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가 ‘그것을’ 말할 때-안희연론  |동아新春文藝

동아신춘문예

‘나’가 ‘그것을’ 말할 때-안희연론  

by   최선교

  • 作品專門
  • 審査評
  • 當選所感
  • 1

    안과 밖을 區分할 수 없는 時代에서 詩는 어떤 목소리로 倫理를 말할 수 있을까. 그 時代에는 서로 다른 두 가지 感覺이 남아 있다. 他意로 區劃된 範疇에 捕縛되지 않을 수 있는 自由, 그리고 아무것도 말할 수 없다는 虛無. 公告한 象徵系로 編入되지 않아도 存在할 수 있게 된 意味들은 자유롭다. 더以上 ‘나’는 單一한 存在가 아니고, 一方的으로 規定된 象徵의 옷을 입지 않아도 된다. 同時에 暴力과 不合理를 向해 發話하는 ‘나’ 或은 ‘우리’의 範疇 亦是 위태로워진다. ‘나’, ‘우리’라는 呼名에는 쉽게 暴力이라는 이름標를 붙일 수 있다. 누가 敢히 ‘나’와 ‘우리’를 規定할 수 있는가.

    市에서 ‘主體’의 자리를 先占하고 있던 肥大한 自我가 떠난 뒤에는 무엇이 남아 있을까. 古典的인 定義에서 抒情詩는 ‘世界의 自我化’로 說明된다. 詩的 話者인 ‘나’의 눈에 비친 ‘世界(대상)’는 自我의 言語로 捕獲된다. ‘나’가 對象을 召喚해내어 다듬고 깎아서 빚어낸 結果物이 抒情詩이다. 世界를 自我의 視線으로 捕獲하는 抒情詩의 公式은 ‘새로운 抒情’의 登場으로 反省의 對象이 되었다. 單一한 意味 體系를 形成하는 主體 ‘나’는 사라지고, 破片的이고 複數的인 이미지들로 構成 中인 ‘나’가 남았다. 對象을 捕獲하는 代身, 그것을 絶對 捕獲할 수 없는 것으로 생각해보자는 것이 새로운 抒情이 말하는 倫理인 듯 보였다. 그러나 暴力을 再現하려는 詩人에게 自身이 도리어 暴力의 主體가 될 수 있다는 두려움은 發火가 向하는 에너지의 方向을 바꾼다. 어느새 重要해진 問題는 내가 ‘그것을’ 말한다는 것이 아니라, ‘내가’ 그것을 말한다는 事實이다. 肥大한 自我를 避해 도망쳐 온 자리에서 다시 ‘나’라는 存在가 슬그머니 자리를 잡기 始作한다.

    여기 안희연이 있다. 안희연의 市에서 ‘나’는 如前히 이곳에 남아 있다. ‘나’는 傳統 抒情詩의 肥大한 自我도 아니고, 새로운 抒情의 消盡된 主體도 아니다. 歲月號 以後, 詩人은 時代의 暴力이나 남겨진 不幸을 ‘써야 하는’ 고통스러운 運命을 맞닥뜨렸고 同時에 ‘쓸 수 없다’는 感覺을 經驗한다. 그러나 안희연은 ‘내가’ 그것을 쓸 수 없다고 말하는 代身, 내가 ‘그것을’ 쓸 수 없다고 말한다. 消盡된 主體가 對象을 捕獲하지 ‘않겠다’는 自己 宣言을 했다면, 안희연의 글쓰기에서는 對象을 捕獲할 수 ‘없다’는 無力한 告白이 터져 나온다. 主體의 자리를 返納하는 것만으로는 充分하지 않은 일이었다. 對象을 描寫하는 ‘나’가 前과 같지 않다고 證明하는 일 亦是 如前히 ‘나’의 목소리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主體를 消盡하는 일은 그 自體로 倫理的이라는 呼稱을 獲得할 수 없다. 스피박은 主權的 主體를 텅 빈 空間으로 만드는 談論이 自身의 權力을 隱蔽하려는 또 다른 主體를 非可視化한다고 指摘했다.1) 主體가 더以上 權威的인 同一者가 아니라고 말하는 者는 누구인가? 捕獲하는 主體의 自己反省은 다만 스스로를 以前과 다른 方式으로 再現해냄으로써 一種의 欺瞞이 된다. 主體는 解體나 破片化라는 이름標를 달고 또 다른 中心으로 作動한다.

    但只 이름을 바꾸고 돌아온 主體는 對象을 捕獲하는 일을 그만두었다고 말하지만, 그것은 雅量에서 비롯된 對象 捕獲의 一時 停止에 不過하다. 巨大한 災難과 不合理를 目擊한 以後에 글쓰기를 遂行하는 詩人이 마주한 感覺은 사뭇 다르다. 안희연에게 더以上 主體니 捕獲이니 하는 일은 意志의 問題가 아니다. 그는 再現하려는 對象을 捕獲할 수도 없고, 自發的으로 捕獲하지 않을 수도 없다. 巨大한 不可能性을 마주한 詩人은 ‘나’에 對해 생각하는 代身, ‘그것을’ 쓰는 일의 不可能性에 集中하기 始作한다.

    鍵盤을 누르지 못하는 날들이 繼續됐습니다

    아직 눌리지 않은 鍵盤과
    손이 지닌 모든 可能性 사이에서
    그는 내게 끊임없이 指示를 내렸습니다

    연주하라, 죽은 아이의 목소리로

    只今껏 수많은 指示語를 만나왔습니다 나에게는 豫言의 새가 있고 언제나처럼 그것을 따라가면 될 일이었습니다

    그러나 鍵盤을 누르지 못하는 날들이 繼續됐습니다 검게 주저앉는 마을을 보면서부터 그때 나는 손 닿을 듯 가까운 언덕에서 까마득히 내려다보는 方向에 있었습니다

    質問을 품었습니다 音樂은 어디서 오는가 音樂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소리란 애初에 삼켜질 運命을 지닌 것, “言語를 통한 對答은 없다 적어도 言語를 통한 對答은 없다”*는 文章만이 머릿속을 맴돌았습니다 [……]

    빌린 발을 申告 긴긴 잠에 들어도 내가 죽은 아이가 될 수는 없습니다

    피아노는 흰 천으로 덮여 있습니다 이곳에서 도망치지 않는 일에 하루를 씁니다 끝까지 손을 흔드는 姿勢가 그림자의 表情을 결정지을 것이라고 [……]

    * 미셸 슈나이더 『슈만, 內面의 風景』.
    ─ 「피아노의 病」 部分

    詩人의 言語는 演奏되기를 기다리는 피아노의 鍵盤과 같다. 演奏者는 鍵盤을 눌러 音을 내고 和音을 쌓아 멜로디를 만들어낼 것이다. 피아노 鍵盤은 스스로 움직일 理 없고, 다만 演奏者에 依해 움직여지기를 잠자코 기다린다. 그렇다면 “죽은 아이의 목소리로” 연주하라는 ‘그’의 指示는 妥當하다. 演奏者는 “손이 지닌 모든 可能性”을 가지고 “눌리지 않은 鍵盤”으로 모든 演奏를 할 수 있는 唯一한 者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쉽게 鍵盤을 누르지 못한다. “只今껏 수많은 指示語”를 만났을 때처럼 “언제나처럼 그것을 따라가”기만 하면 될 것을, 자꾸만 망설인다.

    소리를 내지 못하는 피아노는 沈默의 領域으로 들어선다. 비트겐슈타인의 말을 빌리자면, 그곳의 沈默은 倫理的이다. 受動的인 意味의 沈默과 달리, ‘말할 수 없는 것에 關해서는 沈默해야 한다’2)는 政言은 기표의 網 사이로 빠져나가는 意味를 텅 빈 沈默 속에 담아낸다. 言語를 使用하는 詩人이 沈默을 選擇한 것은 “言語만으로는 어떤 얼굴도 만질 수 없기 때문”(「아침은 이곳을 停車하지 않고 지나갔다」)이다. 따라서 연주하지 못하는 演奏者, 쓰지 못하는 詩人은 沈默을 통해 다음과 같은 意味를 담아낸다. “言語를 통한 對答은 없다 적어도 言語를 통한 對答은 없다”. 鍵盤을 앞에 둔 話者의 망설임은 “沈默으로 내내 말”(「페와」)하며, 그가 연주하는 行爲가 곧 倫理의 領域에 屬한 것임을 暗示한다.

    그러나 말할 수 없다는 感覺만이 極端의 倫理를 保障하는가? 象徵系에 捕獲되기를 拒否하고 바깥으로 脫走하는 方式은 언제나 세련된 것인가? 萬若 그렇다면 不合理나 暴力 앞에서 쓸 수 없다는 事實을 展示하는 代身, 그래도 써보겠다는 마음을 내어놓는 일은 한물간 抒情 或은 倫理로 읽히는가? 沈默 속에 머무르려는 試圖는 結局 누구를 爲한 것이 되는가? 안희연은 이런 물음들을 허투루 넘기지 않는다. 引用된 詩의 後半部에서 그는 조금 다른 突破口를 찾아낸다. “빌린 발을 申告 긴긴 잠에 들어도 내가 죽은 아이가 될 수는 없”다는 告白은 앞서 “손이 지닌 모든 可能性”을 否定한다. 演奏者는 더以上 모든 可能性을 가진 主體가 아니며, 鍵盤은 그의 意圖대로 演奏될 수 없다. 다만 그의 손이 모든 것을 연주할 수 ‘없다’는 事實을 마주하고 “이곳에서 도망치지 않는 일에 하루를” 쓸 뿐이다. 이것은 世界를 捕獲할 수 있다는 믿음을 繼承하는 것도 아니고, 自身을 텅 빈 空間으로 만드는 것도 아니다. 안희연은 말할 수 없다는 選擇肢로 돌아가지 않는다. 있는 힘껏 “이곳에서 도망치지 않는 일”로 하루를 보낸다. 밀려나지 않고 제자리를 지키는 것은 逃亡치는 것보다 至難한 일이다.
    나는 내가 한사람이라는 것을 믿는다 // 문득 손이 뜨겁다 손끝에서 이름이 돋아날 것 같다
    ─ 「하나 그리고 둘」 部分

    나는 나를 實感할 수 있어 질긴 밤의 자루를 끌며 甓돌을 주워 담는 일 / 팔과 닮았다는 理由만으로 잘려나간 가지들에게 [……] 얼굴을 받쳤던 손의 무게만큼 나는 기울어질 수 있다 / 먼 이름과 뒤집힌 신발들이 뒤섞여 온다 / 검정이 透明을, 입술이 말을 끝끝내 감추더라도
    ─ 「손의 무게」 部分

    쓸 수 없다는 感覺에도 그저 자리를 지키는 ‘나’는 쉽게 消盡되지 않는다. 다시 한番 말하지만, 안희연에게 重要한 것은 ‘내가’ 그것을 쓸 수 없다는 感覺이 아니라, 내가 ‘그것을’ 쓸 수 없다는 事實이다. 쓸 수 없는 狀況에서 ‘나’가 感覺하는 것은 쓰기의 不可能性 自體이다. ‘나’가 누구든, 어떤 方式으로 存在하든 그 事實은 變함이 없다. 演奏者는 또렷한 實體를 하고 피아노 앞에 앉아 있다. “내가 한 사람이라는 것을 믿”고, “나를 實感할 수 있”는 ‘나’는 分裂症的인 自己認識에 沈潛하여 다시 主體의 問題로 돌아가지 않는다. 話者의 담백한 自己認識은 自我를 살찌우거나, 말려 죽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자 문득 “손끝에서 이름이 돋아날 것 같”은 感覺처럼 對象을 명명할 수 있는 可能性이 스며들지만, 그 瞬間도 穩全히 主體의 意志가 낳은 結果는 아니다. 불현듯 뜨겁게 “돋아날 것 같”은 ‘이름’은 오히려 不可抗力的으로 話者를 侵犯한다. 對象을 명명할 수 있는 ‘이름’은 쓸 수 없다는 感覺 앞에서 도망가지 않은 詩人에게 到來하려고 한다. 쓰기의 不可能性 앞에서 詩人은 “질긴 밤의 자루를 끌며 甓돌을 주워 담는 일”로 至難한 時間을 견뎠다. 이제 저 멀리서 正말로 무언가 다가오는 것이 보인다. “먼 이름과 뒤집힌 신발”은 “뒤섞여” 이곳으로 오고 있다.

    2

    안희연의 詩에서 對象의 到來는 種種 話者를 侵入하는 感覺으로 描寫된다. ‘이름’들이 오고 있는 것이다. 話者는 不可抗力的으로 이름의 到來를 感知한다. 話者가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對象이 話者를 向해 움직인다. 언제나 ‘내가’ 그것을 쓴다는 感覺보다는, 내가 쓰려는 ‘그것’의 感覺이 훨씬 强力하다.

    冊을 열면 죽음이 쏟아진다 맨발로 맨몸으로 달려나오는 아이들
    나는 遑急히 冊을 덮고
    辨明처럼 天障을 올려다본다 [……]

    눈을 감았다 떠도 아이들은 사라지지 않는다

    심지도 않은 나무가 자랐어
    생생하게 살아 있는 죽음들을
    더는 넣어둘 다락이 없어
    壁을 뚫고 자라나는 나무들을
    ─ 「月曜日에 죽은 아이들」 部分

    “죽음이 쏟아”지는 冊에서는 “맨발로 맨몸으로” 아이들이 달려 나온다. ‘나’는 느닷없는 侵犯에 놀라 “遑急히 冊을 덮”지만 “눈을 감았다 떠도 아이들은 사라지지 않는다”. ‘나’의 領域에 侵入한 ‘아이들’은 詩의 後半部에서 猛烈하게 자라는 ‘나무들’로 連結된다. “심지도 않은 나무”는 ‘나’의 意志와 無關하게 자라났고, 나무를 키운 生命力은 逆說的으로 “죽음”을 “생생하게 살아 있는” 것으로 만들어 버린다. “壁을 뚫고 자라나는 나무들”은 冊에서 쏟아져 내리던 아이들을 닮았다. 다른 詩篇들에서도 ‘나’를 侵犯하는 對象들은 다양한 感覺으로 그려진다. “그렇게 너의 슬픔이 끼어들”(「파트너」)거나 “성큼성큼 걸어들어오는 나무”(「한그루의 나무를 그리는 法」)의 形象으로, “꿈속까지 칼이 들어”(「검은 낮을 지나 흰 밤에」)오거나 “견딜 수 없이 무거워지”(「페와」)는 感覺으로 ‘나’를 侵犯한다. 그렇다면 ‘나’를 侵入하는 對象들의 到來는 쓸 수 없음의 不可能性에서 나를 救援할 수 있는가? 안희연은 이 地點에서 다시 한番 倫理的 發話의 空間 속에 ‘나’라는 存在가 커지는 瞬間을 警戒한다. “나만 혼자 커다랗다는 부끄러움”(「小人國에서의 여름」)을 記憶하게 만든다.

    끄룽텝*으로 向하던 飛行機가 墜落했다는 消息이다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다
    그런데
    왜 그때 눈앞에서 石榴 한알이 떨어졌을까 [……]

    며칠째 굴뚝에 사람이 매달려 있다는 消息을 들었을 때도
    내몰린 마음의 끝에서
    제 그림자를 갉아먹는 거미와 눈 마주쳤을 때도

    나는 믿지 않았지 救援이라는 말 [……]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지만
    왜 자꾸 눈물이 차오르는지는 묻지 못한다

    돌 아니라 사람
    部品 아니라 사람
    그런 말들은 너무 작아서
    종이 人形 하나 쓰러뜨리지 못하는데

    왜 자꾸 날아오르려는 것일까 믿음이라는 말

    짓밟힌 눈빛은 나와 相關없다
    서늘하게 뻗어나가는 담쟁이덩굴은 나와 相關없다
    등을 돌리고 있어도

    나의 하루가 일그러진다
    時도 때도 없이 出沒하는 거미들
    후드득후드득 房 안으로 쏟아져내리는 石榴 때문에

    * Krungthep: 天使의 都市.
    ─ 「거짓말을 하고 있어」 部分

    天使의 都市라고 하는 ‘끄룽텝’으로 向하던 飛行機가 墜落했다. 그 消息을 들은 話者는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그 瞬間 話者의 “눈앞에서 石榴 한알”李 떨어진다. 鮮明하게 連結된 飛行機의 墜落과 石榴의 떨어짐은 “나와는 상관없는 일”李 아니라는 事實을 확인시킨다. 不可抗力的인 힘으로 ‘나’를 밀고 들어오던 ‘이름’들처럼, 아주 먼 곳에서 일어나 無關하다고 생각한 事件이 ‘나’를 侵入한다. ‘나’와 相關 있/없는 일은 아이러니하게도 ‘나’의 主管으로 決定되지 않는다. 그것은 마치 神의 命令처럼 通報되며, ‘나’의 決定權은 至極히 無力하다. “며칠째 굴뚝에 사람이 매달려 있다는 消息”이나 “제 그림자를 갉아먹는 거미와 눈 마주쳤을 때”도 ‘나’는 그것이 상관없는 일이라고 생각하지만, 내 意志와 別個로 “눈물이 차오르”는 것을 느낄 뿐이다. “상관없다”는 自己暗示에도 不拘하고, 그 모든 事件들 때문에 “나의 하루가 일그러진다”. ‘거미’가 出沒하고 ‘石榴’가 쏟아져 내리는 ‘나’의 放은 손쓸 틈도 없이 陷沒된다.
    그 事件이 나와 상관없다는 생각은 곧 그것이 나와 상관없는 日이었으면 좋겠다는 所望이다. 상관없는 일이라면 그것을 마주할 必要가 없다. 飛行機가 墜落하든, 굴뚝에 사람이 매달리든 그것은 ‘나’가 써야 할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나’는 內心 그것이 ‘나’와 상관있는 일이 될 것을 두려워한다. 그 두려움의 實體는 ‘나’가 結局 그것을 제대로 말할 수 없을 것이라는 豫感이다. “돌 아니라 사람 / 部品 아니라 사람 / 그런 말들은 너무 작아서 / 종이 人形 하나 쓰러뜨리지 못”할 것을 豫感한 ‘나’는 차라리 그것이 상관없는 일이기를 바란 것이다. “말들은 너무 작아서” 無力하다. 나에게 到來하는 이름과 事件들을 도무지 잡아둘 수가 없다. 그러니 제발 그것이 나와 상관없는 일이기를 바란다.

    나는 너를 花盆에 심는다 너는 흐느적거리며 쓰러진다 / 제발 그대로 좀 앉아 있어
    ─ 「포르말린」 部分

    事實은 흰 접시에 對해 말하고 싶었는데 / 흰 접시의 테두리만 만지작거린다
    ─ 「詩」 部分

    그는 길을 내려 했다 깎을 수 없는 것을 깎으면서 / 한 時間을 파묻으려 했다 謝過는 欠집 하나 나지 않는다 [……] 그럴수록 그가 깎여간다 / 있지도 않은 沙果를 손에 들고
    ─ 「죽은 개를 기르는 사람은」 部分

    事實은 鍵盤 앞에서 도망치지만 않는다면 쓸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러나 到來한 이름과 事件들은 決코 ‘나’에게 捕獲되지 않는다. ‘나’라는 存在가 커지려는 幾微가 보이자, 時人은 또다시 ‘나’를 期於코 潛潛하게 한다. 對象을 言語로 잡아두려는 試圖는 番番이 失敗로 돌아간다. “너를 花盆에 審”지만 “너는 흐느적거리며 쓰러진다”. 對象을 잡아두려고 “제발 그대로 좀 앉아 있어”라며 빌지만, ‘나’의 言語는 그것을 붙잡을 힘이 없다. “事實은 흰 접시에 對해 말하고 싶었”지만 정작 할 수 있는 것은 “흰 접시의 테두리만 만지작”거리는 일뿐이다. 「죽은 개를 기르는 사람은」에서 對象의 捕獲 不可能性은 한層 더 나아가 아예 그것이 存在하지도 않았다는 幻想으로 드러난다. “깎을 수 없는 것을 깎”고자 한 試圖는 “謝過”에 “欠집 하나” 내지 못한다. “그럴수록 그가 깎여”나가는 것은 勿論, 甚至於 “있지도 않은 沙果”라는 事實이 對象을 捕獲하려는 試圖를 辛辣하게 비웃는다.

    對象을 言語化하려는 試圖는 ‘나’의 記票로 그것을 可視化하려는 欲望에서 起因한다. 記標와 記意의 恣意的 結合이 失敗로 돌아갔다는 事實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어찌할 수 없는 이름들”(「내가 달의 아이였을 때」)은 ‘나’가 試圖하는 言語化의 無力함을 證明한다. 더 나아가 記標와 氣意義 結合이 ‘나’의 人爲的인 介入으로 可能하지 않다는 事實은 對象과 그것이 描寫되는 過程에 一種의 神聖을 附與한다. 피아노 앞에서 不可能性을 마주한 話者에게 到來하는 듯 했던 쓰기의 可能性은 對象을 言語로 잡아두려는 欲望이 介入되려고 하자 곧바로 모습을 감춘다. “가까워지려는 意志만으로도 木瓜는 반드시 썩는다 / 當身이 木瓜 너머를 보기 始作할 때 木瓜는 이미 木瓜가 아니다”(「망중한」)라는 告白은 對象이 描寫되는 過程 全體가 決코 主體 ‘나’의 意志로 可能한 것이 아니라는 悽絶한 깨달음이다.

    그러나 詩人이 言語를 使用해 大賞에 到達할 수 없다는 걸 認定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다시 「거짓말을 하고 있어」로 돌아가보자. 話者는 “그런 말들은 너무 작”지만 “믿음이라는 말”이 “자꾸 날아오르려는 것”을 느낀다. 그것은 “그런 말들”을 가지고 “종이 人形 하나”라도 쓰러뜨리려는 믿음이다. 對象이 到來하지 않던 瞬間에 不可能性을 마주했던 것과 달리, 對象의 到來에도 不拘하고 쓸 수 없다는 絶望感은 이것이 ‘假짜’이며, 보이지 않는 곳에 ‘眞짜’가 있을 것이라는 感覺으로 이어진다.

    3

    “結局 이 모든 게 믿음의 問題”(「트릭스터」)라는 생각은 只今 이곳에서는 보이지 않는 것들이 어딘가에는 ‘眞짜’ 있을 것이라는 믿음으로 發現된다. 눈앞의 不可能性을 認定하는 代身, 보이지 않는 곳의 可能性을 믿는 便이 훨씬 쉽기 때문이다. 詩人은 瞬間 ‘나쁜 理想主義者’가 되어 버린다. 좋은 理想主義가 不可能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믿는다면, 나쁜 理想主義는 可能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믿는다.3)

    눈앞의 모든 나무를 베어버리고 // 땅을 판다 / 眞짜 나무를 심을 것이다 [……] 잠에서 깨어나면 새 나무를 갖게 될 거야 / 그 나무에선 아무도 울지 않는 時間이 열릴 거야
    ─ 「火山섬」 部分

    눈앞에 없는 새만이 眞짜일 거라고 믿는 것 [……] 그女는 오늘 낮에 읽은 點字冊의 한 場面을 떠올린 다 / 새를 찾아 숲으로 간 아이들이 이미 새를 / 가지고 있었다는 이야기
    ─ 「프랙탈」 部分

    “眞짜 나무를 심을” 생각으로 눈앞에 있는 모든 나무를 베어버린다. ‘眞짜’ 나무가 있다는 믿음은 瞬息間에 눈앞에 있는 存在를 ‘假짜’로 만든다. 假짜가 된 나무는 假借 없이 베어지고 “새 나무”에는 話者의 欲望이 投影된다. “아무도 울지 않는 時間”을 열매 맺을 수 있는 나무가 “眞짜 나무”여야 하는 것이다. ‘모두가 울고 있는 時間’으로 推定되는 現在는 話者가 否定하려는 ‘假짜’의 時間이다. “눈앞에 없는 새만이 眞짜일 거라고 믿는” 믿음은 光跡이다. 그 믿음은 話者를 救援할 수 있는가? “언덕 너머에 眞짜 언덕이 있다고 믿는”(「접어놓은 페이지」) 믿음은 눈앞에 있는 ‘언덕’을 否定해야 到達할 수 있는 熾烈한 自己 否定이다. 그러나 自己 否定으로의 沒頭가 暫時 흔들리는 瞬間, 눈앞의 現實이 들이닥친다. 보이지 않는 것에 對한 믿음보다 보이는 것이 주는 實感은 實로 强力하다.

    詩人은 문득 “새를 찾아 숲으로 간 아이들이 이미 새를 / 가지고 있었다”는 事實을 받아들인다. 自身이 믿었던 ‘眞짜’가 事實은 狂的인 現實 否定에 다름이 아니었음을 體感한다. 現實의 風景은 서늘하고 强力하게 話者를 實感시킨다. “쓰러진 물컵 속에는 물 外엔 아무것도 없다 / 슬픔이나 絶望 같은 건 더더욱 없다”(「영혼 없이」)라는 直視는 보이지 않는 ‘眞짜’가 存在한다는 믿음을 顚覆한다. 물컵이 쓰러지면 남는 것은 흐르는 물이지, “슬픔이나 絶望 같은” 것이 아니다. 話者가 바라던 ‘眞짜’는 없거나, 오지 않거나, 或은 이미 있다. 셋 中에 어느 쪽이든, 저 너머에 ‘眞짜’가 存在한다는 믿음은 廢棄되기 始作한다.

    眞짜라는 말이 나를 망가뜨리는 것 같아

    單 하나의 무언가를 渴望하는 態度 같은 것

    다른 世界로 向하는 階段 같은 건 없다
    食卓 위에는 싹이 난 감자 한封紙가 놓여 있을 뿐

    저 감자는 正確함에 對해 말하고 있다
    嚴密히 말하면 싹이 아니라 毒이지만
    저것도 成長은 成長이라고

    草綠 앞에선 謙虛히 두 손을 모으게 된다
    먹구름으로 가득한 하늘을 바라본다

    하지만 싹은 쉽게 도려내지는 것
    먹구름이 지나간 뒤에도 如前히 흐린 것은 흐리고

    도려낸 자리엔 새살이 돋는 것이 아니라
    도려낸 模樣 그대로의 감자가 남는다

    아직日 수도 結局일 수도 있다
    숨겨놓은 조커日 수도
    이미 잊힌 카드일 수도 있다

    나를 도려내고 남은 나로
    오늘을 살아간다

    如前히 내 안에 앉아 次例를 기다리는 내가
    나머지의 나머지로서의 내가
    ─「스페어」 專門

    ‘나’는 불현듯 “眞짜라는 말이 나를 망가뜨리는 것 같”다고 생각한다. ‘眞짜’라는 “單 하나의 무언가를 渴望하는 態度”는 ‘單 하나’를 뺀 나머지를 모두 ‘假짜’로 만들어 버린다. 아직 보이지 않는 무엇을 ‘眞짜’라고 믿는 態度는 눈앞에 있는 對象을 缺乏으로 取扱한다. ‘眞짜’나 ‘假짜’의 判別은 ‘나’에 依해 遂行된다는 點에서 對象보다 ‘나’를 可視化하는 것이다. 詩人은 暫時 ‘眞짜’에 對한 믿음으로 흔들렸지만, 이내 다시 ‘나’를 潛潛하게 만든다. ‘나’가 ‘眞짜’라는 말을 다시 생각하게 된 契機는 食卓 위에 놓인 “싹이 난 감자 한封紙”이다. 대단할 것 없는 對象이 내 눈앞에 놓여 있는 그 瞬間에 ‘나’는 “다른 世界로 向하는 階段 같은 건 없다”고 생각한다. 그 ‘감자’는 “正確함에 對해 말하고 있다”. “正確함”은 ‘나’의 欲望과 無關하게 確實한 實體를 가지고 눈앞에 存在하는 對象의 性質이다. 기다리던 ‘眞짜’가 아님에도 不拘하고, “저것도 成長은 成長이라고” 생각하자 ‘나’는 “謙虛히 두 손을 모으게 된다”.

    素朴한 ‘正確함’은 앞으로 到來할 무엇이 아니다. ‘나’의 期待에 맞춰 成長하거나 變化하는 對象도 아니다. “如前히 흐린 것은 흐”린 것처럼, 對象은 있는 그대로 只今 여기에 存在한다. “도려낸 자리엔 새살이 돋는 것이 아니라 / 도려낸 模樣 그대로의 감자가 남는다”는 깨달음은 ‘믿음’이 아니라 ‘事實’의 問題에 屬한다. 그러자 문득 ‘나’는 “오늘을 살아”갈 수 있을 것 같다. 오늘을 사는 ‘나’는 “나를 도려내고 남은 나”라는 餘分이다. 다시 主體의 問題로 돌아가보자. 안희연의 ‘나’는 如前히 비對하지도, 消盡되지도 않았다. 그저 ‘나’를 “도려내고 남은 나”라는 “몫이 그러하므로 어떻게든 繼續”(「몫」) 갈 뿐이다.

    “도려내면 도려내는 대로 // 우리는 살아가야”(「굴뚝의 氣分」)한다. 쓰기의 不可能性을 맞닥뜨렸을 때, ‘나’를 커다랗게 만들거나 주저앉는 것이 아니라 “다른 入口”(「빛의 山」)를 찾는 것이 暴力을 말하고 남겨진 不幸을 쓰는 안희연의 方式이다. 詩人에게 ‘나’가 커다랗게 되거나 주저앉는 일은 모두 ‘나’를 위한 글쓰기로 收斂된다. 안희연은 몇 次例의 施行錯誤 끝에 果敢하게 ‘나’의 問題를 건너뛴다. 主體의 안주나 脫走路 回歸하지 않고 남겨진 餘分의 ‘나’로 侵入하는 對象을 感覺한다. 至毒한 自己檢閱로 主體의 問題에 발이 묶이는 代身, 對象의 ‘正確함’을 凝視하는 쪽으로 눈을 돌리는 것이 바로 안희연의 글쓰기이다. 市價 倫理를 말하려고 한다면, 때로 重要한 것은 말하는 ‘나’가 누군지보다 ‘나’가 말하려는 ‘그것’ 自體일 때가 있는 것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가야트리 스피박, 태혜숙 驛,「西撥턴은 말할 수 있는가?」,『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 西撥턴 槪念의 歷史에 關한 省察들』, 그린비, 2013.

    2)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이영철 譯, 『論理-哲學 論考』, 冊世上, 2006, 117쪽.

    3) “나쁜 理想主義者는 그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그것이 可能하다고 생각하지요. 그것이 쉬운 일이라고 믿는 것은 앞으로 한 발자국만 더 움직이면 되는 일입니다. [……] 한便, 좋은 理想主義者는 言語를 통해 惹起된 分裂로부터 人間을 자유롭게 하는 일은 바람직하다는 바로 그 理由 때문에 그것이 成就될 可能性은 至極히 稀薄하다고 생각합니다.” 오르테가 이 街셋, 이재성 驛, 「飜譯의 悲慘과 靈光」, 『飜譯理論 : 드라이든에서 데리다까지의 논選』, 圖書出版 同人, 2009, 152쪽.
    최선교

    최선교

    1996年生 大田 出生

    한동대 國際語文學部 卒業

    고려대 國文科 현대문학 碩士課程 在學 中

  • 신수정 명지대 文藝創作科 敎授·김영찬 啓明大 國語國文學科 敎授

    批評이란 무엇이고 또 어떠해야 하는가. 그야말로 새삼스럽고 촌스러운 質問일 테다. 하지만 如前히 答하기 쉽지 않은 이 오래된 質問이 우리에겐 아직도 궁금한 未完의 宿題다. 應募作들을 읽으면서 批評에 對한 이런 想念들이 앞섰던 理由는 다른 데 있지 않다. 自己 나름의 方式으로 이런 質問을 던지고 있는 批評을 찾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批評은 텍스트를 選定하는 데서부터 始作된다. 只今 現在 무엇이 意味 있는 텍스트인가를 分別해내고 그 텍스트를 分析해 그것이 놓인 자리가 正確히 어디인가를 判定하고 헤아리는 眼目. 對象에 對한 批評的 距離를 確保하면서도 對象이 發話하는 목소리에 謙虛하게 귀를 기울이는 態度. 그 結果를 正確한 言語로 表現하고 傳達하는 疏通의 技術. 새롭게 批評의 길에 들어서려는 豫備 批評家들의 글에서 보고 싶었던 것은 批評의 基本에 屬하는 이런 德目들이었다. 아쉽게도 批評的 거리 或은 客觀性이나 疏通의 意志를 갖추지 않은 글들이 多數였고 意味 있는 批評的 質問을 품고 있는 글들도 보기 힘들었다.

    그런 가운데서도 ‘‘나’가 ‘그것을’ 말할 때-안희연론’은 많은 글들에서 보이는 그런 缺陷들에서 한 발짝 물러나 있었다. 텍스트에 密着해서 ‘詩’의 倫理를 찾아내려고 努力하는 批評的 奮鬪가 눈에 보였고 自己 나름의 言語로 詩를 풀어쓰는 流麗한 文章이 印象的이었다. 그러면서 詩人 안희연의 자리를 正確하게 配置하는 眼目도 갖추고 있었다. 아직은 서툴고 깊지 않고 讀者와 疏通하려는 意志도 채 여물지 않았지만, 審査委員들은 아직은 서툰 그 可能性을 믿어보기로 했다.
  • 최선교

    최선교

    1996年生 大田 出生

    한동대 國際語文學部 卒業

    고려대 國文科 현대문학 碩士課程 在學 中

    安寧하세요. 제 글을 읽어주셔서 感謝합니다. 當選 所感이라는 것을 쓰려니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는 생각이 듭니다. 궁금하지 않으실 글쓴이의 告白을 더해보겠습니다. 저는 恒常 詩가 무섭다고 말하고 다녔습니다. 저만 빼놓고 自己들끼리만 아는 말로 속닥거리는 그것들이 자주 무섭고 서러웠습니다. 詩를 읽다가 넘어질 때면 메모紙를 열어 받는 사람이 없는 便紙를 썼습니다. 昨年 4月 13日에 쓴 便紙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습니다. “저는 이 解讀 不可能한 世界에 어쩌다 들어오게 된 것일까요.”

    이쯤 되면 저의 告白을 異常하다고 느끼실지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저는 如前히 詩가 무섭다는 생각을 합니다. 나만 빼놓고 自己들끼리만 아는 말로 즐겁고 不幸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萬若 저를 조금이라도 끼워줄 생각이 있다면, 언제나 이미 自身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들을 辯護할 뿐이라는 마음으로 쓰겠습니다.

    흔치 않은 이런 機會에 이름을 불러보고 싶은 사람들도 아주 많이 있습니다. 그 이름들을 다 적는다면 주어진 分量이 不足할 것 같습니다. 먼저 윤빈, 욧버 그리고 온유에게 나를 살려주어 고맙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처음으로 최선교가 될 수 있었던 펜桶, 갈 데 없던 그곳에서 서로를 알아본 살루스와 某敎會 食口들은 救援이라는 말에 어울립니다. 文學을 工夫할 수 있는 機會를 주신 오형엽 敎授님과 함께 하는 大學院 同僚들에게도 感謝합니다. 사랑하는 엄마, 아빠, 언니도 생각납니다. 저는 언제나 사랑과 友情을 먹고 꾸역꾸역 살아가는 中입니다. 다시 한番 感謝합니다.
  • 作品專門
  • 審査評
  • 當選所感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