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韓國一般 : 네이버 知識百科

  • 1950年 6月 25日 새벽에 北韓 共産軍이 南北軍事分界線이던 38線 全域에 걸쳐 不法 南侵함으로써 일어난 韓半島에서의 戰爭. 1945年 第2次 世界大戰이 終結됨에 따라 韓國은 日本의 不法的인 占領으로부터 解放되었다. 그러나 카이로會談에서 나라의 獨立이 約束은 되어 있었으나, 北緯 38度線을 境界로 하여 남과 北에 美蘇 兩軍이 分割 進駐함으로써 國土의 分斷이라는 悲慘한 運命에 놓이게 되었다. 8月 9日 뒤늦게 對日戰에 參加한 蘇聯軍은 허울 뿐인 關東軍을 擊破하면서 破竹之勢로 南下하여 8月 13日 第25軍團의 一部가 淸津에 上陸하고, 8月 22日에는 平壤에 進駐하였다. 美軍 第24師團은 9月 8日에야 仁川에 上陸하여 이튿날 서울에 進駐하였다. 美蘇 兩軍의 韓半島 晋州 目的은 日本軍의 武裝解除 等 戰後處理에 있었다. 그러나 北韓에 進駐한 蘇聯 軍政當局은 南北間의 往來와 一切의 通信連絡을 斷絶시킴으로써 38度線을 南北을 가르는 政治的 境界線으로 만들었으며...

  • 아시아 大陸의 東쪽 끝 韓半島에 있는 나라로서, BC 約 2300年에 建國된 것으로 알려진 最初의 國家인 古朝鮮은 BC 108年까지 存在하였다. 高句麗, 백제, 新羅의 三國時代 및 南北國時代를 거쳐 中世에는 考慮가 세워졌으며, 以後 朝鮮이 建立되어 近代까지 이어졌다. 1910年부터 1945年까지의 日帝强占期를 거쳐 第2次 世界大戰 뒤 美國과 蘇聯 軍隊의 韓半島 分割 駐屯으로 緯度 38度를 基準으로 南北으로 나뉘었고, 韓半島 南쪽에 1948年 大韓民國이 樹立되었다. 1950年부터 韓國戰爭이 일어나 1953年 以後 休戰 中이며, 現在까지 分斷國家로 남아 있다. 大韓民國(大韓民國)은 '韓國(韓國)' 또는 '南韓(South Korea)'으로 줄여 부른다. 南北으로 길게 뻗은 半島와 3,200餘 個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北쪽은 1953年 休戰協定 以後 만들어진 休戰線과 非武裝地帶를 境界로 北韓을 接하고, 東쪽과 南쪽은 東海와 南海를 넘어 日本에 면하며, 西쪽에는 西海를 넘어 中國에 면한다. 中國, 日本...

  • 바다 關聯 産業의 重要性과 意義를 높이고 國民의 海洋사상을 鼓吹하며, 關係 從事員들의 勞苦를 慰勞할 目的으로 制定한 날. 1994年 11月, 유엔海洋法協約 發效를 契機로 海洋 自由利用 時代에서 海洋分割競爭 時代로 바뀌게 되면서 海洋을 둘러싼 國際 環境의 急激한 變化가 일어나자 이러한 國際 環境에 能動的으로 對處하고, 21世紀 海洋時代를 맞아 世界 海洋 强國으로 浮上하기 위해 1996年 制定한 法定 記念日로, 海洋水産部가 主管한다. 每年 5月 31日을 바다의 날로 定한 것은 統一新羅時代 場보고(張保皐) 大使(大使)가 淸海鎭(淸海鎭)을 設置한 날을 記念하고, 또 國民 祝祭 時期에 適合하다는 理由에서이다. 이 날 行事는 全國 地方海運港灣廳과 海洋警察署, 海軍 및 海兵隊, 關聯 機關 等에서 各各 特性에 맞는 行事를 開催하는데, 主로 港灣 및 바다 淸掃, 國民 啓蒙, 水産資源 保護 等과 關聯된 行事를 한다. 張保皐가 淸海鎭을 設置했던 莞島에서는 5月 27日부터 5月 31日까지를...

  • 朝鮮의 第15代 王(在位 1608~1623). 壬辰倭亂 以後 富國强兵의 기틀을 다졌다. 하지만 仁祖反正으로 廢位되었다. 朝鮮王朝 第15代 王으로 在位期間은 1608年에서 1623年까지이다. 이름은 離婚(李琿), 本貫은 全州, 宣祖(宣祖)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공빈 金氏(恭嬪金氏)이며 非(妃)는 判尹 유자신(柳自新)의 딸이다. 世子 冊封 問題로 臨海君과 葛藤을 빚었으나 1592年 壬辰倭亂이 發生하였을 때 國難에 對備한다는 名分으로 避難地 平壤에서 世子에 冊封되었다. 宣祖와 함께 義州로 避難을 가다가 寧邊(寧邊)에서 갈라졌다. 宣祖는 義州로 向하고 光海君은 權攝局社(權攝國事)의 職位를 맡아 分組(分朝)의 責任者로 平安道 地域으로 出發하였다. 壬辰倭亂 期間 中에 平安道·江原道·黃海道 等地를 돌면서 民心을 收拾하고 倭軍에 對抗하기 위한 軍事를 募集하는 等 積極的인 分組活動을 展開하였다. 서울을 收復한 後 무군사(撫軍司)의 業務를 擔當하여 首都 防衛에도 힘을 기울였다. 1597年...

  • 朝鮮王朝 第 25代 王(在位 1849~1863). 1844年 家族과 함께 江華에 流配되었다가 1849年 宮中에 들어와 憲宗의 뒤를 이어 卽位했다. 1852年부터 親庭을 始作했으나 政治에 어둡고 外戚인 安東 金氏 一派의 專橫으로 三政의 紊亂이 極에 達했다. 휘(諱) 便(?). 初名 原犯(元範). 者 度僧(道升). 號 代用財(大勇齋). 電界大院君(全溪大院君) 狂( )의 셋째 아들로, 祖父는 莊祖(莊獻世子)의 아들인 은언군이다. 비(妃)는 철인왕후(哲仁王后) 金氏(金氏)이다. 1844年(憲宗 10) 兄 回評軍(懷平君) 名(明)의 獄事(獄事)로 家族과 함께 强化(江華)에 流配되었다가, 1849年 大王大妃 순원왕후(純元王后:純祖妃)의 命으로 宮中에 들어와 德완군(德完君)에 冊封되었으며, 1849年 19歲로 憲宗의 뒤를 이어 卽位하였다. 卽位 後 大王大妃 金氏가 垂簾聽政(垂簾聽政)을 하였으며, 1851年 大王大妃의 近親人 김문근(金汶根)의 딸을 王妃를 삼았다. 文瑾은 國舅(國舅)로서 政權을 掌握, 安東 金氏의 勢道政治가...

  • 朝鮮時代의 畫家. 영.正祖의 文藝復興期부터 純祖 年間 初期에 活動했다. 어린 時節 姜世晃의 指導를 받아 그림을 그렸고, 그의 推薦으로 圖畫署 花園이 되어 正祖의 信任 속에 當代 最高의 畫家로 자리 잡았다. 山水, 人物, 悼惜, 不和, 花鳥, 風俗 等 모든 장르에 능하였지만, 特히 山水畫와 風俗畫에서 뛰어난 作品을 남겼다. 金弘道(金弘道)는 1745年(英祖 21)에 태어났다. 出身 家門은 元來 武班에서 中人으로 轉落한 집안이라는 것만 確認되고, 어디에서 태어났는지에 對해서는 아직까지 明確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다만, 그의 나이 7, 8歲 때부터 京畿道 安山에 있는 강세황(姜世晃)의 집에 드나들며 그림을 배웠다는 記錄으로 미루어 어린 時節을 安山에서 보낸 것으로 推定된다. 강세황은 當代의 鑑識家이며 文人畫家로 이 두 사람의 關係는 스승과 弟子로 始作하여 다음에는 職場의 上下 關係로, 나중에는 藝術的 同志로 姜世晃이 世上을 떠나는 1791年, 金弘道의 나이 47歲까지...

  • 1960年 4月 19日에 絶頂을 이룬 韓國 學生의 一連의 反否定(反不正)·反政府 抗爭. 1960年 4月 19日 自由黨 政權이 李起鵬을 副統領으로 당선시키기 위하여 開票를 造作하자 이에 反撥하여 不正選擧 無效와 再選擧를 主張하며 學生들이 中心이 되어 일으킨 革命이다. 政府樹立 以後, 許多한 政治波動을 惹起하면서 永久執權(永久執權)을 꾀했던 李承晩(李承晩)과 自由黨政權(自由黨政權)의 12年間에 걸친 長期執權을 종식시키고, 제2공화국(第二共和國)의 出帆을 보게 한 歷史的 轉換點이 되었다. 이는 非合憲的(非合憲的)인 方法으로 憲政體制(憲政體制)의 變革과 政權交替를 結果하였기 때문에 初期에는 一般的으로 革命(革命)으로 規定하여 이를 4月革命, 4·19革命, 4·19學生革命, 또는 4·19民主革命 等으로 불리었으나 5·16軍事政變 以後 이를 依據(義擧)로 規定하여 一般化되었다가 文民政府(김영삼政府)가 들어서면서 革命으로 還元되었다. [ 間接原因] 4·19革命을 招來하게 된...

  • 韓民族이 日本의 植民統治에 抗拒하고, 獨立宣言書를 發表하여 韓國의 獨立 意思를 世界 萬邦에 알린 날을 記念하는 날로 韓國의 國慶日이다. 陽曆 3月 1日이다. 大韓民國臨時政府 時節부터 國慶日로 指定하여 記念하였던 날로, 韓國의 5代 國慶日 中 하나이기도 하다. 臨時政府에서는 1920年에 3·1節을 國慶日로 指定하여 國慶日 名稱을 ‘獨立宣言日’이라 稱하였으며, 3月 1日을 ‘大寒人이 復活한 聖스러운 날(聖日)’로 內務部 布告를 公布하였다. 3·1 獨立宣言 1周年 記念式은 傷害 올림픽大劇場에서 盛大하게 進行되었다. 以後에도 3月 1日은 光復을 熱望하는 獨立運動家들과 온 民族에게 가장 큰 記念日이자 祝祭의 날이었으며, 中國, 美洲 等의 海外 同胞들 또한 3·1節이 되면 다양한 行事를 통해 民族의 獨立을 念願하였다. 光復 以後 美軍政 治下에서는 1946年 2月 21日 軍政法律 第2號 ‘慶祝日 恐怖의 關한 건’을 公布하여 慶祝日로 指定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大韓獨立을...

  • 食肉目 족제비科의 哺乳類. 1982年 11月 16日 天然記念物로 指定되었다. 몸길이 63∼75cm, 꼬리길이 41∼55cm, 몸무게 5.8∼10kg이다. 形態는 족제비와 비슷하지만 훨씬 더 크고 水中生活을 하기에 알맞다. 머리는 圓形이고, 코는 둥글며, 눈은 작고, 귀는 짧아서 주름가죽에 덮여 털 속에 묻혀 있다. 꼬리는 둥글며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네 다리는 짧고 발가락은 발톱까지 물갈퀴로 되어 있어 헤엄치기에 便利하며 걸어다닐 때 발가락 全體가 땅에 닿는다. 온몸에 密生한 짧은 털은 굵고 暗褐色이며 光澤 있는 가시털로 몸 아랫면은 淡色이다. 목 아래와 머리의 兩쪽은 灰色이고, 귀의 끝은 軟한 빛깔이다. 다리·입술의 밑 中央部에 白色의 斑點이 있다. 물이 있는 環境을 가장 좋아한다. 발톱이 弱하기 때문에 땅을 파서 보금자리를 만들지 못한다. 夜行性이고, 낮에는 보금자리에서 쉬며, 갑자기 危險 狀態에 놓이면 물속으로 潛伏한다. 外部感覺이 發達되어 밤낮으로 잘 보며, 작은...

  • 朝鮮의 第16代 王(在位 1623~1649). 光海君 때의 中立政策을 止揚하고 半金親命 政策을 썼다. 難局 속에서도 軍制를 整備해 摠戎廳 · 守禦廳 等을 新設했으며, 北邊 方位와 沿海 防衛를 위하여 여러 곳에 陣을 新設했다.《동사보편》등의 書籍도 刊行되었고, 송시열 · 宋浚吉 等의 大學者·大政治家가 排出되기도 했다. 者 畫伯(和伯). 號 誦唱(松窓). 휘 種(倧). 宣祖의 孫子이고 아버지는 정원군(定遠君:元宗으로 追尊), 어머니는 인헌왕후(仁獻王后)이다. 비는 한준겸(韓浚謙)의 딸 인열왕후(仁烈王后), 繼妃(繼妃)는 조창원(趙昌元)의 딸 장렬왕후(莊烈王后)이다. 1607年(宣祖 40) 陵양도정(綾陽都正)에 封해졌다가 後에 능양군(綾陽君)으로 進封되었다. 1623年 김류(金?)·김자점(金自點)·李貴(李貴)·李适(李适) 等 西人(西人)의 反正(反正)으로 王位에 올랐다. 1624年 李适이 叛亂을 일으켜 서울을 占領하자 一時 公主(公州)로 避難하였다가 都元帥 장만(張晩)이 이를 擊破한 뒤 還都하였다....

  • '太極旗(太極旗)'라고 한다. 1882年 製作된 後 1883年(高宗 20) 朝鮮의 國旗로 制定되었고, 1949年 10月 15日 大韓民國 國旗로 公布되었다. 國紀 制定 論議가 처음으로 擧論된 것은 1876年(高宗 13) 1月이다. 운요號事件[雲揚號事件]을 契機로 한·일 間에 江華島條約 締結이 論議되는 동안 日本側은 "운요호에는 儼然히 日本의 國旗가 揭揚되어 있었는데 왜 砲擊(砲擊)을 加하였느냐?"고 트집을 잡았다. 그러나 朝廷의 人士들은 國旗가 무슨 意味와 內容을 지니고 있는 것조차 몰랐다. 이것이 契機가 되어 國紀 制定의 必要性이 活潑하게 擧論되기 始作하였다. 以後 1882年 中國 淸나라의 馬建忠(馬建忠)李 淸나라의 國旗를 본받아 朝鮮의 國旗를 만들 것을 强要하자, 이에 憤慨한 高宗이 淸나라의 國旗를 따르지 않고 靑色과 赤色으로 이루어진 太極院과 師卦를 그려 國旗로 定한다는 命을 내렸다. 1882年 5月 22日 조미修好條約 調印式에서 高宗의 命에 따라 譯官 이응준이 太極旗

  • 日帝 强占期에 끝까지 民族의 良心을 지키며 죽음으로써 日帝에 抗拒한 是認.《靑葡萄》, 《喬木》 等과 같은 作品들을 통해 牧歌的이면서도 雄渾한 筆致로 民族의 意志를 노래했다. 號 陸士(陸史). 本名 원록(源祿) 또는 圓衫(源三), 開明은 활(活). 慶北 安東(安東) 出生. 祖父에게서 漢學을 배우고 大邱 嶠南(嶠南)學校에서 受學하였으며, 1925年 獨立運動團體인 義烈團(義烈團)에 加入하였다. 1926年 베이징[北京]으로 가서 베이징 士官學校에 入學하였고, 1927年 歸國했으나 장진홍(張鎭弘)의 朝鮮銀行 大邱支店 爆破事件에 連累되어 大邱刑務所에서 3年間 獄苦를 치렀다. 그 때의 囚人番號 264를 따서 號를 ‘陸士’라고 지었다. 出獄 後 다시 베이징大學 社會學科에 入學, 數學 中 루쉰[魯迅] 等과 사귀면서 獨立運動을 繼續했다. 1933年 歸國, 陸士란 이름으로 詩 《黃昏(黃昏)》을 《新造船(新朝鮮)》에 發表하여 詩壇에 데뷔, 新聞社·雜誌社를 轉轉하면서 始作 外에 論文·시나리오까지...

  • 高宗의 일곱째 아들로 1907年 兄인 順從이 卽位한 뒤에 皇太子가 되었고, 1926年 純種이 죽은 뒤에는 已往의 地位를 繼承했다. 1907年 日本으로 건너가 日本 王族인 마사코와 政略結婚을 하였으며, 日本 王族으로 待遇를 받으며 日本軍 將星을 지냈다. 이름은 은(垠), 兒名은 油길(酉吉), 號는 明輝(明暉)이다. 高宗의 일곱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순헌황귀비(純獻皇貴妃) 嚴氏(嚴氏)이다. 1900年 英親王(英親王)이라는 封號(封號)를 받았으며, 1907年 異服兄인 純宗(純宗)李 子息이 없는 狀態에서 皇位에 올랐을 때 兄인 의친왕(義親王)을 제치고 皇太子가 되었다. 그리고 1910年 日帝의 國權侵奪로 順從이 ‘已往(李王)’으로 불리게 된 뒤에는 ‘이왕세子(李王世子)’價 되었다가 1926年 純種이 죽은 뒤에는 第2代 已往으로 卽位하였다. 1907年 皇太子가 된 뒤에 痛感(統監)으로 赴任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後見人으로 삼아 日本으로 건너가 生活했으며, 1911年 日本의...

  • 朝鮮 第7代 王(在位 1455~1468). 世宗의 둘째아들로 태어나 首陽大君에 封해졌다. 문종이 死亡하자 어린 端宗을 除去하고 武力으로 王位를 簒奪하였다. [세종대왕의 둘째 아들로 出生] 1417年 世宗의 둘째 아들로 出生하였으며, 어머니는 소헌왕후(昭憲王后) 沈氏(沈氏)이다. 휘(諱)는 有(?), 字는 水枝(粹之), 諡號는 혜장(惠莊)이다. 輪番(尹?)의 딸과 婚姻하였으며 王位에 登極하여 정희왕후(貞熹王后)가 되었다. 兄인 文宗에 비해 學問보다 武藝(武藝)에 能하고 兵書(兵書)에 밝았으며, 陳平大軍(晉平大君)·咸平大君(咸平大君)·振揚대군(晉陽大君)이라 稱하다가 1445年(世宗 27)에 首陽大君(首陽大君)에 封해졌다. 世宗의 뒤를 이어 王位에 오른 文宗이 在位 2年 3個月 만에 갑자기 昇遐하고, 12歲의 어린 나이로 홍위(端宗)가 卽位하자 自身이 王位에 오르기 위한 野望을 가지게 되었다. [ 王位簒奪] 首陽大君은 권람(權擥)·한명회(韓明澮)·홍달손(洪達孫)·楊汀(楊汀) 等 30餘 仁義...

  • 食肉目 곰科의 哺乳類. 1982年 11月 16日 天然記念物로 指定되었다. 아시아黑곰의 亞種이다. 몸길이 約 1.9 m, 꼬리길이 約 8 cm이다. 불곰에 비해 작다. 온몸이 光澤 있는 검은色이며, 앞가슴에 半달 模樣의 하얀 V字形 무늬가 있다. 이 半달무늬는 個體에 따라 變異가 있어 큰 것도 있고 작은 것도 있으며, 드물게는 半달무늬가 없는 個體도 있다. 코는 뾰족하고 짧으며, 이마가 넓다. 귀는 比較的 크고 옆으로 突出했다. 발은 比較的 弱하며, 발가락은 불곰보다 짧지만 발톱은 날카롭고 銳利하며 구부러졌다. 果實이나 도토리와 같은 열매가 많은 密林地帶에서 棲息한다. 主로 植物性 먹이로서 벚나무열매, 머루, 山딸기, 다래 等을 먹는데 가장 좋아하는 것은 도토리이다. 봄에는 山林에서 나무의 어린 싹, 잎, 뿌리를 캐 먹으며 썩은 나무를 파서 昆蟲의 애벌레와 개미, 昆蟲의 번데기 等을 먹는다. 以外에 개울에서 가재나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으며 鳥類의 알이나 새끼도 잡아먹는다....

位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