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서울 延世大學校 아펜젤러館

두산百科

서울 延世大學校 아펜젤러館

[ Appenzeller Hall of Yonsei University, Seoul , 서울 延世大學校 아펜젤러館 ]

要約 서울特別市 서대문구 신촌동 연세대학교에 있는 近代式 建物. 1981年 9月 25日 史跡으로 指定되었다.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

延世大學校 아펜젤러館

指定種目 私的
指定日 1981年 9月 25日
所在地 서울特別市 서대문구 연세로 50 (新村洞) 地圖
時代 日帝强占期
種類/分類 遺跡建造物 / 敎育文化 / 近代敎育文化 / 學校施設
크기 面積 1,660㎡

1981年 9月 25日 史跡으로 指定되었다. 延建坪 1,660㎡이다. 地下 1層, 地上 2層의 石造建物로 1921年 着工하여 1924年에 竣工하였다. 延世大學校 設立者 H.G.언더우드(韓國名:元杜尤)와 함께 美國 北監理敎 宣敎師로 韓國에 와서 배재學堂 (培材學堂)을 設立한 H.G.아펜젤러를 記念하기 위해 세워졌다.

北監理敎段의 H.E.웰치가 建物의 礎石을 놓고 當時 연희전문학교(延禧專門學校) 化學科 敎授였던 E.H.밀러가 工事를 監督한 것으로 傳해진다. 아펜젤러官은 美國 매사추세츠주 피츠필드視 第一監理敎會의 寄附金으로 建立하였으며 맞은便에 있는 延世大學校 스팀슨館과 規模와 形態가 비슷하다.

平面은 直四角形으로 中央에 玄關部와 階段室을 두고, 南北으로 複道 兩쪽에 敎室을 두었는데, 敎室 內部는 階段式으로 되어 있다. 內部 空間은 左右 對稱이며 正面 中央의 玄關 出入口는 튜더 아치 이고 나머지 窓은 水平 아치로 處理하였으며 지붕은 牔栱 지붕으로 슬레이트 마감이다. 雲母片巖 을 主材料로 하고, 要素에는 花崗石을 다듬어 붙인 準고딕식 建物로 現在는 신학관(神學館)으로 쓰인다.

서울 延世大學校 아펜젤러館 地圖

逆參照項目

新村洞

關聯動映像

서울 延世大學校 아펜젤러館 서울市 서대문구 연세대에 있는 近代式 建物 私的 延世大 아펠젤러官은 美國 北監理敎 宣敎師로 韓國에 와서 배재學堂을 設立한 아펜젤러를 記念하기 위해 세워진 建物이다. 1921年 着工하여 1924年 竣工된 地下1層, 地上2層의 石造建物이다. 建物은 美國 매사추세츠주 피츠필드視 第一監理敎會의 寄附金으로 建立하였으며 맞은便에 있는 延世大學校 스팀슨館과 規模와 形態가 비슷하다. 正面 中央의 玄關 出入口는 튜더 아치로, 나머지 窓은 水平 아치로 處理하였고 지붕은 牔栱지붕에 슬레이트 마감이다. 雲母片巖을 主材料로 部分에는 花崗石을 使用한 準고딕식 建物이다. 出處: doopedia

關聯이미지 17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

延世大學校 아펜젤러館

이미지 갤러리

出處: doopedia.co.kr

1 / 17

위 이미지에 對한 權利는 出處사이트 揭示者에게 있으며, 이를 無斷 使用할 境遇 法的 責任을 질 수 있습니다.

두산百科의 著作權은 doopedia(두산百科)에 있습니다.
著作權法의 保護를 받는 著作物로 無斷 轉載 및 複製를 禁하고 있습니다. 著作物 利用許諾 問議하기

位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