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衣類收去函|동아新春文藝

동아신춘문예

衣類收去函

by   김범렬

  • 作品專門
  • 審査評
  • 當選所感
  • 再活用 衣類收去函 뱃구레가 홀쭉하다.
    보름달 風船처럼 제 깜냥 부푸는 邊方
    푹 꺼진 噴火口 속에 寂寞 하늘 담고 있다.

    잠 못 든 한 사내가 그 옆에 누워있다.
    이웃한 박주가리 덩굴손 감아올리고
    첫 對面 語塞한 同居에 熾烈한 자리다툼.

    몇 끼나 걸렀을까? 덩치 큰 河馬 같이
    버려지는 헌옷가지 한 입에 삼켜버릴
    障壁을 허무는 바람, 아린 속 어루만진다.

    느꺼웠던 지난날 주머니처럼 까집어보다
    하릴없는 襤褸에 먼지만 뒤집어쓴
    저 와불 벌떡 일어나 주린 배를 채운다.
    김범렬

    김범렬

    1961年 京畿 驪州 出生

  • 이근배·이우걸 時調 詩人

    東亞新春의 傳統에 부끄럽지 않게 質과 量 面에서 豐盛한 한해라 생각되었다. 挑戰的이고 젊고 意欲的인 新人을 찾아내어 우리 時調詩壇의 地平을 넓히는데 寄與할 수 있도록 해보자는 것이 審査委員들의 생각이었다.

    적지 않은 水準級의 作品 속에서 처음 가려낸 것이 백윤석의 ‘黃眞伊2015’, 鄭美京의 ‘木人(木印)’, 박화남의 ‘정석(丁石)을 읽다’, 김범렬의 ‘衣類收去函’이었다. 요즘 始祖들이 現代라는 意味에 너무 比重을 두어 詩語들이 거칠어지고 또 수다스러워지고 있는데 비해 ‘黃眞伊2015’의 境遇 오히려 古典的인 端正함이 눈에 띄었다. ‘木人(木印)’의 境遇 나무속에 새겨지는 이름의 所重한 意味를 情感 있게 노래하고 있었다. ‘정석(丁石)을 읽다’는 斷水 속에 凝結해낸 茶山의 生涯가 力動的이고 韻致 있게 보였다. ‘衣類收去函’에는 辛酸한 우리時代의 삶이 다양한 이미지로 그려져 있었다.

    다시 몇 番의 熟讀과 意見 交換 끝에 ‘정석(丁石)을 읽다’와 ‘衣類收去函’이 남게 되었다. 정갈한 古典美가 그만의 個性으로까지는 읽혀지지 않는다는 點에서, 認識의 깊이가 너무 얕고 單純하다는 點에서, 앞의 두 作品을 除外시켰다.

    남은 두 作品은 確然한 個性으로 比較되어서 쉽게 決定되지 않았다. 茶山의 生涯를 團長으로 그려낸 ‘정석(丁石)을 읽다’는 韻致도 있고 비誘導 그럴듯했고 時調의 本領이 斷水임을 强調하기 위해서도 뽑고 싶은 魅力 있는 作品이었다. 그러나 斷水를 當選作으로 내세웠을 때의 負擔이 적지 않음 또한 事實이고 文化遺跡, 遺物 或은 歷史的 人物을 素材로 頻繁히 取하고 있는 最近의 時流度 꺼림칙했다. 오늘이 있고 오늘의 生活이 있는 時調가 더 切實하지 않을까 하는 意味에서 最終的으로 ‘衣類收去函’을 當選作으로 뽑는다. 어둠을 그려내는 扮裝 없는 이미지가 있고 主題를 이끌어가는 力動的인 霸氣가 있다.

    이 詩人이 앞으로 어떤 그림을 그릴지 알 수 없지만 포즈보다는 假飾 없는 삶의 現場에서 採掘되는 言語로 時調의 領域을 넓혀 가리라는 期待를 하며 大成을 빈다.
  • 김범렬

    김범렬

    1961年 京畿 驪州 出生

    怯도 없이 늘 그랬던 것처럼 아침부터 當選通報 電話를 기다렸다.

    겉으론 泰然한 척 했으나 속으론 이루 말할 수 없는 初草感이 掩襲했다. 時間이 흐를수록 두렵기까지 한 瞬間. 그때 한 通의 電話가 걸려왔다. 新春文藝 當選通報였다. 瞬間 지나간 일들이 파노라마처럼 스쳐지나갔다. 記者의 質問에 울먹이며 對答했지만 말을 이을 수가 없었다. 너무나 唐慌했고, 한便 기쁨이 북받쳐 엉엉 울었다. 新春文藝 最終 決選에 오르기만 7年, 참으로 머나먼 길을 돌아 돌아왔기에 더할 나위 없이 기쁘기만 하다.

    특별한 일이 없는 날이면 職場에서 돌아와 밤 9時에 運動服으로 갈아입고 집을 나선다. 運動을 한다기보다 머릿속에서 時調를 쓰고, 또 썼다가 지우기를 되풀이하며 推敲를 거듭했다. 時調를 쓰다보면 잘 안될 때가 많다. 그러다 문득 어떤 事物을 보고 素材와 敍事(敍事)를 떠올리곤 한다. 어느덧 10年 넘게 反復된 生活을 했다. 그러던 어느 여름날이었다. 집 앞 再活用 衣類收去函이 눈에 들어왔다. 그 옆에 박주가리 덩굴 한 그루가 電報대를 타고 올라와 마침내 衣類收去函 허리를 감싸고 있었다. 熾烈한 자리다툼을 하는 우리네 삶처럼, 只今의 나를 보는 것 같아 가슴이 아팠다. 다 같이 잘 살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우리 周圍엔 배고픈 사람들이 많다. 肯定의 힘을 믿고 굶주리며 사는 이웃이 어디 한두 사람뿐이겠는가. 나의 時調 짓기 또한 그랬다. 堪耐할 수 없는 일들이 많았지만 해낼 수 있다는 覺悟와 實踐으로 오늘 비로소 좋은 結果를 얻은 것 같다.

    저의 不足한 作品을 揀擇해주신 審査委員께 큰절을 올린다. 아울러 東亞日報社 關係者 여러분께도 感謝의 말씀 드린다. 알고 보면 저는 참 幸福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저의 어떤 ‘작은 싹수’ 같은 것을 發見하고 이 길을 열어주신 윤금초 敎授님, 激勵와 勇氣를 북돋아주신 文友 여러분이 계셨기에 오늘 고개 들어 하늘을 우러러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아울러 늘 제게 關心을 가져주시는 (週)경동 名譽會長께도 感謝드린다.

    늘 곁에서 內助해주는 아내와 잘 成長한 아들딸과 이 기쁨을 함께 나누고 싶다. 故鄕집을 홀로 지키시는 어머니, 8年 前부터 重症癡呆를 앓고 계시는 아버지께 榮光을 돌린다.

    恒常 깨어있으면서 期待에 어긋나지 않는 우리 定型詩를 熱心히 쓸 覺悟다.
  • 作品專門
  • 審査評
  • 當選所感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