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地域

中東의 地域的 範圍에 對한 一般的인 合意는 存在하지 않는다. 이 地域 專門家들도 硏究 觀點에 따라 다양한 方法으로 이 地域을 定義하고 있다. ‘中東(中東, The Middle East)’이라는 用語보다 앞서서 第2次 世界大戰 以前에 主로 19世紀의 유럽과 오스만 帝國 間의 關係를 指稱하기 위해 ‘近洞(近東, The Near East)’이라는 用語가 使用되었는데 英國의 ‘해가 지지 않는 帝國(The empire on which the sun never sets)’ 時節 英國을 基準點으로 볼 때 그 對蹠點은 中國(極東, The Far East)이었고 그보다 英國에 가깝다는(nearer) 意味였다.

中東이라는 用語는 1902年 美國의 海軍提督 알프레드 馬韓(Alfred T. Mahan)李 페르시아 萬(灣) 周邊 地域을 처음으로 ‘中東’이라 稱한 데서 비롯되었으며, 第2次 世界大戰 中 英國이 展示(戰時) 必要上 이 地域에 ‘中東 普及센터(The middle East Supply Center)’를 設置하면서 公式的으로 使用되기 始作했다. 美國 國務省의 境遇 ‘近洞 또는 中東’은 모로코로부터 北아프리카, 西部 파키스탄을 통해 印度 國境에 이르는 地域 그리고 터키로부터 黑海 南部, 에티오피아를 지나 手段에 이르는 地域을 指稱하는 데 使用하고 있다. 1)

그러나 여기서는 特定 行政上의 規定에 拘礙받기보다는 前에 오스만 帝國의 政治權驛에 屬했던 아프리카, 아시아 地域을 硏究對象으로 했으며, 體制 機能的 說明이 必要할 境遇 이란과 파키스탄과 같은 國家도 考慮 對象에 包含했다.

出處

提供處 情報

이 冊은 中東의 歷史에 對한 ‘中東人의 視角(NEW PERSPECTIVE)’을 提示하고 있다. 卽 西歐人의 立場에서 본 歪曲되고 偏狹한 中東이 아닌, 中東人의 立場에서 바라본 中東의 歷史를 說明하는 것이다. 이 冊은 中東 歷史를 그 時代에, 그 場所에 살았던 中東人들의 視角에서 記述하고 있으며 古代부터 近代國家 出現 以前까지를 綜合的으로 살펴봄으로써 歷史의 흐름과 그에 따른 事件들의 有機的인 關係들을 가까이 接할 수 있다.

  • 지은이 최성권 敎授

    著者 최성권은 「걸프戰 以後의 새로운 中東國際秩序」, 「國際關係 硏究에 있어서의 認知心理的 觀點에 關한 小鼓」, 「政治的 行動에 對한 合理的 說明과 心理的 說明의 比較」, 「中東國際政治의 說明的 代案의 摸索」, 「새로운 中東 國際秩序를 위한 詩論」, 「反테러 戰爭에 따른 中東國家들의 政策 現況」外 多數의 論文과 『中東의 再照明: 國際政治』를 썼고, 『比較外交政策론』等의 冊을 飜譯했다. ·全北大學校 政治學 博士 ·美國 훔볼트 州立大學校 客員敎授 ·縣(現) 全北大學校 政治學과 敎授 仔細히보기

본 콘텐츠의 著作權은 著者 또는 提供處에 있으며, 이를 無斷 利用하는 境遇 著作權法 等에 따라 法的責任을 질 수 있습니다.
外部 著作權者가 提供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立場과 다를 수 있습니다.

位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