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臨床症狀

肝硬變은 慢性 肝炎 等 慢性으로 進行되는 肝疾患의 終末 所見이다. 그래서 自覺症狀이 거의 없는 狀態인지 또는 慢性 肝炎의 症狀이 어느 程度 있거나 肝機能喪失 症狀이 나타났는지에 따라 크게 2가지로 分類할 수 있다. 臨床的으로 輕微한 症狀인 것을 補償性 看病變異라고 하고, 肝機能喪失 症狀이 나타난 것을 非補償性 肝硬變으로 區別하고 있다.

그림 10-17 : 비보상기에 나타나는 증상

그림 10-17 : 비보상기에 나타나는 症狀

補償性 肝硬變도 肝疾患과 마찬가지로 自覺症狀이 잘 나타나지 않는 疾患이어서 偶然한 檢査에 依해 發見되는 證例度 있다. 自覺症狀이 있다면 慢性 肝炎과 마찬가지로 微熱, 疲勞感, 倦怠感, 食慾不振 程度일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非補償性 肝硬變이라면 肝機能喪失 症狀이 나타나 黃疸, 復讐, 間腦症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肝硬變의 治療는 肝機能喪失에 對한 治療가 되어 相當히 어려워진다.

出處

提供處 情報

解剖·병태生理로 理解하는 『SIM 統合內科學』 第6卷 《消火器》. 疾病이 어떤 기전에 依해 發生되었는지를 理解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揷畵와 寫眞 및 票를 補强하였다. 醫學用語는 대한의사협회의 《必須醫學用語집》, 《醫學用語5輯》, 《大寒解剖學會 醫學用語事前》의 信用語를 使用하였으나, 不得已한 境遇 舊用語와 倂記하였다. 仔細히보기

본 콘텐츠의 著作權은 著者 또는 提供處에 있으며, 이를 無斷 利用하는 境遇 著作權法 等에 따라 法的責任을 질 수 있습니다.
外部 著作權者가 提供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立場과 다를 수 있습니다.

位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