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네팔 : 네이버 知識百科

  • 中國과 印度 사이, 히말라야 山脈 中央部의 南쪽 半을 차지하는 內陸國家다. 2007年 君主制가 廢止되고, 2008年 制憲議會에서 王政 廢止와 共和政 實施를 中心으로 한 新憲法이 制定되어 只今의 '네팔聯邦民主共和國(Federal Democratic Republic of Nepal)'이 樹立되었다. 公式 國名은 '네팔聯邦民主共和國(Federal Democratic Republic of Nepal)'이다. 北쪽으로는 中國의 티베트와 히말라야山脈을 사이에 두고 接하며, 그 外 地域은 印度와 接한다. 카트만두 盆地는 네팔 溪谷이라고도 불렸는데, 溪谷 이름에서 國名이 由來했다는 說과 성스럽다는 意味의 '네(Ne)'와 동굴이라는 意味의 '팔(pal)'에서 由來했다는 說이 있다. 네팔은 世界 10代 最高峯 가운데 8個를 保有한 國家로 地形이 險峻한 山岳 國家이지만 印度와 中國 사이에 位置하여 두 國家의 緩衝 作用을 할 수 있는 戰略的 重要性이 높은 國家다. 1951年 絶對王政이 끝나고 議會 體制를 갖춘 立憲君主制를...

  • 印度 北東쪽, 네팔과 中國(티베트) 國境에 솟아 있는 높이 約 8,848m의 世界 最高峯. 引渡의 測量國葬 앤드루 워가 1846年부터 1855年까지 히말라야 山系의 3角測量을 繼續하였는데, 特히 히말라야의 高峯 79個를 커다란 警衛의(經緯儀)로 精密 測定한 結果, 1852年까지 피크 15(印度 측량국 番號)라고만 부르던 이 山이 世界 最高임을 確認하였다. 現地名이 1865年까지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測量國葬 워의 提唱으로 前任者 에버리스트의 功績을 기려 '마운트 에베레스트'라고 명명하였다. 히말라야의 山이름에 個人의 이름을 붙인 것은 異例的인 일이다. 以後 몇 가지 名稱이 報告되었는데, 티베트에서 옛부터 '招募룽마(Chomo Lungma:世界의 母神이라는 뜻)'라는 이름이 使用되었다는 事實이 判明되었다. 特히 스벤 헤딘이 프랑스 예수회가 製作하여 1733年에 空間(公刊)韓 地圖에 이 名稱이 使用되어 있음을 發見하고, 招募룽마로 고칠 것을 强力히 主張하였으나 贊成을 얻지...

  • 世界에서 四角形이 아닌 唯一한 國旗이다. 三角形 2個를 포개놓은 形態에 테두리 線은 津한 파랑이며, 빨강 바탕에 하양 初生달과 太陽이 있다. 파랑은 世界를, 빨강은 幸運을, 12個의 光線이 뻗쳐나오는 달은 王室과 平和를, 太陽은 宰相 一家와 힘을 나타내며, 달과 太陽은 이 나라가 힌두敎 國家임을 나타낸다는 解釋도 있다. 全體的으로는 '달과 太陽과 같이 國家가 길이 繁榮하라'는 念願을 나타낸다. 傳說에 따르면 이 나라는 예로부터 해(陽)의 王朝와 달(陰)의 王朝가 交代로 統治하였는데 只今은 音의 王朝이기 때문에 달이 위에 位置한다고 한다. 元來는 2個 三角形이 서로 붙어 있지 않았는데 18世紀 初에 結合되었고, 달과 太陽도 사람 얼굴 모습이었는데 1962年 12月 12日 새 憲法에 따라 現在의 形態로 制定하였다.

  • 네팔 南部 테라이 地方의 룸비니에 있는 佛敎의 創始者 釋迦牟尼(고타마 싯다르타) 誕生地로 佛敎 4大 聖地 中 하나. 페허로 放置되어 있던 곳이었으나 1895年 獨逸 考古學者인 抛이러(Feuhrer)에 依해 世上에 알려졌다. 1997年 유네스코가 世界文化遺産으로 登錄했다. 네팔 南東部 테라이(Terai) 平原에 있는 룸비니는 佛敎의 創始者인 고타마 싯다르타, 卽 釋迦牟尼가 誕生한 곳이다. 부처가 깨달음을 얻은 보드가야(Bodhgaya), 첫 說法을 한 鹿野苑, 涅槃에 든 쿠쉬나가르(Kushinagar)와 함께 佛敎의 4大 聖地 中 하나로, 1895年 獨逸 考古學者인 抛이러(Feuhrer)가 히말라야 山기슭의 작은 언덕을 徘徊하다 석주 하나를 發見하면서 世上에 알려졌다. 以前까지는 印度에서의 佛敎 衰退와 함께 荒廢해져 廢墟로 放置되어 있었다. 傳說에 따르면 紀元前 623年 샤카族의 王妃인 摩耶夫人은 當時의 慣習에 따라 出産을 하기 위해 故鄕으로 가던 中 룸비니에 있는 無憂樹(無憂樹) 나무...

  • 네팔의 歷史는 首都인 카트만두 地域을 中心으로 成立된 4世紀頃 리車費 王朝(Lichchhavis)로 始作되었다. 8世紀 中盤 他쿠리 王朝(Thakuri dynasty)가 세워졌고, 11世紀頃 말라 王朝(Malla dynasty)를 거쳐, 18世紀에 成立된 샤 王朝(Shah dynasty)가 王政이 廢止될 때까지 存續되었다. 1846~1951年에 라나(Rana) 家門의 獨裁에 對한 反撥로 民主化 運動이 펼쳐지면서 2007年 國民投票를 통해 君主制가 廢止되었고, 2008年 制憲議會에서 王政 廢止와 共和政 實施를 中心으로 한 新憲法이 制定되어 只今의 '네팔聯邦民主共和國(Federal Democratic Republic of Nepal)'이 樹立되었다.

  • 네팔의 飮食 文化는 印度料理와 中華料理·티베트 料理가 融合된 것으로, 地政學的 位置가 印度와 中國 티베트에 가깝기 때문에 생긴 現象이며, 맛으로는 印度 料理를 닮은 것이 많다. 또한,週로 食事는 아침食事와 저녁食事 2晦하며 點心은 적게 먹거나, 菓子와 車 等으로 가볍게 먹으며, 間食으로는 '카자(Khaja)'가 있다. 달바트(Dal Bhat)는 代表的인 네팔 料理로, 콩 수프를 意味하는 '달(daal)'과 쌀밥을 意味하는 '바트(bhaat)의 合成語다. 달바트는 쌀과 렌즈콩 수프로 構成되며 一般的으로 野菜 카레, 아차르, 때로는 처트니와 함께 提供된다. 株式은 '달밧 떨까리'이며 콩과 밥, 떨까리(野菜)를 香辛料인 馬살라와 함께 볶은 飮食이다.

  • 15世紀 말라 王朝 때부터 政治·文化 經濟의 中心地로서 크게 發展하기 始作하여 18世紀 後半에 고르카 王朝가 首都로 定한 以後 現在까지 네팔의 首都로서 繁榮을 누리고 있다. 商業·手工業 및 觀光서비스業이 活潑하며, 오래된 市內 中心에는 옛 王宮과 佛敎·힌두敎 寺刹의 華麗하고 雄壯한 建物들이 많이 있으며, 히말라야 觀光의 關門 役割을 하는 都市다. 네팔의 首都이자 가장 큰 廣域都市이다. 네팔 盆地의 中央, 海拔高度 1,281m 地點에 位置한다. '칸티푸르(Kantipur)'라는 옛 이름으로 알려졌으며, 10世紀 무렵에 建設된 것으로 推定되지만, 네팔의 政治·文化·經濟의 中心地로서 크게 發展하기 始作한 것은 15世紀 말라 王朝(Malla dynasty) 때부터이다. 18世紀 後半에 말라 王朝의 뒤를 이은 고르카(Gorkha) 王朝가 이곳을 首都로 定한 以後 오늘에 이르기까지 네팔의 首都로서 繁榮을 누렸다. 商業·手工業이 活潑하며, 住民의 大部分은 네와르족이다. 市街地에는 行政廳, 옛...

  • 네팔에 있는 溪谷으로, 힌두敎의 佛敎와 聖地이며, 많은 社員과 神殿들이 있다. 1979年 유네스코에서 世界文化遺産으로 指定하였고, 2006年 範圍를 擴張하였다. 네팔의 中央에 있는 溪谷으로, 海拔 1,300m에 이르는 山으로 둘러싸여 있다. 힌두敎와 佛敎의 聖地로, 수많은 社員과 神殿들이 있다. 하누만 度카의 더르바르 廣場, 破綻과 바크打푸르, 스와얌部나트와 보드나트의 스투파, 파슈파티와 窓口나라얀의 힌두 寺院 等을 비롯한 7個의 記念物軍이 있다. 代表的인 것으로 네팔에서 가장 오래된 寺院인 스와얌不나트 社員이 있다. 2000年 以上 된 절로, 원숭이들이 많아 몽키寺院이라고도 한다. 寺院 中央에는 부처의 눈이 새겨진 스투파(佛塔)가 있다. 네팔에서 規模가 가장 큰 보드나트 寺院도 있다. 두르바르 廣場에는 많은 宗敎 建築物이 있다. 또한 시바신에게 獻納된 파슈파티나트 寺院도 있다. 黃金色 지붕과 銀빛 門이 있으며 裝飾이 華麗하다. 카슈打만다파 社員은...

  • 네팔에서 살아 있는 女神으로 崇拜되는 存在. 쿠마리(Kumari)란 산스크리트語에서 ‘處女’를 뜻하는 ‘카우마르야(Kaumarya)’에서 비롯된 말로 ‘處女神’을 뜻한다. 네팔에서 티베트佛敎의 바즈라 데비(Vajradevi) 與信이나 힌두敎의 두르가(Durga) 女神의 살아 있는 化身으로 崇拜되는 存在로 쿠마리 데비(Kumari Devi)라고도 한다. 普通 初經 前의 어린 少女가 初經을 할 때까지 役割을 맡는데, 境遇에 따라서는 初耕 以後에도 役割이 持續되기도 한다. 네팔의 쿠마리는 王室쿠마리(Royal Kumari)와 各 地域에 存在하는 脂肪쿠마리(Local Kumari)로 나뉜다. 카트만두의 쿠마리사원(Kumari Ghar)에 居住하는 王室쿠마리는 王室의 守護神이자 國家의 運命을 알려주는 豫言者로 崇拜된다. 脂肪쿠마리는 바크打푸르(Bhaktapur)와 破綻(Patan) 等의 地域에 存在하는데, 地域마다 選出方法이나 信仰의 形態에 조금씩 差異가 있다. 네팔의 處女神 崇拜 歷史는 紀元前부터...

  • 네팔의 氣候는 高度에 따라 分類된다. 高度 2,000m以下 地域은 亞熱帶氣候, 高度 2,000~3,000m 地域은 溫帶氣候 地域으로 區分되며, 人口의 多數가 居住하는 地域이다. 高度 3,000~4,000m 地域은 冷帶氣候 地域으로 牧畜이 主로 이루어지며, 穀物의 耕作은 드물게 菜蔬나 보리?귀리 等의 栽培가 이루어진다. 高度 4,000~樹木限界線까지는 高山氣候 地域으로 牧畜이 大部分이며, 農業은 藥用作物 等에 限定된다. 地形 構造上 바람그늘 赦免의 境遇에는 降雨가 不足한 境遇가 있으며, 이 境遇에는 乾燥氣候가 나타나기도 한다. 네팔은 全般的으로 季節風의 影響을 强하게 받으며, 6~9月이 雨期이고, 그 外의 時期는 乾期라고 할 수 있다. 降水量은 地域마다 分布가 다양해서 一律的으로 말할 수 없으나, 東部 沮止隊 테라이(Terai) 地域에서는 約 1,800~1900mm의 軟鋼수가 記錄되며 西部 地域은 이보다 多少 乾燥하다. 首都 카트만두 地域에서는 가장 추운 달인 1月의 平均機

  • 네팔은 內陸國으로 히말라야山脈 南端에 걸쳐있다. 北쪽 히말라야山脈 너머로는 中國 티베트와, 그 外 方向으로는 印度와 國境을 接한다. 히말라야山脈 方向을 따라 펼쳐진 約 880km의 너비와는 다르게, 國土의 幅은 150~250km에 不過하다. 좁은 國土 幅에도 不拘하고 네팔은 다양한 地形을 보인다. 네팔에 所在한 世界 最高峯인 에베레스트山의 海拔高度가 8,868m인 것과 對照的으로, 가장 낮은 地域은 海拔高度가 59m이며, 南部 印度와의 國境을 中心으로 高度 100m를 넘지 않는 곳이 位置한다. 高度에 따라 히말라야산맥과 가까운 地域부터 히말(Himal), 派하드(Pahad), 테라이(Terai) 地域으로 區分할 수 있다. 히말 地域은 高度가 3,000m 以上인 山岳 地域이며, 히말라야山脈의 領域으로 네팔 面積의 約 15%를 차지한다. 이 地域에서 7,000m 以上의 山은 90個 異常이 있으며, 에베레스트山, 안나푸르나山(8,091m), 칸첸중가山(8,586m)과 같은 有名

  • 네팔의 代表的인 祝祭로는 다샤인(Dashain), 티下르(Deepawali 또는 Diwali), 티즈(Teej) 祝祭가 있다. 9月 末부터 10月 中旬까지 15日 동안 쉬지 않고 열리는 다샤인(Dashain) 祝祭는 몬순(季節風) 期間의 끝을 알리기도 하며 악(惡)新人 데몬과의 戰爭에서 勝利한 날이라는 意味도 갖는다. 빛의 祝祭, 티下르(Deepawali 또는 Diwali)는 每年 10月 末이나 11月 初에 열리는 祝祭로, 다샤인 다음으로 重要하게 여겨진다. 이 祝祭는 밤에 불을 대낮같이 환하게 밝혀 富의 神으로 알려진 락슈미 神을 집안으로 들어오게 하는 데 있다. 힌두 文化 祝祭인 티즈(Teej)는 神聖한 斷食을 통해 結婚한 女人들은 男便의 長壽와 健康을 빌고, 未婚의 女人들은 願하는 配偶者를 만나게 해달라고 祈禱하며 즐기는 祝祭로, 每年 7~8月 頃에 開催된다.

  • 傳統的으로 네팔에서는 家族共同體의 價値를 重要視하며, 多世帶 家父長的 合同家族은 네팔에서 標準이 되었지만, 核家族은 都市 地域에서 普遍化되고 있다. 大多數의 네팔人들은 當事者 同意 與否에 關係 없이 父母나 다른 家族 長老들이 結婚을 周旋한다. 한番 婚姻으로 맺은 關係는 平生 持續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文化로 인해, 離婚率은 千 件 中 한 건 未滿으로 매우 낮다. 早婚(早婚) 風習이 있어 特히 시골 地域에서 一般的으로 많은 女性이 18歲가 되기 前에 일찍 結婚한다. 宗敎는 힌두敎가 全體 人口의 81%로 最大의 宗敎이며, 佛敎(10.7%), 이슬람敎(4.2%), 키란트(3.6%), 基督敎(1.4) 巡이다. 宗敎의 自由를 認定하지만 國家宗敎는 힌두敎이다. 네팔의 文化는 印度와 中國 사이에 있는 地理的 與件上 아리아인?티베트族?몽골族의 文化와 宗敎的으로는 힌두?佛敎 文化를 混合한 性格을 띠고 있다. 네팔 文化의 큰 特徵은 힌두敎와 佛敎의 弔花를 꼽을 수 있다. 卽 佛敎社員 內

  • 네팔 南部 테라이 地方의 寒村. '藍毘尼(藍毘尼)'로 音譯한다. 佛敎의 時調 釋迦가 誕生한 곳으로, 샤카族의 都邑 카필라바스투의 遺跡이 約 16km 西쪽에 있다. 釋迦 誕生 以後 수많은 巡禮者들이 찾아왔으며 그 가운데 한 사람인 印度의 아소카왕은 이곳에 釋迦를 讚美하는 記念 돌기둥을 세웠다. 이 돌기둥은 1896年 發見되었는데, '이곳에서 샤카族의 聖者(聖者) 佛陀가 誕生한 것에 연유해서 룸비니 마을은 稅金을 면하고, 또 生産量의 1/8萬을 納入한다'라는 意味의 法則이 새겨져 있어 釋迦 誕生地라는 것이 確認되었다. 곳곳에 佛陀의 誕生과 聯關된 고고遺跡들이 남아 있다.

  • 네팔 東部의 쿰部(Khumbu) 地方에 있는 山. 조보랍찬(Jobo Lhaptshan)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네팔 東部의 쿰部 地方에 있는 山으로 히말라야山脈의 一部이며, 높이는 6440m이다. 긴 稜線을 따라서 打보체山(Taboche, 6501m)과 連結된다. 東쪽 面에서 촐라氷河(Chola glacier)가 내려온다. 에베레스트山의 베이스캠프로 가는 途中인 두글라(Dughla)에서 이 山의 北쪽 面과 東쪽 面을 볼 수 있다. 1982年 4月 22日 番 클레벤저(Vern Clevenger)·갤런 로웰(Galen Rowell)·존 로스켈리(John Roskelley)·빌 오코노(Bill O'Connor) 等이 南西쪽 稜線을 經由하여 처음으로 登頂하였다. 北쪽 面을 經由하여 처음으로 登頂에 成功한 것은 1984年이었고, 單獨 登頂에 처음으로 成功한 것은 2005年 4月 15日 스위스의 登攀家 禹엘리 스텍(Ueli Steck)이다.

位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