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忘却

要約 前에 經驗 또는 學習한 것을 想起하거나 再生하는 能力이 一時的 또는 永續的으로 減退 및 喪失되는 일
主要用語 妄覺 曲線, 保有 曲線, 忘却 速度, 干涉 理論, 衰退 理論, 逆行 干涉, 巡行 干涉
分類 認知 및 生物 心理學

1. 槪要

個人의 長期 記憶 속에 이미 貯藏되었던 情報를 잃어버리는 現象으로, 記憶의 反對 現象이라고 할 수 있다. 記憶이 우리의 日常에서 持續的으로 일어나듯이, 忘却 또한 持續的이고 普遍的으로 일어난다. 忘却은 境遇에 따라 利點도 있지만, 大部分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그 頻度와 症狀이 漸次 심해지며 記憶, 學習, 새로운 情報의 貯藏 等에 問題를 일으킨다. 忘却의 뚜렷한 原因은 아직 밝혀진 바 없지만 다양한 要因들이 忘却의 過程에 關與한다고 보인다. 또한 記憶 遂行을 위한 세 段階인 情報의 符號化(encoding), 貯藏(storage), 引出(retrieval) 段階에서 問題가 發生할 때 忘却이 일어날 수 있다. 忘却은 反復 또는 더욱 精巧한 情報의 認知的 處理 過程 等을 통해 줄일 수 있다.

2. 에빙하우스의 忘却 硏究

人間의 記憶에 關해 最初로 嚴格한 實驗的 硏究를 한 사람은 헤르만 에빙하우스(Herman Ebbinghaus, 1850-1909)이다. 그는 獨逸의 心理學者이자 實驗 心理學의 先驅者로, 精神 過程에 關心을 가지고 여러 해에 걸쳐 硏究했다. 特히 記憶 痕跡이 어떤 條件에서 獲得되고, 그것이 얼마나 오래 持續되는지, 忘却을 일으키는 것은 무엇인지에 對한 問題들을 提起했다. 그가 살던 當時 學習 動機가 잘 갖추어진 適當한 被驗者를 求하는 일이 어려웠으므로, 에빙하우스는 스스로를 被驗者로 삼아 엄청난 끈氣를 가지고 硏究를 遂行했다.

에빙하우스는 意味 있는 것이 더 잘 記憶된다는 事實을 考慮하여, 意味의 影響을 받지 않는 純粹한 記憶 痕跡을 硏究하고자 無意味 綴字(예: DAX, BUP, LOC) 2,000個 以上으로 된 目錄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 目錄을 틀리지 않게 順序대로 記憶해 내는 데 所要되는 時間을 測定했다. 그 다음에는 再學習이 元來 學習보다 얼마나 빨리 이루어졌는지를 알아보고자 一定한 파지(정보에 對한 精神的 表象을 記憶 속에 維持하고 있는 것) 期間 後에 앞서 學習했던 目錄을 다시 한番 學習한 後 單語 目錄을 正確하게 記憶해 낼 때까지 所要된 時間을 測定했다. 例를 들어, 13個의 無意味 綴字로 構成된 目錄을 처음 學習하는 데 1,156秒가 所要되고 再學習하는 데 467秒가 걸렸다면, 이는 再學習에서 689秒(1,156-467)가 節約되었음을 뜻한다.

에빙하우스는 節約의 孃을 本來 學習에 對한 百分率로 計算했는데, 앞의 例에서 64.3%(689/1156)가 節約點數가 된다. 節約點數는 記憶 痕跡의 持續性, 다른 말로 忘却의 크기를 反映하는 測定値로서, 이를 利用한 記憶 測定 方法을 節約法(savings method)이라고 한다.

그림 1. 에빙하우스의 망각 곡선

그림 1. 에빙하우스의 妄覺 曲線 出處: Shaller, 2004

그림 1은 에빙하우스의 妄覺 曲線으로, 時間이 지남에 따른 記憶 保有量을 百分率로 나타내고 있다. 그림에서 보듯이, 맨 처음 單語 目錄을 學習했을 때는 記憶 保有量이 100%에 이르지만 以後 9時間 동안 急激하게 忘却이 일어나다가 어느 程度 時間이 經過하면 忘却이 천천히 進行된다.

에빙하우스가 밝힌 또 다른 興味 있는 現象은 過剩 學習의 效果이다. 어떤 目錄을 正確하게 學習한 後에 反復해서 學習을 持續하면 節約點數는 더욱 增加하는 것을 볼 수 있다. 卽, 追加的인 學習이 記憶 痕跡의 持續性을 더욱 증가시킴으로써 忘却이 더디게 일어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에빙하우스의 記憶과 忘却에 對한 硏究는 效率的인 學習法을 開發하는 데 크게 貢獻했다(이정모, 강은주, 김민식, 감기택, 김정오, 2009).

3. 忘却 速度

그림 2. 피터슨과 피터슨 의 망각 속도 예시

그림 2. 피터슨과 피터슨 의 忘却 速度 例示 出處: Peterson & Peterson, 1959

1959年 피터슨과 피터슨은 短期 記憶(short term memory, STM)에서의 忘却 速度를 最初로 定立했다. 그들은 한 硏究에서 大學生 參與者들에게 알파벳(子音) 3個를 標的으로 提示한 後, 標的 알파벳을 暗誦하지 못하도록 數字를 하나 提示한 後 提示된 數字에서 3씩 빼 나가는 計算을 하라고 指示했다. 例를 들어, 被驗者에게 알파벳 CHJ를 提示한 다음 506이라는 數字를 提示한 後 信號가 나타날 때까지 3씩 빼 나가는 計算을 하도록 指示했다. 불빛 信號가 提示되면 被驗者는 앞서 보았던 標的 알파벳이 무엇이었는지 떠올려야 했는데, 불빛 信號는 被驗者가 빼기 計算을 始作한 3, 6, 9, 12, 15, 18秒에 提示되었다.

그림 2는 實驗 結果를 要約한 것으로, 刺戟 알파벳을 正確하게 再生할 確率이 파지(정보에 對한 精神的 表象을 記憶 속에 維持하고 있는 것) 期間인 18秒 동안 急速히 減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短期 記憶의 忘却 速度가 이렇게 빠르다는 것은 言語的 情報를 長期 記憶에 保存할 때 忘却을 막기 위해 暗誦이 必要하다는 것을 意味한다. 이는 日常生活에서도 쉽게 觀察되는데, 예컨대 모르는 사람의 電話番號를 처음 들은 後 暫時 동안 다른 일에 注意를 기울이고 나면 그 番號를 잊어버리는 境遇가 있다. 이 亦是 短期 記憶의 忘却 速度가 빠르다는 것을 立證한다. 그러나 처음 들은 電話番號라 하더라도 繼續해서 暗誦하고 있는 동안은 情報를 잊지 않는다(Reed, 2010).

4. 衰殘 理論(或은 衰退 理論)

使用되지 않는 情報는 通常的으로 時間이 經過함에 따라 忘却될 確率이 높아진다. 忘却에 있어 파지(정보에 對한 精神的 表象을 記憶 속에 維持하고 있는 것)와의 關係에 注目한 理論이 衰殘 理論(decay theory)이다. 衰殘 理論은 1914年 손다이크(Thorndike)가 不用의 法則(law of disuse)을 提案하면서 關心을 끌었으며, 19世紀 後半의 헤르만 에빙하우스(Herman Ebbinghaus, 1850-1909)의 初期 記憶 硏究에 基盤해 發達했다. 이 理論에 따르면, 記憶은 中樞 神經系에 어떤 變化를 일으켜 記憶 痕跡을 남기는데, 이 記憶 痕跡은 使用되지 않으면 時間의 經過에 따라 新陳代謝 過程에 依해 漸次 稀微해지고 結局에는 사라진다. 이는 마치 바위에 새겨진 글字가 歲月이 흘러감에 따라 風霜에 漸次 磨耗되어 가는 過程과 恰似하다.

衰殘 理論은 예전에는 자주 使用해서 잘 記憶할 수 있었던 電話番號를 時間이 흐를수록 記憶하기 어려운 것과 같은 日常의 例를 잘 說明해 준다. 하지만 限界點 또한 存在하는데, 衰殘 理論은 學習과 記憶 檢事 間의 파지 期間 동안 겪은 經驗에 따라 記憶 程度가 달라진다는 事實을 說明하지 못한다. 또한 衰殘 理論은 實驗的으로 檢證하기 어렵기 때문에 많은 心理學者들은 實驗的으로 檢證 可能한 忘却의 原因에 關心을 돌리게 되었다(이정모 等, 2009).

5. 젠킨스와 달렌바흐의 記憶 硏究

心理學者 젠킨스(Jenkins)와 달렌바흐(Dallenbach)는 그들의 實驗으로부터 忘却이 파지 期間의 크기에 依해서만 決定된다고 主張한 衰殘 理論에 反對되는 結果를 報告했다. 그들은 두 集團의 被驗者에게 無意味 綴字 10個 項目을 學習하도록 했는데, 한 集團은 이른 아침에, 다른 集團은 늦은 밤에 學習했다. 學習 直後 記憶 檢査를 하고 두 集團 모두 1, 2, 3, 4, 8 時間 後에 回想 檢査를 했다. 이때 夜間 學習 集團은 잠을 자다가 깨어 檢査를 하고, 週間 學習 集團은 日常的인 活動을 하다가 實驗室로 돌아와 檢査를 했다. 그 結果, 파지 期間이 增加함에 따라 두 集團 모두 回想率이 減少했는데, 特히 週間 學習 集團의 忘却率은 夜間 學習 集團에 비해 더 빨리 增加했다.

衰殘 理論에 따르면 두 集團이 同一한 量만큼 忘却을 보여야 할 텐데 實驗 結果는 그러한 假說에 符合하지 않았다. 이 實驗은 忘却이 單純한 時間 經過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파지 期間 동안 이루어진 經驗의 量에 影響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 준다. 젠킨스와 달렌바흐의 硏究는 衰殘 理論이 記憶에 關한 많은 部分을 說明해 주지 못함을 證明했으며, 以後 心理學者들은 衰殘 理論의 限界點을 補完하며 實驗的으로 檢證 可能한 忘却의 原因에 關心을 돌리게 되었다(Jenkins & Dallenbach, 1924).

6. 逆行 干涉과 巡行 干涉

忘却을 說明하는 또 다른 理論은 干涉 理論인데, 맥지오치(McGeoch)의 硏究는 干涉 理論이 發達하게 된 契機를 提供했다(McGeoch, 1932). 干涉 理論은 記憶과 學習에 關한 硏究를 主導해 온 聯合主義 틀에서 發達했다. 聯合主義는 刺戟과 反應 間에 形成된 聯合的 連結을 强調하며, 이러한 聯合的 連結을 干涉하는 競合 情報가 없는 限 이 連結이 長期 記憶에 維持된다고 强調한다. 干涉 理論은 實驗的 檢證이 매우 容易하여 많은 硏究를 觸發했는데, 크게 두 가지 類型의 干涉(力行 干涉과 巡行 干涉) 패러다임이 提起되었다.

逆行 干涉(retroactive interference, RI)은 以後에(최근에) 學習한 情報가 먼저(以前에) 學習한 情報를 干涉하는 것이다. 逆行 干涉을 硏究하는 實驗에서는 實驗 集團(獨立 變數의 造作을 받는 集團)과 統制 集團(獨立 變數의 造作을 받지 않는 集團)의 記憶을 比較한다. 實驗 集團은 한 目錄을 學習한 後 다른 目錄을 學習하고서, 一定한 파지 期間 後에 먼저 學習한 目錄에 對해 記憶 檢査를 받는다. 統制 集團은 實驗 集團과 달리 두 番째 目錄을 學習하지 않되, 實驗 集團과 同一한 破紙期間 後에 記憶 檢査를 받는다.

逆行 干涉과는 달리, 먼저 學習한 것이 나중에 學習한 것을 干涉하면 이를 巡行 干涉(proactive interference, PI)이라고 한다. 巡行 干涉 硏究에서 實驗 集團은 統制 集團에 비해 脈絡 端緖와 함께 더 많은 項目을 學習하게 되며, 따라서 더 낮은 遂行을 보인다. 왜 먼저 學習한 것이 나중에 學習한 것을 干涉하여 忘却을 일으키는가에 對한 한 가지 說明은 引出 但書의 效率性 減少이다. 한 端緖와 함께 貯藏된 項目이 많을수록, 特定 項目을 引出하는 데 있어 이 但書의 效率性은 減少한다. 例를 들어, 어떤 親舊와 두 달 前에 만났던 場所를 記憶하려 할 때, 萬一 이 親舊와의 만남이 한 番뿐이었다면 이 親舊는 그 場所를 記憶해 내는 데 效果的인 引出 端緖가 될 것이다. 그러나 同一 人物과 그 前에도 여러 場所에서 자주 만났다면, 그와 만난 여러 場所들이 두 달 前에 만난 特定 場所를 記憶해 내는 것을 干涉할 것이다(이정모 等, 2009).

7. 端緖 依存 忘却

情報 處理 接近에서 忘却은 引出의 失敗로부터 發生한다. 이 觀點에 따르면, 學習한 內容을 記憶해 내지 못하는 것은 이 情報의 記憶 痕跡이 衰殘했거나 干涉받았기 때문이 아니라 貯藏된 情報에 接近하는 適切한 手段인 引出 端緖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說明을 端緖 依存 忘却(cue-dependent forgetting)이라고 한다(Tulving, 1974). 結局, 端緖 依存 忘却에 따르면 忘却은 約豪華나 貯藏 段階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引出 段階의 障礙로부터 일어난다.

端緖 依存 忘却을 支持하는 證據로서 툴빙(Tulving)과 펄스톤(Pearlstone)의 實驗을 들 수 있다. 이들은 實驗 參加者에게 範疇別로 組織化된 名詞 目錄을 提示하고 이를 學習하도록 했다. 이때 各 範疇에 屬하는 單語마다 앞머리에 範疇 이름을 標示해 주었는데, 例를 들어 DOG, CAT, GIRAFFE, HORSE 앞머리에는 ANIMAL이라는 範疇 이름이 있었다. 모든 參加者들은 自由 回想 檢査를 받았는데, 折半의 參加者들(端緖 集團)은 範疇 이름을 引出 端緖로 提示받았고 나머지 折半의 參加者들(緋緞서 集團)은 引出 端緖를 提示받지 않았다. 그 結果 端緖 集團이 緋緞서 集團보다 優秀한 回想率을 보였다.

이 硏究에서 놀라운 것은 위 檢査를 實施한 直後 두 番째 回想 檢査를 한 結果이다. 두 番째 回想 檢査에서는 모든 被驗者에게 範疇 이름을 引出 端緖로 提示했다. 그 結果, 元來의 端緖 集團은 첫 番째 回想 檢査에서 보인 回想率과 같은 回想率을 보였고, 元來의 緋緞서 集團 亦是 端緖 集團과 同一한 回想率을 보였다. 이는 첫 番째 回想 檢査에서 緋緞서 集團의 回想率이 端緖 集團에 비해 낮았던 것이 貯藏된 情報에 差異가 있었기 때문이 아니라 但只 適切한 引出 端緖가 不足했기 때문임을 示唆한다(이정모 等, 2009; Tulving & Pearlstone, 1966).

8. 海馬 損傷과 記憶 喪失

1953年 H.M.이라고 알려진 한 男子는 하루에 열 番 程度의 癎疾 發作과 一週日에 한 番 程度의 深刻한 發作을 겪고 있었다. 때때로 海馬가 癎疾 發作의 根源이었기 때문에 H.M.은 측두皮質에 있는 여러 周邊 構造物과 함께 兩쪽 半球에 있는 海馬를 除去하는 手術을 받았다. 手術로 인해 H.M.의 發作은 急激히 減少했지만, 그는 深刻한 記憶 障礙를 가지게 되었다(Milner, 1959; Penfield & Milner, 1958; Scoville & Milner, 1957). 그의 知的 能力과 言語 能力은 手術 後에도 變하지 않았으며 性格의 變化도 없었으나, 그는 廣範圍한 轉向性 記憶喪失症(anterograde amnesia; 腦 損傷 以後에 發生한 事件에 對한 記憶 喪失)을 보였다. 그는 短期 記憶은 形成할 수 있었으나 새로운 長期 記憶은 거의 形成하지 못했다. 또 若干의 후향性 記憶喪失症(retrograde amnesia; 腦 損傷 以前에 發生한 事件에 對한 記憶 喪失)을 보이기도 했다.

그는 手術을 받은 뒤에 새로운 것을 배우거나 記憶할 수 없게 되었는데, 例를 들어 同一한 雜誌 記事를 繼續的인 關心을 갖고 읽고 또 읽었다. 또한 다른 사람에게 어렸을 때 있었던 事故에 對해 말을 하고 몇 分 後에 같은 얘기를 또 했으며, 같은 사람에게 方今 한 얘기를 또 했다는 事實을 깨닫지 못했다(Eichenbaum, 2002). H.M.의 슬픈 事例는 科學者들이 記憶에 關한 여러 劃期的인 事實을 發見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海馬와 그 周邊 領域이 記憶에 重要한 役割을 하는 機關들임을 證明한다(Baars & Gage, 2010).

執筆 : 김초복(경북대學校 心理學科)

參考文獻

關聯이미지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

에빙하우스의 忘却曲線 出處: 産業安全大辭典

본 콘텐츠의 著作權은 著者 또는 提供處에 있으며, 이를 無斷 利用하는 境遇 著作權法 等에 따라 法的責任을 질 수 있습니다.
外部 著作權者가 提供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立場과 다를 수 있습니다.

位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