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紹修書院

紹修書院(紹修書院)은 우리나라 最初의 書院이다. 紹修書院은 1541年(中宗 36) 7月에 풍기郡守로 赴任한 주세붕(周世鵬)李 1542年(中宗 37) 8月에 이곳 出身의 性理學者인 安珦(安珦)을 背向(配享)하는 祠堂을 設立하기 위해 工事를 始作하였다. 이듬해인 1543年 8月 11日에 完工하여 安享의 影幀을 奉安하고, 祠堂 東쪽에 백운동書院(白雲洞書院)을 같은 해에 設立한 데서 비롯되었다.

소수서원 전경

紹修書院 前景 紹修書院은 서원 東쪽에 竹筓수가 北에서 南으로 흐르고 入口에는 소나무가 우거진, 風光이 秀麗한 곳에 자리잡았다.

周世鵬이 書院 이름을 '백운동'으로 한 것은 紹修書院의 자리가 中國 宋(宋)나라 때 朱熹(朱熹, 1130∼1200)가 再興시킨 白鹿洞書院(白鹿洞書院)이 있던 "여산(廬山)에 못지않게 구름이며, 山이며, 언덕이며, 江물이며, 그리고 하얀 구름이 恒常 書院을 세운 골짜기에 가득하였기" 때문에 '백록동'에서 取한 것이라고 한다.

周世鵬이 編纂한 『竹溪誌(竹溪志)』 序文에는 "敎化는 時急한 것이고, 이는 어진 이를 尊敬하는 일로부터 始作되어야 하므로 安享의 心性論(心性論)과 警(敬) 思想을 收用코자 그를 받들어 모시는 祠堂을 세웠고, 겸하여 儒生들의 長壽(藏修)를 위하여 書院을 세웠다"는 設立 動機가 적혀 있다. 白雲洞書院이 들어선 곳은 숙수사(宿水寺) 옛터로 안향이 어린 時節 노닐며 工夫를 하던 곳이다. 現在 서원 入口에 있는 幢竿支柱 (幢竿支柱)는 이곳이 절터였음을 알려주고 있다.

소수서원 배치도

紹修書院 配置도

白雲洞書院이 國家로부터 公認을 받고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1548年 10月 풍기郡守로 赴任한 退溪 李滉의 努力 德分이었다. 退溪는 1549年 1月에 慶尙道觀察使 심통원(沈通源, 1499∼?)을 통하여 백운동書院에 調停의 賜額 (賜額)을 바라는 글을 올리고 國家의 支援을 要請하였다. 이에 明宗은 大提學 신광한(申光漢, 1484∼1555)에게 書院의 이름을 짓게 하여 "이미 무너진 留學을 다시 이어 닦게 했다(旣廢之學 紹而修之)"는 뜻을 담은 '少數'로 決定하고 1550年(明宗 5) 2月에 '紹修書院(紹修書院)'이라고 쓴 懸板을 내렸다.

紹修書院은 朝鮮 最初의 賜額書院 이 되면서, 調整에 依하여 書院이 性理學의 正統性을 인정받는 契機가 된다. 賜額을 내려 國家가 書院의 社會的 機能을 認定한다는 것은, 곧 書院이 갖는 重要한 機能인 先賢의 奉仕(奉祀)와 敎化 事業을 調整이 認定한다는 意味를 지닌다.

소수서원 죽계

紹修書院 죽계 주세붕은 구름과 山, 그리고 江물이 골짜기에 가득한 곳에 백운동書院을 세웠고, 李滉은 白雲洞書院이 紹修書院으로 賜額을 받게 하였다.

紹修書院 入口에는 銀杏나무 두 그루가 서 있고, 바로 그 地點에서 紙面이 한 段 높아져, 이곳부터 서원 境內임을 알 수 있다. 서원 出入門인 社注文(四柱門)으로 통하는 길 왼쪽으로는 省牲團(省牲壇)이 있고, 오른쪽으로는 竹筓수(竹溪水)가 내려다보이도록 지은 경렴정(景濂亭)이 있다.

省牲團은 향사에 쓸 犧牲(犧牲)을 檢査하는 單(壇)으로 生團(牲壇)이라고도 한다. 書院의 生團은 祠堂 近處에 있는 것이 慣例인데, 紹修書院의 生團은 서원 入口에 位置하고 있다. 경렴정은 院生들이 詩를 짓고 學問을 討論하던 亭子 이다. 亭子의 이름 '경렴정'은 北宋의 性理學者인 염계(濂溪) 周敦頥(周敦?)를 景慕하는 뜻으로 그의 號에서 빌어왔다.

경렴정

경렴정 紹修書院 入口 오른쪽에 位置한 경렴정은 院生들이 詩를 짓고 學問을 討論하던 精子로, 竹筓수가 내려다보이는 곳에 있다.

경렴정 東쪽에서 北에서 南으로 흐르는 죽계 건너便에는 物價로 튀어나온 경자바위[敬字岩]가 있는데, 거기에 새겨진 '卿'字는 周世鵬이 백운동書院을 創建하고 쓴 글씨이다. '卿'은 性理學에서 마음가짐을 바르게 하는 修養論의 核心으로, 선비들의 指針이 되었다. 退溪는 풍기郡守로 있을 當時 이곳에 松柏과 죽을 심어 醉한대(翠寒臺)라고 이름짓고, 또 '卿'字 위에 '백운동' 석 字를 써서 陰刻하고 이곳의 風流를 즐겼다고 한다.

경자바위

경자바위 경렴정에서 내려다보이는 竹筓수 건너便 바위에는 周世鵬이 쓴 '卿(敬)', 李滉이 쓴 '백운동(白雲洞)'이라는 글字가 새겨져 있다.

紹修書院에는 祠堂인 문성공墓(文成公廟), 講堂 人 明倫堂(明倫堂), 敎授의 宿所인 일神裁(日新齋)·職防災(直方齋), 儒生들이 工夫하며 起居한 學區재(學求齋)·地絡재(至樂齋)를 비롯하여 書冊을 保管하던 藏書閣(藏書閣), 祭需 를 차리던 典祀廳(典祀廳) 等이 있고, 最近에 세워진 建物로 唯物觀, 忠孝史料館 等이 있다.

명륜당

明倫堂 紹修書院 문성공墓 東쪽에 南北으로 길게 서 있는 明倫堂은 正面 4칸, 側面 3칸 規模의 講堂이다.

祠堂에는 安軸(安軸, 1287∼1348)과 그의 아우인 安保(安輔, 1302∼1357)가 1544年(中宗 39)에, 周世鵬이 1633年(仁祖 11)에 追加로 配享되었다. 安軸은 安享의 三從孫(三從孫)이다. 그가 지은 「關東別曲(關東別曲)」과 「竹溪別曲(竹溪別曲)」은 이름난 景幾體歌 (景幾體歌)로 國文學史上 貴重한 史料이다.

慶尙北道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에 있는 紹修書院은 1871年(高宗 8) 大院君이 書院을 撤廢할 때에도 毁撤夏至 않고 存續한 서원 47곳 中의 하나로, 1963年 史跡으로 指定되었다.

소수서원 문성공묘

紹修書院 문성공墓 朝鮮時代 最初의 서원인 紹修書院 祠堂에는 문성공 安享의 神位가 모셔져있다.

소수서원의 제향

紹修書院의 祭享 紹修書院은 每年 陰曆 3月과 9月 草亭일에 祭享을 지낸다.

關聯이미지 30

영주 소수서원 경렴정

榮州 紹修書院 경렴정 서원 入口에 있는 正面 3칸, 側面 1칸의 亭子이다.

이미지 갤러리

出處: 韓國民族文化大百科

1 / 30

위 이미지에 對한 權利는 出處사이트 揭示者에게 있으며, 이를 無斷 使用할 境遇 法的 責任을 질 수 있습니다.

出處

提供處 情報

宮闕·儒敎建築物들의 寫眞과 다양한 情報가 담긴 冊으로, 우리 文化와 歷史에 對한 깊이 있는 理解와 더불어 재미와 愛情을 갖도록 도와준다. 宮闕, 宗廟, 社稷, 文廟, 鄕校, 書院等 冊에서 다루고 있는 建築物들은 統治者를 위한 建築, 祭祀를 위한 建築, 儒敎 性理學과 관계되는 建築의 한 部分으로, 이런 建築에는 韓國建築의 特性을 이루는 內容이 많이 나타난다. 韓國建築의 特性이 나타나는 宮闕과 儒敎建築을 다루고 있는 이 冊은 우리나라 宮闕建築의 成立과 發展에 對해 說明하는 한便, 朝鮮時代 主要 다섯 宮闕들에 對해 仔細하게 說明한다. 또한 儒敎建築의 꽃이라 할 수 있는 四廟, 成均館, 鄕校, 書院建築의 成立과 發展, 時代的 背景에 對해 說明하고 主要 件出物에 對한 說明과 함께 豐富한 寫眞, 圖面을 收錄했다. 仔細히보기

  • 著者 異常해 大學敎授

    1948年 慶北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工科大學 建築工學科를 卒業하고 美國 코넬 大學 大學院에서 建築設計 專攻으로 建築學 碩士學位, 建築士 專攻으로 建築學 博士學位를 받았다. 韓國建築歷史學會 會長을 歷任했다. 2004年 現在 國際記念物遺跡協議會(ICOMOSKOREA) 執行委員, 文化財專門委員으로 活動하고 있으며, 성균관대 建築, 造景 및 土木工學部 敎授로 일하고 있다. 主要 論文으로 ' <삼국사기> '獄事'組의 再考察'(1995), '中國 吉林省 수전總意 朝鮮族 住居와 한족 住居의 比較'(2001), '倒産書堂과 도산書院에 反映된 退溪의 書院建築館'(2001)이 있고, 지은 冊으로 <서원>(共著, 1998), <종묘>(共著, 1998), <우리 건축="" 100년="">(共著, 2001), <한국의 풍수문화="">(共著, 2002)가 있고, 옮긴 冊으로 <중국 고전건축의="" 원리="">(共譯, 2000)가 있다. 仔細히보기

본 콘텐츠의 著作權은 著者 또는 提供處에 있으며, 이를 無斷 利用하는 境遇 著作權法 等에 따라 法的責任을 질 수 있습니다.
外部 著作權者가 提供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立場과 다를 수 있습니다.

位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