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다락원 : 네이버 知識百科

다락원 2,007件

提供處 情報

  • 數를 셀 때 쓰는 自然스러운 수. 1부터 始作하여 하나씩 더하여 얻을 수 있는 모든 數를 自然數라고 해요. 陽의 正數인 自然數는 數를 세거나 順序를 매길 때 使用해요. 1, 2, 3, 4, 5 … 와 같이 人間이 오랫동안 使用해 온 가장 自然스러운 수랍니다. 自然數의 덧셈과 곱셈의 結果는 自然水로 나오지만, 自然數의 뺄셈과 나눗셈의 結果는 반드시 自然數가 아닐 수도 있어요. 함께 알아보기!정수(integer) 整數 [가지런할 情, 셈 수] : 陽의 精髓, 0, 陰의 正數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예) 1, 2, 3은 陽의 精髓, -1, -2, -3은 陰의 精髓예요. 自然數

  • 반딧불과 눈빛으로 工夫하여 이룬 共이란 뜻으로, 어려움을 이겨 내고 工夫하여 얻는 보람을 이르는 말. [故事成語의 뜻] 이렇게 使用하면 日就月將! • 螢雪之功으로 努力하더니 期於이 꿈을 이뤘구나! • 螢雪之功의 努力 끝에 全國 大會에서 優勝을 차지했어. • 헬렌 켈러는 螢雪之功의 努力으로 大學까지 갈 수 있었어. • 韓石峯은 종이를 살 수 없을 만큼 가난하였지만 螢雪之功의 마음으로 돌다리에 글씨 練習을 하여 이름난 名筆家가 되었지. 이것까지 알면 錦上添花! 비슷해요 • 晝耕夜讀(晝耕夜讀: 晝 낮 週, 耕 밭갈 警, 夜 밤 野, 讀 읽을 毒) 낮에는 밭을 갈고 밤에는 冊을 읽는다! 卽 어려운 生活 속에서도 꿋꿋하게 工夫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에요. 같은 俗談 • 공든 塔이 무너지랴 精誠을 다해 쌓은 塔은 무너질 理가 없다는 말이죠. 뜻을 다해 努力하면 그 結果가 헛되지 않고 보람이 있다는 뜻이에요. 參考資料 • 반딧불이로 冊을 읽을 수 있을까? 每年 無主에서는 반딧불이 祝祭가 열려...

  • [ 1) 家門(家紋)] 家門(家紋, かもん)은 집안마다 定해져 있는 文章(紋章)을 말한다. 헤이안時代(平安時代, へいあんじだい)에 구게(公家, くげ) 卽, 貴族들이 衣服이나 牛車(牛車)에 文樣(文樣)을 새겨 넣은 것이 始初로 傳해진다. 가마쿠라時代(鎌倉時代, かまくらじだい)에는 武士가 一族의 團結을 誇示하고 戰鬪時에 敵과의 區別을 위해 旗발에 讀者의 文樣을 새기면서 一般化되기 始作했다. 戰鬪가 사라진 에도時代에는 服裝이나 生活道具 等에 家門을 表示했으며 庶民들 사이에도 퍼지기 始作했다. 現在 家門(家紋)은 男性의 河오리하카마(羽織袴, はおりはかま), 女性의 도메소데(留袖, とめそで)나 賞福(喪服)과 같이 結婚式이나 葬禮式 等의 儀禮的 服裝에 들어가거나 墓石에 새겨지는 境遇가 大部分이다. 16個 꽃잎의 菊花文樣(十六弁重表菊紋, じゅうろくべんやえひょうきくもん)은 天皇과 皇室을 나타내는 文章이다 [ 2) 慶祝日(祝日)] 2009年, 日本은 '國民의 祝日에 關한 法律'에 依해 1

  • 韓日 兩國은 모두 쌀밥을 主食으로 하고 국과 飯饌을 함께 먹는 것이 傳統的인 食事 方式이다. 調味料 中에도 된醬(微笑)이나 간醬 等 類似한 것이 많고 식재료도 野菜나 肉類, 生鮮類 等 비슷한 素材를 많이 使用하고 있다. 그렇지만 仔細히 살펴보면 다른 點도 많이 發見된다. 于先 基本 調味料인 된醬(微笑)과 간醬의 製造法에서는, 韓國은 只今도 傳統的인 方法에 따라 메주를 原料로 된醬과 간醬을 한 缸아리에서 만들고 있는 家庭이 많은데 비해, 日本은 에도時代(江?時代)에 이미 微笑(味?)와 쇼유(?油) 工場에서 大量 生産이 始作되어 現在는 家庭에서 만드는 例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韓國 飮食의 調理法은 된醬·간醬·소금 等의 基本 調味料에 마늘, 生薑, 고추가루, 고추醬 等이 들어가 양념 맛이 複合的인 데 비해, 日本의 飮食 맛은 基本 調味料에 雪糖, 淸州, 미린 等이 添加되는 境遇가 많고 韓國 飮食 맛에 비해 심플하고 達作至近한 境遇가 많다. 국물 맛을 낼 때의 材料도, 韓國의

  • [ 1) 日本의 住宅文化] 日本 住宅의 特徵 日本은 高溫多濕한 氣候的 特性을 考慮해서 開放的인 住宅 構造를 갖는 여름型 住宅을 基本으로 하여 지어지는 特徵이 있다. 窓門을 많이 만들고 지붕을 높게 만들어 通風性에 主案을 두는 構造理氣 때문에 추운 겨울에는 不適合한 住宅 構造라 할 수 있다. 比較的 溫暖한 氣候를 보이는 日本에서는 겨울철보다는 여름철의 溫度와 濕度를 調節하는 것에 住宅의 重點을 두었던 것이다. 또한 地震이 많이 일어나는 條件은 日本의 住宅을 높게 짓지 않고, 鐵筋 콘크리트 構造物보다 木造建物을 많이 짓게 했다. 建物을 낮게 지을수록 地震에 무너질 確率이 낮고, 콘크리트보다는 木造建物이 흔들림에 훨씬 剛하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現在도 高層맨션을 除外한 一般住宅은 大部分 木材를 使用해 짓는다. 하지만 그 때문에 日本의 많은 住宅은 火災에 弱하고, 共同住宅의 境遇는 防音이라는 側面에서 몹시 脆弱하다. 한 例로 1995年 고베大地震때 6千 名에 가까운...

  • [ 1) 家具라(神?)] 家具라(神?, かぐら)는 神에게 祭祀 지낼 때 연주하는 日本 固有의 무악(舞樂)으로, 家具라 노래를 부르면서 춤을 춘다. 宮中에서 行해지는 美카구라(御神?, みかぐら)와 民間에서 行해지는 사토카구라(里神?, さとかぐら)가 있다. 사토카구라는 神官(神官)이나 巫女(巫女, みこ), 受驗者(修驗者), 또는 一般人들에 依해 行해지는 것이고, 家具라는 祭禮 席上에서 神을 모셔 놓고 五穀豐饒와 人間들의 健康을 祈願하기 위해 神을 기쁘게 해드린 뒤 다시 神을 보내드리는 順序로 進行된다. [ 2) 結婚式(結婚式)] 結婚式(結婚式)은 冠婚喪祭 中의 하나로 日本人의 通過儀禮 中에서 가장 重要하다고 할 수 있다. 居住地의 官公署에 婚姻書類를 提出하면 새로운 戶籍이 만들어지면서 公式的으로 婚姻이 成立하게 된다. 그러나 日本에서는 아직도 社會的으로 公式的인 認知를 얻기 위해 비싼 衣裳이나 盛大한 披露宴을 同伴하는 값비싼 結婚式을 올리는 境遇가 많다. 오늘날의 傳統 結婚式

  • 日本의 氣候는 基本的으로 韓國과 함께 溫帶몬순氣候에 屬한다. 따라서 四季節이 뚜렷하고 여름은 高溫多濕, 겨울은 寒冷乾燥하다. 그러나 日本의 氣候는 地形的인 影響으로 降水量이 많고 地域差가 크다는 것이 特徵이다. 日本의 겨울은 시베리아 地方으로부터 불어오는 大陸性 氣流인 北西 季節風의 影響으로 全國的으로 氣溫이 下降하며 東海岸에는 큰 눈이 내린다. 特히 호쿠리쿠(北陸) 地方은 世界에서도 드문 大雪 地域이다. 日本列島는 東北에서 西南으로 山脈이 뻗어 있어 季節風을 途中에 遮斷함으로써 東海岸 側에 大雪을 내리게 하고 있다. 이 눈은 水力發電 等에 利用되는 所重한 水資源이기도 하다. 國土의 거의 中間을 占하고 있는 혼슈, 규슈 地方조차도 겨울은 시베리아 氣團의 影響으로 추위가 매우 甚하다. 反面 太平洋沿岸 側에는 맑고 乾燥한 날씨가 繼續된다. 이 基壇度 홋카이도까지 가는 途中 차가워져 홋카이도나 山里쿠(三陸) 앞 바다에서 해무(海霧)를 發生시킨다. 오키나와...

  • 日本 飮食은 우리의 日常生活과도 깊은 關係를 가지고 있다. 스시·우동·소바·라면·샤부샤부·덴푸라·스키야키·데판야키(鐵板구이) 쇼유·다쿠안 等의 單語는 우리 食生活에도 뿌리내린 日本 飮食文化의 한 斷面이라 할 수 있다. 特히 新鮮하고 정갈한 맛이 特徵인 日本 飮食은 개운한 맛을 좋아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嗜好에도 맞아 旣成世代는 勿論 新世代의 外食文化에도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 섬으로 이루어져 沙溪가 분명한 日本人의 食生活은 季節에 敏感해 싱그러운 느낌을 주는데, 地理的 特性上 肉類보다는 生鮮類의 飮食이 發達한 것도 日本 料理의 한 特徵이라 할 수 있다. 調理法 또한 香辛料의 使用을 抑制하고 材料의 固有의 맛을 最大限 살려 담백한 맛과 視覺的인 아름다움을 提供한다. 이러한 日食 料理의 視覺的인 魅力은 다양한 材料와 豐富한 季節 感覺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또 다른 視覺的인 즐거움은 食器와 空間美에 있다. 日本 食器는 材質과 形態가 다양해 飮食을...

  • 높이고 貴重히 여김. 높이어 貴하게 여기는 것을 말해요. 尊重은 사람이 갖추어야 할 重要한 德目 中의 하나예요. 내가 相對方을 尊重할 때 相對方도 나를 尊重해 주는 法이에요. 特히 가까운 사이일수록 서로 尊重해야 그 關係가 오래갈 수 있답니다. 예) 方定煥 先生님은 어린이를 아끼고 尊重해야 한다고 하셨어요. 尊重

  • 아침에 세 個 저녁에 네 個라는 뜻으로, 눈앞에 보이는 差異만 알고 結果가 같은 것을 모르는 어리석은 狀況을 比喩하는 말. [故事成語의 뜻] 이렇게 使用하면 日就月將! • 朝三暮四로 속이려고 하지 말고 根本的인 問題를 解決해라. • 그럴듯하게만 包裝하는 朝三暮四式의 選擧 公約은 사라져야 해. • 放學이 길어지고 平素 授業 時間이 늘어난다면 朝三暮四와 다를 것이 없어. • 하나를 사면 하나를 더 주는 거나 하나를 折半 價格으로 割引하는 거나 於此彼 똑같은 朝三暮四野. 이것까지 알면 錦上添花! 비슷해요 • 甘言利說(甘言利說: 甘 달 감, 言 말씀 言, 利 이로울 리, 說 말씀 설) 듣기 좋은 달콤한 말과 이로운 條件만 내세워 相對方을 꾀는 말을 甘言利說이라고 해요. 大部分 거짓말이거나 阿附하기 위한 誇張된 말일 境遇가 많답니다. 같은 俗談 • 눈 가리고 아웅 이미 다 알고 있는데 얕은수로 남을 속이려고 한다는 俗談이에요. 日記帳에 날짜만 슬쩍 바꿔서 냈을 때 先生님께서 “눈...

  • "飮食은 中國에서(食在中國)"라는 말이 있을 程度로 中國은 光大한 地域에서 生産되는 豐富한 飮食 材料와 數千 年의 經驗을 바탕으로 하여 일찍이 中國 特有의 飮食 文化를 形成하였다. 體面을 重要視하는 中國人이지만 '먹는 일' 앞에서만큼은 實用主義的인 民族的 特性이 잘 드러난다. 일찍이 中國에는 "百姓은 먹는 것을 하늘로 여긴다(民以食爲天)."라는 말이 있었는데, 이에 符合이나 하듯 中國人은 日常生活에서 먹는 것을 매우 重要하게 여긴다. 季節, 性別, 나이別로 適當한 飮食을 가려서 먹으며, 料理할 때는 맛을 내는 데 그치지 않고 色과 香 그리고 아름다움까지 追求한다. 먹는 것으로써 健康을 챙길 뿐 아니라 삶의 餘裕와 즐거움을 찾으려 하는 것이다. (1) 食生活 習慣 하루를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 都市의 職場人들은 每끼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은 理想的인 食生活을 즐길 수 없다. 그래서 아침에는 大槪 菜蔬나 고기 속이 있는 찐饅頭人 '바오쯔(包子)', 속이 없는 찐빵인 '만터우(饅頭

  • [ 1) 時代에 따른 日本 衣服의 變遷] 기모노(着物, きもの)는 헤이안時代 貴族들의 正裝의 속옷이 漸次 變化한 것으로 에도時代에 이르러 正裝과 같은 服裝이 되었고 現在는 日本 傳統 衣服의 代名詞처럼 認識되고 있다. 기모노는 西洋 衣服(洋服)에 對한 日本의 傳統 衣裳이라는 意味에서 와후쿠(和服, わふく)라고도 한다. 現代 日本人들은 日常生活에서는 普通 洋服을 입고 지내지만, 와후쿠는 正裝으로서 때로는 室內服으로서 現在도 愛用되고 있다. 女性들이 입는 와후쿠는 기모노라는 이름으로 外國에 잘 알려진 아름다운 衣裳이다. 그 中 가장 華麗한 것은 新婦가 입는 愚癡카케(打掛, うちかけ)라는 禮服이다. 실크 옷감에 金絲(金絲)와 恩師(銀絲)로 自首를 입히고 花鳥(花鳥)의 文樣이 들어가 있는 것이 普通이다. 未婚 女性과 旣婚 女性의 기모노는 模樣과 色깔, 소매 길이 等으로 서로 區分되고, 外出 目的 等에 依해서 달라지기도 한다. 大體的으로 女性들이 기모노를 입게 되는 것은 正月(正月,

  • [ 1) 日本의 産業化] 第2次 世界大戰 以後 日本은 美國의 經濟 支援에 힘입어 産業化가 進行되었다. 第2次 世界大戰 以後 美國은 유럽에서 舊蘇聯과의 冷戰 對立이 激化됨에 따라 아시아에서의 自國의 利益을 爲해 敗戰國 日本을 西方 陣營의 國家로 편입시키는 것이 絶對的으로 必要했다. 이를 위해서는 日本의 共産化를 막아야 했고, 共産化의 危險을 없애기 위해 社會 安定을 確保하는 것이 무엇보다 時急했다. 社會 安定을 確保하기 위한 必須 條件은 經濟的 安定 乃至 自立이었다. 이에 美國은 日本에 對한 經濟 支援을 擴大해 나갔고, 同時에 日本의 經濟的 自立을 推進해 아시아의 反共의 堡壘가 되길 希望했다. 1950年 韓國戰爭이 勃發하면서 日本 經濟는 彈力을 받았다. 戰爭 特殊로 인해 海外 輸出은 急激히 增加했고, 超緊縮 財政 政策下에서 有效 需要 不足 現象은 一擧에 解消되었다. 또한 企業의 合理化와 收益性도 大幅 改善되었다. 1950年 末, 鑛工業 生産은 1949年에 비해 23...

  • [ 1) 食事 習慣] 日本의 傳統的인 食事 習慣은 曺植과 夕食 2回였으나 메이지時代 以後 19世紀 末에 이르러 하루 3回로 定着되었다. 이 무렵의 食事 方式은 家族이 모두 모일 때까지 기다렸다가 家長이나 年長者가 먼저 젓가락을 들면 '이타다키마스(いただきます : 잘 먹겠습니다)'라고 말한 뒤 먹는 것이었다. 이것은 家族이 共同體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1940年代까지 대단히 嚴格하게 지켜졌다. 食事 用具로는 傳統的으로 上流階級에서는 다리가 달린 밥床이 使用되었고, 一般 家庭에서는 個個人에게 定해진 네모난 賞을 使用했다. 그리고 메이지時代에 들어서는 都市의 家庭에서 밥床 代身 食卓이 使用되기 始作했다. 食事 分配는 主婦의 몫으로, 이러한 主婦의 役割을 '주걱卷'이라고 하였다. 一般的으로 男尊女卑의 規範이 强하다고 하는 日本에서 主婦의 자리는 意外로 强力한 面이 있었다. 이것은 男子가 食事와 같은 집안일에 干涉하는 것은 格이 떨어진다는 認識이 澎湃해, 家庭 內에서의...

  • 百番 듣는 것이 한 番 보는 것만 못하다는 뜻으로, 實際로 經驗해 보아야 確實히 알 수 있다는 말. [故事成語의 뜻] 이렇게 使用하면 日就月將! • 百聞不如一見이라 했으니 直接 經驗해 보고 判斷하자. • 百聞不如一見이라고 高麗靑瓷를 直接 보니 더 아름답구나! • 네가 그렇게 춤을 잘 춘다고? 百聞不如一見이라는데 한 番 보여 줘. • 實驗 結果가 궁금하다면 百聞不如一見이라고 直接 實驗해 보는 게 어때? 이것까지 알면 錦上添花! 反對예요 • 卓上公論(卓上空論: 卓 卓子 탁, 上 위 上, 空 빌 공, 論 말할 론) 卓子 위에서만 펼치는 쓸데없는 理論이나 現實性 없는 解決策을 말해요. “卓上空論만으로는 學校 暴力을 解決할 수 없다.”라고 使用할 수 있답니다. 같은 俗談 • 열 番 듣는 것이 한 番 보는 것만 못하다 百聞不如一見과 뜻이 똑같지요? 우리나라는 오래前부터 中國과 影響을 주고 받아서 故事成語와 같은 意味의 우리말 俗談이 꽤 많답니다. 牛耳讀經(牛耳讀經)은 소귀에 經 읽기...

位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