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己亥迫害

두산百科

己亥迫害

[ 己亥迫害 ]

要約 1839年(憲宗 5)에 일어난 第2次 天主敎 迫害事件.

己亥邪獄(己亥邪獄)이라고도 한다. 이 事件은 表面的으로는 天主敎를 迫害하기 爲한 것이었으나, 實際에서는 詩派 (時派)인 安東金氏로부터 權力을 奪取하려는 碧波 (僻派) 풍양曺氏가 일으킨 것이다. 1834年(憲宗 卽位年) 헌종이 8歲에 卽位하자 純祖의 비(妃) 순원왕후(純元王后)가 垂簾聽政하였으며, 王大妃를 積極 輔弼한 사람은 그 오빠 김유근 (金?根)이었다. 1836年부터 病으로 말조차 못하던 그는, 1839年 유진길 (劉進吉)의 勸誘를 받고 洗禮까지 받았다. 이러한 狀況에서 安東金氏의 天主敎에 對한 態度는 慣用的日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김유근의 隱退로 天主敎를 敵對視하던 右議政 이지연(李止淵)李 政權을 잡으면서 狀況은 變하였다. 刑曹判書 조병현(趙秉鉉)으로부터 그 동안의 天主敎 傳播 狀況을 報告받은 그는 1839年 3月 入闕하여, 天主敎人은 無父無君(無父無君)으로 逆賊이니 根絶하여야 한다는 天主敎에 對한 對策을 上疏하였다. 이어 司憲府執義 정기화(鄭琦和)도 天主敎의 根絶을 위하여 그 元兇을 잡지 않으면 안 된다는 上疏를 올렸다. 이에 따라 捕盜廳에서 刑曹로 移送된 天主敎人은 43名이었으며, 그 中 大部分이 背敎하여 釋放되었으나 남명혁 (南明赫)· 박희순 (朴喜順) 等 9名은 끝내 不服, 死刑되었다. 5月 25日에는 大王大妃의 斥邪綸音(斥邪綸音)李 내렸으며, 天主敎 迫害는 全國的으로 擴散되었다.

이때 정하상 (丁夏祥)·유진길· 趙信喆 (趙信喆) 等 重要人物이 붙잡혔으며, 當時 主敎 앵베르 는 敎人이 苦楚받는 것을 막기 위하여 模倣과 샤스탕에게도 自現(自現)할 것을 勸告한 쪽紙를 보내고 自現함으로써, 朝鮮 敎會 再建運動은 큰 打擊을 입었다. 이때 정하상은 斥邪綸音에 對하여 〈商才相서(上宰相書)〉를 올려 天主敎를 辯護하였다. 朝廷에서는 6月에는 이광열(李光烈) 以下 8名을, 8月에는 앵베르·模倣과 샤스탕을 軍門梟首(軍門梟首)하고, 丁夏祥과 유진길度 斬刑에 處하였다. 이때 被害를 입은 敎徒數는 《憲宗實錄》에 따르면, 背敎하여 釋放된 自家 48名, 獄死한 者 1名, 死刑된 自家 118名 等이었다.

그러나 현석문 (玄錫文)李 쓴 《 己亥日記 》에 따르면, 斬首된 自家 54名이고, 絞首刑 裝荷(杖下)에 죽은 者·病死한 者가 60餘 名이었다고 한다. 이 事件으로 勢道家門은 安東金氏에서 풍양曺氏 家門으로 옮겨졌다.

기해박해 본문 이미지 1
병인박해 병오박해 기해박해 신유박해 황사영백서 동학 천주실의 정약전 정약용 최제우 김대건신부

두산百科의 著作權은 doopedia(두산百科)에 있습니다.
著作權法의 保護를 받는 著作物로 無斷 轉載 및 複製를 禁하고 있습니다. 著作物 利用許諾 問議하기

位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