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掌匣

1%를 위한 常識百科

掌匣

[ Gloves ]

要約 用途는 일, 스포츠, 禮服, 庭園 가꾸기 等이다. 慣用的인 表現으로 ‘fits like a glove’는 ‘꼭 맞다’는 意味이고, ‘throw down the glove(gauntlet)’는 ‘挑戰하다’라는 意味이다.
장갑

人類는 掌匣(Gloves)을 衣服으로 생각하기도 했지만, 同時에 패션 액세서리로도 活用해왔다. 勿論 어떤 地域에서는 防寒用 掌匣이 必要하지 않다. 하지만, 스포츠를 비롯한 다른 여러 가지 活動을 할 때, 손을 保護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裝甲의 機能은 地域을 莫論하고 그 어느 時代보다 다양해졌으며, 또 重要해졌다. 그리고 지난 數世紀 동안은 掌匣이 必須的인 액세서리로 자리를 잡아가는 時期였다. 오늘날에는 大部分이 손의 保護나 액세서리로 掌匣을 낄 뿐, 儀式을 위해 掌匣을 끼는 일은 아주 특별한 行事에서나 볼 수 있는 珍貴한 風景이 되어버렸다.

先史時代 사람들은 아주 粗雜하게 만든 掌匣으로 손을 감쌌다. 제대로된 掌匣의 登場은 오랜 時間이 지난 後의 일이다. 古代 그리스와 로마인들의 文學作品에서도 掌匣이 登場한다. 例를 들어, 호머(Homer)는 오디세우스의 아버지인 라에르테스(Laertes)를 描寫하는 場面에서 그가 庭園에 있는 딸기가시 때문에 掌匣을 끼고 있다고 말했다. 그렇지만 掌匣에 關한 本格的인 記錄이 登場하는 것은 掌匣이 女性 패션의 一部가 되었던 13世紀에 접어들면서부터였다.

掌匣에는 符籍과 같은 特徵도 있었으며, 意思表現의 手段으로 使用되기도 했다. 男性들이 긴 掌匣을 벗어 相對에게 던지는 것은 挑戰을 의미했으며, 淑女가 技士에게 掌匣을 건네는 것은 承諾을 表示하는 意味로 받아들여졌다. 엘리자베스 1歲(Queen Elizabeth Ⅰ)는 自身의 아름다운 손을 돋보이게 만들기 위한 小道具로 掌匣을 즐겨 使用했는데, 無慮 2,000 켤레 以上의 掌匣을 가지고 있었다고 傳해진다. 또한 그女는 掌匣에 鄕愁 를 뿌리는 것을 아주 좋아했는데, 그 때문에 ‘메트르 장티에 파르푸메르(maitres gantiers parfumeurs)’, 卽 掌匣을 만드는 匠人과 香水 製造의 名人이 英國과 프랑스에서 脚光받았다.

장갑

19世紀에는 女性들이 적어도 한 치數 以上 작은 掌匣을 選好했다. 이는 섬세한 손과 함께 女性스러운 움직임을 强調하는 效果가 있었기 때문이다. 한 치數 以上 差異가 나는 염소가죽 掌匣에 손을 넣기 위해서 女性들은 掌匣을 늘이는 번거로운 過程과 손이 꽉 끼는 수고로움을 甘受해야 했다. 甚至於 下女들은 이를 위해 파우더를 準備하기도 했다. 20世紀 後半에도 掌匣은 如前히 格式 있는 女性들의 옷차림에 빠지지 않고 登場하는 重要한 액세서리이다.

醫療用 라텍스(latex) 掌匣이 發明된 것은 掌匣의 歷史에 있어서 가장 革新的인 業績 中 하나이다. 라텍스 掌匣을 끼면서부터 그 어떤 汚染 없이 看護師는 注射를, 醫師는 診療를, 그리고 硏究員은 標本을 加工 處理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出處

提供處 情報

些少한 것들의 起源과 歷史! 鉛筆, 단추, 포크, 커피, 냅킨 等은 너무나 些少하고 익숙한 物件이어서 그냥 當然하게 여기며 使用하지만, 萬若 없다고 생각하면 相當한 不便을 甘受해야 하는, 그러므로 반드시 必要한 物件들이다. 『1%를 위한 常識百科』는 이처럼 우리가 使用하는 다양한 物件들이 어떻게 只今의 모습이 되었는지에 對해 說明한다. 假令, 美國에서 가장 一般的인 模樣의 玄關은 아프리카의 傳統的인 建築에서 온 것이며, 피자는 軍士들이 防牌 위에서 차가운 빵을 구워 먹으며 생겼다는 等 生活 속에 있는 모든 것들에 對한 歷史를 알기 쉽게 整理해서 알려준다. 또한 바이킹의 傳統的인 葬禮式이 바다에 屍身을 실은 배를 태워버리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實際로는 그렇지 않다는 것도 바로 잡아준다. 各各의 主題에 따라 모두 아홉 章으로 構成되어 있으며, 가장 最初로 알려진 起源에서부터 現在의 使用法에 對한 것이 網羅되어 있다. 작은 標題, 짧은 要約,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 類似事例를 통해 歷史的인 內容과 時代的 變遷過程을 살펴볼 수 있도록 構成되어 있으며, 興味津津한 寫眞과 揷畵를 곁들여서 理解를 돕는다. 仔細히보기

  • 지은이 베彈 패트릭

    그女는 <워싱턴 포스트="">, <피블리셔스>, <디 라이터="">, <피플 매거진=""> 等의 新聞과 雜誌에 글을 쓰고 있으며, 아이들을 위한 歷史冊을 쓴 著者이기도 하다. 現在 그女는 男便 그리고 두 딸과 함께 버지니아 州의 알링톤에서 살고 있다. 仔細히보기

  • 지은이 존 톰슨

    그는 美國의 房房곳곳을 돌아다니면서 自然과 歷史에 關한 資料들을 幅넓게 蒐集했다. 그는 아내 그리고 아이들과 함께 버지니아의 中心地에 살고 있다. 著書로는 <다코타 족="">, <미국 역사="" 연감="">, <미국 역사가="" 걸어온="" 길="">, <남부고지대의 황무지=""> 等이 있다. 仔細히보기

  • 옮긴이 이루리

    1969年 서울에서 태어났다. 高麗大學校 獨語獨文學科를 卒業한 뒤 論述講義와 創作活動을 했다. 1998年 고려대학교 社會敎育院에서讀書指導士 過程을 講義하면서 童話의 魅力에 빠져 飜譯을 始作했다. 飜譯書로는 <천둥아, 내="" 외침을="" 들어라="">, <지구를 구한="" 꿈틀이사우루스="">, <마법사의 제자=""> 等이 있다. 2010年에는 <북극곰 코다="" 첫="" 번째="" 이야기,="" 까만="" 코="">를 發表하여 童話作家로 데뷔하였으며 以後 <북극곰 코다="" 두="" 번째="" 이야기,="" 호="">, <천사 안젤라="">, <까만 코다=""> 等을 發表했습니다. <북극곰 코다=""> 시리즈는 프랑스, 이스라엘, 터키, 泰國, 베트남 等으로 輸出되어 널리 사랑받고 있다. 仔細히보기

본 콘텐츠의 著作權은 著者 또는 提供處에 있으며, 이를 無斷 利用하는 境遇 著作權法 等에 따라 法的責任을 질 수 있습니다.
外部 著作權者가 提供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立場과 다를 수 있습니다.

位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