나라
  8. 김용구(金容九). 《세계외교사(世界外交史)》 1995(上  · 下 合本)판(判). 서울대학교 출판부(出版部). 3~4쪽. ISBN   89-7096-413-4 . 프랑스는 11월(月) 유럽의 현존(現存)하는 정부(政府)들을 전복(顚覆)하려는 모든 인민(人民)들에게 원조(援助)를 제공(提供)하겠다는 폭탄선언(爆彈宣言)을 하였고 1793년(年) 1월(月)에 드디어 루이 16세(世)를 처형(處刑)하였다. 이때부터 프랑스는 대외팽창(對外膨脹)에의 길을 걷게 되었다. 사보이(Savoy), 니스(Nice) 그리고 벨기에를 병합(倂合)하고 영국(英國), 네덜란드 그리고 스페인에 대(對)하여 전쟁(戰爭)을 선포(宣布)하였다.  
  9. visser 2003 , 11쪽
  10. visser 2003 , 17쪽
  11. visser 2003 , 18쪽
  12. visser 2003 , 23쪽
  13. visser 2003 , 12쪽
  14. visser 2003 , 16쪽
  15. visser 2003 , 20쪽
  16. 네덜란드, 유럽서 근로시간(勤勞時間) 가장 짧아
  17. [ https://wits.worldbank.org/CountryProfile/en/Country/NLD/Year/2017/Summary , World Integrated Trade Solution] Worldbank
  18. 먼나라 이웃나라 》-네덜란드 편(便)/ 이원복 글·그림/김영사
  19. 《현대문명(現代文明) 진단(診斷)》2권(卷)-엄마 엄마, 아빠 아빠:가족(家族)의 개념(槪念)에 대(對)한 반란(叛亂)/이원복 글·그림/ 조선일보(朝鮮日報) 사(社) 출판국(出版局) p.179
  20. "CBS. "Helft Nederlanders is kerkelijk of religieus". www.cbs.nl (in Dutch). Retrieved 17 October 2017"
  21. 유세진 (2018년(年) 6월(月) 26일(日)). “네덜란드, 공공장소(公共場所)서 부르카·니캅 착용(着用) 금지(禁止)..히잡은 허용(許容)” . 헤이그 . 2018년(年) 7월(月) 29일(日)에 확인(確認)함 .  
  22. 현재(現在)는 북한(北韓) 과도(過度) 수교(修交)한 상태(狀態)이기 때문에 의미(意味)가 상실(喪失)되었다.
  23. “국가별(國家別) 수출입(輸出入)” . 한국무역협회(韓國貿易協會). 2011년(年) 11월(月) 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2년(年) 5월(月) 11일(日)에 확인(確認)함 .  
  24. “국가별(國家別) 재외동포현황(在外同胞現況)(2011).xls” . 대한민국(大韓民國) 외교통상부(外交通商部). 2012년(年) 5월(月) 26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엑셀)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2년(年) 2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  
  25. 김용구(金容九). 《세계외교사(世界外交史)》 1995(上  · 下 合本)판(判). 서울대학교 출판부(出版部). 3~4쪽. ISBN   89-7096-413-4 . 프랑스는 11월(月) 유럽의 현존(現存)하는 정부(政府)들을 전복(顚覆)하려는 모든 인민(人民)들에게 원조(援助)를 제공(提供)하겠다는 폭탄선언(爆彈宣言)을 하였고 1793년(年) 1월(月)에 드디어 루이 16세(世)를 처형(處刑)하였다. 이 때부터 프랑스는 대외팽창(對外膨脹)에의 길을 걷게 되었다. 사보이(Savoy), 니스(Nice) 그리고 벨지움을 합방(合邦)하고 영국(英國), 네덜란드 그리고 스페인에 대(對)하여 전쟁(戰爭)을 선포(宣布)하였다.  
  26. 먼나라 이웃나라 》:일본(日本)의 역사(歷史)/이원복 글, 그림/김영사

참고자료(參考資料) [ 편집(編輯)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