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韓國學中央硏究院 : 네이버 知識百科

韓國學中央硏究院 245,368件

提供處 情報

韓國學中央硏究院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www.aks.ac.kr
  • 國土防衛에 목숨을 바친 이의 忠誠을 記念하는 날. [開設] 6月 6日이며, 公休日로 指定되어 있다. 護國英靈의 冥福을 빌고 殉國先烈 및 戰歿將兵의 崇高한 護國精神과 偉勳을 追慕하는 行事를 하며 早期 揭揚을 한다. [淵源 및 變遷] 國家가 存在하는 데에는 相當한 戰亂을 거치게 되어 있고, 모든 國家는 그 戰亂에서 犧牲된 者를 追慕하는 行事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48年 8月 政府樹立 後 2年도 채 못 되어 韓國戰爭을 맞았고 이에 40萬 名 以上의 國軍이 死亡하였으며 百萬 名에 達하는 一般 市民이 死亡하거나 被害를 입었다. 1953年 休戰이 成立된 뒤 3年이 지나 어느 程度 자리가 安定을 찾아가자 政府는 1956年 4月 大統領令 第1145號로 「官公署 公休日에 關한 건」을 改正하여 每年 6月 6日을 顯忠記念日로 指定하여 公休日로 하고 記念行事를 가지도록 하였는바, 顯忠記念日은 通常的으로 顯忠日로 불리다가 1975年 12月 「官公署 公休日에 關한 規定」李 改正되어...

  • [正義] 2004年 慶尙南道 밀양시에서 發生한 集團 性暴行 事件. [開設] 密陽 女中生 性暴行 事件은 密陽 地域의 男子 高等學生 44名이 蔚山 地域의 女中生이었던 被害者 한 名을 온라인 채팅으로 誘引하여 2004年 1月부터 11月까지 約 1年間 性暴行한 事件이다. [經過] 密陽 女中生 性暴行 事件은 加害者들 中 한 名인 密陽 地域의 男子 高等學生이 온라인 채팅으로 만난 A孃을 密陽으로 불러내어 無差別 暴行 뒤 旅館房으로 끌고 가면서 始作되었다. 女中生이 끌려간 旅館房에는 여러 名의 男子 高等學生들이 있었고, A孃은 毆打와 性暴行을 當하였다. 性暴行은 그 後 2004年 11月까지 持續되었는데, 持續的 性暴行 過程에서 加害者들과 加害者들의 女子親舊 中 몇 名이 被害者를 輪姦하는 場面을 動映像으로 撮影하여 인터넷에 流布시키겠다고 脅迫, 金品을 喝取하였다. 以後 加害者들은 A孃의 女同生과 親戚들을 불러내 毆打와 金品을 喝取하기도 하였다. 結局 被害者들은 1年 가까이...

  • 1年 中에서 陽氣가 가장 旺盛한 날이라 하여 陰曆 5月 5日에 지내는 우리나라의 名節. 수릿날·天中節. [內容] 一名 수릿날[戌衣日·水瀨日]·重午節(重午節)·天中節(天中節)·丹陽(端陽)이라고도 한다. 端午의 ‘單(端)’者는 처음 곧 첫 番째를 뜻하고, ‘오(午)’者는 오(五), 곧 다섯의 뜻으로 통하므로 端午는 ‘初닷새[初五日]’라는 뜻이 된다. 一年 中에서 가장 陽氣(陽氣)가 旺盛한 날이라 해서 큰 名節로 여겨왔고, 여러 가지 行事가 全國的으로 行해지고 있다. 端午는 더운 여름을 맞기 全義 初夏(初夏)의 季節이며, 모내기를 끝내고 豐年을 祈願하는 氣風制이기도 하다. 端午行事는 北쪽으로 갈수록 蕃盛하고 南으로 갈수록 弱해지며, 南쪽에서는 代身 秋夕行事가 强해진다. 또한, 端午는 1518年(中宗 13) 설날·秋夕과 함께 ‘三大名節’로 定해진 적도 있었다. 端午의 由來는 中國 楚나라 회왕(懷王) 때부터이다. 屈原(屈原)이라는 臣下가 奸臣들의 謀陷에 自身의 志操를 보이기 위하여 汨羅水...

  • 1948年 7月 17日 大韓民國 「憲法」 恐怖를 記念하는 國慶日. [內容] 5代 國慶日의 하나로 7月 17日이다. 朝鮮王朝 建國일이 7月 17日로서, 이 날과 맞추어 公布하였다. 이 날은 自由民主主義를 基本으로 한 憲法의 制定(7月 12日) 및 恐怖(7月 17日)를 온 國民이 慶祝하고, 自由民主主義를 守護하며 憲法守護를 다짐하는 記念行事를 擧行하고, 온 國民은 家庭에 國旗를 揭揚하여 이 날의 뜻을 높이고 있다. 中央記念行事는 生存하는 制憲國會議員과 3部要人을 비롯한 各界 代表가 모여 意識을 擧行한다.

  • 우리 民族 最初 國家인 古朝鮮 建國을 記念하기 위해 制定된 國慶日. [內容] 10月 3日. 西紀前 2333年(戊辰年), 卽 檀君紀元 元年 陰曆 10月 3日에 國調 檀君이 最初의 民族國家인 檀君朝鮮을 建國했음을 기리는 뜻으로 制定되었다. 그러나 開天節은 ‘개川(開天)’의 本來의 뜻을 嚴密히 따질 때 檀君朝鮮의 建國일을 뜻한다기보다, 이 보다 124年을 溯及하여 天神(天神)인 桓因(桓因)의 뜻을 받아 桓雄(桓雄)李 처음으로 하늘을 열고 太白山(白頭山) 神壇樹 아래에 내려와 神市(神市)를 열어 弘益人間(弘益人間)·이화世界(理化世界)의 大業을 始作한 날인 上院 甲子年(上元甲子年: 西紀前 2457年) 陰曆 10月 3日을 뜻한다고 보는 것이 더욱 妥當性이 있다. 따라서 開天節은 民族國家의 建國을 慶祝하는 國家的 慶祝日인 同時에, 文化民族으로서의 새로운 誕生을 慶祝하며 하늘에 感謝하는 우리 民族 固有의 傳統的 名節이라 할 수 있다. 民族의 傳統的 名節을 기리는 行事는 먼 옛날부터...

  • 楊貴妃科에 屬하는 두해살이풀. [內容] 朝鮮時代의 吏讀 香名은 ‘양고미(陽古米·羊古米)’였는데 『物名考 物名考』에서는 ‘楊貴妃ㅺㅗㅅ’이라 하였으며 『임원경제지』에서는 ‘楊貴妃씨’로 記載하였다. 耳鳴으로는 罌粟(罌粟)·語尾(御米)·상곡(象谷)·美낭(米囊)·娘子(囊子) 等이 있다. 學名은 Papaver somniferum L.이다. 楊貴妃는 東유럽이 原産地로 우리나라에서는 藥用 또는 觀賞用으로 栽培하고 있다. 줄기의 높이는 50∼150㎝이고 全體에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며 긴 卵形으로서 밑部分이 元줄기를 半 程度 싸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不規則한 缺刻狀의 톱니가 있으며 全體는 灰靑色이다. 꽃은 5∼6月에 피며 白色 以外에 여러 가지 色이 있다. 열매는 蒴果(?果)로 爛商 求刑이고 길이 4∼6㎝, 지름 3.5∼4㎝로서 털이 없으며 익으면 윗部分의 구멍에서 씨앗이 나온다. 繁殖力이 빠르고 成長力度 旺盛하다. 열매가 채 익지 않았을 때 대나무칼로 傷處를 내어 흐르는...

  • 1945年 8月 15日 우리나라가 日本으로부터 光復된 것을 記念하고, 1948年 8月 15日 大韓民國 政府樹立을 慶祝하는 날. [內容] 1949年 10月 1日 制定된「국경일에 關한 法律」에 依據, 光復節이 國慶日로 制定되었다. 이 날은 慶祝行事를 全國的으로 擧行하는데 中央慶祝式은 서울에서, 地方慶祝行事는 各 市·도 單位別로 擧行한다. 이 날의 意義를 高揚하고자 全國의 모든 家庭은 國旗를 달아 慶祝하며, 政府는 이 날 저녁에 各界各層의 人士와 外交使節을 招請하여 慶祝宴會를 베푼다. 光復會員을 위한 優待措置의 하나로, 光復會員 및 同伴家族에 對하여 全國의 鐵道·市內버스 및 首都圈電鐵의 無賃乘車와 古宮 및 公園에 無料入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나라의 경사스러운 날을 記念하기 위하여 法律로써 指定한 날. [內容] 3·1節·制憲節·光復節·開天節·한글날 等의 國慶日이 있는데, 國慶日은 1949年 10月 1日 法律 第53號로 公布한 <國慶日에 關한 法律>에 依하여 指定되었다. 3·1節은 1919年 3月 1日에 일어난 己未獨立運動을 記念하는 날이며, 制憲節은 1948年 7月 17日 大韓民國 憲法의 制定·恐怖를 慶祝하는 날이다. 光復節은 1945年 8月 15日 國權을 回復한 날로서, 國慶日 中 가장 경사스러운 날이다. 10月 3日 開天節은 西紀前 2333年에 檀君이 처음으로 우리 나라를 세운 것을 記念하는 날이며, 10月 9日 한글날은 1446年 10月 9日에 빛나는 文化遺産인 한글을 頒布한 것을 記念하는 날이다.

  • 慶尙北道 경주시에 있는 三國時代 新羅 時期의 天文觀測所. 天文觀測施設. 國寶. [開設] 1962年 國寶로 指定되었다. 높이 約 9.5m. 瞻星臺가 位置한 곳은 옛날에는 慶州府(慶州府) 南쪽 월남리(月南里)라고 하였고, 鷄林(鷄林)의 北方 約 150∼200m, 내물王陵 東北方 約 300m 되는 곳이다. 이 近方을 俗稱 飛頭골이라고도 한다. 瞻星臺는 『三國遺事』기이(紀異) 卷2의 別岐(別記)에 “이 왕대(王代)에 돌을 다듬어서 瞻星臺를 쌓았다.”라고 記錄되어 있어 新羅 善德女王 때(在位 632∼647)에 築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 같은 冊 王力(王曆) 第1에 新羅 第17代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 이야기 끝에 “陵은 粘性臺(占星臺) 西南에 있다.”라는 記事가 있는데 現在의 奈勿王陵과 瞻星臺의 位置 關係와 잘 符合된다. 이 記錄에서 瞻星臺가 別名으로 粘性帶라고 불렸던 것을 알 수 있다. [內容] 瞻星臺의 機能에 對해서는 朝鮮 末期 以後 日帝强占期까지도 天文臺(天文臺), 卽 天文觀測을 하는 곳으로...

  • 勤勞者가 失職한 境遇에 生活安定을 위하여 一定期間 동안 給與를 支給하는 失業給與事業과 함께 求職者에 對한 職業能力開發·向上 및 積極的인 就業斡旋을 통한 再就業의 促進과 實業豫防을 위하여 雇傭安定事業 및 職業能力開發事業 等의 實施를 目的으로 하는 社會保險의 하나. [開設] 元來 傳統的인 失業保險制度는 失職된 勤勞者의 生活安定을 위하여 失業給與를 支給하는 消極的 勞動市場政策으로 導入되었으나, 雇傭保險制度는 失職勤勞者의 生活安定과 함께 雇傭促進 및 實業豫防을 目的으로 하는 積極的 勞動市場政策으로 轉換하여 다양한 保險事業을 實施하고 있다. [內容] 「雇傭保險法」은 雇傭安定 및 職業能力開發事業을 통해 1次的으로는 就業 中인 勤勞者의 雇傭安定을 促進하고, 不得已 失業이 되더라도 2次的으로 失業給與를 支給하고 再就業을 促進함으로써 勤勞者의 實業으로 인한 社會·經濟的인 어려움을 解消하는 것을 주된 內容으로 하고 있다. 또한 女性勤勞者들의...

  • 서울特別市 鍾路區 세종로에 있는 朝鮮前期에 創建되어 正宮으로 利用된 宮闕. 正宮. 私的. [開設] 1963年 史跡으로 指定되었다. 都城의 北쪽에 있다고 하여 北闕(北闕)이라고도 불리었다. 朝鮮王朝의 建立에 따라 創建되어 初期에 正宮으로 使用되었으나 壬辰倭亂 때 全燒된 後 오랫동안 廢墟로 남아 있다가 朝鮮 末期 高宗 때 重建되어 暫時 宮闕로 利用되었다. [淵源 및 變遷] 李成桂가 王이 되어 곧 都邑을 옮기기로 하고, 卽位 3年째인 1394年에 信徒宮闕造成都監(新都宮闕造成都監)을 열어 宮의 創建을 始作하였으며 이듬해에 完成하였다. 이 當時 宮의 規模는 390餘 칸으로 크지 않았다. 正殿(正殿)인 勤政殿(勤政殿) 5칸에 上下層 月臺(月臺)와 行廊·근정문·천랑(穿廊)·角樓(角樓)·康寧殿(康寧殿) 7칸, 연생전(延生殿) 3칸, 경성전(慶成殿) 3칸, 王의 平常時 執務處인 보평청(報平廳) 5칸 外에 尙衣院·中樞院·三軍府(三軍府) 等이 마련되었다. 宮의 名稱은 『詩經』 主芽(周雅)에 나오는...

  • 大韓民國 第1·2·3代 大統領을 歷任한 政治人. [要約] 李承晩은 解放 以後 大韓民國 第1, 2, 3代 大統領을 歷任한 政治人이다. 1875年(高宗 12)에 태어나 1965年에 死亡했다. 日帝强占期에 暫時 臨時政府 大統領職을 맡은 것을 除外하고는 主로 美國에 滯留하면서 儒學과 政治活動을 했다. 光復 後 38線 以南의 單獨政府 樹立을 主張했고 1948年 實施된 總選擧에 當選되어 國會에서 第1代 大統領에 選出되었다. 就任 中 韓國戰爭이 勃發하자 ‘拔萃改憲案’, ‘四捨五入 改憲’案을 通過시켜 再選·3線에 成功했다. 4選 挑戰에서도 無投票로 當選됐으나 4·19革命이 勃發하자 下野 後 하와이로 亡命했다. [生涯 및 活動事項] 1875年(高宗 12) 黃海道 平山郡 마산면 臺經理 능내桐 出生으로, 本貫은 全州(全州), 初名은 이승룡(李承龍), 號는 雩南(雩南)이다. 讓寧大君(讓寧大君)의 16代孫으로, 아버지 이경선(李敬善, 1839∼1912)과 어머니 金海金氏(金海金氏, 1833∼1896) 사이의 셋째...

  • 慶尙北道 경주시 吐含山 東쪽에 있는 南北國時代 統一新羅의 金大城이 創建한 寺刹. 庵子. [要約] 慶州 石窟庵 石窟은 慶尙北道 경주시 吐含山 東쪽에 있는 南北國時代 統一新羅의 金大城이 創建한 寺刹 庵子이다. 創建 當時의 이름은 石佛寺였다. 國寶 第24戶이며 1995年 유네스코 世界文化遺産으로 登載되었다. 김대성 個人의 發源에서 始作되었지만 景德王의 願刹로서, 또 나라를 守護하려는 국刹로서 經營되었다. 自然石을 다듬어 만든 人工石窟 救助에 本尊佛像을 中心으로 精巧한 計算 속에 配置된 아름다운 佛像들은 完璧한 佛國土를 演出한다. 宗敎性과 藝術性에서 우리 祖上이 남긴 가장 卓越한 作品이자 全世界의 宗敎藝術史에서도 빛나는 遺産이다. [開設] 1962年 國寶로 指定되었다. 大韓佛敎曹溪宗 11敎區 本社인 佛國寺(佛國寺)의 附屬庵子이다. 創建 當時의 이름은 石佛寺(石佛寺)였다. 1995年 유네스코(UNESCO)에서 制定한 世界文化遺産으로 登載되었다. [石窟庵의 創建]...

  • 1999年 6月 15日과 2002年 6月 29日, 2次例에 걸쳐 北方限界線(NLL) 南쪽의 延坪島 隣近에서 大韓民國 海軍 艦艇과 北韓 警備艇 間에 發生한 海上 戰鬪. [開設] 1951年 11月 軍事分界線 設定 當時 陸上境界線에 對한 兩側 合意는 이루어졌으나, 東西 海岸의 海上警戒線에 對해서는 南北韓 사이에 明示的인 合意가 없었다. 이에 유엔軍은 西海上에 當時 國際的으로 通用되고 있는 領海 基準 3海里를 考慮하고 延坪島 · 白翎島 等 5個 圖書와 北韓 地域과 槪略的인 中間線을 基準으로 北方限界線을 設定하였으나 北韓側은 이를 유엔軍의 一方的 措置라며 그 效力을 否認하고 있다. 이러한 立場 때문에 前後에 海上에서 緊張은 繼續되고 있다. [歷史的 背景] 1999年 6月 7日부터 14日까지 北韓 警備艇이 漁船을 保護한다는 美名下에 海上의 北方限界線(NLL)을 無視하면서 侵犯 및 撤收를 反復하였다. 大韓民國 海軍은 참수리級 高速艇을 利用하여 北韓 警備艇의 船體 뒷部分을 부딪쳐 막는...

  • 日帝强占期 훙커우公園 投炭義擧와 關聯된 獨立運動家. 醫師. [要約] 尹奉吉은 日帝强占期 훙커우公園 投炭義擧와 關聯된 獨立運動家이다. 1908年에 태어나 1932年에 死亡했다. 3.1運動 後 植民地 奴隸敎育을 拒否하고 德山普通學校를 自退, 農民啓蒙·復興 運動에 專力했다. 1930年 本格的으로 獨立運動에 投身하기 위해 滿洲로 亡命했으며, 이듬해 上海로 옮긴 後 金九를 찾아가 獨立運動에 身命을 바칠 覺悟를 呼訴했다. 1932年 韓人愛國團에 入團, 金九의 主管 下에 全勝祝賀記念式에 爆彈을 投擲하기로 計劃하고 實行에 옮겼다. 擧事 直後 現場에서 逮捕되어 死刑을 宣告받고 日本으로 移送 後 銃殺刑으로 殉國했다. [開設] 本貫은 파평(坡平). 本名은 允友의(尹禹儀). 號는 매헌(梅軒). 忠淸南道 禮山 出身. 아버지는 尹煌(尹璜)이며, 어머니는 慶州金氏로 김원상(金元祥)이다. [生涯 및 活動事項] 1918年 德山普通學校(德山普通學校)에 入學했으나 다음 해에 3 · 1運動이 일어나자 이에...

位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