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스웨덴

韓國民族文化大百科

스웨덴

[ Sweden, Kingdom of Sweden ]

스웨덴의 국기

푸른 바탕에 노란色 스칸디나비아 十字架 그려져 있다.

異稱別稱 스웨덴王國, Kingdom of Sweden
類型 指名/國家
時代 現代
性格 國家
位置 유럽 北部 스칸디나비아半島
人口 980萬 1616名(2015年 現在)
面積 45萬 295㎢
수도 스톡홀름
言語 스웨덴語
宗敎 福音루터교, 가톨릭교
政治·議會形態 立憲君主制, 議員內閣制, 單院制

正義

유럽 北部 스칸디나비아半島에 있는 立憲君主國.

開館

正式 名稱은 스웨덴王國(Kingdom of Sweden)으로, 스칸디나비아半島 東南部에 位置하며, 海岸線의 길이가 3,218㎞에 達한다.

面積은 44萬 9964㎢, 人口는 980萬 1616名(2015年 現在), 首都는 스톡홀름(Stockholm)이다.

種族構成은 게르만족人 스웨덴人이 95%를 차지하며, 핀란드人이 4% 程度이다. 스웨덴語가 公用語이며, 全國民의 87%가 基督敎의 한 分派인 福音루터교를 믿으며, 가톨릭교가 1.5% 이다.

氣候는 겨울은 寒冷하고 여름은 溫和하다. 다른 西유럽帝國에 비하여 工業化 着手가 多少 늦었으나 第1·2次 世界大田市 戰爭需要에 힘입어 工産品 爲主의 輸出主導型 經濟로 發展하였다.

그 뒤 1960年代의 自由貿易環境, 勞使關係의 協助雰圍氣, 政治的 安定 等에 힘입어 世界的인 産業國家로 登場하였다. 特히, 豐富한 水力, 林産資源, 鐵鑛石 等을 利用한 機械·運送機器·에너지·通信·電子·電氣 部門의 産業이 發展하였다.

스웨덴은 北歐의 樂園이라 불리는 世界最高水準의 福祉國家로서, 全國民에 對한 醫療惠澤·失業手當·無料敎育·老後年金 等 完璧한 社會保障制度를 實施하고 있다.

2014年 現在 國民總生産은 5697億 달러, 1人當 國民所得은 4萬 5895달러이다.

이 나라의 正體는 立憲君主制의 議員內閣制이며, 議會는 任期 4年의 單院制(349席)이다. 主要 政黨은 社民黨, 保守黨, 左派黨, 基民黨, 自由黨, 中央黨 等이다.

藥師

이 나라의 歷史는 中世 初期 스베아족이 中部地方에 村落을 形成하면서 始作되었다. 9∼11世紀의 바이킹時代를 거쳐 13世紀 初에 申王朝를 創始한 비르에르얄(Birger Jarl)李 統一國家의 基礎를 닦았다.

14世紀 末 隣接한 덴마크·노르웨이와 함께 칼마르同盟을 結成하였고, 1523年 구스타브 에릭슨(Gustav Eriksson)의 指揮 아래 獨立할 때까지 事實上 덴마크王朝의 支配를 받아왔다. 1809年 6月 憲法을 制定하였고, 17世紀 後半에는 한때 유럽의 强大國으로 局勢를 떨치기도 했으나, 나폴레옹戰爭 以後 덴마크로부터 讓渡받은 領土인 노르웨이가 1905年에 獨立함에 따라 오늘날의 스웨덴을 이루게 되었다.

現在 名目上의 國家元首는 國王이지만 政治權力은 受賞의 責任下에 行使되는 內閣責任制 政府形態이다. 1973年 9月 卽位한 구스타프 16歲(Carl Gustaf ⅩⅥ) 國王 아래 實權者 總理가 內閣을 이끌고 있다.

對外的으로는 中道右派 立場을 取하고 있으며, 1946年 유엔에 加入하였다. 스웨덴의 外交政策의 基調는 한마디로 ‘展示의 中立을 目標로 한 平和時의 非同盟’이다. 따라서 完璧한 防衛能力을 保有하고, 有事時에는 立體的으로 擊退한다는 總力防衛槪念으로서, 主要 物資 備蓄, 生産代替 態勢 및 展示 對比 兵力 動員體制를 갖추고 있다.

韓國과의 關係

스웨덴은 6·25戰爭 當時 野戰病院線을 派遣한 바 있으며, 休戰 後에는 中立國監視委員團으로 活躍하고 있어, 實質的인 兩國關係는 1959年 3月 11日 正式 外交關係를 樹立하기 以前부터 始作되었다. 1959年 5月 週 英國 大使가 初代 公社로 信任狀을 制定하였으며, 1960年에는 兩國關係가 大使級 外交關係로 昇格되었다. 1963年 7月에는 駐 스웨덴 韓國尙州大使館이 設置되었으며, 2008年 現在 存續되고 있다. 스웨덴은 1973年 7月에 週 韓國 尙州大使館을 設置하였다.

兩國은 1968年 7月 家族計劃에 關한 技術 協定을 締結한 以來, 1969年 10月 査證免除 協定, 1978年 2月 纖維 協定, 1981年 5月 二重課稅防止 協定, 1983年 11月 스포츠交流 協定, 1985年 1月 經濟 및 科學技術協力 協定, 1997年 6月 投資增進 및 保護 協定을 締結한 바 있다.

스웨덴은 우리나라의 農漁村 通信施設現代化作業, 中小都市 市外自動電話交換機設置計劃에 參與하는 等 韓國企業과의 合作投資를 擴大시켜가고 있다. 特히, 우리나라의 海外市場 開拓能力과 스웨덴의 技術 및 資本이 合作하여 第3國에 플랜트·엔지니어링 中心의 海外建設 分野 等에 共同 進出에 關心을 가지고 있다.

2015年 現在 우리나라의 對 스웨덴 輸出額은 6億 9900萬 달러로 주종목은 乘用車·携帶電話·蓄電池·自動車部品 等이고, 輸入額은 15億 9100萬 달러로 주종목은 鑄鐵·貨物自動車·醫藥品·原動機 等이다.

第24回 서울올림픽大會에는 284名의 스웨덴 選手團이 參加하였다. 2007年 現在 스웨덴에는 KOTRA를 비롯하여 현대自動車, 삼성전자, LG電子 等의 業體가 進出해 있으며, 1萬 64名의 韓國民 僑民과 159名의 滯留者가 있다. 大部分의 僑民들은 스톡홀름 等 大都市에 居住하고 있으며, 다른 나라에 居住하는 僑民들에 비해 安定된 生活을 營爲하고 있다.

또한, 僑民 및 滯留者들의 親睦團體로 1962年에 組織된 再스웨덴韓人會가 있으며, 僑民 以外에 韓國出身 入養孤兒가 많이 居住하고 있다.

한便, 北韓은 1973年 4月 7日 外交關係를 締結하고, 같은 해 6月 尙州大使館이 開設되었으며, 2008年 現在 存續되고 있다.

1976年에는 北韓外交官의 密輸事件으로 兩國 關係가 所願해졌고, 北韓의 代 스웨덴 債務償還 失敗로 冷却狀態가 持續되었으나, 北韓의 債務償還으로 1983年 以後 漸次 關係가 正常化되어가고 있다.

兩側은 1973年 11月에 貿易 協定, 1996年 1月에 工業所有權協力 協定을 締結하고, 2002年 4月에는 經濟 및 技術 協助에 關한 合意書를 交換한 바 있다.

2014年 現在 北韓의 代 스웨덴 輸出額은3만 2000달러로 주종목은 電氣機器·雜品 等이고, 輸入額은 34萬 달러로 주종목은 鐵鋼·化學製品·動物性油脂 等이다.

스웨덴 안의 韓國 文化

스웨덴에 우리 文化가 紹介된 것은 구스타프 6歲(Gustaf Ⅵ) 國王이 王子이던 1920年代에 慶州의 古墳發掘에 參加한 뒤 若干의 값진 遺物을 가져간 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韓國에 關한 本格的인 硏究는 1956年이 되어서야 웁살라大學校에서 처음으로 始作되었다. 그러다가 1969年 東아시아 言語硏究와 敎育體系가 再組織됨에 따라 韓國學硏究는 스톡홀름代學校로 移讓되었다.

그 뒤 이 大學의 東洋言語硏究所에는 韓國語 關係의 正規講座가 開設되어 只今까지 繼續되고 있다. 講座는 初級班·中級班 및 高級班Ⅰ·Ⅱ로 되어 있고, 時間講師들이 이들 科目을 擔當한다. 1974年에는 「中部韓國語의 抑揚에 關한 硏究(A Study on Tones and Tone marks in Middle Korea)」라는 題目의 博士學位論文이 나왔다.

韓國語의 語源과 알타이 比較言語學에 對한 硏究作業도 進行되고 있다. 韓國에 關한 硏究는 다른 大學校의 여러 硏究所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1970年代 末웁살라大學校의 經濟史硏究所에는 여러 學生이 韓國經濟를 硏究하고 같은 大學 社會學硏究所에서는 博士學位 過程에 韓國家族社會學을 두기도 하였다.

스톡홀름代學校의 經濟硏究所는 「南北韓의 生態問題들(Ecological Questions in Different Parts of Korea)」이라는 題目의 博士學位論文을 같은 때 통과시켰다. 이 大學校의 經濟史硏究所와 政治科學硏究所에서도 若干의 學生들이 韓國을 主題로 硏究하고 있다.

特히, 룬드大學校 經濟科學課에서는 南北韓의 敎育 및 社會體系에 對한 比較硏究가 行하여져 1978年 그 結果가 『韓國의 敎育(Utbildung in Korea)』이라는 冊으로 出版되었다. 같은 大學校의 平和 및 人間生態學硏究所에서도 같은 해「大韓民國의 經濟開發에 있어서 外國資本(Foreign Capital in the Development of the Republic of Korea)」이라는 博士學位論文이 나왔다.

이들 硏究를 위한 韓國關係圖書는 스톡홀름 大學圖書館에 얼마間 있고, 구스타프 6歲의 極東硏究圖書館에는 꽤 많이 모아져 있다. 1980年 이 極東硏究圖書館에다 스톡홀름代學校·스웨덴王立圖書館·極東高美術博物館의 東아시아關係 所藏品을 統合하여 스톡홀름代學校에 太平洋아시아硏究센터(Center for Pacific·Asian Studies)가 設立되었으며, 여기에는 數千 卷의 韓國學圖書가 갖추어져 있다.

特히 웁살라大學校의 東아시아言語硏究所는 韓國의 高印刷資料를 水葬하여 特記할만하다. 이들 資料를 中心으로 1974年 ‘韓國高印刷展示會’가 開催된 일도 있다. 韓國文化關係의 遺物을 多少間 所藏하고 있는 스웨덴의 博物館·美術館은 無慮 15個所에 이른다. 舞踊博物館 等의 特殊博物館에는 少數의 遺物만이 있을 뿐이고, 相當한 韓國所藏品으로 이름난 곳은 스톡홀름에 있는 東아시아博物館과 民族學博物館을 손꼽는다.

前者에는 書畫·陶瓷器·印刷術 等의 藝術遺物이 所藏되어 있고, 後者에는 韓國의 民俗品을 中心으로 다양한 遺物이 모아져 있다. 이 밖에 스톡홀름의 國立博物館도 若干의 韓國遺物을 所藏하고 있다.

2009年 4月 11日에는 全南 康津郡에서 80餘 日間 스웨덴을 비롯한 유럽 8個國, 9個 主要都市를 巡廻하며 高麗靑瓷의 創意性과 優秀性을 알린 바 있다.

스웨덴 位置

參考文獻

  • 『世界各國便覽』(外交通商部, 2008)
  • 『韓國의 槍』(동아일보사, 2008)
  • 『海外同胞現況』(外交通商部, 2007)
  • 『世界貿易統計』(韓國貿易協會, 2007)
  • 『主要輸出入統計』(關稅廳, 2007)
  • 『스웨덴 槪況』(外交通商部, 2006)
  • 『스웨덴』(産業硏究院 篇, 先進國國別便覽, 1986)

關聯이미지 2

스웨덴 국기

스웨덴 國紀

이미지 갤러리

出處: 스웨덴 槪況

1 / 2

위 이미지에 對한 權利는 出處사이트 揭示者에게 있으며, 이를 無斷 使用할 境遇 法的 責任을 질 수 있습니다.

본 콘텐츠의 著作權은 著者 또는 提供處에 있으며, 이를 無斷 利用하는 境遇 著作權法 等에 따라 法的責任을 질 수 있습니다.
外部 著作權者가 提供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立場과 다를 수 있습니다.

位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