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江原特別自治道
특별자치도(特別自治度)
기(基) 휘장(揮帳)
강원특별자치도의 위치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의 위치(位置)
행정(行政)
국가(國家) 대한민국(大韓民國)
행정(行政) 구역(區域) 7개(個) 시(時) , 11개(個) 군(軍)
청사(廳舍) 소재지(所在地) 본청(本廳) : 춘천시(春川市) 중앙(中央)로 1 [1]
제(第)2청사(廳舍) : 강릉시(江陵市) 주문진읍(邑) 연주(演奏)로 70
환동해본부(環東海本部) : 강릉시(江陵市) 주문진읍(邑) 주문(注文)로 14
도지사(道知事) 김진태(金鎭台)  ( 국민의힘(國民의힘) )
행정부지사(行政副知事) 김명선(제(第)15대(代))
경제부지사(經濟副知事) 정광열(제(第)8대(代))
지리
면적(面積) 16,830.1 [2]  km 2
인문(人文)
인구(人口) 1,533,081 [3] 명(名) (2023년(年))
인구(人口) 밀도(密度) 91.18 [4] 명(名)/km 2
경제(經濟)
GRDP ( 2021년(年) 어림값)
  ? 명목(名目) 50,659,583백만(百萬) 원 [5]
  ? 실질(實質) 46,476,220백만(百萬) 원 [5]
1인당(人當) GRDP 33,319천(千) 원 [6]
상징(象徵)
나무 잣나무
철쭉
두루미
동물(動物) 반달곰(半달곰)
마스코트 강원이, 특별이 [7]
지역(地域) 부호(富豪)
ISO 3166-2 KR-42
지역번호(地域番號) 033
웹사이트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江原特別自治道, 영어(英語) : Gangwon State )는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북동부(北東部)에 있는 특별자치도(特別自治度) 이다.

동쪽(東쪽)은 동해(東海) , 서쪽(西쪽)은 경기도(京畿道) , 남쪽(南쪽)은 충청북도(忠淸北道) · 경상북도(慶尙北道) 하고 접(接)하며, 북쪽(北쪽)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北韓))의 강원도(江原道) 하고 경계(境界)를 이루고 있다.

지리적(地理的)으로는 태백산맥(太白山脈) 을 기준(基準)으로 동쪽(東쪽)으로 강릉(江陵) , 속초(束草) , 동해(東海) , 삼척(三陟) , 태백시(太白市) 등(等) 영동(嶺東) 지방(地方) 과 서쪽(西쪽)으로 춘천(春川) , 원주시(原州市) 등(等) 영서(嶺西) 지방(地方) 으로 구분(區分)한다.

도청(盜聽) 소재지(所在地)는 춘천시(春川市) 며, 강릉시(江陵市) 에 강원특별자치도청(江原特別自治道廳)의 출장소(出張所) 인(人) 강원특별자치도환동해본부(江原特別自治道環東海本部) 가 설치(設置)되어 있으며, 도 내(內) 최대(最大) 도시(都市)는 원주시(原州市) 다.

행정(行政) 구역(區域)은 7 시(時) 11 군(軍) 이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지리 [ 편집(編輯) ]

위치(位置) [ 편집(編輯) ]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에서 가장 잘 알려진 명산(名山) 중(中) 하나인 설악산(雪嶽山)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의 총면적(總面積)은 20,569 km 2 이며 이 가운데 휴전선(休戰線) 이남(以南)이 82%인 16,873.51 km 2 로, 총(總) 면적중(面積中) 81.7%인 13,783.68 km 2 임야(林野) 이며 농경지(農耕地)는 9.7%에 해당(該當)하는 1,625.22 km 2 이며, 기타(其他)는 8.6%인 1,457.49 km 2 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경지(耕地) 면적(面積)은 밭 1,625.22 km 2 , 기타 1,457.49 km 2 이며, 농가(農家) 호당(戶當) 면적(面積)은 1.48 ha 이다. [21]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는 위도상(緯度上)으로 북위(北緯) 37도(度) 02분(分)에서 38도(度) 37분(分)에 걸치고, 경도상(經度上)으로는 동경(東京) 127도(度) 05분(分)에서 129도(度) 22분(分)에 걸쳐있다. [21] 북위(北緯) 38도선(度線)은 본도(本島)의 거의 중앙부(中央部)를 통과(通過)하고 휴전선(休戰線) 고성군(固城郡) 현내면 북위(北緯) 38도(度) 45분(分) 근처(近處)에서 서남하(鉏南下)하여 향로봉(香爐峯) , 문등리 및 김화읍의 북방(北方)을 연결(連結)하는 북위(北緯) 38도(度) 20분선(分線) 부근(附近)에서 145km에 걸쳐 그어져 있다.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동서(東西)의 길이는 약(約) 150km, 남북(南北)은 약(約) 243km에 달(達)한다. [21] 서쪽(西쪽)은 경기도(京畿道) 포천(抱川) · 연천(漣川) · 가평(加平) · 양평(楊平) 등(等) 여러 지역(地域)과 접(接)해 있고 남쪽(南쪽)은 충청북도(忠淸北道) 충주시(忠州市) · 제천시(堤川市) , 단양군(丹陽郡)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주시(榮州市) , 봉화군(奉化郡) · 울진군(蔚珍郡) 과 북쪽(北쪽)은 북한(北韓)의 강원도(江原道) 하고접한다.

지형(地形) [ 편집(編輯) ]

속초(束草)의 오징어잡이 배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는 대다수(大多數)의 지형(地形)이 산악(山岳)이며, 그중(그中) 500m에서 1,000m 사이의 중간(中間) 산야(山野) 지대(地帶)가 43.4%로 전국(全國)에서 가장 비중(比重)이 높다. 또한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는 한반도(韓半島) 중앙부(中央部)의 동측(東側)에 태백산맥(太白山脈) 을 중심(中心)으로 영동(嶺東)과 영서(嶺西)로 크게 구분(區分)되어 있다. 영동(嶺東)은 경사(傾斜)가 급(急)하여 해안평야(海岸平野)의 발달(發達)이 취약(脆弱)하고, 영서(嶺西)는 경사(傾斜)가 완만(緩慢)하여 남한강(南漢江) , 북한강(北漢江) 같은 대하천(大河川)이 발달(發達)되어 있다. [21]

기후(氣候) [ 편집(編輯) ]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지방(地方)은 북위(北緯) 37° 38° 사이의 중위도(中緯度) 온대성(溫帶性) 기후대(氣候帶)에 위치(位置)하고 있으며, 이로 인(因)해 여름에 고온(高溫)·다습(多濕)하며, 겨울에는 한랭(寒冷)·건조(乾燥)한 대륙성(大陸性) 고기압(高氣壓)의 영향(影響)을 받아 춥고 건조(乾燥)하다. 또한 태백산맥(太白山脈)이 남북(南北)으로 길게 뻗쳐 있기 때문에 영동지역(嶺東地域)과 영서지역(嶺西地域)의 기후(氣候) 또한 다른 특성(特性)을 보여주고 있다. [21]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의 연평균기온(年平均氣溫)은 영동(嶺東) 11.0 °C, 영서(嶺西) 10.8 °C로 최저(最低) 6.6에서 최고(最高) 13.1 °C의 분포(分布)를 보이고 있다. 또한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의 최저기온(最低氣溫)과 최고기온(最高氣溫)은 철원(鐵圓)에서 관측(觀測)된 -29.2 °C와 홍천(洪川)에서 41.0 °C를 기록(記錄)하였다. 또한 연 강수량(降水量)은 1,300~1,900mm로, 산간지방(山間地方)을 중심(中心)으로 많은 강수량(降水量)을 보이며, 이로 인해 대한민국(大韓民國)의 다(多)설지 중(中) 하나이다. [22] 또한 봄철의 영동지방(嶺東地方)에서는 건조(乾燥)한 국지강풍(局地强風)이 빈번히(頻繁히) 발생(發生)한다. [22]

지질(地質) [ 편집(編輯) ]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는 대부분(大部分) 선캄브리아기 경기(京畿) 육괴(肉塊) 에 속(屬)하며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남부(南部)의 영월(寧越) , 정선(旌善) , 평창(平昌) , 태백(太白) , 삼척시(三陟市) 등(等)은 옥천(沃川) 습곡대(褶曲帶) 에 속(屬)한다. 옥천(沃川) 습곡대(褶曲帶)에 속(屬)하는 지역(地域)에는 고생대(古生代) 조선(朝鮮) 누층군(累層軍) 평안(平安) 누층군(累層軍) 이 분포(分布)해 석회암(石灰巖) 무연탄(無煙炭) 이 산출(算出)된다.

설악산(雪嶽山) 중생대(中生代) 대보 화강암(花崗巖) 으로 구성(構成)되어 있으며, 금강초롱(金剛초롱) 등(等) 희귀(稀貴) 식물(植物)과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인(人) 사향노루(麝香노루) 가 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설악산(雪嶽山)은 1965년(年) 에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제(第)171호(號)로, 1970년(年) 3월(月) 24일(日) 국립공원(國立公園) 으로, 1982년(年) 에는 유네스코 의 '생물권(生物圈) 보전(保全) 지역(地域)'으로 지정(指定)되어 있어 사계절(四季節) 내내 관광객(觀光客)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설악산(雪嶽山)은 특히(特히) 가을 단풍(丹楓) 이 아름답기로 유(留)하다.

행정(行政) 구역(區域) [ 편집(編輯) ]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는 7개(個)의 시(市)와 11개(個)의 군(軍)으로 구성(構成)되어 있으며, 각(各) 시군(市郡)은 187개(個)의 읍(邑)·면(麵)·동(洞)과 4,203개(個)의 통(桶)·리(里), 21,951개(個)의 반(半)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23] 여기에서는 주민(住民) 미거주(未居住) 5개면(個面)과 그에 속(屬)한 29개(個) 리(리), 면장(面長) 미실시(未實施) 1개면(個面)과 그에 속(屬)한 4개(個) 리중(里中) 3개(個)의 리(里)를 제외(除外)하고 있다. [23]

자치(自治) 단체(團體) [ 편집(編輯) ]

이름 한자(漢字) 세대수(世代數) (2015) [24] 인구(人口) (명(名), 2020) [25] 면적(面積) ( km 2 )
춘천시(春川市) 春川市 115,044 282,544 1,116.64
원주시(原州市) 原州市 138,380 353,928 867.36
강릉시(江陵市) 江陵市 93,774 213,189 1,039.82
동해시(東海市) 東海市 40,338 90,560 180.07
태백시(太白市) 太白市 22,293 42,800 303.52
속초시(束草市) 束草市 37,084 82,636 105.3
삼척시(三陟市) 三陟市 34,601 65,409 1,186.05
홍천군(洪川郡) 洪川郡 31,443 69,192 1,816.05
횡성군(橫城郡) 橫城郡 20,821 46,533 997.71
영월군(寧越郡) 寧越郡 19,990 38,710 1,127.46
평창군(平昌郡) 平昌郡 20,601 41,665 1,464.16
정선군(旌善郡) 旌善郡 19,519 36,937 1,219.58
철원군(鐵原郡) 鐵原郡 22,017 44,706 890.3
화천군(華川郡) 華川郡 13,668 24,868 909.1
양구군(楊口郡) 楊口郡 11,140 22,350 700.85
인제군(麟蹄郡) 麟蹄郡 15,594 31,623 1,646.36
고성군(固城郡) 高城郡 15,324 26,798 664.34
양양군(襄陽郡) 襄陽郡 13,374 27,926 628.9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江原特別自治道 685,005 1,542,374 16,874.59

역대(歷代) 도지사(道知事) [ 편집(編輯) ]

인구(人口) [ 편집(編輯) ]

연도별(年度別) 인구(人口) [ 편집(編輯) ]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1948년(年) 이후(以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외(除外))의 연도별(年度別) 인구(人口) 추이(推移)

연도(鳶島) 인구(人口) 인구(人口)그래프 비고(備考)
1925년(年) 1,322,331명(名)
1930년(年) 1,547,612명(名)
1935년(年) 1,655,635명(名)
1940년(年) 1,734,565명(名)
1945년(年) 1,845,002명(名)
1950년(年) 1,169.090명(名) [26]
1955년(年) 1,495,674명(名) [27]
1960년(年) 1,636,439명(名)
1965년(年) 1,801,111명(名)
1970년(年) 1,865,379명(名)
1975년(年) 1,860,245명(名)
1980년(年) 1,790,909명(名)
1985년(年) 1,725,127명(名)
1990년(年) 1,584,411명(名)
1995년(年) 1,465,413명(名)
2000년(年) 1,484,281명(名)
2005년(年) 1,460,791명(名)
2010년(年) 1,463,649명(名)
2011년(年) 1,471,076명(名)
2012년(年) 1,484,214명(名)
2013년(年) 1,496,045명(名)
2014년(年) 1,507,914명(名)
2015년(年) 1,517,955명(名)
2016년(年) 1,521,121명(名)
2017년(年) 1,521,534명(名)
2018년(年) 1,527,949명(名)
2019년(年) 1,542,296명(名)
2020년(年) 1,542,374명(名)

연령별(年齡別) 인구(人口) [ 편집(編輯) ]

2017년(年) 7월(月) 현재(現在) 기준(基準)으로 다음과 같다. 그래프는 1,000명당(名當) 1씩 표현(表現)하였다.

계급별(階級別) 인구수(人口數) 인구(人口)그래프 비고(備考)
0~4세(歲) 54,051명(名)
5~9세(歲) 64,751명(名)
10~14세(歲) 67,518명(名)
15~19세(歲) 91,641명(名)
20~24세(歲) 101,954명(名)
25~29세(歲) 81,733명(名)
30~34세(歲) 81,084명(名)
35~39세(歲) 101,268명(名)
40~44세(歲) 112,657명(名)
45~49세(歲) 130,413명(名)
50~54세(歲) 126,711명(名)
55~59세(歲) 145,381명(名)
60~64세(歲) 112,321명(名)
65~69세(歲) 76,161명(名)
70~74세(歲) 69,839명(名)
75~79세(歲) 64,648명(名)
80~84세(歲) 38,110명(名)
85~89세(歲) 18,018명(名)
90세이상(歲以上) 9,128명(名)

문화(文化) [ 편집(編輯) ]

문화재(文化財)와 역사(歷史) [ 편집(編輯) ]

기타(其他) 다른 지역(地域)과 마찬가지로, 강원도(江原道)에도 여러 문화재(文化財)들이 존재(存在)한다. 최소(最小) 강원도(江原道)에 사람이 살기 시작(始作)하게 된 시기(時期)는 정확(正確)하게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최소(最小) 구석기(舊石器) 시대(時代) 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측(推測) [28] 되고 있다.

한반도(韓半島)의 중요(重要) 시기별(時期別) 강원도(江原道)의 대표적(代表的)인 문화재(文化財)를 꼽자면 통일신라(統一新羅) 시대(時代)에 주조(鑄造)된 상원사 동종(同種) 과 더불어 남북국시대(南北國時代)의 철원(鐵圓) 도피안사(到彼岸寺) 철조비로자나불좌상(鐵造毘盧遮那佛坐像) , 고려시대(高麗時代)의 강릉(江陵) 임영관 삼문(三門) , 그리고 조선시대(朝鮮時代)의 평창(平昌) 상원사 중창권선문(重創勸善文) 등(等)이 있으며, 이외(以外)에도 오죽헌 , 경포대(鏡浦臺) 같은 사람들이 즐겨찾는 문화재(文化財)들이 있다.

또한 강원도(江原道)의 지리적(地理的)인 특성(特性)으로 인해 월정사(月精寺) 오세암 등(等)의 유명(有名)한 사찰(査察)이나 혹은(或은) 암자(庵子)가 많이 위치(位置)하고 있다.

동명성왕 을 시조(始祖)로 하는 횡성(橫城) 고씨(高氏) (橫城 高氏)의 관향(貫鄕)은 횡성군(橫城郡) 이다.

박물관(博物館) [ 편집(編輯) ]

강원도내(江原道內)의 문화재(文化財)들을 체계적(體系的)으로 관리(管理)하기 위해 중앙(中央) 정부차원(政府次元)에서는 2002년(年) 국립춘천박물관(國立春川博物館) 을 설립(設立) [29] 하여 운영(運營)하고 있으며, 지역정부(地域政府) 차원(次元)에서는 박수근미술관(朴壽根美術館) [30] , 오죽헌시립박물관(烏竹軒市立博物館) , 태백석탄박물관(太白石炭博物館) 등(等)이 존재(存在)하고 있으며, 민간(民間) 차원(次元)에서는 강릉(江陵)의 참소리 축음기(蓄音機) 에디슨 박물관(博物館) [31] 등(等) 특별한 주제(主題)를 가진 박물관(博物館)들이 존재(存在)하고 있다. 세계적(世界的)인 거장(巨匠) 안도 타다오 가 설계(設計)한 미술관(美術館)인 뮤지엄 산 또한 강원도(江原道) 원주(原州)에 위치(位置)하고 있다. [32]

축제(祝祭) [ 편집(編輯) ]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각(各) 시군단체(市郡團體)에서 축제(祝祭)를 개최(開催)하고 있으며, 특히(特히) 강릉시(江陵市)에서는 유네스코 가 세계인류구전(世界人類口傳) 및 무형문화유산걸작(無形文化遺産傑作) 목록(目錄)에 등재(登載)한 강릉(江陵) 단오제(端午祭) [33] 등(等) 여러 축제(祝祭)들이 열리고 있다.

음식(飮食) [ 편집(編輯) ]

강원지방(講院地方)의 음식(飮食)들은 산악지대(山岳地帶)나 고원지대(高原地帶)가 많다보니, 감자, 메밀 등(等)으로 만든 음식(飮食)들이 많은 비중(比重)을 차지한다. [34] 예(例)를 들어서 강원도(江原道) 전지역(全地域)에서 먹는 나물밥, 그리고 산지(産地)인 정선군(旌善郡) 에서는 곤드레밥과 영월군(寧越郡) 에서는 메밀전병(煎餠), 화천군(華川郡) 에서는 화천산천어영양(華川山川魚營養)돌솥밥, 화천삼(華川三)나물밥이 유명(有名)하고, 양구군(楊口郡) 에서는 양구(楊口) 시레기(氣)가 유명(有名)하다. [35] [36] 또한 또한 해안지역(海岸地域)에서는 생선요리(生鮮料理)와 젓갈류(젓갈類) 등(等)이 발전(發展) [34] 하였는데, 동해시(東海市) 에서는 동해생선찜(東海生鮮찜), 속초시(束草市) 에서는 속초(束草) 오징어 순대, 삼척시(三陟市) 에서는 삼척복어요리(三陟복魚料理) 등(等)이 유명(有名)하다. 이런 강원도(江原道)의 토속(土俗) 음식(飮食)들은 극히(極히) 소박(素朴)하고 조리법(調理法)이 간단(簡單)하다. [34]

관광(觀光) [ 편집(編輯) ]

국립공원(國立公園) & 자연경관(自然景觀) [ 편집(編輯) ]

강원도(江原道)에 위치(位置)한 태백산맥(太白山脈)으로 인하여 수려(秀麗)한 산(山)들이 많아 국립공원(國立公園)들과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들이 강원도(江原道) 각지(各地)에 분포(分布)하고 있다.

  • 설악산(雪嶽山) 국립공원(國立公園)
설악산(雪嶽山) 국립공원(國立公園)은 최고봉(最高峯)인 대청봉(大靑峯)을 중심(中心)으로 암석지형(巖石地兄)의 경관미(景觀美)를 갖추고 있다. 또한 설악산(雪嶽山) 일대(一帶)는 세계적(世界的)으로 희귀(稀貴)한 자연자원(自然資源)의 분포(分布) 서식지(棲息地)로 1982년(年) 유네스코(UNESCO)에 의해생물권보전지역(意解生物圈保全地域)으로 설정(設定)되었다. [37]
  • 오대산(五臺山) 국립공원(國立公園)
오대산(五臺山) 은 백두대간(白頭大幹) 중심축(中心軸)에 위치(位置)하고 있으며, 1975년(年) 국립공원(國立公園)으로 지정(指定)되었다. 오대산(五臺山)은 대한민국(大韓民國) 불교문화(佛敎文化)의 성지(聖地) 중(中) 한 곳으로 꼽히고 있다. [38]
  • 치악산(雉岳山) 국립공원(國立公園)
치악산(雉岳山) 은 오대산(五臺山)에서 서남향(西南向) 방면(方面)으로 분기(分岐)되어 나온 산(山)으로, 원주시(原州市)와 가깝다. 이런 점(點)으로 인해 원주시(原州市)와 국립공원(國立公園) 관리공단(管理公團)이 서로 협약(協約)을 맺어 둘레길을 건설(建設)하고 있다. [39]
  • 태백산(太白山) 국립공원(國立公園)
태백산(太白山) 은 옛날부터 하늘에 제사(祭祀)를 지낸 '영산(靈山)'으로 알려졌으며, 2016년(年) 8월(月) 22일(日) 국립공원(國立公園)으로 지정(指定)되었다. [40]

철원(鐵原) 화산지대(火山地帶)를 통과(通過)하는 한탄강(漢灘江) 한탄강(漢灘江) 대교천 현무암(玄武巖) 협곡(峽谷) 등(等)의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을 가지고 있다. 한탄강(漢灘江) 지역(地域)은 한국전쟁(韓國戰爭) 시절(時節) 당시(當時) 격전지(激戰地)였기도 하였으며, 현재(現在)는 래프팅 장소(場所)로 사랑받고 있다. 한탄강(漢灘江) 인근(隣近)에서 발견(發見)된 신증후성(新證候性) 출혈열(出血熱) 바이러스는 이 바이러스를 발견(發見)한 한탄강(漢灘江) 유역(流域)에서 따와서 지어졌으며 [41] 현재(現在) 한타바이러스 속은 이 한탄(恨歎)바이러스에서 이름을 따와서 붙여진 속이다.

또한 민통선(民統線)이 존재(存在)하여 사람들이 들어갈 수 없는 철원평야에는 임진강(臨津江) 부분(部分)과 사실상(事實上) 마찬가지로 멸종위기(滅種危機) 동물(動物)인 두루미 가 철새로 오는 것으로 유명(有名)하다. [42]

이외(以外)에도 양구(楊口) 해안면 의 해안분지(海岸盆地)는 암석(巖石)의 풍화(風化)와 침식(浸蝕)에 의(依)해 형성(形成)되었으며, 한국전쟁(韓國戰爭) 당시(當時) 종군기자(從軍記者)가 '화채(花菜)그릇'(Punch Bowl)을 닮았다고 해서 이명인 펀치볼로 유명(有名)한 분지(盆地)이다. [43]

관광지(觀光地) [ 편집(編輯) ]

이외(以外)에도 강원도(江原道)에는 여럿 유명(有名)한 관광지(觀光地)들이 존재(存在)한다. 남이섬(南怡섬) 을 비롯하여 통일전망대 , 소양강(昭陽江)댐 , 정동진 등(等) 사람들이 많이 찾는 관광지(觀光地)들이 존재(存在)하고 있으며, 평창군(平昌郡)에는 평창군(平昌郡)에서 태어난 소설가(小說家)인 이효석(이효석) 을 기리는 이효석(李孝石) 문학관등(文學館等)이 있다. 또한 동해안(東海岸)을 끼고 있는 특징(特徵)으로 인해 경포해수욕장(鏡浦海水浴場) 등(等) 여럿 해수욕장(海水浴場)이 분포(分布)하고 있다.

또한 정선(旌善) 에는 내국인용(內國人用) 카지노 인(人) 강원랜드 가 위치(位置)해 있다.

교통(交通) [ 편집(編輯) ]

도로(道路) [ 편집(編輯) ]

일반(一般) 도로(道路)는 총(總) 9,800km이며, 포장률(鋪裝率)은 75.1%이다. [44]

관동(關東) 지방(地方) 에는 진부령(陳富嶺) (인제 ∼ 간성(杆城) ), 한계령(寒溪嶺) (인제 ∼ 양양(襄陽)), 대관령(大關嶺) (원주(原州) ∼ 강릉(江陵)) 등(等)의 예전부터 있었던 고갯길이 존재(存在)한다. 이런 고갯길뿐만 아니라,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號線) 중(中) 일부(一部)인 국도(國道) 제7호선 이 강원도(江原道)를 통과(通過)하고 있다.

고속도로(高速道路)는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 를 기점(起點)으로 강릉(江陵) 을 종점(終點)으로 하는 영동고속도로(嶺東高速道路) 와, 경기도(京畿道) 광주시(光州市) 를 기점(起點)으로 원주시(原州市) 를 종점(終點)으로 하는 광주원주고속도로(光州原州高速道路) , 그리고 경상도지역(慶尙道地域)을 연결(連結)하는 중앙고속도로 와 동해안(東海岸) 지역(地域)을 통(通)하는 동해고속도로(東海高速道路) , 그리고 서울과 양양(襄陽)을 연결(連結)하여 영동고속도로(嶺東高速道路) 를 분산(分散)하는 서울양양고속도로(襄陽高速道路) 가 존재(存在)하고 있으며, 현재(現在) 서울양양고속도로(襄陽高速道路)의 인제양양(麟蹄襄陽)터널 은 현재(現在)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 제일(第一) 긴 도로(道路) 터널이다.

버스 [ 편집(編輯) ]

철도(鐵道)와 사실상(事實上) 마찬가지로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는 대한민국(大韓民國)의 다른 시외버스(市外버스) 네트워크와 연결(連結)되어 있다.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의 모든 시군(市郡)에는 시외버스(市外버스) 터미널이 존재(存在)하며, 이를 이용(利用)하여 강원도(江原道) 내(內) 다른 지역(地域)이나 혹은(或은) 강원도(江原道) 바깥으로 나갈수 있다.

철도(鐵道) [ 편집(編輯) ]

중앙 고속도로(高速道路) 원주(原州) 대교(大橋)와 옛 중앙선(中央線) 철도(鐵道)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에 부설(敷設)된 철도(鐵道)는 보통(普通) 광복(光復) 혹은(或은)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시절(時節) 태백(太白) 산간지방(山間地方)의 지하자원(地下資源) 개발(開發)을 목표(目標)로 하는 산업철도(産業鐵道)에 기반(基盤) [45] [46] 을 두고 있다.

현재(現在)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의 남서부(南西部)에 간선(幹線) 철도(鐵道) 인(人) 중앙선(中央線) 이 지나며, 서울 ∼ 춘천(春川) 간(間)에는 경춘선(京春線) 이 있다. 또한 산업철도(産業鐵道)로 출발(出發)하여 중앙선(中央線)에서 분기(分岐)하여 강릉(江陵)까지 가는 영동선(嶺東線) 이 있으며, 동해(東海)에서 삼척(三陟)까지 분기(分岐)하는 삼척선(三陟線) 이 존재(存在)한다. 또한 제천(堤川)에서 분기(奮起)한 태백선(太白線) 이 존재(存在)하며, 중앙선(中央線) · 태백선(太白線) · 영동선(嶺東線) 의 일부(一部)가 강릉시(江陵市) 까지 전철화(電鐵化) 공사(工事)가 완공(完工)되었다. 경춘선(京春線) 이 간선철도(幹線鐵道) 겸(兼) 수도권(首都圈) 전철(電鐵)의 한 부분(部分) 이 되었다. 또한 2012년(年) 6월(月) 착공(着工)된 경강선(京江船) 구간(區間) 중(中) 현재(現在) 완공(完工)된 구간(區間)을 대상(對象)으로 2017년(年) 12월(月) 22일(日)부터 KTX 열차(列車)가 운행(運行) 중(中) [47] 이며, 2020년(年) 3월(月) 2일(日)에는 경강선(京江船)의 지선(智詵)인 강릉삼각선(江陵三角線)을 신설(新設)하여 일부(一部) 강릉선(江陵線) KTX가 강릉삼각선(江陵三角線)을 통해 정동진 및 동해(東海)까지 운행(運行)한다.

2017년(年) 경강선(京江船)에서 운행중(運行中)인 KTX를 속초시(束草市) 까지 연장(延長)시키는 동서고속화철도사업(東西高速化鐵道事業) 계획(計劃)이 발표(發表)되었으며 [48] , 2025년(年)까지 공사(工事)를 완료(完了)할 계획(計劃)을 갖고 있다. [49]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를 지나가는 간선(幹線) 철도(鐵道) 중(中)에 경원선(京元線) 과 더불어 동해북부선(東海北部線) 군사분계선(軍事分界線) 으로 인해 도중(途中)에 끊겨져 있으며, 북한(北韓) 지역(地域)에서 고성군(固城郡) 북단(北壇)의 제진역(猪津驛) 까지 연결(連結)되어 있다.

항공(航空) [ 편집(編輯) ]

현재(現在)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에는 여러 개(個)의 군사(軍事) 공항(空港)들과 민간(民間) 공항(空港)이 있으며, 그 중(中) 2개(個)의 공항(空港)이 여객(旅客)을 수송(輸送)한다. 원주공항(原州空港) 김해국제공항(金海國際空港) 과 마찬가지로 군사기지(軍事基地)를 공유(共有)하고 있으며 [50] , 군(軍) 공항(空港)이 아닌 민간공항(民間空港)은 양양국제공항(襄陽國際空港) 이 유일(唯一)하다.

원주공항(原州空港) 횡성군(橫城郡) 횡성읍 에 있으며, 현재(現在) 국내공항(國內空港) [51] 으로 운용(運用)되고 있다. 양양국제공항도(襄陽國際空港度) 현재(現在) 국내공항(國內空港)으로 이용(利用) [52] 되고 있다.

양양국제공항(襄陽國際空港)의 경우(境遇), 길이 2,500m, 폭(幅) 45m의 활주로(滑走路) 1본(本)이 설치(設置)되어 있으며, 연간(年間) 항공기(航空機)를 43,000건(件) 수용(受容)할 수 있으며, 또한 연간(年間) 317만명(萬名)의 여객(旅客) [53] 을 처리(處理)할 수 있는 능력(能力)을 가지고 있다. 또한 원주공항(原州空港)의 경우(境遇), 강원도(江原道) 횡성군(橫城郡)에 위치(位置)하고 있으며 현재(現在) 국내(國內)선 전용(專用) 공항(空港)으로 가장 최북단(最北端)에 위치(位置)하고 있다.

해운(海運) [ 편집(編輯) ]

동해(東海)와 접(接)해있는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는 여러 항구(港口)들을 가지고 있다. 예(例)를 들어서 묵호항(墨湖港)의 경우(境遇) 태백산맥(太白山脈)에서 채굴(採掘)한 시멘트와 석탄(石炭)을 선적(船積)하고 있으며, [54] 속초항(束草港)의 경우(境遇) 어항(魚缸), 철광석(鐵鑛石) 적출항(積出港), 관광항(觀光港) 등(等) 여러 가지 기능(機能)이 결합(結合)된 무역항기능(貿易港機能)을 맡고 있다. [54] 또한 최근(最近) 호산항(項)에는 한국(韓國)가스공사(公社) 의 삼척(三陟) LNG 생산기지(生産基地)가 건설(建設)되고 있으며, 2014년(年) 개항(開港)과 동시(同時)에 LNG 수송선(輸送船)이 접안(接岸)하였다. [55]

승객(乘客) 수송(輸送) [ 편집(編輯) ]

현재(現在)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에서는 국내선(國內線)과 해외(海外)선 페리 항로(航路)가 존재(存在)하며, 또한 속초항(束草港)에는 크루즈를 접안(接岸)할 수 있기도 하다. [56]

다음은 2018년(年) 2월(月) 강원도(江原道)의 페리 항로(航路)이다.

국내(國內) 항로(航路) [ 편집(編輯) ]
국제(國際) 항로(航路) [ 편집(編輯) ]

국제(國際) 항로(航路)는 주로(主로) DBS크루즈훼리 에서 일본(日本) 사카이미나토, 마이즈루, 블라디보스토크 등(等)을 매주(每週) 1차례(次例)에 걸쳐 운항(運航)한다. 해당(該當) 노선(路線)을 이용(利用)하여 중간(中間) 도시(都市)를 거쳐서 일본(日本) 오키 제도(制度) ,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훈춘시 , 하바로브스크 , 우수리스크 등(等) 인접(隣接) 도시(都市)나 지역(地域)과 연결(連結)되며 현재(現在)는 코로나19 범유행(汎流行) 에 따라 승객(乘客)은 일절(一切) 받지 않고 화물(貨物) 수송(輸送)만 가능(可能)하다.

스포츠 [ 편집(編輯) ]

주요(主要) 스포츠 팀 [ 편집(編輯) ]

축구(蹴球) [ 편집(編輯) ]

강원(江原) FC 는 2008년(年) 4월(月) 28일(日) 김진선 강원도지사(江原道知事) K리그 의 15번째(番째) 구단(球團)으로 축구단(蹴球團) 창단(創團)을 발표(發表)하고, 2008년(年) 11월(月) 5일(日) 한국프로축구연맹 이사회(理事會)에서 강원(講院)의 창단(創團)을 승인(承認)받았다. [60] 울산(蔚山) 현대미포조선 돌고래 최순호 감독(監督)이 강원(江原) FC의 초대(初代) 감독(監督)으로 선임(選任)되었다. [61] 2008년(年) 11월(月) 17일(日)에 우선지명(優先指名)을 통해 울산(蔚山) 현대미포조선 돌고래 출신(出身)의 선수(選手) 4명(名)을 비롯하여 14명(名)의 선수(選手)를 선발(選拔)하였고, 11월(月) 20일(日)에 실시(實施)된 2009 K리그 드래프트를 통해 9명(名)의 선수(選手)를 더 선발(選拔)하여 23명(名)의 선수(選手)를 선발(選拔)하였으며, [62] 2008년(年) 12월(月) 18일(日) 창단(創團)했다. [63]

농구(籠球) [ 편집(編輯) ]

농구단(籠球團)은 원주(原州) DB 프로미(美) 가 유일(唯一)하다. 원주(原州) DB 프로미(美) 원주시(原州市) 가 연고지(緣故地)인 대한민국(大韓民國)의 농구(籠球) 팀으로 2005년(年) 10월(月) 동부그룹(現 DB그룹) 이 TG삼보컴퓨터로부터 원주(原州) TG삼보 엑서스 농구단(籠球團)을 인수(引受)하고 동부화재(現 DB손해보험(損害保險)) 를 모기업(母企業)으로 하여 창단(創團)하였다. 지역(地域) 기업(企業)인 대한석탄공사(大韓石炭公社) 와 협정(協定)을 체결(締結)한 뒤 사회공헌(社會貢獻) 활동(活動)도 진행중(進行中)에 있다. [64]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의 스포츠 클럽들 [ 편집(編輯) ]

현재(現在)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에는 다음과 같은 스포츠 클럽들이 존재(存在)하고 있다.

강원(江原) FC의 홈구장인 강릉종합운동장(江陵綜合運動場)
리그명(名) 팀명 창단연도(創團鳶島) 홈 경기장(競技場)
K리그1 강원(江原) FC 2008년(年) 강릉종합경기장(江陵綜合競技場)
춘천(春川)송암스포츠타운
K3리그 강릉시민축구단(江陵市民蹴球團) 1999년(年) 강릉종합경기장(江陵綜合競技場)
정선종합운동장(旌善綜合運動場)
K4리그 춘천시민축구단(春川市民蹴球團) 2010년(年) 춘천종합운동장(春川綜合運動場)
WK리그 화천(華川) KSPO 여자(女子) 축구단(蹴球團) 2011년(年) 화천공설운동장(華川公設運動場)
KBL 원주(原州) DB 프로미(美) 1996년(年) 원주종합체육관

주요(主要) 스포츠 행사(行事) [ 편집(編輯) ]

1999년(年) 동계(冬季) 아시안 게임 [ 편집(編輯) ]

1999년(年) 1월(月) 30일(日)부터 2월(月) 6일(日)까지 강원도(江原道) 내(內)의 평창군(平昌郡) , 강릉시(江陵市) , 춘천시(春川市) 에서 동계(冬季) 아시안 게임 이 개최(開催)되었다. 이 동계(冬季) 아시안 게임에서 대한민국(大韓民國)은 종합(綜合) 2위(位)의 실적(實績)을 올렸다.

2018년(年) 평창(平昌) 동계(冬季) 올림픽과 동계(洞契) 패럴림픽 [ 편집(編輯) ]

2018년(年) 2월(月) 9일(日) ~ 2월(月) 25일(日)까지 평창군(平昌郡) 등(等)에서 2018년(年) 동계(冬季) 올림픽 이 개최(開催)되었다. 이 행사(行事)는 1988년(年) 서울 하계(夏季)올림픽 이후(以後)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 30년(年) 만에 열린 올림픽이다. 또한 2018년(年) 3월(月) 9일(日)부터 2018년(年) 3월(月) 18일(日)까지 2018년(年) 동계(洞契) 패럴림픽 이 열렸다. 평창군(平昌郡) 에서 개막식(開幕式) 및 폐막식(閉幕式)과 대부분(大部分)의 설상 경기(競技)가 진행(進行)되며, 모든 빙상(氷上) 종목(種目)은 강릉시(江陵市) 에서 개최(開催)되었다. 정선군(旌善郡) 에서는 알파인 스키 활강(滑降) 경기(競技)가 개최(開催)되었다.

2024년(年) 동계(冬季) 청소년(靑少年) 올림픽 [ 편집(編輯) ]

2024년(年) 1월(月) 19일(日) ~ 2월(月) 1일(日)까지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내(內)의 강릉시(江陵市) , 정선군(旌善郡) , 평창군(平昌郡) , 횡성군(橫城郡) 에서 2024년(年) 동계(冬季) 청소년(靑少年) 올림픽 이 개최(開催)되었다.

자매(姊妹) 도시(都市) [ 편집(編輯) ]

국가(國家) 도시(都市)
러시아의 기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몽골의 기 몽골 투브주
미국의 기 미국(美國) 콜로라도주(콜로라도州)
인도네시아의 기 인도네시아 욕야(辱野)카르타 특별주(特別週) [65]
일본의 기 일본(日本) 돗토리현(돗토리縣)
중국의 기 중국(中國) 지린성(지린省) (吉林省)
캐나다의 기 캐나다 앨버타주
필리핀의 기 필리핀 세부주(州)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강원특별자치도청(江原特別自治盜聽) (2023년(年) 6월(月) 12일(日)). “찾아오시는 길” . 《도청안내(盜聽案內)》 . 2023년(年) 6월(月) 16일(日)에 확인(確認)함 .  
  2. 대한민국(大韓民國) 국토교통부(國土交通部) (2023년(年) 3월(月) 29일(日)). “행정구역별(行政區域別) 국토면적(國土面積) 현황(現況)” . 《e-나라지표(指標)》 . 2023년(年) 6월(月) 16일(日)에 확인(確認)함 .  
  3. 대한민국(大韓民國) 행정안전부(行政安全部) (2023년(年) 6월(月) 1일(日)). “주민등록(住民登錄) 인구통계(人口統計)” . 《행정안전부(行政安全部) 주민등록(住民登錄) 인구통계(人口統計)》 . 2023년(年) 6월(月) 16일(日)에 확인(確認)함 .  
  4. 통계청(統計廳). “지역별(地域別) 인구(人口) 및 인구밀도(人口密度)” . 《e-나라지표(指標)》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5. 대한민국(大韓民國) 통계청(統計廳) (2022년(年) 12월(月) 22일(日)). “시도별(市道別) 경제활동별(經濟活動別) 지역내총생산(地域內寵生産)” . 《KOSIS 국가통계(國家統計)포털》 . 2023년(年) 6월(月) 16일(日)에 확인(確認)함 .  
  6. 대한민국(大韓民國) 통계청(統計廳) (2022년(年) 12월(月) 22일(日)). “시도별(市道別) 1인당(人當) 지역내총생산(地域內寵生産), 지역총소득(地域總所得), 개인소득(個人所得)” . 《KOSIS 국가통계(國家統計)포털》 . 2023년(年) 6월(月) 16일(日)에 확인(確認)함 .  
  7. [1]
  8. 군정법령(軍政法令) 제(第)84호(號) 지방행정(地方行政)의변경 (1946년(年) 5월(月) 23일(日))
  9. 법률(法律) 제(第)369호(號) 강릉시설치(江陵市設置)에관한법률 (1955년(年) 8월(月) 13일(日))
  10. 법률(法律) 제(第)372호(號) 원주시설치(原州市設置)에관한법률 (1955년(年) 8월(月) 13일(日))
  11. 법률(法律) 제(第)1172호(號)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도(道)·군(郡)·구의관할구역변경(管轄區域變更)에관한법률 (1962년(年) 11월(月) 21일(日))
  12. 법률(法律) 제(第)1176호(號) 시설치와군의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62년(年) 11월(月) 21일(日))
  13. 법률(法律) 제(第)3188호(號) 동해시등시설치와시(等市設置瓦市)·군관할구역(軍管轄區域)및명칭변경(名稱變更)에관한법률 (1979년(年) 12월(月) 28일(日))
  14. 법률(法律) 제(第)3425호(號) 광명시등시설치와군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1년(年) 4월(月) 13일(日))
  15. 법률(法律) 제(第)3798호(號) 구리시등(等)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년(年) 12월(月) 28일(日))
  16. 법률(法律) 제(第)4050호(號) 오산시등(等)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년(年) 12월(月) 31일(日))
  17. 법률(法律) 제(第)4417호(號) 경기도고양시설치와강원도춘성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91년(年) 12월(月) 14일(日))
  18. 법률(法律) 제(第)4774호(號) 경기도(京畿道)남양주시등(等)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 1994년(年) 8월(月) 3일(日) )
  19. 위상(位相) 높아진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내일(來日) 출범(出帆) 기념식(記念式) 출처(出處):뉴스1
  20.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설치(設置) 등(等)에 관(關)한 특별법(特別法) ( 약칭(略稱): 강원특별법(江原特別法) ) [시행(施行) 2023. 6. 11.] [법률(法律) 제(第)18875호(號), 2022. 6. 10., 제정(制定)]. 제(第)6조(條)(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의 설치(設置)) ②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의 관할구역(管轄區域)은 종전(從前)의 강원도(江原道)의 관할구역(管轄區域)으로 한다."
  21. 강원도청 (2016년(年) 4월(月) 27일(日)). “자연환경(自然環境)” . 《강원도청》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22. 기상청(氣象廳). “국내기후자료(國內氣候資料) - 강원도(江原道)”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23. 강원도청 (2016년(年) 4월(月) 27일(日)). “행정지역(行政地域)” . 《강원도청》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24. “강원도(江原道) 주민등록인구통계(住民登錄人口統計)” . 통계청(統計廳)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25. “인구수(人口數) (주민등록(住民登錄))” . 강원도(江原道).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26. 남북(南北) 분단(分斷)으로 이천(利川) , 평강(平康) , 회양(淮陽) , 통천(通川) , 철원(鐵原) , 김화(金化) , 양구(楊口) , 고성(高聲) 일원(一圓)과 양양(襄陽) ( 속초시(束草市) 포함(包含)) 일부(一部), 춘성군 일부(一部), 인제군(麟蹄郡) 대부분(大部分)이 북한(北韓)으로 넘어감
  27. 1953년(年) 휴전(休戰) 협정(協定) 이후(以後) 철원(鐵原) , 김화(金化) , 인제(麟蹄) , 양구(楊口) , 고성(高聲) 대부분(大部分) 지역(地域)과 화천(華川) , 양양(襄陽) , 춘성군 전역(全域)을 수복(收復)함
  28. 노형석 (2016년(年) 8월(月) 12일(日)). “구석기(舊石器)?신석기(新石器) 선조(先祖)들 먹고살던 동굴(洞窟) 정선(旌善)서 발견(發見)” . 한겨례 . 2018년(年) 2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29. 김경석 (2017년(年) 10월(月) 30일(日)). “춘천박물관(春川博物館), 개관(開館) 15주년(周年) 기념(記念) 전시관(展示館) 재개관(再開館) 개막(開幕)” . 뉴스1 . 2018년(年) 2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30. 정성원 (2018년(年) 1월(月) 29일(日)). ' 박수근(朴壽根) 고향(故鄕)' 양구(楊口), 박수근(朴壽根)을 입었다” . 조선일보(朝鮮日報) . 2018년(年) 2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31. 최보식 (2010년(年) 12월(月) 20일(日)). “[최보식이 만난 사람] 강릉(江陵) ‘참소리 축음기(蓄音機)·에디슨 박물관(博物館)’ 손성목 관장(館長)” . 조선일보(朝鮮日報) . 2018년(年) 2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32. 연(年), 지연(遲延) (2023년(年) 3월(月) 31일(日)). “직접(直接) 설계(設計)한 뮤지엄 산(山)에서 개인전(個人展) 여는 안도 타다오, 그가 말하는 청춘(靑春)과 희망(希望)” . 조선비즈.  
  33. “강릉단오제(江陵端午祭)” . 유네스코 한국위원회(韓國委員會). 2018년(年) 2월(月) 10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2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34. “강원도(江原道) 전통음식(傳統飮食)의 특징(特徵)” . 한식(韓食)아카이브. 2018년(年) 2월(月) 10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2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35. “강원도(江原道) 대표음식(代表飮食) 30선(線)” . 강원도청 . 2018년(年) 2월(月) 13일(日)에 확인(確認)함 .  
  36. 신효재 (2016년(年) 12월(月) 30일(日)). “[영상(映像)]"강원도(江原道) 대표(代表) 먹거리 30선(線) " . 뉴스1 강원(江原). 2018년(年) 2월(月) 14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2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37. “Mount Sorak” . UNESCO & 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 . 2018년(年) 2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38. “오대산국립공원(五臺山國立公園) 지정(指定) 43주년(周年)을 맞이하여” . 강원도민일보(江原道閔日報). 2018년(年) 2월(月) 5일(日) . 2018년(年) 2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39. “치악산국립공원(雉岳山國立公園) 지역(地域)에 68km 둘레길 생긴다” . 연합뉴스(聯合뉴스). 2014년(年) 11월(月) 19일(日) . 2018년(年) 2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40. 김정수(金正秀) (2016년(年) 4월(月) 15일(日)). “‘민족(民族)의 영산(靈山)’ 태백산(太白山) 스물두번째(番째) 국립공원(國立公園) 되다” . 한겨례 . 2018년(年) 2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41. 유기현 (2010년(年) 10월(月) 25일(日)). “유행성출혈열(流行性出血熱) 백신을 찾아낸 의학자(醫學者), 이호왕(李鎬汪)” . 한겨례 . 2018년(年) 2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42. 천권필 (2018년(年) 1월(月) 28일(日)). “철원(鐵原) 평야(平野)…전세계(前世界) 두루미 30% 찾는 '철새 낙원(樂園)'된 이유(理由)는” . 중앙일보(中央日報) . 2018년(年) 2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43. 이진욱 (2015년(年) 12월(月) 11일(日)). “<걷고 싶은 길> 최북단(最北端) 숲길 양구(楊口) 펀치볼 둘레길” . 연합뉴스(聯合뉴스) . 2018년(年) 2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44. “총도로연장(總道路延長)” . 강원도청.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45. “태백선(太白線)”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46. “영동선(嶺東線)”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47. 이은정 (2017년(年) 12월(月) 22일(日)). “경강선(京江船) KTX 개통(開通)…서울-강릉(江陵) 반나절(半나절) 생활권(生活圈) 열렸다” . 《동아일보(東亞日報)》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48. “춘천(春川)∼속초(束草) 동서고속화철도(東西高速化鐵道) 예비타당성(豫備妥當性) 통과(通過)…사업(事業) 확정(確定)(종합(綜合))” . 연합뉴스(聯合뉴스). 2016년(年) 7월(月) 8일(日)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49. 유하룡 (2017년(年) 7월(月) 14일(日)). “춘천(春川)~속초(束草) 동서고속철(東西高速鐵) 노선(路線)·역사(歷史) 첫 공개(公開)…5개역(個驛) 신설(新設), 2025년(年) 완공(完工)” . 《조선일보(朝鮮日報)》. 2018년(年) 2월(月) 10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50. 김귀근 (2018년(年) 1월(月) 1일(日)). “공군(空軍) FA-50 편대(編隊), '확고(確固)한 영공방위(領空防衛) 결의(決議)' 초계비행(哨戒飛行)” . 《연합뉴스(聯合뉴스)》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51. “원주공항(原州空港) - 운영(運營)스케쥴” . 한국공항공사(韓國空港公社)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52. “양양국제공항(襄陽國際空港) - 운영(運營)스케쥴” . 한국공항공사(韓國空港公社)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53. 국내선(國內線) 207만명(萬名), 국제선(國際線) 110만명(萬名)
  54. “동해중부(東海中部) 사고다발지역안내(事故多發地域案內)” . 대한민국(大韓民國) 해양경찰청(海洋警察廳).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55. 유형재(有形財) (2014년(年) 2월(月) 3일(日)). “삼척(三陟) 호산항(港) 6월(月) 개항(開港)…LNG 선박(船舶) 입·출항” . 연합뉴스(聯合뉴스)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56. “속초(束草)에 국제(國際) 크루즈 터미널 준공(竣工)” . 한겨례. 2017년(年) 9월(月) 21일(日). 2018년(年) 2월(月) 10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57. “노선정보(路線情報)” . 씨(氏)스포빌.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58. “운항정보(運航情報)” . 씨(氏)스포빌. 2018년(年) 1월(月) 2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59. “schedule” . DBS Curise Ferry. 2018년(年) 2월(月) 6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60. 이동칠 (2008년(年) 11월(月) 5일(日)). “프로축구연맹(蹴球聯盟), 11일(日) 이사회(理事會)서 강원(江原)FC 창단(創團) 승인(承認)” . 연합뉴스(聯合뉴스).  
  61. “최순호 감독(監督) , 강원(江原)FC 초대(初代) 사령탑(司令塔) 맡아” . 재경일보(財經一步). 2008년(年) 11월(月) 16일(日). 2012년(年) 1월(月) 18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7월(月) 7일(日)에 확인(確認)함 .  
  62. 박대로 (2008년(年) 11월(月) 20일(日)). “숭실대(崇實大) 임경현, 전체(全體) 1순위(順位)로 부산(釜山)아이파크行…약(藥) 31% 지명(指名)돼” . 뉴시스.  
  63. 허정윤 (2008년(年) 12월(月) 18일(日)). “K-리그 '신상(神像)' 강원(江原)FC, 공식명칭(公式名稱) 및 엠블럼 발표(發表)” . 스포탈코리아.  
  64. 김용 (2017년(年) 11월(月) 20일(日)). “김주성, 원주시에 연탄(煉炭) 1만(萬)1000장(張) 기증(寄贈)...직접(直接) 배달(配達)도” . 스포츠조선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65. 강원도(江原道) 국제교류(國際交流)과. “자매결연지역(姊妹結緣地域)”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참고(參考) 문헌(文獻) [ 편집(編輯) ]

이 문서(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현(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配布)한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의 "강원도(江原道)" 항목(項目)을 기초(基礎)로 작성(作成)된 글이 포함(包含)되어 있습니다.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