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투르크學 人文 大辭典 : 네이버 知識百科

提供處 情報

투르크學 人文 大辭典

오은경 外 20人 유라시아투르크硏究所

<투르크학 인문="" 대사전="">은 투르크學(Turkology) 理解에 必要한 人文 分野 主要 槪念들을 整理하고 集大成한 事前입니다. 이 辭典은 튀르키예를 비롯해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等 中央아시아 國家들과 러시아聯邦 內 알타이·투바·下카스·사하·바슈키르·타타르 共和國 그리고 中國의 腎臟-위구르 自治區를 包含하는 이른바 ‘투르크 벨트’라 불리는 厖大한 地域을 包括합니다. 투르크 民族들의 言語, 文學, 歷史, 藝術, 지리, 民俗, 宗敎를 다루고 있는 <투르크학 인문="" 대사전="">은 大韓民國이 투르크 벨트 國家들과 文化的 紐帶感을 强化하고, 이를 政治·經濟的 交流의 基盤으로 活用할 수 있도록 案內하는 人文 旅行 가이드 북이 될 것입니다. <투르크학 인문="" 대사전="">은 韓國硏究財團 土臺硏究支援事業인 <투르크 인문백과사전="" db구축(2018.7.1~2023.6.30,="" nrf-2018s1a5b4060291,="" 연구책임자:="" 오은경)="">의 結果物이며, 그 硏究費로 製作되었습니다.

  • 代表 執筆者 & 編輯委員長 오은경

    韓國外國語大學校 터키어科를 卒業하고 튀르키예 하제테페 大學校에서 比較文學科 튀르키예 文學으로 碩士와 博士學位를 取得했다. 이어 韓國學中央硏究院 招聘硏究員으로 硏究하면서 博士 後課程(Post-doc)을 마쳤고, 우즈베키스탄에서 口碑文學 硏究로 人文學 國家博士學位(Doctor ofScience)를 取得했다. 튀르키예 國立 앙카라大學校와 우즈베키스탄 니자미 師範大學校에서 韓國學을 講義했다. 現在는 同德女子大學校 敎養大學 敎授이며, 유라시아 투르크 硏究所 所長이다. 主要著書는『이슬람에서 女性으로 산다는 것』, 『베일 속의 女性 그리고 이슬람』, 『튀르키예 韓國戰爭文學論(튀르키예어)』, 『20世紀 튀르키예와 韓國 小說 속의 女性(英語,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語)』,『韓國과 우즈베크 英雄敍事詩·神話, 朱蒙과 알퍼므쉬 比較(러시아語, 우즈베크어)』 等이다.

  • 著者 강덕수

    韓國外國語大學校 露語科를 卒業하고, 위스콘신 大學校(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에鉏博士學位를 取得했다. 現在 韓國外國語大學校 西洋語 大學 露語科 名譽敎授이자 러시아 北東聯邦大學校 敎授이며, 韓國史下 親善協會 會長職을 맡고 있다. 主要 著書는 『豫벤語의 形態와 構造 (韓國外國語大學校 知識出版원, 2018.1)』, 『The Sakha (Yakut) language: An Analytic Grammar(with G. Torotoev). H Press. 2023』 等이다.

  • 著者 강인욱

    서울대학교 考古美術史學科에서 學部와 碩士를 卒業하고 러시아科學院 시베리아分所 고고民族學硏究所에서 博士學位를 取得했다. 現在 慶熙大學校 史學科 敎授 및 韓國古代史考古學硏究所 所長이다. 유라시아와 古朝鮮의 考古學이 그의 專攻이다. 『우리의 起源: 單一하든 多彩롭든』, 『옥저와읍루』,『북방고고학개론』, 『강인욱의 考古學 旅行』, 『테라 인코그니打』, 『유라시아 歷史 紀行』 等의 著書와 100餘 篇의 論文이 있다.

  • 著者 金根植

    韓國外國語大學校 露語科를 卒業했으며, 同 大學에서 博士學位를 取得했다. 중앙대학교 유럽文化學部 敎授와 韓國露語路文文學會 會長을 歷任했고, 現在는 中央大學校 名譽敎授이다. 主要 論文으로 『아이트마토프 作品의 主題發展 硏究(博士學位 論文)』, 「轉換期 러시아 文學出版 硏究」, 「90年代 러시아 文學의 個性化 硏究」, 「러시아 文學 이데올로기의 向方 硏究」, 「러시아 正敎會와 反體制및 民族主義」 等이 있으며, 著書로 「移動 動詞를 活用한 러시아語 作文」(1999), 譯書로 『하얀 배」(1983, 아이뜨마또프), 「共産主義의 終焉」(1992, 야꼬블레프, 共譯), 「아버지 金」(1994, 아나똘리金) 等이 있으며, 러시아語로 飜譯한 「천둥소리」(1999, 김주영)가 있다.

  • 著者 김재윤

    부산대학교 考古學科 卒業 後 러시아科學아카데미에서 歷史學 博士學位를 取得했다. 現在는 영남대學校 文化人類學科 副敎授이다. 主要著書는 『接境의 아이덴티티: 東海와 新石器文化』, 『敎科書 밖의 歷史: 유라시아 草原 스키타이 文化의 미라와 女神像』, 『環東海 文化圈 北部地域의 先史文化: 沿海州船社考古學槪論』 等이 있다. 曆書는 『러시아沿海州와 極東의 先史時代』(2018年 世宗圖書 學術部門 受賞), 『러시아 沿海州의 性(城)遺跡과 古代 交通路』가 있다.

  • 著者 김홍중

    중앙대학교 露語科를 卒業하고, 게르첸 러시아 국립사범대학 러시아 文學 博士學位를 取得했다. 現在 고려대학교 러시아 CIS 硏究所 學術硏究敎授로 在職 中이다. 主要 論文은 「러시아 모더니즘 文學과 몽타주」, 「러시아 脚色映畫의 特殊性과 文化的 意味」, 「자먀찐의 ‘藝術 散文 技術 講義: 延相議詩學과 世界 認識」, 「러시아-소비에트 튀르크 文學 硏究의 成果와 意味」, 「日本 太陽의 根源과 소비에트 오리엔탈리즘」 等이 있다. 2004年부터 러시아 文學, 地域學, 藝術 理論 關聯 硏究 및 講義하고 있다.

  • 著者 박현도

    西江大(宗敎學, 學事), 캐나다 맥길대(이슬람學 碩士, 博士修了), 이란 테헤란臺(이슬람學, 博士)에서 工夫했다. 現在 西江大 유로메나 硏究所 待遇敎授로 在職 中이다. 外交部 政策諮問委員, 法務部國家槪況情報 諮問委員, 文化體育觀光部 公職者宗敎差別豫防敎育 專門 講師 等으로 活動하고 있다. 主要 著述로 Studies in Islamic Historiography(共著, Brill, 2019), 『이슬람의 모든 것: 이슬람에 關한 122個의 質問과 對答』(共譯, 바오, 2020) 等이 있다.

  • 著者 송경근

    韓國外國語大學校 아랍語科를 卒業했고, 이집트 알 아즈下르 大學校 歷史와 文明과에서 碩士 및 博士學位를 取得했다. 한국이슬람학회 會長, 朝鮮大學校 外國語大學 아랍語科 學科長, 同 大學 副學長을 歷任했다. 主要 著書 및 論文으로는 『中東地域 硏究』(朝鮮大學校 出版部, 2000), 『케임브리지이슬람社』(共同飜譯, 時空社, 2002), 『高等學校 아랍 文化』(敎科書 敎育人的資源部, 2003), 「이집트 무슬림 兄弟團의 成長, 鬪爭, 社會的 役割 및 制度圈 進入에 關한 硏究」, 「오만의 이슬람과 그 展望」,「몽골의 東部 이슬람 世界의 侵入」,「韓國의 이슬람社」,「中國의 이슬람」,「基督敎와 이슬람의 歷史的 關係」 外 多數가 있다.

  • 著者 양민지

    韓國外國語大學校 터키어科 卒業 後 洞 大學校에서 터키文學으로 碩士學位를 받았다. 터키 國立 에르지예스대大學 터키語文學科에서 투르크民俗學으로 博士學位를 取得했다. 現在 부산외국어대학교 地中海地域원 HK敎授로 在職 中이며, 地中海 地域院 傘下 人文學 센터長을 맡고 있다. 地中海地域 文明交流 및 투르크 民俗에 對해 硏究 中이다. 『터키를 가다(공저, 2018)』,『투르크 地域 硏究(共著, 2018)』,『地中海文明交流史前(共著, 2020)』, 『7人의 專門家가 본 시칠리아의 文明 交流(共著,2021)』, 『東地中海 結婚 文化와 傳統(共著, 20220)』, 『아시아 카펫文化 硏究(共著, 2022)』 等의 著書와 論文이 있다.

  • 著者 우덕찬

    韓國外國語大學校를 卒業하고 同 大學에서 政治學 碩士, 튀르키예 하제테페 大學校에서 歷史學 碩士와 博士學位를 取得했다. 現在 부산외국어대학교 튀르키예어(터키어)전공 敎授 및 學科長으로 在職 中이다. 『中央아시아史 開設』, 『地域硏究와 世界 單位論』, 『地域硏究의 方法』, 『터키어 標準敎材A2』, 『터키어 標準 敎材 B2』, 『튀르키예어 熟語事前(TURKCE DEY?MLER SOZLU?U』 等 10餘 篇의 저曆書와 60篇의 論文이 있다.

  • 著者 이수정

    韓國外國語大學校에서 學士와 碩士를 取得하고, 같은 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에서 中東·아프리카學博士를 取得했다. 陸軍3士官學校에 講義專擔 敎授로 勤務했고, 現在 서강대학교 유로메나 硏究所學術硏究敎授로 在職 中이다. 韓國의 무슬림 歷史와 移住 무슬림을 主로 硏究한다. 代表 著書로는『타인을 記錄하는 마음』이 있고, 代表 論文으로는 「악셀 호네트 ‘認定鬪爭’ 觀點으로 본 韓國 內 移住 무슬림의 生存 戰爭」, 「難民의 食卓(Refugee Cuisine): 安保를 넘어 共存의 範疇로」가 있다.

  • 著者 이양희

    韓國外國語大學校 터키어科 卒業 後 洞 大學에서 터키言語學 碩士課程을 마쳤다. 튀르키예 앙카라大學校에서 言語學 博士學位를 받은 後 韓國外國語大學校 特需外國語敎育振興院에서 責任硏究員으로 勤務했으며, 現在 韓國外國語大學校 터키·아제르바이잔語과 特任講義敎授로 터키어를 가르치고 있다. 主要 硏究 分野는 認知意味論, 對照言語學, 外國語로서 튀르키예어 敎育이며, 『KavramsalMetafor Ve Metonimi Uzerine Uygulamalar (2023)』의 執筆陣으로 參與하였다. 著書로는 『처음俳優는 튀르키예(터키)어 (한국외대, 2023)』가 있다.

  • 著者 이영희

    東義大學校 史學科를 卒業하고 韓國外國語大學校 史學科에서 碩士課程을 마쳤다. 以後 튀르키예 앙카라大學校 歷史學科에서 오스만 帝國 데브쉬르메 制度 硏究로 博士學位를 取得했다. 現在 한국외국어대학고 史學科에서 特任講義敎授로 學生들을 가르치고 있다. 주된 硏究는 오스만 帝國 데브쉬르메 制度, 베지리아잠(Vezir-i a’zam) 關聯이며, 現在 일 칸 崩壞 以後 中東地域의 國際政治의변화 過程 및 오스만 帝國-사파비 帝國 關係史를 硏究하고 있다.

  • 著者 이은정

    서울大學校 東洋史學科와 同大學院을 卒業하고 하버드 大學校에서 오스만 帝國史를 專攻하여 博士學位를 取得했다. 現在 서울대학교 東洋史學科 敎授이며 아시아言語文明學部 學部長을 맡고 있다.저서로는『Guild Dynamics in Seventeenth-Century Istanbul: Fluidity and Leverage (Leiden:Brill, 2004)』,『오스만 帝國 時代의 무슬림-基督敎人 關係(민음사, 2018)』, 曆書로는 『마셜 호지슨의세계사론: 유럽, 이슬람, 世界史 다시보기(사계절, 2006)』, 『메흐메드 알리: 오스만 帝國의 地方 總督에서 이집트의 統治者로(일조각, 2016)』가 있다.

  • 著者 李周姸

    서울대학교 師範大學 物理敎育科를 卒業하고, 同 大學의 東洋史學科에서 碩博士課程을 卒業했다.전공은 中央아시아史이며, 그中에서도 페르시아語로 된 飼料를 主로 硏究하고 있다. 博士課程 重에이란 테헤란 大學校 附設 語學機關인 데흐호더에서 語學 科程과 文學 過程을 修了했으며, 博士論文으로 14世紀 後半에 中央아시아와 西아시아를 占領했던 아미르 티무르의 歷史書, 『勝電氣』를 力走했다. 現在 慶熙大學校 韓國古代史·考古學硏究所에서 硏究敎授로 在職하고 있다.

  • 著者 장주영

    同德女子大學校 國語國文學科를 卒業하고, 튀르키예 國立 下劑테페대학교에서 튀르키예어-한국어 比較言語學으로 碩士, 同 大學 투르크學 硏究所에서 言語學(古代 투르크어)으로 博士學位를 받았다. 同德女子大學校 유라시아투르크硏究所에서 前任 硏究員으로 勤務했으며, 現在 우송대學校에출강 中이다. 主要 硏究分野는 古代 투르크어, 튀르키예어, 言語學이다. 著書로는 『나 혼자 간다! 旅行 터키어(文藝林, 2016)』, 『平等한 言語 世上을 위한 始作 터키어 첫걸음(言語平等, 2020)』, 『단단한 言語 成長 튀르키예어(터키어) 初中級(言語平等, 2023)』이 있다.

  • 著者 조성금

    中央아시아 佛敎繪畫 및 佛敎 道上의 起源에 關해 硏究하고 있다. 성신여대 大學院 美術史學科에서碩士를 마친 後(2003), 東國大學校 大學院 美術史學科에서 ‘천산 위구르 王國의 佛敎繪畫 硏究’로博士(2013)를 마쳤다. 現在까지 韓國藝術綜合學校 美術員, 東國大學校 大學院 佛敎美術學科 等에서 佛敎繪畫 및 東西 美術 交涉史를 講義하고 있다. 著書로는 『실크로드의 大帝國 천산 위구르王國의 佛敎 繪畫(진인진, 2019)』가 있다.

  • 著者 최선아

    韓國外國語大學校 터키어科를 卒業하고, 튀르키예 國立 앙카라大學校에서 美術史로 碩士와 박사를받았다. 同德女大 유라시아투르크硏究所 硏究員으로 일했다. 現在는 韓國外國語大學校 터키·아제르바이잔語科에 出講하고 있다. 主로 建築士 分野를 硏究하고 있으며, 文明 交流에 큰 關心을 두고있다. 著書로는 『투르크-알타이: 터키 中央아시아 몽골의 社會와 文化(共著)』, 『투르크-中央아시아: 투르크民族의 文化 이야기(共著)』 等이 있다.

  • 著者 추영민

    카자흐스탄의 L.N 구밀료프 유라시아 國立大學校에서 地域學 博士學位를 받았으며, 現在 韓國外國語大學校 中央아시아과 特任講義敎授로 있다. 主要 著書로는 『The Model of InterethnicCommunication of Kazakhstan-Assembly of People of Kazakhstan(APK)』, 『South Koreaand Kazakhstan: Particularities of Cultural and Humanitarian Cooperation』, 『蘇聯 崩壞 以後 KVN 變遷 및 擴大 過程을 통해 본 21世紀 中央아시아 放送 大衆文化 現象의 特徵과 變化: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스스탄』 等이 있다.

  • 著者 황영삼

    한국외대 英語科를 卒業하고, 大學院 國際關係學科에서 政治學 博士學位를 獲得했다. 러시아學術院 傘下 러시아歷史硏究院(모스크바) 客員硏究員(1996), 알파라비 카자흐 國立大學校 韓國學科(알마티) 招聘敎授(2005年~2006年), 韓國外國語大學校 러시아硏究所 責任硏究員(1999年~2005年) 等을 歷任했다. 現在는 韓國外國語大學校 中央아시아硏究所 硏究敎授이다. 主要 저譯書로 『지腎虛에서 모스크바까지 ?高麗人 同胞 쉽게 理解하기 (ebook, 有페이퍼, 2023)』, 『1인치의 障壁을 넘어서-독립 카자흐스탄의 高麗人 社會 (共著, 2020)』 等이 있다. 現在 러시아 및 中央아시아 歷史와 高麗人 問題를 硏究하고 있다.

  • 著者 區잘 美흐라예바 누르알리例브나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니자미 師範大學校 韓國語學科 卒業했다. 부산대학교 國語國文學科 大學院에서 碩士學位를 받았다(2015).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國語國文學科 博士 課程을 修了했으며(2019), 現在는 博士學位 論文을 準備하고 있다. 同德女子大學校 유라시아투르크硏究所에서 硏究 프로젝트를 遂行했다.

  • 튀르키예의 首都 앙카라 南東쪽 約 220킬로미터 떨어진 地域에 位置한 遺跡地를 指稱하는데 隣近 카이세리의 에르지에스山의 爆發과 分化로 인해 쌓인 火山재를 빗물과 용수가 오랜 歲月에 걸쳐 侵蝕해서 마치 버섯이나 尖塔 같은 모습의 奇怪한 바위들을 만들어내게 되었다. 카파도키아는 튀르키예의 首都 앙카라 南東쪽 約 220킬로미터 떨어진 地域에 位置한 遺跡地이다. 隣近 카이세리의 에르지에스山의 爆發과 分化로 인해 쌓인 火山재를 빗물과 용수가 오랜 歲月에 걸쳐 侵蝕해서 마치 버섯이나 尖塔 같은 모습의 奇怪한 바위들을 만들어내게 되었다. 火山재로 이루어진 바위는 부드러웠기 때문에 사람들은 손쉽게 洞窟을 파서 집이나 敎會를 지었다. 그리고 外侵에 對備해서 地下 都市를 만들기도 했다 그 代表的 都市가 데린쿠유(derin kuyu)와 카이幕클르(kaymaklı)이다. 로마의 屬州로 있던 時期에는 基督敎徒들이 迫害를 避해 이곳으로 避身하여 洞窟 속에 敎會와...

  • 第1次 世界 大戰은 20世紀 初 오스만 帝國의 滅亡에 決定的인 契機가 된 戰爭이다. 參戰國 大部分에 엄청난 變化를 가져왔던 第1次 世界 大戰은 오스만 帝國이 參戰한 마지막 戰爭이었다. 오스만 帝國은 勝戰國의 領土 分割 占領으로 滅亡하게 되었다. 튀르키예 獨立 戰爭과 共和國 樹立은 1次 大戰의 後暴風 가운데 하나였다. 1914年 6月, 오스트리아 皇太子 프란츠 페르디난트 夫婦가 사라예보에서 세르비아 民族主義者의 손에 暗殺되자 오스트리아는 세르비아에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에서의 親세르비아 分離主義運動을 멈출 것을 要求했고, 세르비아 政府가 이를 拒否했다. 이에 오스트리아가 戰爭을 宣布했다. 旣存의 同盟 關係와 새로운 交涉에 따라 獨逸-오스트리아가 同盟國(Central Powers), 英國-프랑스-러시아(Entente Powers)가 協商國으로 나뉘었고, 結局 1次 世界 大戰이 勃發했다. 오스만 帝國은 처음에는 參戰하지 않았으나 1914年 8月 2日 靑年 투르크 政權...

  • 미너렛은 모스크나 이슬람敎 關聯 建物에 附屬된 塔과 같은 形態의 構造物로 無我딘이 올라갈 수 있다. 미너렛(Minaret)은 모스크에서 하루 다섯 番의 氣道를 알리는 외침인 아잔을 읽는 無我딘이 올라설 수 있는 尖塔 形態의 建築 構造物을 이르는 말의 英語 表記이다. ‘빛 또는 불이 빛나는/보이는 場所’라는 뜻의 아랍語 메나레(menâre)에서 祈願한 單語이다. 미너렛의 起源에 對해서는 中央아시아와 이란의 烽火塔, 시리아의 望樓와 종루, 地中海 地域의 燈臺, 또는 印度의 勝利 記念塔 等 다양한 視角이 存在한다. 豫言者 무함마드 時代에는 아잔을 읽기 위해 로프로 매달려 올라간 圓筒形의 특별한 場所가 있었다. 미너렛의 初期 形態로 생각되는 이 場所 外에는 禮拜 場所 近處의 높은 곳을 使用한 것으로 보인다. 모스크에 처음 미너렛을 追加한 사람은 우마이야조 칼리프 무아위야 1歲(Muawiyah I, 在位: 661年~680年)의 이집트 總督 마슬라마(Maslama ibn...

  • ‘실크로드’는 東西 文化 交通路를 意味한다. ‘실크로드’란 近世에 와서 造語(造語)된 象徵的인 雅稱(雅稱)으로 그 指稱 對象과 內容이 時代와 論者에 따라 다르다. 近來에 와서는 ‘古代로부터 유럽과 아시아, 아프리카를 서로 連結하는 東西 交通路’에 對한 總稱으로 理解하는 것이 普通이다. ‘실크로드’라는 槪念이 처음 出現한 것은 只今으로부터 約 100年 前이다. 19世紀 後半 무렵, 獨逸의 著名한 地理學者 ‘리히트호펜’(Ferdinand von Richthofen:1833年~1905年)은 中國 各地를 踏査한 後 1877年부터 『中國(China)』이라는 題目으로 5卷의 冊을 著述했다. 그中 第1卷 後半部에 ‘東西 交涉史’를 槪觀하면서 中國으로부터 中央아시아를 經由해 ‘트란스옥시아나’(Transoxiana)와 ‘西北(西北) 印度’로 輸出되는 主要 品目이 緋緞(絹)이었다는 事實에서 着眼해 이 交易路를 獨逸語로 ‘자이덴스트라쎈’(Seidenstrassen, 英語의 Silk Road)이라고...

  • 이스탄불에 位置한 오스만 帝國의 宮殿이다. 톱카프 宮殿은 오스만 帝國의 宮殿으로 이스탄불을 둘러싼 모든 바다를 볼 수 있는 位置해 있으며, 오스만 時代 내내 거의 모든 술탄이 머물렀으며 統治의 中心이었다. 1453年 술탄 메흐메드 2歲(II. Mehmed, 在位: 1444年~1446年, 1451年~1481年)가 이스탄불을 征服한 直後 現在의 베野지트(Beyazit) 地域에 宮殿을 建設시켰으나, 1464年에 다시 現在 톱카프 宮殿이 位置한 곳에 다시 宮殿 建設을 命令했다. 톱카프 宮殿은 이스탄불 征服 直後 먼저 建設되었던 舊宮殿과 區別하고자 神宮殿(사라이 으 第디드(Sarây-ı Cedîd) 또는 예니 사라이(Yeni Sarayı))라고 부르기도 한다. 톱카프 宮殿은 時代의 變化에 따라 19世紀 中盤까지 끊임없이 增築되었다. 宮殿은 비잔틴 時代의 性癖이었던 壁을 增築한 城壁(Sûr-ı Sultânî)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파디샤의 文(Bâb-ı Hümâyun)’과 ‘鐵의 門(Demir Kapısı)’과...

  • 울루그 베그는 改名 君主로서 事實上 中央아시아 이슬람의 르네상스를 完成한 人物이다. 티무르가 急逝하자 티무르 帝國 內에서는 5年 間에 걸쳐 承繼問題를 둘러싼 紛爭이 發生했는데, 이를 슬기롭게 鎭壓하고 帝位에 오른 人物은 티무르의 넷째 아들 샤흐 壘흐(Shah Rukh, 1409年~1447年)였다. 帝位에 오른 그는 首都를 사마르칸트에서 헤라트로 옮겼고 아들인 울루그 베그(Ulu Beg)로 하여금 第1의 都市인 사마르칸트를 支配하게 한 다음 自身은 南方의 헤라트(Herat)에 머물면서 티무르 帝國 全體를 君臨했다. 티무르가 不世出의 征服者였다면 샤흐 壘흐는 文化에 對한 理解가 깊은 統治者였다. 그의 文化 振興을 위한 努力과 開明的(開明的)인 性格은 아들인 울루그 베그에게도 그대로 傳해져 울루그 베그가 中央아시아 이슬람의 르네상스를 完成한 人物로 歷史에 남을 만큼 큰 繁榮을 이루었다. 울루그 베그는 아버지 샤흐 壘흐가 帝位에 있던 3年間 사마르칸트를 支配하며 티무르...

  • 돌마바흐體 宮殿은 18世紀~19世紀에 建設된 오스만 帝國의 宮殿이다. 돌마바흐體 宮殿은 이스탄불의 보스포러스 海峽을 바라보는 곳에 位置해 있다. 돌마바흐體 宮殿이 建設되었던 자리는 元來 海上 遠征을 나가기 前 行事를 치르던 곳으로, 이런 行事에 걸맞게 작은 灣을 ‘채워 넣어(dolma/돌마: 채움, 넣음) 만든 庭園(bahçe/바흐體: 庭園)’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說이 있다. 勿論 海上 遠征뿐만 아니라 다양한 用途로 使用되었던 이 空間은 歲月이 지남에 따라 술탄이 建設한 建物로 가득 차게 되었다. 하지만 邸宅이나 여름 別莊 水準으로 建設되었던 建物은 거의 使用하지 않아 濕氣로 인해 建物이 毁損되거나, 地震과 火災 等으로 오래 保存되지 못했다. 셀림 3歲(III. Selim, 在位: 1789年~1807年)에 이르러서는 建築家 멜링(Antoine Ignace Melling, 1763年~1831年)이 이 자리에 유럽 스타일의 여름 宮殿을 建設할 것을 命令받는다. 破損과 撤去, 增築을 反復하여 結局...

  • 아야소피아는 튀르키예 이스탄불에 位置한 모스크로, 東로마 帝國 時代에는 東方正敎會 聖堂 建物이었다. ‘아야소피아’는 現在 튀르키예 이스탄불에 所在한 모스크로, 過去에는 東로마 帝國의 聖堂이었고, 오스만 帝國의 모스크였으며, 튀르키예 共和國 初期부터 2020年까지 博物館으로 利用되다가 現在는 모스크가 되었다. 東로마 帝國 時代에 불리던 이름이 聖스러운 知識이라는 意味의 하기아 소피아(그리스語 表記:?γ?α Σοφ?α, 英語 表記: Hagia Sophia)였는데 이 '하기아 소피아'를 튀르키예語로 바꾼 表記法이 아야소피아(Ayasofya)이다. 正式 名稱은 '聖스러운 臺 아야소피아 모스크'라는 意味의 '아야소피아 이 케비르 자미 이 쉐리피(Ayasofya-i Kebîr Câmi-i ?erîfi)'이나 一般的으로 아야소피아라고 부른다. 아야소피아는 4世紀에 처음 콘스탄티누스 1歲(Constantine I, 在位: 306年~337年)의 命令으로 建設이 始作되어, 콘스탄티누스...

  • 보스포러스 海峽은 黑海와 마르마라海를 잇고, 아시아와 유럽을 나누는 튀르키예의 海峽으로 길이는 30km이며, 幅은 가장 좁은 곳이 750m, 깊이는 36m~120m 사이이다. 보스포러스 海峽(Bosporus Strait)은 黑海와 마르마라 海를 잇고, 아시아와 유럽을 나누는 튀르키예의 海峽이다. 그리스 神話에 따르면 보스포러스 海峽은 제우스에 依해 암소(bos)로 變한 그리스 神話 속 人物 이오(Io)가 건넜던 개울(poros)이다. 卽, 보스포러스(Bosporus 또는 Bosporos)란 古代 그리스어로 '소(bos, Β?σ)가 건넌 개울(poros, πορος)'이라는 意味이다. 길이는 30km이며, 幅은 가장 좁은 곳이 750m이다. 깊이는 36m~120m 사이이다. 이 海峽에 立地한 이스탄불은 바닷길과 陸路가 맞물리는 要衝地였기 때문에 古代부터 重要한 都市였고, 結局 로마 帝國, 東로마 帝國, 오스만 帝國까지 數千 年間 首都로 기능하게 되어 오랫동안 軍事的인 要衝地 役割을 해 왔다. 特히 18世紀 以後에는...

  • 아미르 티무르는 14世紀 厖大한 領土를 支配했던 티무르 帝國의 創始者이다. 아미르 티무르는 티무르 帝國의 創始者이다. 本名은 ‘아미르 테무르 이븐 타라가이 바코’(Amir Temur ibn Taragay Bakho, 1336年~1405年; 在位: 1370年~1405年)이다. ‘테무르’는 '철(鐵)'을 意味하는 突厥語이다. 그는 現在 샤흐리샵으로 알려진 古代都市 케쉬(Kesh)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의 이름은 ‘아미로 타라고이’(Amir Taragoy)로 바르라스 部族의 아미르들 中 한 名이었다. 어머니는 ‘타키나 허튼’(Takina xotun)으로 부하라 出身이다. 아미르 티무르는 어린 時節부터 軍事 訓鍊과 偉大한 思想家들로부터 水準 높은 敎育을 받았다. ‘아부바키르 者이니딘 土曜보디’(Abubakir Zayniddin Toyobodiy), ‘샴視딘 쿨럴’(Shamsiddin Kulol), ‘버下르지이’(Boxarziy)와 같은 思想家들이 그의 스승이었다. 나이가 든 後부터는 ‘아미르 후사인’과 함께 몽골로부터...

  • 맘루크 王朝(1250年~1517年)는 奴隸가 세운 이슬람 王朝를 뜻한다. 이집트를 中心으로 하는 맘루크 王朝 初期의 主要 人物들은 투르크系가 大部分이었다. 맘루크 王朝(1250年~1517年)는 奴隸가 세운 이슬람 王朝를 뜻한다. 아랍語의 맘루크(Mamluk; ?????)는 辭典的 意味로는 男子 奴隸를 뜻하지만, 歷史的으로는 튀르키예, 시르케시, 비잔틴, 쿠르드, 슬라브 等 出身의 白人 奴隸를 意味한다. 特히 이집트를 中心으로 하는 맘루크 王朝 初期의 主要 人物들은 투르크系가 大部分이었다. 맘루크는 大部分 어린시절 奴隸가 되어 軍人으로 길러지며, 成長하면서 大部分 이슬람으로 改宗했고, 奴隸 身分에서 解放된 後에도 自身을 養育한 主人에 對하여 絶對的 忠誠을 다했다. 이슬람 社會는 奴隸에 明確한 制限을 두지 않았다. 비록 奴隸라 할지라도 機會를 얻으면 높은 敎養을 쌓을 수도 있었고 國家와 社會 要職에도 登用되었다. 또한 아버지가 認定하면 어머니가 奴隸일지라도 自由人이 될 수...

  • 모스크는 무슬림들의 禮拜 場所이다. 모스크(mosque)는 ‘엎드려 절하는 곳, 祈禱하는 場所’라는 意味의 아랍語 ‘마스지드(????)’가 스페인語(mezquita)와 프랑스語(mosquée)를 거치며 變形되어 定着된 英語式 表記이다. 韓國에서는 모스크를 使用하거나 聲援(聖院)이라는 用語를 使用한다. 大部分의 투르크語에서는 아랍語 마스지드가 各 言語에 맞추어 變形된 形態로 表記하는 한便, 튀르키예語에서 ‘자미(Cami)’라는 單語를 使用하는데, 이는 많은 사람이 모일 수 있을 만큼 큰 空間을 意味하는 ‘마스지드 자미(masjidi jami, 아랍語: ???? ????)’의 준말이다. 튀르키예의 境遇에는 金曜 禮拜를 보고 說敎를 할 수 있는 民바르가 있는 곳은 ‘자미’, 說敎壇이 없는 곳은 ‘메스지드(mescid)’로 表記한다. 名節과 葬禮를 위한 모스크는 무살라(Musalla, 아랍語:????)로, 길가에 位置하고 天障이 없지만 祈禱할 수 있는 空間은 페르시아語人...

  • 그리스 正敎會는 東方 正敎會라고도 알려져 있는 基督敎 敎團 中 두 番째로 敎勢가 큰 基督敎 敎團이다. 主要 敎理 書籍이 希臘語로 되어 있는 그리스 正敎會는 이탈리아 로마를 中心으로 地理的으로 東쪽에 있어 東方 正敎會(Eastern Orthodox Church)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敎會는 本來 하나였던 그리스도 敎會가 1054年 東方과 西方으로 나뉘기 以前의 敎會 傳統을 强調한다. 니케아 公議會(325年)부터 필리오케 論爭(1014年) 사이 東方과 西方으로 나뉘기 以前의 敎會 傳統에서 形成된 公議會에서 決定된 敎會 傳統을 原形 그대로 保存해 온 唯一한 敎會임을 强調하는 意味에서 正統 敎會 或은 正敎會로 부른다. 東方 敎會와 西方 敎會가 分離되는 주된 要素는 필리오케(Flioque) 添加에 對한 論爭, 9世紀 포티우스의 分裂, 1054年 相互詛呪, 1204年 가톨릭의 十字軍에 依한 콘스탄티노플 侵略을 들 수 있다. 그러나 敎會의 分裂은 敎會의 政治的 權威 問題가 가장 重要한 要因이...

  • 야쿠트共和國은 러시아聯邦 안에 있는 투르크系 自治共和國이다. 사하共和國은 러시아聯邦 안에 있는 투르크系 自治共和國으로 通稱 야쿠티야(Якутия, Yakutia)라고 불린다. 사하共和國(야쿠티야)의 面積은 러시아聯邦 面積의 約 1/6 程度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地球 陸地 面積의 1/36 卽, 地球 面積의 約 3%에 該當한다. 러시아 極東地方의 中西部와 北西部에 걸쳐 位置하며, 모스크바(Москва, Moscow)에서 東쪽으로 約 5,000km 떨어져 있다. 이곳은 極東 聯邦 管區(Дальневосточный федеральный округ)의 極東 經濟地區(Дальневосточный экономический район)에 屬하는 地域이다. 사하共和國(야쿠티야)의 原住民은 투르크系人 야쿠트族(Якуты, Yakuts)이다. 이들은 本來 바이칼호(湖) 西部에 居住했으나, 13世紀頃부터 몽골의 侵攻을 被害 東北部로 移動하여 只今의 사하共和國에 該當하는...

  • 카심 칸은 카자흐 칸國의 創設者인 자니벡의 아들이자 3代 칸이다. 카심 칸은 15世紀 後半에 創設된 카자흐 칸國의 세番 째 칸으로서 領土를 南과 北으로 크게 擴張시켰다. 血統的으로 칭기즈 칸과 쥬値의 後孫이다. 그의 出生年度는 不明確하다. 大略 1445年에서 1455年 사이로 알려져 있고, 死亡年度度 1518年부터 1521年 사이로 推定된다. 死亡 場所는 카스피해 北쪽 沿岸의 사라이칙(Saraichik)이다. 칸으로 第爲한 期間은 1511年부터 1521年까지이다. 그의 父親은 카자흐 칸國의 共同 設立者 中의 한 名인 자니벡이지만 두 番째 칸의 諸位는 暫時 부룬둑 칸에게 있었기 때문에 카심 칸은 세 番째 칸이다. 부룬둑 칸 痛治期에도 事實上 國家의 實權은 카심에게 있었다. 카심 칸은 카자흐 칸國 初期 國家 安定에 큰 役割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카심 칸의 業績은 隣接한 시르다리亞綱 流域 一帶를 두고 샤이바이니組 우즈베크族과 競爭하다가 그 地域을 結局 카자흐人의 땅으로 만들었다는...

位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