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호르무즈海峽

두산百科

호르무즈海峽

[ Hormuz Str. ]

要約 西南아시아의 아라비아 半島와 이란 사이에 있는 페르시아灣(灣)과 傲慢만(灣)을 連結하는 海峽.

호르무즈는 페르시아灣에 位置한 이란의 작은 섬 이름이지만, 섬 自體보다도 이 섬이 位置한 海峽인 호르무즈 海峽으로 더 有名하다. 페르시아灣은 사우디아라비아·이란·이라크·쿠웨이트·아랍에미리트 等 中東의 産油國들이 密集한 곳으로 世界 石油 生産 및 供給에서 重要한 位置를 차지하고 있는 地域이다. 그곳의 原油 輸出의 大部分은 海上으로 運送되는데, 반드시 거쳐가는 곳이 이 호르무즈 海峽이므로 地政學的 要衝地 라 할 수 있다.

海峽의 幅은 約 50km 程度로 最小 幅은 39km이며, 水深은 100m 內外로 最大 水深은 190m 程度이다. 海峽의 北쪽은 케審·라라크·호르무즈 等의 섬들을 비롯한 이란의 領土이며, 南쪽은 霧散膽礬도 로 오만의 領土에 屬한다.

海路의 좁은 幅에 비해 船舶의 運送量이 매우 많고 特히 世界 原油 輸出의 30% 假量을 擔當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을 두고 現在까지도 잦은 紛爭들이 發生하고 있다. 좁은 바닷길의 特性上 이곳을 掌握하거나 封鎖할 境遇 世界 原油 需給에 큰 蹉跌이 올 수 있으며 이는 國際 油價 變動에도 큰 影響을 미칠 수 있다. 實際 이곳의 紛爭으로 國際 油價가 크게 上昇했던 적이 있다.

1980年代에 있었던 이란-이라크戰爭 과 1990~1991年 걸프戰爭 (Gulf War) 等 現代史에서 重要하게 이야기되는 戰爭들뿐 아니라 2000年代에도 크고 작은 紛爭들이 이어졌으며, 최근 美國과 이란의 摩擦에 이르기까지 이 地域에서의 摩擦은 繼續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石油의 大部分을 이곳 海上을 통해 輸入하고 있기 때문에, 자국으로 오는 輸送船과 僑民의 安全을 위해 戰鬪兵力을 派兵하기도 하였다.

호르무즈해협 본문 이미지 1

호르무즈 海峽 位置

두산百科의 著作權은 doopedia(두산百科)에 있습니다.
著作權法의 保護를 받는 著作物로 無斷 轉載 및 複製를 禁하고 있습니다. 著作物 利用許諾 問議하기

位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