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印度 : 네이버 知識百科

  • 南部 아시아에 있는 나라로, 正式名稱은 印度共和國(Republic of India)이며, 힌디어로는 '바라트(Bharat)'라고 한다. 人口는 世界 2位이며, 國土 面積은 世界 7位이다. 西쪽으로 파키스탄, 北東쪽으로 中國·네팔·부탄, 東쪽으로 방글라데시·미얀마와 國境을 接한다. 아시아 文明의 源泉으로 佛敎가 發想한 곳이며, '天竺(天竺)'이란 이름으로 예부터 알려진 곳이다. 國名은 산스크리트語(語)로 된 인더스강(江)의 이름에서 由來했다. 1914年 맥마흔宣言에 따라 英國領인 印度와 中國의 國境이 히말라야산맥 分水嶺에 設定된 以後 中國과 國境紛爭이 이어졌고, 1962年 戰爭까지 치렀다. 파키스탄과는 獨立 當時부터 카슈미르 地域을 둘러싼 領土紛爭을 벌여왔다. 首都인 뉴델리는 올드델리(Old Delhi)라고 불리는 옛 首都部의 南쪽에 세워진 都市로, 올드델리 및 周邊 地區 等과 함께 印度 政府의 聯邦 直轄地人 델리 首都特別地域을 構成한다. 行政區域은 28個 州...

  • 上段의 오렌지色은 勇氣와 犧牲을 象徵하며, 가운데 흰色은 眞理와 平和를, 아랫部分 草綠은 公平과 騎士道를 나타낸다. 바퀴 模樣의 파란色 文章(紋章)은 '다르마 車크라(法輪)'라고 하는데, 이는 아소카王(王)의 佛殿結集(佛典結集)에서 取한 것으로 ‘法(法)의 輪廻’를 뜻하며 24時間을 뜻하는 24個의 바퀴살을 가지고 있다. 元來 氣에는 文章이 들어 있지 않았는데, 國紀 制定時 차르카(물레)에 依한 經濟的 獨立의 必要性을 主張하던 마하트마 간디의 要請으로 넣었다고 傳해진다. 하지만 간디는 佛敎 信者가 아니었고, 不可觸賤民 出身이자 引渡의 立法을 擔當했던 癌베드카르의 要請에 依해서 수레바퀴 模樣을 넣은 것이라는 說이 더욱 說得力을 얻고 있다. 3色氣는 1920年代부터 非公式的으로 國旗로 使用되어왔으며 當時 3色은 힌두敎(오렌지色)·統一(흰色)·이슬람敎(草綠色)를 의미하였다. 1942年 獨逸 함부르크에서 國旗로서 처음 使用되었고 1947年 7月 22日 立法會議에서...

  • 印度의 大部分은 熱帶氣候 地域으로 分類되며 强한 季節風의 影響을 받는다. 겨울철에는 大陸에서 불어오는 北東 季節風의 影響으로 比較的 춥고 乾燥하다. 引渡의 季節은 季節風의 變化를 바탕으로, 3月에서 5月에 이르는 乾燥 酷暑期와 6月에서 10月 初에 걸친 濕潤 高溫機, 그리고 10月에서 2月에 이르는 乾燥 寒冷器로 나눌 수 있다. 3月부터는 南西季節風이 불기 始作하는 高溫氣가 始作하여 氣溫이 急上昇하고 强雨가 없으며 相對濕度는 急減하고 烈風이 불 때도 있다. 5月 末에는 印度 北西部에 低氣壓이 形成되고, 6月 中旬부터는 印度洋으로부터 불어오는 덥고 濕한 南西 季節風의 影響으로 많은 强雨가 發生한다. 特히 南西 季節風은 데칸高原 西쪽의 서고츠山脈이나 히말라야 山脈과 부딪혀, 各各 印度 西部 海岸地域과 체라푼지 地域에 暴雨를 誘發한다. 이 期間에 내리는 비는 印度 年 降水量의 70~95%를 차지한다. 年 降水量이 4,000mm 以上 되는 곳은 아삼 地方과 서고츠 山脈...

  • 印度 北東쪽, 네팔과 中國(티베트) 國境에 솟아 있는 높이 約 8,848m의 世界 最高峯. 引渡의 測量國葬 앤드루 워가 1846年부터 1855年까지 히말라야 山系의 3角測量을 繼續하였는데, 特히 히말라야의 高峯 79個를 커다란 警衛의(經緯儀)로 精密 測定한 結果, 1852年까지 피크 15(印度 측량국 番號)라고만 부르던 이 山이 世界 最高임을 確認하였다. 現地名이 1865年까지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測量國葬 워의 提唱으로 前任者 에버리스트의 功績을 기려 '마운트 에베레스트'라고 명명하였다. 히말라야의 山이름에 個人의 이름을 붙인 것은 異例的인 일이다. 以後 몇 가지 名稱이 報告되었는데, 티베트에서 옛부터 '招募룽마(Chomo Lungma:世界의 母神이라는 뜻)'라는 이름이 使用되었다는 事實이 判明되었다. 特히 스벤 헤딘이 프랑스 예수회가 製作하여 1733年에 空間(公刊)韓 地圖에 이 名稱이 使用되어 있음을 發見하고, 招募룽마로 고칠 것을 强力히 主張하였으나 贊成을 얻지...

  • 印度의 民族運動 指導者이자 印度 建國의 아버지이다. 南아메리카에서의 人種差別에 對한 鬪爭으로 有名해졌다. 第1次 世界大戰 以後 英國에 對해 反映·非協力 運動 等의 非暴力 抵抗을 展開하였다. [ 出生과 집안] 1869年 10月 2日 印度 西部 포르반다르(또는 수다마푸리 Sudamapuri)에서 태어났다. 간디의 집안은 商人階級(Bania Caste)에 屬했고 食料品商이었다. 그의 할아버지 禹貪찬드 간디(Uttamchand Gandhi)는 포르반다르에서 管理로 勤務했다. 그는 아들 6名을 두었는데 그中 5番째 아들 카바 간디(Kaba Gandhi)가 마하트마 간디의 아버지이다. 카바 간디는 夫人이 每番 死亡하여 네番이나 結婚을 하게 되었다. 마지막 아내였던 푸틀리바이(Putlibai) 사이에서 딸 하나와 아들 셋을 두었는데 그中 막내가 마하트마 간디였다. 카바 간디가 라지코트의 管理로 奉職했기 때문에 그곳으로 移住하여 初級學校를 다녔다. 早婚 風習에 따라 13歲에 同甲인 카스투르바이...

  • 新羅의 僧侶 慧超가 古代 印度의 5天竺國을 踏査하고 쓴 旅行記. 筆寫本. 1卷 1冊. 新羅時代의 僧侶 慧超(慧超:704∼787)가 古代 印度의 5天竺國을 踏査한 뒤 727年(聖德王 26)에 쓴 冊이다. 이 冊은 1908年 프랑스의 동양학자 P.펠리오가 中國 北西 地方 간쑤省[甘肅省]의 둔황[敦煌] 千佛洞 石佛에서 發見하였으며 中國의 羅振玉(?振玉)李 出版하여 世上에 알려졌다. 이 冊에는 當時 印度 및 西域(西域) 各國의 宗敎와 風俗·文化 等에 關한 記錄이 실려 있다. 그때는 벌써 불타(佛陀)의 遺跡은 荒廢하여 기울어져 가고 있었으며 社員은 있으나 僧侶가 없는 곳이 있는가 하면 어느 큰 寺院에는 僧侶가 3,000餘 名이나 있어서 供養米가 每日 15席이나 所要되어 維持하기가 어렵게 된 곳도 있다고 하였다. 또한 臺·小乘(大小乘)李 구행(俱行)하고 있으나 곳에 따라 大勝만 行하는 곳도 있고, 소승만 行하는 곳도 있으며, 北方에는 寺院과 僧侶 및 信者가 많아서 調査設齋(造寺設齋)할 때에는 아내와...

  • 印度의 歷史는 인더스강을 中心으로 하는 인더스 文明과 함께 始作하였다. 인더스 文明은 紀元前 3,000年頃에서 紀元前 1,500年 사이에 發展하였던 文明으로, 이집트 文明이나 메소포타미아文明보다 조금 늦게 發達하였다. 인더스 文明은 單純히 인더스江 周邊 地域이 아니라 가가-下크라江(ghahhar-hakra river) 流域까지 包含하는 幅과 길이가 모두 1,000km가 넘는 매우 廣範圍한 範圍에 걸쳐서 發達하였다. 인더스 文明의 代表的인 遺跡地인 모헨조다로나 하라파의 遺跡은 BC 2,500年頃의 것으로 精巧한 都市計劃을 가진 都市 文明의 痕跡을 보여준다. 兩者는 모두 같은 都市計劃의 모습을 보여주는데, 總 네 가지의 共通點이 있다. 첫째, 市街地에서 若干 높은 곳에 城砦가 있으며 이곳에는 主로 祭壇과 公共施設이 있고 낮은 쪽에 一般 市民들의 住居地域이 集中된 構造를 보인다. 둘째, 道路는 바둑板 模樣으로 秩序整然하게 造成되어 있고 셋째, 매우 精巧한 配水施設을 가지고...

  • 印度의 代表的 이슬람 建築. 印度 아그라(Agra)의 南쪽, 滋茂나(Jamuna) 江가에 자리잡은 宮殿 形式의 墓地로 무굴帝國의 皇帝였던 샤 자한이 王妃 뭄타즈 馬할을 追慕하여 建築한 것이다. 1983年 유네스코 世界文化遺産으로 指定되었다. 印度 이슬람 藝術의 傑作 타지마할은 그야말로 時空을 超越한 絶對的인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純白의 大理石은 太陽의 角度에 따라 하루에도 몇 番씩 빛깔을 달리하며 보는 사람의 넋을 빼놓고, 雄壯한 建物은 重壓感은커녕 오히려 空中에 떠있는 듯 신비롭고, 建物과 入口의 水路 및 定員의 完璧한 左右對稱은 均衡美와 정갈함을 느끼게 한다. 타지마할은 무굴帝國의 首都였던 아그라(Agra) 南쪽, 자무나강街에 자리잡은 宮殿 形式의 墓地다. 무굴 帝國의 皇帝였던 샤 자한(Shah Jahan, 在位 1592~1666)이 끔찍이 사랑했던 王妃 뭄타즈 마할(Mumtaz Mahal)을 追慕하여 만든 것이다. 무굴 帝國은 勿論 이탈리아, 이란, 프랑스를 비롯한 外國의 建築家와...

  • 알바니아系 印度 國籍의 로마가톨릭교회 修女. 1928年 修女가 된 뒤 1948年 人道에서 '사랑의 宣敎 修女會'를 創設하여 平生을 가난하고 병든 사람들을 위하여 奉仕하였으며, 1979年 노벨平和賞을 받았다. 本名은 阿녜즈 昆弟 보야지禹(Anjezë Gonxhe Bojaxhiu)이며, 普通 마더 테레사(Mother Teresa)라 부른다. 1910年 오스만제국의 位스퀴브(Uskub;只今의 마케도니아共和國 스코페)에서 로마가톨릭교회 信徒인 알바니아系 집안의 3男妹 中 막내로 태어나 信仰心이 敦篤한 어린 時節을 보냈다. 事業家이자 政治家로 活動하던 아버지 니콜 보야지禹(Nikollë Bojaxhiu)는 1919年 政治運動에 휘말려 死亡한 것으로 알려졌다. 1928年 아일랜드의 라스판햄(Rathfarnham)으로 가서 로레토修女會(Sisters of Loreto)로 알려진 동정聖母回(Institute of the Blessed Virgin Mary)에 立會하여 테레사(Teresa)라는 이름을 받았고, 基礎敎育과 英語를 익힌 뒤...

  • 印度의 首都로, 印度 北部 갠지스江의 支流인 자무나강 沿岸에 位置한다. 올드델리(Old Delhi)로 불리는 옛 首都部의 南쪽으로 5㎞距離에 세워진 都市로, 올드델리 및 周邊 地區 等과 함께 印度 政府의 聯邦 直轄地人 델리 首都特別地域을 構成한다. 印度의 首都로 印度 北部 갠지스江의 支流인 자무나강 沿岸에 位置한다. 델리 首都特別地域(National Capital Territory of Delhi, NCT)에 包含되어 있고, 東쪽으로 우타르 프라데시주와 接하고 나머지는 하리아나주와 接한다. 英國이 植民地 印度의 새 首都로 1911年부터 建設에 着手하여 20年에 걸쳐 完成한 計劃都市로, 넓은 道路網이 펼쳐진 印度 政治의 中心地다. 1951年 第1回 아시아競技大會와 1982年 第9回 아시아競技大會 게임의 開催地이기도 하다. 印度 交通의 中心地로, 이는 델리 首都圈을 中心으로 뻗어진 넓은 道路網이 펼쳐져 있기 때문이다. 올드델리(Old Delhi)와의 警戒에 코노트 플레이스라고 하는 原形의 公園...

  • 印度의 身分制度人 카스트의 最下位 階級. 카스트制度의 네 番째 階級인 勞動 階級을 일컫는 말이다. 傳統的으로 下人·淸掃夫 等 肉體勞動을 하는 職業을 갖고 있다. 바이샤가 一般 勤勞 및 商業에 從事하는 階層이라면, 수드라는 低級한 勞動 階層을 의미한다. 《바가바드기타》(18.44)에 따르면, 다른 사람을 위해 勞動하고 奉仕해야 하는 義務가 있다. 따라서 다른 세 階級에 獻身·服從하고 卑賤한 일을 遂行한다. 印度社會의 가장 낮은 階層으로 人口의 大多數를 形成한다. 브라만·크샤트리아·바이샤 等 上位 세 階級은 右派나야나(upanayana:入門式)를 거쳐 드비자(dvija:再生族)가 될 수 있으나, 수드라는 入門式을 올릴 수 없는 에카子(ekaja:一生族)라 하여 宗敎的으로 再生할 수 없음은 勿論, 歷史的으로 《베다》 祭式에서 除外되는 等 社會의 모든 面에서 差別을 받았다. 映畫 《밴디드 퀸》의 實存人物로 有名했던 印度의 女性 散炙 頭目 出身 國會議員 풀란 데비(Phoolan...

  • 印度 마하라슈트라 州의 都市 아잔타에 있는 佛敎 石窟로 1983年 유네스코 世界文化遺産으로 登載되었다. 印度의 마하라슈트라(Maharashtra)州의 北東部에 位置한 都市 아잔타 隣近에 있는 30個의 佛敎 石窟이다. 紀元前 2世紀부터 5世紀에 걸쳐 지어진 石窟들로 保存 狀態가 뛰어난 것으로 有名하다. 石窟들의 內部에는 印度의 佛敎 藝術 發達上을 보여주는 壁畫와 浮彫들이 남아 있다. 印度의 政府 機關 考古學 調査部署에서 保護하고 있으며 1983年 12月에 유네스코 世界文化遺産으로 指定되었다. 30個의 石窟은 U字 模樣으로 굽이쳐 흐르는 瓦鼓라 江(Waghora River)邊의 絶壁에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約 10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佛敎와 힌두敎, 자이나교 石窟 團地이자 유네스코 世界文化遺産인 엘로라 石窟(Ellora Caves)이 있다. 紀元前 2世紀부터 紀元後 100年 사이, 사타바하나(Satavahana) 王朝 時代에 만들어 진 다섯 個의 電氣 石窟과 바카打카(Vakataka) 王朝...

  • 引渡의 兒童權利運動가. 모든 兒童이 敎育을 받을 權利와 兒童 彈壓에 맞서 싸운 功勞로 2014年 末랄라 類似프자이와 함께 노벨平和賞을 受賞하였다. 1954年 印度 中部 마디아프라데시州의 비디샤(Vidisha)에서 태어났다. 어린 時節에 學校 代身 일터로 나가야 하는 가난한 親舊들의 現實에 衝擊을 받고 아이들의 悲慘한 삶을 바꾸겠다는 뜻을 품게 되었다. 以後 비디샤의 三라트아쇼크(Samrat Ashok) 工科大學의 電氣工學科를 거쳐 同 大學院에서 高電壓工學을 專攻하여 碩士學位를 取得한 뒤 보팔(Bhopal)에 있는 大學에서 몇 年間 講師로 學生들을 가르치다가 兒童權利運動에 投身하였다. 1980年 '아이들을 救하자'는 뜻의 '바車판 바差誤 안돌란(Bachpan Bachao Andolan)'이라는 兒童人權 非政府機構를 設立하고 兒童 勞動 搾取의 現場을 奇襲하여 아이들을 救出하는 한便, 兒童 勞動을 反對하는 캠페인을 벌이며 政府와 法院 等 有關 機關에 數千 通의 便紙를 보내고 數百 곳의...

  • 印度에 現存하는 由緖깊은 宗敎. 자나교라고도 한다. 佛敎와 마찬가지로 非正統(非正統) 브라만교에서 發生한 出家注意(出家主義) 宗敎이다. 佛殿(佛典)에서 니간타(Nigantha:尼乾陀)라고 傳하는 宗敎를, 釋迦와 같은 時代의 마하비라(Mah?v?ra)가 再整備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最高의 完成字를 지나(Jina:勝者)라 부르고, 그 가르침이라 하여 耆那敎 또는 자이나교라는 呼稱이 생겼다. 佛陀에서 연유하여 '佛敎'라는 呼稱이 생긴 것과 같은 理致이다. 敎祖(敎祖)의 出身과 人間形成, 地理的·文化史的 背景, 敎團 成立의 經緯도 佛敎와 類似한 點이 많다. 人道에서 하나의 宗敎로 成立된 以後 佛敎·힌두敎와 더불어 커다란 影響을 미쳐왔으므로, 印度의 傳統的 文化와 그 類型 無形의 遺産에 關해서 자이나교를 無視하고는 이야기할 수 없다. 佛敎와 敎團間의 密接한 交涉은 量宗敎의 原始 經典에서도 如實히 엿볼 수 있다. 傳承(傳承)에 依하면, 1世紀 末境 공의파(空衣派)와 백의파(白衣派)로...

  • 古代 印度의 《우파니샤드》 哲學에서 브라만(Brahman. 梵 )과 함께 가장 重要한 原理 가운데 하나. 끊임 없이 變化하는 '物質的 自我'(肉體, 생각, 마음)와 對備해 絶對 變치 않는 가장 內密하고 '超越的인 自我'(靈魂)를 말한다. 靈魂(靈魂)·生氣(生氣)를 의미하며, 그밖에도 아(我)·개아(個我), 또는 진아(眞我:참나)로 飜譯한다. 《우파니샤드》와 베단타학파에서는 生死를 넘어서 永遠히 存在하는 實體로 여겨졌다. 또 아트만(我)이 世上 全體에 펴져있는 宇宙的 靈魂이자 宇宙의 根本原理인 브라만과 窮極的으로 하나이며 同一하다는 범아일여(梵我一如) 思想을 내세웠다. 한便 佛敎에서는 不變의 實體인 아트만이 存在하지 않는다는 無我論(無我論)의 立場을 取했다. 산스크리트語로 元來 ‘呼吸’, ‘숨(息)’을 뜻하며, 韓國語의 ‘목숨’처럼 숨 쉬는 生命을 가리킨다. 따라서 아트만(숨)李 身體에서 떨어지면 人間은 生命을 잃게 된다. 그러나 이때에도 아트만은 죽거나 破壞되지 않고 곧바로...

位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