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敎育學用語事前 : 네이버 知識百科

提供處 情報

敎育史, 敎育哲學, 敎育社會學, 敎育心理學, 敎育課程과 敎授理論, 敎育行政學, 敎育硏究 그리고 特殊領域理論 等을 包括하는 敎育學의 領域全般에 걸쳐 使用되는 用語들 中에서 重要한 것들을 選別해 收錄한 辭典이다. 한 用語의 意味를 더욱 體系的으로 把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用語解說의 끝에 關聯 用語를 찾아볼 수 있도록 →로 表示하였다. 仔細히보기

  • 人間의 思想 및 文化를 對象으로 하는 學問領域. 自然을 다루는 自然科學(自然科學)에 對立되는 領域으로, 自然科學이 客觀的으로 存在하는 自然現象을 다루는 데 反하여 人文學은 人間의 價値探究와 表現活動을 對象으로 한다. 廣範圍한 學問領域이 人文學에 包含되는데, 美國 國會法에 依해서 規定된 것을 따르면 言語(language)·言語學(linguistics)·文學·歷史·法律·哲學·考古學·藝術史·批評·藝術의 理論과 實踐, 그리고 人間을 內容으로 하는 學問이 이에 包含된다. 그러나 그 基準을 設定하기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이에 對한 意見의 一致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例를 들면 歷史와 藝術이 人文學에 包含되느냐 안되느냐에 對한 理論(異論)들이 있기도 하다. 이 用語는 키케로(Cicero)가 一種의 敎育 프로그램을 作成할때 原則으로 삼은 라틴語 「休摩尼타스」(humanitas:humanity 또는 humaneness)에서 發生되었으며, 그 後에 겔리우스(A. Gellius)가 이 用語

  • 商品의 價格과 需要量·供給量의 關係를 나타내는 曲線. 價格이 오르면 需要量은 減少하고 供給量은 增加하며, 價格이 내리면 反對의 現象이 일어난다. 價格과 需要·供給量을 各各 垂直, 水平으로 하는 直角 座標에 이러한 現象을 標示하면, 價格-需要曲線은 禹下向(右下向)하는데, 이를 都市(圖示)하면 다음과 같다. 普通 自由競爭下에서 實際價格은 需要曲線과 供給曲線의 交點이 된다. 그런데 이것은 嚴密하게 말하면 價格이 오를 境遇 消費의 變化를 드러내는 價格-消費 曲線으로 볼 수 있으며 部(富)와 다른 商品의 價格(價格), 選好(選好)가 變하지 않을 境遇 한 商品의 價格과 그 價格에서의 消費量의 關係를 說明하는 曲線이다.

  • 人間의 價値를 주된 關心事로 삼는 思想. 흔히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누어 생각하는 傾向이 많다. ① 人間의 苦痛을 極小化하고 福祉를 增進시키려는 모든 道德的·社會的 運動을 統稱하는 것으로 理解되는 境遇가 많다. ② 神이나 自然이 崇拜의 對象이 아니라, 오직 人間性(humanity)만이 尊貴(尊貴)하다고 믿는 實證主義的 人間性 崇拜의 思想을 일컫는 境遇도 있다. ③ 예수그리스도의 神聖(神性)을 否認하고 그 人格性(人格性)만을 主張하는 神學思想을 일컫는 말로도 使用된다.

  • 事由(思惟) 或은 推理(推理)와 對立되는 認識能力이나 作用. 事由가 反省(反省)과 分析(分析)을 통해 事態의 一面을 把握하는 데 反해, 直觀은 瞬間속에서 事態를 全體的으로 把握하나 分析처럼 明確하지 못하며, 直觀하는 者에게는 明確하게 認識되었다 하더라도 그것을 他人에게 傳達할 수 없다. 直觀은 어떤 思想(事象)에 對한 非反省的(非反省的) 共感(共感), 卽 自我(自我)와 思想의 一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經驗的 直觀과 本質的 直觀으로 區分될 수 있다. 經驗的 直觀이란 思想을 瞬間的으로 直感(直感)하는 것을 뜻한다. 例를 들어 相對方의 表情에서 그의 感情의 狀態를 斟酌한다든지 他人의 첫印象에서 將來 그와의 關係를 헤아리든지 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個人的 精神能力이나 判斷에 기초하기 때문에 非合理的이다. 本質的 直觀이란 經驗에 全혀 依存하지 않고 事實을 把握하는 能力으로서 幾何學的 公理에 對한 認識이 여기에 屬한다. 直觀은 事由가 斷絶되는 데서 發揮되는...

  • 스위스의 心理學者 피아제(J. Piaget)가 主張한 人間의 人智發達에 對한 理論. 피아제는 人間의 知的 行動을 環境에 對한 順應(順應)이라고 보았으며, 이 順應은 童話(同化, assimilation)와 調節(調節, accomodation)이라는 두 가지의 補充的 過程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했다. 이러한 過程을 통해 體系化되어서 人間이 行動에 意味를 주게 되는 知能의 여러 側面을 救助(構造, structure)라고 부르는데 構造는 처음에 圖式(圖式, schema)으로 構成되어 있다가 後에는 漸漸 더 複雜한 體制들로 體系化된 組織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構造가 變化·發達되어 가는 過程을 記述한 것이 피아제의 兒童의 知的 發達에 關한 理論이다. 피아제는 知的 發達은 두 가지 成熟段階를 거쳐 發達되는 것이라 하였다. 첫째 段階는 出生해서 約 2歲까지로 이 때의 知能을 感覺 運動的 知能이라고 보았고, 둘째 段階는 2歲 以後의 知能으로 이를 槪念的 知能이라고 했다. 認知發達의

  • 昇進·補修 等에 關하여 能力에 依한 評價를 準據(準據)로 하며, 能力 있는 者는 보다 빨리 승진시키고 보다 많은 報酬를 支給하는 것을 原則으로 하는 人事行政의 한 接近方法. 成績主義(成績主義)의 原則이라고도 하며 연공制(年功制)와 對照되는 槪念이다. 合理主義를 强調하는 現代社會에 있어서 廣範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人事行政의 源泉이기는 하나 能力의 評價·平定의 問題點이 있고 年齡과 經驗을 輕視하게 되기 때문에 學校社會의 境遇 敎員들 사이에 있어서 心理的인 抵抗感을 불러일으키기 쉽다. 따라서 能力主義와 연공制를 折衝하는 制度가 보다 廣範하게 適用되는 傾向이 있다. 韓國의 敎員 人事行政에 있어서도 能力主義의 原則이 어느 程度 導入 適用되고 있으며, 그것은 敎員들의 勤務評定(勤務評定)制度에 나타나 있다.

  • 確實한 根據가 있거나 家庭(假定)된 一般的 知識·法則·原理에서 특수한 事例·原理·結論 等을 이끌어 내는 事故過程. 演繹的 事故는 歸納的(歸納的) 事故에 對立되는 것으로 三段論法(三段論法)이 그 代表的인 形式이다. 大前提(大前提)를 一般的 原理라 한다면 얻어지는 結論은 恒常 大前提의 한 部分에 該當된다. 歸納法과 對立된다고는 하나 心理的인 過程에서 보면 演繹的 思考와 歸納的 事故가 對立的 思考라기보다는 補完的이거나 相互關聯的이라 할 수 있다. 敎育活動에 있어서 演繹的 思考의 過程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授業을 演繹的 授業이라 하며, 흔히 演繹的 說明式 授業의 形態를 取하게 된다.

  • 1564年 以來로 英國의 聖公會와 그 憲法에 對抗하여 長老敎 憲法을 새롭게 制定하고 聖公會에 對抗한 캘빈(Calvin)主義者들. 淸敎徒는 1660~1689年 사이에 甚한 迫害를 받았으며, 1827年에야 비로소 天主敎徒와 同一한 權利를 認定받았다. 迫害로 인하여 많은 淸敎徒가 新大陸인 美國으로 宗敎의 自由를 찾아 移住하였다. 淸敎徒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傳承으로부터 스스로를 깨끗이 지키려는 信仰運動을 벌여, 嚴格한 生活의 倫理를 낳았다. 이러한 禁慾主義的 삶의 制度를 일컬어 淸敎徒精神(淸敎徒精神)이라고 한다. 淸敎徒들로부터 오늘날의 長老敎度·浸禮敎徒·監理敎도, 그리고 會衆信徒(會衆信徒, Congregationalists) 들이 생겨났다.

  • 幼兒에서 始作하여 老年에 이르기까지 平生에 걸친 敎育. 學校敎育과 社會敎育을 同時에 包括하는 槪念으로, 오늘날 大部分의 國家가 平生敎育 理念下에 敎育體制를 再正立하는 過程에 있다. 平生敎育이 世界的인 觀點에서 論議되기 始作한 것은 第2次 世界大戰 以後 유네스코를 中心으로 한 活動에서 緣由되었다. 平生敎育의 敎育理念이 正式으로 유네스코에서 採擇된 것은 제3차 成人敎育 國際會議(1972年, 東京에서 開催)에서였다. 이 大會에서 33個 項目으로 構成된 建議書가 받아들여졌는데, 그 中에는 “成人敎育은 平生敎育에 統合된 分野로 보아야 한다”는 項目이 包含되어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1973年 8月에 유네스코 韓國委員會가 主催한 세미나에서 平生敎育의 基本理念과 戰略이 討議되고 建議書가 採擇되었다. 平生敎育의 語源은 프랑스語 éducation permanente에서 緣由되었으며, 그 用語는 本來 意味가 充分히 表現되기 위해서는 統合의 意味를...

  • 프로이트(S. Freud)의 精神分析 理論에서 主張하는 性格構造의 한 要素. 道德的 良心의 形成이나 以上(理想) 또는 自我評價의 發達을 包含하는 用語이다. 自我(自我)가 現實의 原理에 依해서 支配됨에 反하여 超自我는 道德의 原理에 依해서 支配된다. 人間의 攻擊的 欲求, 또는 破壞的 本能은 超自我에서 發生된 罪責感에 依해서 統制되며 罪責感은 나쁜 行動을 함으로 인해서 생기게 될 愛情의 喪失이나 벌에 對한 두려움에서 起因되는 것으로 看做한다. 이러한 罪責感만이 아니라 良心·羞恥感·後悔, 家族이나 그 밖의 集團이 追求하는 共同의 異常 等은 모두 超自我의 한 機能的 側面으로 보고 있다.

  • 카운슬러가 도움을 必要로 하는 사람에게 專門的 知識과 機能을 가지고 來談者(來談者) 自身과 環境에 對한 理解를 增進시키며, 合理的이고 現實的이며 效率的인 行動樣式을 增進시키거나 意思決定을 내릴 수 있도록 援助하는 活動. 相談에는 다음과 같은 特徵이 있다. ① 모든 行動變化나 意思決定은 來談者가 願하는 것이어야 한다. ② 相談은 自發的 變化가 일어날 수 있는 條件을 提供하는 것이어야 하며 個人이 選擇하고 決定할 權利를 尊重해야 된다. ③ 合理的 計劃, 問題解決, 意思決定, 環境的 壓力에 對한 對應, 日常 行動習慣 等과 같은 日常生活의 問題에 重點을 둔다. 相談은 흔히 心理治療와 같은 意味로도 쓰인다. 그러나 相談은 精神疾患이 없는 正常的 사람을 對象으로 하는 것임에 反해서 心理治療는 神經症이나 精神病 같은 異常行動(異常行動)을 主對象으로 하고 있다. 心理治療와 같이 그 理論的 背景이 精神分析學·行動主義心理學·認知心理學·生態心理學 等의 發達과 密接하게...

  • 自慰行爲敎育學用語事前 스스로 性器를 刺戟함으로써 性的인 快感을 느끼는 行爲. 靑少年期에 호르몬 分泌의 變化에 따른 緊張, 性的 欲求의 增加에 따라 나타나는 行爲인데, 이는 精神的인 障礙나 病的인 症狀은 아니다. 文化的인 脈絡에서 하나의 禁忌가 되면 個人의 心理的인 適應을 妨害할 수 있는 罪意識이나 不安을 同伴할 수 있다. 外國語 表記 自慰行爲(漢字), masturbation(英語) 自慰行爲看護學大辭典 自慰行爲는 自己生殖器를 刺戟하는 것으로 前 硏鍊層을 통해 다양한 理由로 일어난다. 不安, 지루함, 풀리지 않는 葛藤의 表現일수도 있기 때문에 지나치지 않는다면 正常的이고 健康上 問題가 없다. 自慰行爲는 다른 成跡行爲와 마찬가지로 個人的인 行爲이므로 社會的으로 容認되는 行動을 가르치는 것이 重要하다.

  • 專門職으로서의 敎職에 從事하는 敎員의 權利. 敎員의 權威(權威)로 使用되기도 한다. 넓은 意味의 敎權은 敎育權(敎育權)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敎育을 받을 權利와 敎育을 할 權利를 包括한다. 卽 敎育圈으로서의 敎權에는 學生의 學習權, 學父母의 敎育權, 敎師의 敎育權, 學校 設立者의 敎育 管理權, 그리고 國家의 敎育 監督權이 모두 包含된다. 一般的으로 敎權은 敎員의 敎育權이라는 制限的인 意味로 使用된다. 敎權은 가르치는 일에 있어서의 權利 (敎育의 自律性과 學問의 自由를 保障받을 權利), 身分上의 權利 (身分 保有權, 職務 執行圈, 職名 使用權, 爭訟<爭訟> 提起權, 不逮捕 特權, 敎職團體 活動權 等), 財産上의 權利 (報酬와 年金 等의 經濟的 給與와 福祉 厚生 서비스를 받을 權利), 敎職團體活動權 等으로 區分할 수 있다.

  • 朝鮮朝 26代 高宗(高宗) 31(1894)年 朝鮮政府가 軍國機務處(軍國機務處)를 통해, 在來의 文物制度를 버리고 近代的인 西洋의 法式(法式)을 본받아 새 國家體制를 確立하려던 政策. 軍國機務處는 半年 동안 實로 208件에 達하는 改革措置를 議決했는데 이러한 改革은 舊秩序에 終止符를 찍고, 近代國家의 모습을 갖추어 보려는 努力의 發端으로서, 政治·經濟·社會 等의 모든 制度에 對한 近代的인 改革이었다. 管制改革(官制改革)의 한 例로 王室事務와 國政事務를 分離하여 宮內府(宮內府)와 議政府(議政府)를 두고, 議政府 아래에 內務·外務·度支·法務·鶴舞(學務)·公務·群舞·農商務 等의 8衙門(八衙門)을 두어, 6兆體制(六曹體制)에서 近代的인 政府機構로 刷新했고, 開國祈願(開國紀元)을 使用했다. 政治·社會改革의 代表的인 것으로는, ① 淸國과의 條約廢止, ② 開國祈願의 使用, ③ 門閥(門閥)과 身分階級의 打破, ④ 人材登用 方法의 刷新, ⑤ 奴婢制度의 廢止, ⑥ 早婚禁止, ⑦...

  • 事物의 性質 或은 氣質 等을 統稱하는 말. 그 自體는 直接的으로 觀察되는 特徵이 아니다. 어떤 事物이 어떤 특정한 種類의 狀況 或은 事態에 놓였을 때 觀察 可能한 資料에 根據하여 潛在的으로 있었던 性質을 把握할 수 있다. 潛在的 形態로 存在했던 性質을 性向이라고 한다. 그것은 傾向性·可能性·潛在性·趨勢 等을 通稱한 말이다. 例컨대, 소금은 溶解性(溶解性)이라는 性向을 가지고 있으나, 그것이 물氣나 液體 속에 있지 않으면 그 溶解性은 觀察되지 않는다. 그러나 물氣나 液體 속에서 녹게 된다는 것은 그것이 本來 溶解性을 潛在的으로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人間의 性向, 예컨대 創意性도 언제나 觀察되는 것은 아니지만 一旦 어떤 適切한 事態가 주어지면 그것이 發揮된다.

位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