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두드럭징거미새우

물속 生物 도감

두드럭징거미새우

學名 Macrobrachium koreana Kim and Han
生物學的 分類 : 節肢動物文(Arthropoda)
: 年甲江(Malacostraca)
: 징거미새우科(Palaemonidae)
棲息地 유수역 : 平地河川, 江
정수역 : 蓮못, 人工湖
攝食 주워먹는무리(gathering collectors)
行動 基는無理(sprawlers)
環境指標 汚染耐性度 : 普通
環境질點數 : 2
管理現況 韓半島固有種, 國外搬出承認種, NIER特異種

形態

크기는 60mm 以上으로 大型 種이고, 褐色을 띠지만, 棲息環境 및 個體에 따라 差異가 있다. 이마뿔의 길이는 甲殼의 約 0.7倍이며, 이빨이 8~11個 있다. 第1~2가슴다리는 顯著히 길고 크며, 第2가슴다리는 第1가슴다리에 비해 길다. 第2가슴다리 表面에는 작고 鈍한 가시들이 나 있다. 第2가슴다리 집게에는 剛毛가 密生한다.

同情 포인트

이마뿔, 第2가슴다리

生態

蓮못, 댐號 等 정수역과 平地河川 等 有數驛에 主로 棲息한다. 有機物 및 水邊植物이 豐富한 水邊部에서 發見된다. 하상의 有機物을 주워 먹으나 水生動物의 死體 等을 먹기도 한다.

分布

全國的으로 分布하며, 主要 棲息地는 忠淸南道 鷄龍市 信徒顔面 용동리 一大 貯水池 等이다.

關聯이미지 5

두드럭징거미새우

두드럭징거미새우

이미지 갤러리

出處: 물속 生物 도감

1 / 5

위 이미지에 對한 權利는 出處사이트 揭示者에게 있으며, 이를 無斷 使用할 境遇 法的 責任을 질 수 있습니다.

出處

提供處 情報

물에 사는 動物 中 물고기처럼 뼈가 있는 것을 除外한 물속 動物을 ‘著書性 大型無脊椎動物’이라고 한다. 게, 새우, 다슬기, 거머리, 옆새우, 플라나리아, 물방개, 잠자리, 하루살이 等 우리나라에는 1,000種이 넘는 著書性 大型無脊椎動物이 산다. 그 中 寫眞으로 區別이 可能한 358種을 選定해 棲息環境과 함께 紹介했다. 물속 生物들은 水質을 가늠하는 指標種이다. 맑은 溪谷, 都心을 가로지는 江에 사는 種도 있고, 蓮못이나 웅덩이 같은 고인 물에 사는 種도 있다. 水質 汚染을 견디는 程度가 제各各인 물속 生物들은 自身에게 맞는 물環境을 찾아가 살기도 하지만, 스스로 물環境을 가꾸기도 한다. 맑은 물을 만드는 主人公이자, 우리나라 냇물의 참 主人들이다. 물속 生物에 關한 資料가 매우 不足했던 터에, 물環境을 硏究하는 많은 專門家들에게 큰 도움이 되고, 냇물觀察 體驗學習이 人氣를 끌고 있는 요즘, 敎育者와 어린이들에게도 든든한 親舊가 되어줄 冊이다. 仔細히보기

본 콘텐츠의 著作權은 著者 또는 提供處에 있으며, 이를 無斷 利用하는 境遇 著作權法 等에 따라 法的責任을 질 수 있습니다.
外部 著作權者가 提供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立場과 다를 수 있습니다.

位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